KR200391090Y1 - 비닐하우스 내부 보온덮개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 내부 보온덮개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1090Y1
KR200391090Y1 KR20-2005-0013954U KR20050013954U KR200391090Y1 KR 200391090 Y1 KR200391090 Y1 KR 200391090Y1 KR 20050013954 U KR20050013954 U KR 20050013954U KR 200391090 Y1 KR200391090 Y1 KR 2003910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installation pipe
installation
vinyl hous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39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환
Original Assignee
이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환 filed Critical 이규환
Priority to KR20-2005-00139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10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10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10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plant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1Tunnels, i.e. protective full coverings for rows of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8Covering materials therefor; Materials for protective coverings used for soil and plants, e.g. films, canopies, tunnels or clo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4Measures for saving energy, e.g. in green hou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 내부 보온덮개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반원형태로 된 다수개의 설치파이프(1)를 일정간격을 두고 양측 연결파이프(21)(22)에 고정설치한 다음 상기 설치파이프(1) 상부로 일측이 연결파이프(22)에 고정되어져 있는 보온덮개(11)를 씌워서 된 소형비닐하우스(102)에 있어서, 상기 설치파이프(1)를 고정설치하고 있는 양측 연결파이프(21)(22)중 하나의 연결파이프(21)를 다수개의 고정구(23)로 지면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그 연결파이프(21)의 일측단을 일정길이 연장하여 그 끝단에 승,하강작동파이프(2)를 마련하고, 상기 승,하강 작동파이프(2)의 선단으로는 당김와이어(43)를 연결하여 당김와이어(43)의 타측단이 대형비닐하우스(101)의 상부골조(103)에 설치된 연결로울러(42)를 경유하여 감속모터(4)의 감속로울러(41)에 연결되게 하며, 상기 설치파이프(1)의 상부로는 보온덮개(11)가 권취된 권취로울러(31)를 설치하되, 상기 권취로울러(31)는 내측으로 모터(33)가 내설되고 그 일측에 연결파이프(21)에 설치된 회전지지축(32)이 관통설치된 통상의 권취기(3)를 연결설치하여 상기 권취로울러(31)가 권취기(3)의 구동력에 의해 설치파이프(1) 상부를 따라 이송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소형비닐하우스의 설치파이프 상부로 보온덮개를 자동개폐시켜 주는 권취기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설치파이프의 일측 연결파이프를 축으로하여 승강될 수 있게 구성하므로 보온덮개의 자동 개폐는 물론 보온덮개의 권취상태를 향상시켜 주고 나아가 보온덮개의 사용시 뒤틀림이나 구김을 방지하여 보온성을 높여 주며, 또 작업자로 하여금 작물 작업시 설치파이프로 인한 간섭을 최소화 시켜 작업의 효율성까지 증대 시켜 줄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비닐하우스 내부 보온덮개 개폐장치{Apparatus of opening and shutting cover for keeping warmth inside green house}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 내부 보온덮개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대형 비닐하우스 내부에 설치되는 소형비닐하우스의 보온덮개를 인력의 낭비없이 신속하고 편리하게 자동개폐 가능토록 하여 줌과 동시에 보온덮개의 뒤틀림이나 구김을 방지하여 보온성의 향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을 가지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박,참외,딸기 등의 키작은 작물을 재배하기 위한 재래식 비닐하우스는 통상 대형 비닐하우스 내부에 작물을 덮는 소형 비닐하우스가 설치되어 보온성을 높이게 되는데, 이때 상기 소형비닐하우스는 통상 다수개의 반원형태의 설치파이프를 일정간격으로 연결파이프에 고정설치한 후 그 상부로 비닐 또는 부직포(이하 "보온덮개" 라 함)를 씌워서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소형비닐하우스의 보온덮개는 밤,낮 등의 기온차 또는 작업시 그 상부의 보온덮개를 개폐시켜 주게 되는데, 이때 보온덮개의 개폐는 전적으로 인력에 의존해 왔던 바, 100m 정도의 길이를 갖는 보온덮개의 개폐시 인력의 낭비는 물론 작업시간의 소요가 많았으며 특히 보온덮개를 개폐시 보온덮개가 뒤틀리거나 구김이 발생하여 보온성이 저하되거나 권취상태가 매우 불량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아울러, 상기 보온덮개를 소형비닐하우스의 설치파이프 상부로 씌워 고정시에는 사용자가 보온덮개를 설치파이프를 따라 씌운 다음 그 끝단을 연결끈으로 비닐하우스 골조에 묶어 고정하게 되는데 이 경우 상기 보온덮개의 설치가 매우 난이할 뿐 아니라 작업이 오래 걸리고 또 보온덮개가 평평하게 펴지지 않고 뒤틀리거나 구김되어 보온성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는 폐단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제반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소형비닐하우스의 설치파이프 상부로 보온덮개를 자동개폐시켜 주는 권취기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설치파이프의 일측 연결파이프를 축으로 하여 승강될 수 있게 구성하므로 보온덮개의 자동 개폐는 물론 작물의 작업시 설치파이프의 간섭없이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여 줌에 그 기술적 과제를 가지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하자면 아래와 같다.
본 고안은 반원형태로 된 다수개의 설치파이프(1)를 일정간격을 두고 양측 연결파이프(21)(22)에 고정설치한 다음 상기 설치파이프(1) 상부로 일측이 연결파이프(22)에 고정되어져 있는 보온덮개(11)를 씌워서 된 소형비닐하우스(102)에 있어서,
상기 설치파이프(1)를 고정설치하고 있는 양측 연결파이프(21)(22)중 하나의 연결파이프(21)를 다수개의 고정구(23)로 지면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그 연결파이프(21)의 일측단을 일정길이 연장하여 그 끝단에 승,하강작동파이프(2)를 마련하고,
상기 승,하강 작동파이프(2)의 선단으로는 당김와이어(43)를 연결하여 당김와이어(43)의 타측단이 대형비닐하우스(101)의 상부골조(103)에 설치된 연결로울러(42)를 경유하여 감속모터(4)의 감속로울러(41)에 연결되게 하며,
상기 설치파이프(1)의 상부로는 보온덮개(11)가 권취된 권취로울러(31)를 설치하되,
상기 권취로울러(31)는 내측으로 모터(33)가 내설되고 그 일측에 연결파이프(21)에 설치된 회전지지축(32)이 관통설치된 통상의 권취기(3)를 연결설치하여 상기 권취로울러(31)가 권취기(3)의 구동력에 의해 설치파이프(1) 상부를 따라 이송될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 도 1,2,3 에서와 같이 대형비닐하우스(101) 내에 설치된 소형비닐하우스(102)의 보온덮개(11)를 자동으로 개폐가능케 하여 주는 것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본 고안은 반원형태로 된 다수개의 설치파이프(1)상부로 권취기(3)가 연결된 권취로울러(31)를 마련하여, 상기 연결파이프(22)에 일측이 고정되어져 있는 보온덮개(11)의 타측을 연결하므로서 권취로울러(31)의 회전에 의해 보온덮개(11)가 자동으로 권취되어지도록 한 것인데,
이때 상기 권취기(3)는 도 7에서와 같이 일반적으로 그 내에 모터(33)가 설치되어 작동스위치(201)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작동됨과 동시에 그 일측으로 연결파이프(21)에 설치된 회전지지축(32)이 관통설치되어져 있어, 권취기(3)가 설치파이프(1) 상부를 따라 회전이동시 설치파이프(1)에서 권취기(3)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게 된다.
즉, 소형비닐하우스(102)의 설치파이프(1) 일측에 권취되어져 있는 보온덮개(11)를 씌울 경우,
먼저 도 4, 5 에서와 같이 설치파이프(1)를 고정지지하고 있는 양측 연결파이프(21)(22)중 일측 연결파이프(21)에 설치된 승,하강 작동파이프(2)를 상부로 당겨 설치파이프(1)의 일측부를 일측 연결파이프(21)를 축으로 해서 일정각 상부로 세우게 되는데, 이때 상기 승,하강 작동파이프(2)를 상부로 당기는 당김와이어(43)는 대형비닐하우스(101)의 상부골조(103)에 설치된 연결로울러(42)를 경유함과 동시에 감속모터(4)의 감속로울러(41)에 연결설치되어져 있어, 감속모터(4)의 작동으로 인해 자동으로 상기 승,하강 작동파이프(2)를 상부로 당겨 설치파이프(1)를 세우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감속모터(4)에는 작동스위치(201)가 설치되어져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한다.
또한 상기 설치파이프(1)의 일측부를 세우기 위해 축이 되는 일측 연결파이프(21)는 다수개의 고정구(23)에 의해 지면에 고정설치되므로 설치파이프(1)를 세울때 지렛대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설치파이프(1)의 일측을 상부로 세우게 되면 설치파이프(1) 일측상부에 위치해 있는 권취로울러(31)가 권취기(3)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면서 설치파이프(1)를 따라 타측으로 회전이송하여 그 외주에 권취된 보온덮개(11)를 설치파이프(1) 상부에 씌우게 되고 이렇게 보온덮개(11)가 설치파이프(1) 상부에 완전히 씌워지면 상기 승,하강 작동파이프(2)를 위에서 언급한 방법의 역으로 실시하여 설치파이프(1)를 원상복귀시키므로 작물의 보온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설치파이프(1) 상부에 완전히 씌워진 보온덮개(11)를 권취로울러(31)로 권취하여 열어 줄 경우에는, 위에서 설명한 보온덮개(11)를 씌우는 방법을 역으로 수행하면 되는 것으로, 감속모타(4)를 역회전시켜 당김와이어(43)를 감속로울러(41)에 감음과 동시에 승,하강 작동파이프(2)를 상부로 가변시킨다.
그러면 설치파이프(1)의 일측이 일측 연결파이프(21)를 축으로 일정각 세워지는데, 이때 그 상부의 권취기(3)를 역회전시켜 권취로울러(31)에 보온덮개(11)를 권취하므로 상기 권취기(3)와 권취로울러(31)는 설치파이프(1)의 일측으로 감겨 올라 간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설치파이프(1) 상부로 보온덮개(11)를 자동 개폐시, 상기 설치파이프(1)의 일측을 일정각 세우게 되는데, 이는 상기 설치파이프(1)를 따라 회전이송하는 권취기(3)와 권취로울러(31)가 설치파이프(1)를 따라 보다 원활하게 이송가능토록 한 것으로, 만약 상기 설치파이프(1)를 세우지 아니하고 보온덮개(11)를 개폐시, 권취로울러(31)의 길이가 통상 설치파이프(1)의 설치 길이인 100m 정도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게 되므로, 그 무게하중에 의하여 설치파이프(1)를 따라 이송이 불가능 하게 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설치파이프(1)를 따라 이송되는 권취기(3)는 그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회전지지축(32)이 관통설치되어 있지만, 권취기(3)의 권취로울러(31)가 단순히 설치파이프(1) 상부에 얹혀져 있는 상태에서 보온덮개(11)를 권취하고 있으므로, 설치파이프(1)를 세우지 아니한 상태에서 작동시키게 되면 권취로울러(31)가 제자리에서 회전되어 오작동을 일으키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권취로울러(31)가 설치파이프(1)를 따라 회전이송하면서 보온덮개(11)를 씌울 수 있도록 상기 설치파이프(1)의 일측을 일정각 세워 권취로울러(31)가 원활하게 회전이송가능케 하여 주는 것이고,
반대로 권취로울러(31)에 보온덮개(11)를 권취시에는 보온덮개(11)의 일측이 연결파이프(22)에 고정되어져 있으므로 그 당김력을 이용하여 권취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도 4,6 에서와 같이 설치파이프(1)를 연결고정하고 있는 일측 연결파이프(22)에 상부로 절곡 형성된 걸림대(22a)를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 설치하여 설치파이프(1)에 마련된 권취로울러(31)가 상기 일측 연결파이프(22)쪽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줌과 동시에 그 내에 보관될 수 있게 하여 준다.
또 본 고안에서는 도 6 에서와 같이 상기 걸림대(22a)가 설치되는 일측 연결파이프(22) 하측부로 일정길이의 보호부직포(12)를 설치하여 일측 연결파이프(22)가 지면에 접촉시 쿠션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보호부직포(12)를 상부로 말아 걸림대(22a) 상부를 감싸게 하므로, 그 내에 보관되는 보호덮개(11)가 직사광선에 장시간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도 4,5 에서와 같이 보온덮개(11)의 개폐를 위하여 설치파이프(1)의 일측부를 일측 연결파이프(21)를 축으로 하여 일정각 세울때, 그 설치파이프(1)의 상부 이송을 도모하여 주기 위하여, 상기 연결파이프(22)일측 또는 걸림대(22a)상부에 각각 보조당김와이어(24)를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설치하되, 상기 보조당김와이어(24)는 대형비닐하우스(101)의 상부골조(103)에 마련된 각각의 연결로울러(42)를 경유케 한 다음 그 끝단에 탄력스프링(25)을 연결설치하여 대형비닐하우스(101) 측면골조(104)에 연결되도록 한 것이다.
이는, 상기 보조당김와이어(24)가 그 끝단에 설치된 탄력스프링(25)의 탄성력에 의해 일정한 당김력을 가지게 되므로 상기 설치파이프(1) 일측부를 일정각 세울때 그 작용을 도모하여 주도록 한 것이다.
위와 같이 본 고안은 길이가 길고 무거운 보온덮개를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설치파이프 상부에 자동으로 개폐가능케 한 것으로, 인력의 낭비가 없음은 물론 보온덮개의 뒤틀림이나 구김을 방지하여 보온덮개의 권취효율과 작물의 보온성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권취된 보호덮개를 걸림대와 보호부직포로 보관, 보호하여 미사용시 직사광선에 의한 훼손 등을 예방하여 주며 또 작물의 작업시 설치파이프에 의한 방해를 최소화 시킬 수 있게 작업시 설치파이프를 일정각 상부로 세워 보다 원활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등 아주 기대되는 바가 큰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이 제시하는 보온덮개 개폐장치의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있어, 보온덮개를 설치하지 아니한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있어, 보온덮개를 설치한 예시도,
도 4, 5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부분확대 예시도,
도 6은 보온덮개와 권취로울러의 보관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권취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설치파이프 11 : 보온덮개
12 : 보호부직포 101 : 대형비닐하우스
102 : 소형비닐하우스 103 : 상부 골조
104 : 측면골조 2 : 승,하강 작동파이프
21, 22 : 연결파이프 22a : 걸림대
23 : 고정구 24 : 보조당김와이어
25 : 탄력스프링 201 : 작동스위치
3 : 권취기 31 : 권취로울러
32 : 회전지지축 33 : 모터
4 : 감속모터 41 : 감속로울러
42 : 연결로울러 43 : 당김와이어

Claims (4)

  1. 반원형태로 된 다수개의 설치파이프(1)를 일정간격을 두고 양측 연결파이프(21)(22)에 고정설치한 다음 상기 설치파이프(1) 상부로 일측이 연결파이프(22)에 고정되어져 있는 보온덮개(11)를 씌워서 된 소형비닐하우스(102)에 있어서,
    상기 설치파이프(1)를 고정설치하고 있는 양측 연결파이프(21)(22)중 하나의 연결파이프(21)를 다수개의 고정구(23)로 지면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그 연결파이프(21)의 일측단을 일정길이 연장하여 그 끝단에 승,하강작동파이프(2)를 마련하고,
    상기 승,하강 작동파이프(2)의 선단으로는 당김와이어(43)를 연결하여 당김와이어(43)의 타측단이 대형비닐하우스(101)의 상부골조(103)에 설치된 연결로울러(42)를 경유하여 감속모터(4)의 감속로울러(41)에 연결되게 하며,
    상기 설치파이프(1)의 상부로는 보온덮개(11)가 권취된 권취로울러(31)를 설치하되,
    상기 권취로울러(31)는 내측으로 모터(33)가 내설되고 그 일측에 연결파이프(21)에 설치된 회전지지축(32)이 관통설치된 통상의 권취기(3)를 연결설치하여 상기 권취로울러(31)가 권취기(3)의 구동력에 의해 설치파이프(1) 상부를 따라 이송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내부 보온덮개 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파이프(1)를 연결고정하고 있는 일측 연결파이프(22)에 상부로 절곡 형성된 걸림대(22a)를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내부 보온덮개 개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대(22a)가 설치되는 일측 연결파이프(22) 하측부로 일정길이의 보호부직포(12)를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내부 보온덮개 개폐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파이프(22) 일측으로 보조당김와이어(24)를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 설치하되, 상기 보조당김와이어(24)는 대형비닐하우스(101)의 상부골조(103)에 마련된 각각의 연결로울러(42)를 경유케 한 다음 그 끝단에 탄력스프링(25)을 연결설치하여 대형비닐하우스(101) 측면골조(104)에 고정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내부 보온덮개 개폐장치.
KR20-2005-0013954U 2005-05-18 2005-05-18 비닐하우스 내부 보온덮개 개폐장치 KR2003910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954U KR200391090Y1 (ko) 2005-05-18 2005-05-18 비닐하우스 내부 보온덮개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954U KR200391090Y1 (ko) 2005-05-18 2005-05-18 비닐하우스 내부 보온덮개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1090Y1 true KR200391090Y1 (ko) 2005-07-29

Family

ID=43692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3954U KR200391090Y1 (ko) 2005-05-18 2005-05-18 비닐하우스 내부 보온덮개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109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438B1 (ko) * 2006-01-13 2007-08-10 주식회사 탑이엔지 터널 보온덮개 권취식 자동개폐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438B1 (ko) * 2006-01-13 2007-08-10 주식회사 탑이엔지 터널 보온덮개 권취식 자동개폐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7799B1 (ko) 하우스의 천창 개폐장치
KR101360227B1 (ko) 온실용 무그림자형 보온커튼 개폐장치
KR200391090Y1 (ko) 비닐하우스 내부 보온덮개 개폐장치
KR101581202B1 (ko) 비닐하우스 보온덮개 개폐장치
JP5160596B2 (ja) 連棟型栽培用ハウス
KR20160039750A (ko)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장치
KR101021936B1 (ko) 과수원 우박 피해 경감 시스템
KR20110054975A (ko) 우박 피해 방지 장치
KR20120138397A (ko) 비닐하우스의 보온덮개 개폐장치
JP2000004685A (ja) ハウス用フィルム巻上げ装置
JP2013046646A (ja) 栽培用ハウス
JP5739389B2 (ja) 連棟型栽培用ハウス
KR100794581B1 (ko) 비닐하우스의 독립 난방식 개폐시스템
KR200418388Y1 (ko) 터널형 하우스의 보온덮개 권취식 자동개폐장치
CN210782246U (zh) 冬暖大棚
KR200200073Y1 (ko) 비닐하우스의 천창비닐 개폐구조
KR0116189Y1 (ko) 온실 보온덮개 자동개폐장치
KR20000066475A (ko) 하우스 보온덮개 자동개폐장치
KR100262765B1 (ko) 비닐하우스
KR100896779B1 (ko) 비닐하우스 보온덮개 개폐장치
KR100282247B1 (ko) 비닐하우스의 보온장치
KR200460097Y1 (ko) 비닐하우스의 개폐장치
KR200238774Y1 (ko) 비닐하우스용 내부 보온덮개 자동 개폐시스템
KR20050074665A (ko) 이중 비닐하우스의 보온덮개 개폐장치
KR100299976B1 (ko) 비닐하우스의 보온덮개 개폐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2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