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1069Y1 - Portable Case - Google Patents

Portable Ca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1069Y1
KR200391069Y1 KR20-2005-0013234U KR20050013234U KR200391069Y1 KR 200391069 Y1 KR200391069 Y1 KR 200391069Y1 KR 20050013234 U KR20050013234 U KR 20050013234U KR 200391069 Y1 KR200391069 Y1 KR 2003910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bag
stage
body portion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323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한옥
Original Assignee
윤한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한옥 filed Critical 윤한옥
Priority to KR20-2005-00132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106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10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1069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5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가방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bag.

본 고안은, 내측에 저면부, 제 1 외벽 및 제 2 외벽으로 둘러싸여 형성되는 하부 수납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외벽의 내측 상부에는 하부 링크 고정대가 형성되어 있으며 높이가 좌우 폭보다 낮은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기 제 1 외벽의 외측에 형성되는 손잡이; 내측에는 2단 수납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에는 상부 링크 고정대가 형성되어 있는 2단 수납부; 양단이 상기 하부 링크 고정대와 상기 상부 링크 고정대에 연결되는 링크 부재; 및 상기 몸체부 및 상기 2단 수납부를 덮고 상기 몸체부와 결합되는 뚜껑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방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lower accommodating space formed by being surrounded by a bottom portion, a first outer wall and a second outer wall therein, and a lower link fixing stand formed on an inner upper portion of the first outer wall and having a height lower than left and right widths; A handle formed on an outer side of the first outer wall of the body portion; A two-stage storage unit having a two-stage storage space formed therein and an upper link holder formed on the outer side thereof; A link member having both ends connected to the lower link holder and the upper link holder; And a lid body covering the body portion and the second stage accommodating portion and coupled to the body portion.

본 고안에 의하면,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를 쥐고 휴대할 수 있는 한편 물건을 수납 또는 인출할 때 몸체부의 저면이 바닥에 닿도록 한 채 뚜껑체를 개방하여 물건을 수납 또는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2단 수납부를 휴대용 가방의 양측에 형성되도록 하여 가방이 일측으로 쓰러지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holding the handle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can be carried while holding or withdraw the object to keep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to reach the floor to store or withdraw the object It is effective. In addition, the two-stage receiving portion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ortable bag has an effect that the bag does not fall to one side.

Description

휴대용 가방{ Portable Case }Portable Bag

본 고안은 휴대용 가방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물건을 수납한 채로 이동할 때에는 몸체부의 좁은 면에 구비되어 있는 손잡이를 쥔 채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복잡한 곳에서도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고, 가방을 휴대한 사람의 몸의 측면과 휴대용 가방의 손잡이가 가깝도록 구성하여 손잡이를 쥔 쪽의 팔의 피로감을 덜어 주는 휴대용 가방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bag. In more detail, when the object is stored, it can be easily moved even in a complicated place because it can be moved while holding the handle provided on the narrow side of the body. The portable bag is configured to close the handle to reduce the fatigue of the arm holding the handle.

도 1a 및 1b는 각각 종래의 휴대용 가방의 외관 사시도 및 내부 전개도이다.1A and 1B are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and an internal development view of a conventional portable bag, respectively.

도 1a 및 1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래의 휴대용 가방은 내부에 다단의 수납부(105)를 갖고 커버(110)를 양측으로 벌려 여는 방식이다. 이러한 구조의 가방에서는 링크 부재(115)로 서로 연결되어 적층된 다단의 수납부(105)가 가방의 하단을 구성하는 하부 수납부(120)의 저면과 일정 간격을 가지면서 안착되고, 링크 부재(115)의 일 방향 회동에 의해 각각의 수납부(105)가 계단형으로 전개되어서 각각의 수납부(105)에 물품을 수납할 수 있고, 또한 링크 부재(105)의 타 방향 회동에 의해 각각의 수납부(105)가 다시 하부 수납부(120)의 저면과 일정 간격을 가지며 적층되게 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A and 1B, a conventional portable bag has a multi-stage housing 105 therein and a cover 110 is opened to both sides. In the bag having such a structure, the multi-stage receiving parts 105 connected and stacked by the link members 115 are seat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part 120 constituting the bottom of the bag, and the link members ( By the one-way rotation of 115, each of the storage portions 105 can be unfolded in a stepped manner to store the article in each of the storage portions 105, and by the other direction rotation of the link member 105, The accommodating part 105 is stack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accommodating part 12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이러한 종래의 휴대용 가방에 물품을 수납한 채로 휴대용 가방을 휴대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물품을 휴대용 가방에 수납한 후에 양측 커버(110)를 닫고 일측 또는 양측 커버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101)를 잡은 채로 휴대용 가방을 들고 이동하여야 한다.In order to carry the portable bag while storing the article in the conventional portable bag, after storing the necessary article in the portable bag, both sides of the cover 110 are closed and the handle 101 formed on the top of one or both sides of the cover is held. Carry a carrying bag with you.

그런데, 종래의 휴대용 가방의 횡단면은 폭이 넓은 직사각형 형상이다. 이렇게 폭이 넓은 휴대용 가방은 운반중이 아닌 경우에는 별 문제가 없으나, 복잡한 곳에서 사람이 휴대용 가방의 손잡이를 쥔 채 휴대용 가방을 들고 이동하는 경우에는 지나가는 사람이나 주변의 물건과 자주 부딪히는 문제점이 있다.By the way, the cross section of the conventional carrying bag has a wide rectangular shape. Such a wide carrying bag is not a problem when not carrying, but when a person is carrying a carrying bag while holding the handle of the carrying bag in a complicated place, there is a problem of frequently encountering a passing person or an object around it. .

또한, 휴대용 가방의 손잡이는 휴대용 가방의 폭의 절반 또는 그 이하의 거리만큼 가방을 휴대하는 사람의 몸의 측면과 이격되게 되고 그에 따라 사람의 몸의 측면과 팔이 이루는 각도가 커지게 되므로 휴대용 가방을 들고 가는 사람에게 있어서 휴대용 가방의 손잡이를 쥔 쪽의 팔에 피로감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handle of the carry bag is separated from the side of the body of the person carrying the bag by a distance of half or less of the width of the carry bag, thereby increasing the angle between the side of the body and the arm of the person carry bag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atigue of the arm of the person holding the handle of the carrying bag increases.

또한, 종래의 휴대용 가방은 다단의 수납부가 휴대용 가방의 일측으로 전개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안정감이 부족해서 가방이 일측으로 쓰러지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carrying bag has a problem that the bag falls to one side because of lack of stability because the multi-stage receiving portion is formed to be developed to one side of the carrying bag.

따라서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물건을 수납한 채로 이동할 때에는 몸체부의 좁은 면에 구비되어 있는 손잡이를 쥔 채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복잡한 곳에서도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고, 가방을 휴대한 사람의 몸의 측면과 휴대용 가방의 손잡이가 가깝도록 구성하여 손잡이를 쥔 쪽의 팔의 피로감을 덜어 주는 휴대용 가방을 제공하는 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2단 수납부를 휴대용 가방의 양측에 형성되도록 하여 가방이 일측으로 쓰러지지 않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when moving while storing an object, it can be easily moved even in a complicated place because it can be moved while holding the handle provided on the narrow side of the body, carrying a bag 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bag that is configured to be close to the side of a person's body and the handle of the portable bag to relieve fatigue of the arm on the side of the handle.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two-stage receiving portion to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ortable bag so that the bag does not fall to one sid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내측에 저면부, 제 1 외벽 및 제 2 외벽으로 둘러싸여 형성되는 하부 수납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외벽의 내측 상부에는 하부 링크 고정대가 형성되어 있으며 높이가 좌우 폭보다 낮은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기 제 1 외벽의 외측에 형성되는 손잡이; 내측에는 2단 수납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에는 상부 링크 고정대가 형성되어 있는 2단 수납부; 양단이 상기 하부 링크 고정대와 상기 상부 링크 고정대에 연결되는 링크 부재; 및 상기 몸체부 및 상기 2단 수납부를 덮고 상기 몸체부와 결합되는 뚜껑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방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ower accommodating space formed by being surrounded by a bottom portion, a first outer wall, and a second outer wall on the inner side, and a lower link fixing stand is formed on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first outer wall and has a height. Body portion lower than the left and right width; A handle formed on an outer side of the first outer wall of the body portion; A two-stage storage unit having a two-stage storage space formed therein and an upper link holder formed on the outer side thereof; A link member having both ends connected to the lower link holder and the upper link holder; And a lid body covering the body portion and the second stage accommodating portion and coupled to the body portion.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of all,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 및 도 3은 각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방의 외관 사시도 및 내부 전개도이다.2 and 3 are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and an internal development view of a portable b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가방은 내측에 저면부(301), 제 1 외벽(303) 및 제 2 외벽(305)으로 둘러싸여 형성되는 하부 수납 공간(207)을 구비하고 제 1 외벽(303)의 내측 상부에는 하부 링크 고정대(307)가 형성되어 있으며 높이(H)가 폭(W)보다 작은 몸체부(310); 몸체부(310)의 제 1 외벽(303)의 외측에 형성되는 손잡이(201); 내측에는 2단 수납 공간(321)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에는 상부 링크 고정대(309)가 형성되어 있는 2단 수납부(320); 양단이 하부 링크 고정대(307)와 상부 링크 고정대(309)에 연결되는 링크 부재(330); 및 몸체부(310)와 2단 수납부(320)를 덮고 몸체부(310)와 결합되는 뚜껑체(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portable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storage space 207 formed by being surrounded by a bottom portion 301, a first outer wall 303, and a second outer wall 305. A lower link fixing stand 307 is formed at an inner upper portion of the first outer wall 303, and a height H is smaller than a width W; A handle 201 formed on an outer side of the first outer wall 303 of the body 310; A two-stage storage section 320 in which a two-stage storage space 321 is formed and an upper link holder 309 is formed in the outside; A link member 330 having both ends connected to the lower link holder 307 and the upper link holder 309; And a lid body 210 covering the body 310 and the second stage accommodating part 320 and coupled to the body 310.

몸체부(310)는 저면부(301), 제 1 외벽(303), 제 2 외벽(305) 및 하부 링크 고정대(30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body portion 310 includes a bottom portion 301, a first outer wall 303, a second outer wall 305, and a lower link holder 307.

저면부(301)는 장방형의 평판으로서 그 상면에는 수납되는 물건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스펀지가 부착될 수 있다. 그러나, 저면부(301)의 형상은 평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가장자리에 비해 중심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거나 모서리가 곡면을 이루게 하는 등 다양한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The bottom part 301 is a rectangular flat plate, and a sponge may be attach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art 301 in order to protect the stored object from impact. However, the shape of the bottom portion 301 is not limited to the flat plate and may be made in various shapes such that the central portion protrudes outward or the edge forms a curved surface compared to the edge.

제 1 외벽(303)은 저면부(301)의 일측 모서리로부터 저면부(301)의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제 2 외벽(305)은 저면부의 타측 모서리로부터 저면부(301)의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다만, 필요에 따라 제 1 외벽(303) 또는 제 2 외벽(305)은 저면부(301)와 둔각 또는 예각을 이루게 할 수도 있으며 외측으로 돌출되는 곡면을 이루도록 할 수도 있다고 할 것이다. 또한, 제 1 외벽(303) 또는 제 2 외벽(305)의 내측면에는 수납되는 물건을 보호하고 수납되는 물건과 제 1 외벽(303) 또는 제 2 외벽(305)의 내측면과 마찰 및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펀지가 부착될 수도 있다.The first outer wall 303 extends from one side edge of the bottom portion 301 to the vertical upper side of the bottom portion 301, and the second outer wall 305 is vertically upward of the bottom portion 301 from the other edge of the bottom portion. Is formed to extend. However, if necessary, the first outer wall 303 or the second outer wall 305 may have an obtuse angle or an acute angle with the bottom portion 301 and may have a curved surface protruding outward. In addi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outer wall 303 or the second outer wall 305 protects the object to be stored and friction and noise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object and the first outer wall 303 or the second outer wall 305. Sponges may be attached to prevent them from occurring.

따라서, 저면부(301), 제 1 외벽(303) 및 제 2 외벽(305)으로 둘러싸이는 몸체부(310)의 내측이 물건 수납을 위한 하부 수납 공간(207)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다만 필요에 따라 저면부(301), 제 1 외벽(303) 및 제 2 외벽(305)과 결합되는 별도의 수납부를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refore, the inner side of the body portion 310 surrounded by the bottom portion 301, the first outer wall 303, and the second outer wall 305 is formed as the lower storage space 207 for storing the object. However, if necessary, a separate accommodating part coupled to the bottom part 301, the first outer wall 303, and the second outer wall 305 may be provided.

하부 링크 고정대(307)는 제 1 외벽(303)의 내측 상부에 결합되며, 하부 수납 공간(207)을 향하는 면의 일측에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힌지(302)를 구비하고 있다. 이렇게 하나 이상의 힌지(302)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수납되는 물건의 크기나 모양 또는 2단 수납부(320)의 크기나 모양에 따라 링크 부재(330)의 결합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다양한 물건을 수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하부 링크 고정대(307)는 대향하는 제 1 외벽(303)의 내측에 두 개 이상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lower link holder 307 is coupled to an inner upper portion of the first outer wall 303, and has one or more hinges 302 formed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one side of the surface facing the lower storage space 207. Since one or more hinges 302 are provided in this way, various objects can be stored by changing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link member 330 according to the size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stored or the size or shape of the two-stage receiving part 320. Will be. In addition, two or more lower link holders 307 may be formed inside the first outer wall 303 facing each oth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손잡이(201)는 제 1 외벽(303)의 외측 일정 위치에 형성되고 필요에 따라 제 1 외벽(303)과 결합되는 부분에 힌지 구조를 형성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손잡이(201)의 재질은 가죽이나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handle 201 may be formed at a position outside the first outer wall 303 and may be rotatable by forming a hinge structure at a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outer wall 303 as necessary. In addition, the material of the handle 201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leather or plastic,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4a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용 가방을 휴대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방을 휴대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4a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carrying a portable bag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4b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carrying a portable b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가방은 손잡이(201)가 몸체부(310)의 제 1 외벽(303)의 일측에 형성되고 몸체부(310)의 높이(H)는 폭(W1, W2)보다 작은 구조이므로 손잡이(201)의 위치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용 가방의 경우보다 휴대하는 사람의 몸에 더 가깝게 된다. 즉, 사람의 몸의 측면(400)과 물건을 든 팔(405)이 이루는 각(α)이 작아질수록 팔(405)의 피로감이 작아지므로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가방에 있어서는 손잡이(201)를 쥔 팔(405)의 피로감을 덜 수 있다.As shown in FIG. 4B, the portable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andle 201 formed at one side of the first outer wall 303 of the body portion 310, and the height H of the body portion 310 is the width W1. Since the structure is smaller than W2, the position of the handle 201 is closer to the body of the person carrying than the case of the portable bag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at is, the smaller the angle (α) formed by the side 400 of the human body and the arm 405 holding the object, the less the fatigue feeling of the arm 405, the handle 201 in the portable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atigue of the gripped arm 405 can be reduced.

또한, 손잡이(201)를 쥔 경우의 제 1 외벽(303)의 횡단면의 형상이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용 가방에 비해 폭이 좁은 직사각형 형상이므로 복잡한 곳에서 가방을 휴대한 채 이동하는 경우에도 다른 사람이나 물건과 부딪히는 경우가 줄어들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rst outer wall 303 in the case of holding the handle 201 is a narrow rectangular shape compared to the portable bag according to the prior art, even when carrying the bag in a complicated place, Less bumps into objects.

2단 수납부(320)는 내측에 2단 수납 공간(321)을 형성하여 물건이 수납되도록 할 수 있으며, 외측에는 상부 링크 고정대(309)가 형성되어 있다. 수납되는 물건의 크기나 모양 등에 따라 2단 수납부(320)의 2단 수납 공간(321)의 깊이나 폭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The second stage accommodating part 320 may have a two stage accommodating space 321 formed therein to allow an object to be stored therein, and an upper link fixing stand 309 formed at the outer side thereof. Accor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object to be stored, the depth and width of the two-stage storage space 321 of the two-stage storage unit 320 may be variously modified.

또한, 2단 수납부(320)는 몸체부(310)의 좌우 양측에 하나씩 모두 두 개가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각각의 2단 수납 공간(321)의 깊이나 폭도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다. 이렇게 2단 수납부(320)가 몸체부(310)의 좌우 양측에 하나씩 모두 두 개가 형성되어 있어서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므로 본 고안의 휴대용 가방은 종래의 휴대용 가방이 일측으로 쓰러지는 문제점을 해결하였다.In addition, the two-stage storage unit 320 may be formed in two, one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portion 310, and the depth or width of each of the two-stage storage space 321 may be different. Since the two-stage storage unit 320 is formed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portion 310, one by one has a stable structure, the portable bag of the present invention solved the problem that the conventional portable bag falls to one side.

그리고, 상부 링크 고정대(309)는 2단 수납부(320)의 외측에 결합되는데, 일측면에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힌지(302)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수납되는 물건의 크기나 모양 또는 2단 수납부(320)의 크기나 모양에 따라 링크 부재(330)의 결합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다양한 물건을 수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부 링크 고정대(309)는 하부 링크 고정대(307)와 마찬가지로 두 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link holder 309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two-stage receiving portion 320, the one side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hinges 302 formed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e size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stored Or by varying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link member 330 according to the size or shape of the two-stage receiving portion 320 to accommodate a variety of things. In addition, two or more upper link guides 309 may be provided similarly to the lower link guide 307.

링크 부재(330)는 양단이 하부 링크 고정대(307)와 상부 링크 고정대(309)에 힌지(302)를 통해 각각 결합되는데, 2단 수납부(32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일정한 크기 이상의 강성을 가지는 플라스틱이나 금속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링크 부재(330)가 힌지(302)를 축으로 하여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므로 그에 따라 2단 수납부(320)가 몸체부(310)의 하부 수납 공간(207)에 안착되거나 몸체부(310)의 상측에 계단형으로 펼쳐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Both ends of the link member 330 are coupled to the lower link holder 307 and the upper link holder 309 through hinges 302, respectively, and have rigidity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to support the two-stage receiving part 320. It is preferably made of plastic or met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Since the link member 330 is rotatable in one direction or the other direction with the hinge 302 as an axis, the two-stage accommodating part 320 is seated in the lower accommodating space 207 of the body part 310 or the body part. The upper side of 310 will be able to be spread out in a stepped manner.

뚜껑체(210)는 수납되는 물품을 보호할 수 있도록 몸체부(310) 및 2단 수납부(320)를 덮고 한 개 이상의 결속 수단(203)을 통해 몸체부(310)에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제 1 외벽(303)의 외측에 고정되는 경첩(205)을 통해 몸체부(310)와 결합된다. 뚜껑체(210)의 내측면에는 스펀지가 부착되어 수납된 물품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수납된 물품과 뚜껑체(210)의 내측면 사이에서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The lid body 210 is formed to cover the body portion 310 and the two-stage receiving portion 320 so as to protect the stored items, and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body portion 310 through one or more fastening means 203. It is coupled to the body portion 310 through a hinge 205 fix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outer wall 303. A sponge may be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id 210 to protect the stored article from impact and to prevent noise from occurring between the stored articl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lid 210.

또한, 뚜껑체(210)는 제 1 뚜껑체(211) 및 제 2 뚜껑체(212)로 분리되고 제 1 뚜껑체(211)와 제 2 뚜껑체(212)가 경첩(205)을 통해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는데, 도 5a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방의 뚜껑체(210)가 제 1 뚜껑체(211)와 제 2 뚜껑체(212)로 분리되지 않은 일체형인 경우 휴대용 가방을 개방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5b는 뚜껑체(210)가 제 1 뚜껑체(211)와 제 2 뚜껑체(212)로 분리되어 있는 경우 휴대용 가방을 개방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In addition, the lid 210 is separated into the first lid 211 and the second lid 212 so that the first lid 211 and the second lid 212 is connected through the hinge 205. 5A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lid body 210 of the portable ba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tegral type that is not separated into the first lid body 211 and the second lid body 212, and thus the portable bag is opened.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a state, FIG. 5: B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state which opened the portable bag, when the lid body 210 is isolate | separated into the 1st lid body 211 and the 2nd lid body 212. As shown in FIG.

도 5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뚜껑체(210)가 제 1 뚜껑체(211)와 제 2 뚜껑체(212)로 분리되어 경첩(205)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물품의 수납 또는 인출을 위해 몸체부(310)의 저면을 바닥에 닿게 하여 제 1 뚜껑체(211) 및 제 2 뚜껑체(212)를 열면 제 1 뚜껑체(211)의 외측면과 제 2 뚜껑체(212)의 외측면이 서로 접하면서 세워지는데, 일체형 뚜껑체(210)의 폭(W1)보다 제 1 뚜껑체(211)의 폭(W3)이 작기 때문에 제 1 뚜껑체(211)에 작용하는 회전 모멘트(Moment)도 작아진다.As shown in FIG. 5B, when the lid body 210 is separated into the first lid body 211 and the second lid body 212 and connected through the hinge 205, a body for storing or withdrawing an article may be used. Opening the first lid 211 and the second lid 212 by touching the bottom of the part 310 with the bottom,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lid 21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lid 212 is It stands up while being in contact with each other. Since the width W3 of the first lid 211 is smaller than the width W1 of the integrated lid 210, the rotation moment acting on the first lid 211 is also small. Lose.

즉, 제 1 외벽(303)의 외측에 고정되는 경첩(205)을 회전축으로 보았을 때 일체형 뚜껑체(210)의 폭(W1) 및 제 1 뚜껑체(211)의 폭(W3)은 회전축으로부터의 거리로 볼 수 있고, 몸체부(310)와 일정 각도를 가지면서 세워지는 뚜껑체(210) 및 제 1 뚜껑체(211)에는 중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뚜껑체(210) 및 제 1 뚜껑체(211)가 경첩(205)을 중심으로 몸체부(210)의 수납 공간을 향해 회전하려 하게 되는데, 이 때 회전축에 작용하는 회전 모멘트(Moment)는 회전축으로부터의 위치를 나타내는 벡터(r)와 작용하는 힘의 벡터(F)의 외적(r× F)으로 정의되고 모멘트의 크기는 위치를 나타내는 벡터(r)의 크기, 힘의 벡터(F)의 크기 및 두 벡터가 이루는 각의 크기(θ)에 대한 사인값(sinθ)의 곱이 된다.That is, when the hinge 205 fix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outer wall 303 is viewed from the rotation axis, the width W1 of the integrated lid body 210 and the width W3 of the first lid body 211 are determined from the rotation axis. The cap body 210 and the first cap body 211 can be seen in a distance, and gravity acts on the cap body 210 and the first cap body 211 which are erected at an angle with the body 310. ) Is about to rotate toward the storage space of the body portion 210 around the hinge 205, wherein the moment of rotation acting on the axis of rotation is a force acting with the vector (r) representing the position from the axis of rotation. Is defined as the cross product (r × F) of the vector (F) and the magnitude of the moment is the magnitude of the vector (r) representing the position, the magnitude of the force vector (F), and It is a product of sine values sinθ.

따라서, 작용하는 힘과 각의 크기가 같은 조건 하에서 일체형 뚜껑체(210)에 비해 경첩(205)으로부터의 거리가 더 가까운 제 1 뚜껑체(211)의 경우에 있어서는 작용하는 회전 모멘트도 작아진다. 이에 따라 물품의 수납 또는 인출을 위해 제 1 뚜껑체(211) 및 제 2 뚜껑체(212)를 세워 놓은 경우 제 1 뚜껑체(211) 및 제 2 뚜껑체(212)가 회전 모멘트에 의해 몸체부(310)의 하부 수납 공간(207) 측으로 넘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case of the 1st lid | cover body 211 which the distance from the hinge 205 is closer than the integral lid | cover body 210 on the conditions which act the same force and magnitude | size of an angle, the rotational moment which acts also becomes small. Accordingly, when the first lid body 211 and the second lid body 212 are placed upright for storing or withdrawing the article, the first lid body 211 and the second lid body 212 are rotated by the rotational moment. Falling to the lower storage space 207 side of the 310 can be prevented.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몸체부의 수납 공간, 2단 수납부의 수납 공간 및 뚜껑체의 내측면에 각각 스펀지가 부착되어 수납된 물품을 밀착지지할 수 있으므로 몸체부의 저면부를 지면과 수직으로 하여 휴대용 가방을 휴대하더라도 수납된 물품의 부딪힘으로 인한 소음의 발생이 방지되며 수납된 물품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ponge is attached to the storage space of the body portion, the storage space of the two-stage storage portion,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lid, so that the stored items can be hel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Even if carrying a carrying bag,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noise due to the impact of the stored article and to protect the stored article from impact.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a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물건을 수납한 채로 이동할 때에는 몸체부의 좁은 면에 구비되어 있는 손잡이를 쥔 채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복잡한 곳에서도 다른 사람 또는 물건과 부딪히지 않고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고, 가방을 휴대한 사람의 몸의 측면과 휴대용 가방의 손잡이가 가깝도록 구성하여 손잡이를 쥔 쪽의 팔의 피로감을 덜어 주는 휴대용 가방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2단 수납부를 휴대용 가방의 양측에 형성되도록 하여 가방이 일측으로 쓰러지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moving while storing an object, the handle is provided on a narrow surface of the body, so that the user can easily move without being hit by another person or an object even in a complicated place. The side of the person carrying the body and the handle of the portable bag is configured to be close to the effect of providing a portable bag to reduce the fatigue of the arm on the side holding the handle. In addition, the two-stage receiving portion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ortable bag has an effect that the bag does not fall to one side.

도 1a 및 1b는 각각 종래의 휴대용 가방의 외관 사시도 및 내부 전개도,1A and 1B are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and an internal exploded view of a conventional portable bag, respectively,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방의 외관 사시도,2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b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방의 내부 전개도,3 is an internal development view of a portable b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용 가방을 휴대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Figure 4a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carrying a carrying bag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4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방을 휴대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Figure 4b is a view showing a carrying b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방의 뚜껑체가 일체형 뚜껑체인 경우를 도시하는 단면도,5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lid of the portable ba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tegrated lid;

도 5b는 뚜껑체가 제 1 뚜껑체와 제 2 뚜껑체로 분리되어 있는 경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case where a cover body is isolate | separated into a 1st cover body and a 2nd cover body.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1: 손잡이203: 결속 수단201: handle 203: binding means

205: 경첩207: 하부 수납 공간205: hinge 207: lower storage space

210: 뚜껑체211: 제 1 뚜껑체210: lid body 211: first lid body

212: 제 2 뚜껑체301: 저면부212: 2nd lid body 301: bottom part

302: 힌지303: 제 1 외벽302: hinge 303: first outer wall

305: 제 2 외벽307: 하부 링크 고정대305: second outer wall 307: lower link fixing table

309: 상부 링크 고정대310: 몸체부309: upper link holder 310: body portion

320: 2단 수납부321: 2단 수납 공간320: two-stage storage unit 321: two-stage storage space

330: 링크 부재330: link member

Claims (5)

내측에 저면부, 제 1 외벽 및 제 2 외벽으로 둘러싸여 형성되는 하부 수납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외벽의 내측 상부에는 하부 링크 고정대가 형성되어 있으며 높이가 좌우 폭보다 낮은 몸체부;A body having a lower accommodating space defined by a bottom portion, a first outer wall, and a second outer wall, the lower link fixing portion being formed on an inner upper portion of the first outer wall, the body portion having a height lower than the left and right widths; 상기 몸체부의 상기 제 1 외벽의 외측에 형성되는 손잡이;A handle formed on an outer side of the first outer wall of the body portion; 내측에는 2단 수납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에는 상부 링크 고정대가 형성되어 있는 2단 수납부;A two-stage storage unit having a two-stage storage space formed therein and an upper link holder formed on the outer side thereof; 양단이 상기 하부 링크 고정대와 상기 상부 링크 고정대에 연결되는 링크 부재; 및A link member having both ends connected to the lower link holder and the upper link holder; And 상기 몸체부 및 상기 2단 수납부를 덮고 상기 몸체부와 결합되는 뚜껑체Cover body covering the body portion and the two-stage receiving portion and coupled to the body portion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방.Carrying bag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뚜껑체는 제 1 뚜껑체와 제 2 뚜껑체로 분리된 채 경첩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방.The lid body is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hinge while being separated into the first lid body and the second lid body.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뚜껑체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과 결속 수단을 통해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방.The lid body is a portable bag, characterized in that bound with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through the binding means.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몸체부의 상기 하부 수납 공간의 표면에는 스펀지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방.Carrying bag characterized in that a sponge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lower storage space of the body portion.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2단 수납부의 상기 2단 수납 공간의 표면에는 스펀지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방.A portable bag, wherein a sponge is attached to a surface of the second storage space of the second storage portion.
KR20-2005-0013234U 2005-05-11 2005-05-11 Portable Case KR20039106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234U KR200391069Y1 (en) 2005-05-11 2005-05-11 Portable Ca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234U KR200391069Y1 (en) 2005-05-11 2005-05-11 Portable Ca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1069Y1 true KR200391069Y1 (en) 2005-07-29

Family

ID=43692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3234U KR200391069Y1 (en) 2005-05-11 2005-05-11 Portable Ca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1069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21748T3 (en) Dispenser for interfolded napkins
JP7365556B2 (en) Storage bag with improved internal visibility
CN108567212B (en) Small article container
KR200391069Y1 (en) Portable Case
JP3214128U (en) suitcase
KR102471957B1 (en) Module type bowling ball carrier
KR200459349Y1 (en) keeping case assembly for set cosmetic vessel
JP5118364B2 (en) Cosmetic container
JP2005230452A (en) Cosmetic case
KR101277459B1 (en) Foldable container
JP3206152U (en) Wooden bag
JP3852907B2 (en) Fishing gear
KR20120041561A (en) Storage box
KR101718430B1 (en) Packing Box
JP2824907B2 (en) Vehicle glove box
JP7371899B2 (en) portable computer bag
CN214691196U (en) Stem cell product conveyer
JP3082428U (en) Travel case
CN208017066U (en) A kind of minaudiere of shatter-resistant
EP3860389B1 (en) Case for headphones
JP3224075U (en) Protective cover for mobile devices
JP3130245U (en) Glasses case
JP6453270B2 (en) Storage case
JP3165937U (en) compact
JP6754136B2 (en) Assembled containers and packag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2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