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1051Y1 - Pen for personal digital assistant with accessories - Google Patents

Pen for personal digital assistant with accessori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1051Y1
KR200391051Y1 KR20-2005-0012716U KR20050012716U KR200391051Y1 KR 200391051 Y1 KR200391051 Y1 KR 200391051Y1 KR 20050012716 U KR20050012716 U KR 20050012716U KR 200391051 Y1 KR200391051 Y1 KR 2003910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ylus pen
shape
ornament
pda phone
pd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271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차경용
Original Assignee
차경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경용 filed Critical 차경용
Priority to KR20-2005-00127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1051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10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1051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PDA폰에 연결되는 장신구와 PDA폰의 구성요부인 스타일러스펜을 결합하여 하나의 장신구에 의해 PDA폰의 외적인 미감을 미려하게 연출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장신구에 구성된 스타일러스펜을 이용하여 PDA폰의 스크린을 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심미감을 불러 일으키어 장신구의 부가각치는 물론, 타인의 PDA폰과 자신의 PDA폰을 차별화 시킬 수 있도록 한 스타일러스 펜이 구비된 장신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mbines the stylus pen, which is a constituent of the PDA phone, with the ornaments connected to the PDA phone, not only to create a beautiful aesthetic appearance of the PDA phone by one accessory, but also by using the stylus pen configured in the jewelry. Its purpose is to provide accessories with stylus pens that make it possible to touch the screen of the PDA phone, inducing aesthetics to add additional trinkets and to differentiate the PDA phone of others from their PDA phones. hav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인 스타일러스 펜이 구비된 장신구는, 다양한 캐릭터 형상이나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측단에 PDA폰에 연결하는 수단인 연결끈이 구비된 봉재 장신구에 있어서, 상기 장신구의 일측단에 일측이 내삽되어 고정되고 상기 PDA폰의 스크린을 터치하는 도구인 스타일러스 펜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과, 상기 장신구의 상측단에 구성되어 장신구를 PDA폰에 연결하는 수단인 연결 끈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것과, 상기 일측에 스타일러스 펜이 구비된 장신구는 고릴라, 도깨비 등과 같은 캐릭터 형상인 것과, 상기 일측에 스타일러스 펜이 구비된 장신구는 바느질 할 때 사용되는 골무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tylus pen provided with a stylus pen, which is formed in various character shapes or shapes, and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strap which is a means for connecting to a PDA phone at an upper end, and one side end of the ornament. One side is interpolated and fixed to the stylus pen which is a tool for touching the screen of the PDA phone further comprises, the upper end of the ornament is a means of connecting the ornament to the PDA phone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the ornaments provided with the stylus pen on one sid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orilla, goblin, and the like, and the ornaments provided with the stylus pen on one side is made of a thimble shape used when sewing.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인 스타일러스 펜이 구비된 장신구는, 예컨대, 장신구의 형상이 고릴라 형상일 경우 고릴라 형상에 형성된 발톱 중 하나의 발톱 부분을 스타일러스 펜으로 구성하거나, 또는 장신구의 형상이 도깨비 형상일 경우 도깨비 형상의 뿔이나 도깨비 방망이에 장착되어 장신구의 형상의 변형됨이 없이 스타일러스 펜이 장착되어 있음에 따라, 장신구의 외관에 손상을 주지않고 별도의 스타일러스 펜을 구성하지 않고도 PDA폰의 스크린을 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Ornaments provided with a stylus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haracteristics, for example, when the shape of the ornament is a gorilla shape, one of the claws formed in the gorilla shape is composed of a stylus pen, or the shape of the ornament is a ghost In the case of the shape, the horns or ghosts of the ghost shape are attached to the stylus pen without deforming the shape of the trinket, so that the screen of the PDA phone does not damage the appearance of the trinket and does not constitute a separate stylus pen. You can touch to use.

또한, 예컨대 장신구의 형상이 바느질 할 때 사용되는 골무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골무의 일측 다시 말해 손가락을 골무에 끼웠을 때 손가락의 끝단에 위치되는 부분에 스타일러스 펜이 돌출되어 있음으로써, 시각적으로 전혀 다른 골무의 형상을 갖을 수 있고 PDA폰의 스크린을 쉽게 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for example, when the shape of the ornament is formed into a thimble shape used when sewing, one side of the thimble, that is, the stylus pen protrudes at the end portion of the finger when the finger is inserted into the thimble, thereby visually not at all. It can have a different thimble shape and can be used by easily touching the screen of a PDA phone.

Description

스타일러스 펜이 구비된 장신구{PEN FOR PERSONAL DIGITAL ASSISTANT WITH ACCESSORIES}PEN FOR PERSONAL DIGITAL ASSISTANT WITH ACCESSORIES}

본 고안은 PDA나 PDA폰에 장착되는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동물의 형상이나 사물의 형상의 일측에 PDA나 PDA폰의 스크린을 터치하는 일명 스타일러스펜(PDA펜)을 구비하여 장신구 효과와 함께 PDA폰의 스크린을 터치할 수 있는 스타일러스펜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될 뿐만 아니라, 장신구의 일측에 스타일러스펜이 구비되어 있음으로써, 시각적인 측면에서 새로운 미감을 연출할 수 있는 스스타일러스 펜이 구비된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nament mounted on a PDA or PDA phone, and more particularly, on one side of an animal shape or an object shape, a stylus pen (PDA pen) that touches the screen of the PDA or PDA phone has an ornament effect. In addition, the stylus pen that can touch the screen of the PDA phone does not need to be separately provided, and the stylus pen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rnament, thereby providing a stylus pen that can produce a new aesthetic in visual aspect. It's about jewelry.

통상의 PDA나 PDA폰은 스크린의 터치에 의하여 동작을 유도하게 됨으로써 부주의에 의한 스크린의 표면에 스크래치 현상과 같은 손상이 발생하게 되고 그에 따른 제품사용에 문제를 야기시키게 되는 것이다.Ordinary PDA or PDA phone is induced by the touch of the screen to inadvertently damage the surface of the screen, such as a scratch phenomenon occurs that will cause problems in using the product accordingly.

따라서, 통상 스크린의 터치를 위하여는 스스타일러스 펜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스스타일러스 펜은 심고정부와 스크린을 터치하는 심으로 구성되어 PDA나 PDA폰의 일측에 내삽되는 방식으로 구비되어 있다.Therefore, a stylus pen is generally used for the touch of the screen, and the stylus pen is composed of a shim fixing part and a shim touching the screen, and is provided in such a manner as to be interpolated on one side of the PDA or PDA phone.

종래 안출된 스스타일러스 펜의 일예를 설명하면, 특허출원 제2003-70052호가 안출된 바 있다. 이는 그 공개된 공보의 청구범위에 의해 알 수 있듯이, 심고정부를 갖는 펜 본체와 사익 심고정부에 끼워지느 심으로 이루어지는 스스타일러스 펜에 있어서, 상기 심의 상단에는 요입홈을 형성한 후 상기 요입홈에 심고정부의 절곡부가 삽입되어져 고정된 것과, 심에는 내향되는 턱을 형성하고 심이 삽입되어지는 심고정부의 내측으로는 외향되어지는 턱을 형성하여 심이 외향되어지는 턱에 밀착토록 한 후 내향되어지는 턱에 심고정부의 선단이 절곡된 절곡부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An example of a conventionally developed stylus pen has been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2003-70052. As can be seen by the claims of the published publication, in the stylus pen consisting of a pen body having a seam fixing portion and a shim fitted to a silky seam fixing portion, the upper end of the shim is formed with a recessed groove, and then into the recessed groove. The bent part of the seam gorge is inserted and fixed, and the jaw inwardly formed on the seam, and the jaw is outwardly formed inside the seam where the seam is insert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ent portion is bent at the tip of the government planted in.

따라서, 스스타일러스 펜의 심이 조립공정에서 간단하게 고정되어짐으로 원가의 절감은 물론 심고정부에 노출되어지는 전단면에 의한 별도의 가공이 필요 없게 되고 부주의에 의한 스스타일러스 펜의 사용에 의하여도 스크린의 긁힘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Therefore, the seam of the stylus pen is simply fixed in the assembly process, thereby reducing the cost and eliminating the need for separate processing by the shear surface exposed to the seam and the government. It is expected to prevent scratches.

한편, 점차적으로 PDA폰이나 핸드폰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음에 따라, PDA폰의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연출하고 타인의 PDA폰과 차별화 시키기 위해 다양한 형상이나 모양을 갖는 장신구들이 안출되고 시판되고 있는 실정이다.Meanwhile, as the demand for PDA phones and mobile phones gradually increases, jewelry with various shapes and shapes is being marketed and marketed to create a more beautiful appearance of PDA phones and to differentiate them from others' PDA phones. .

이러한, 장신구는 상단 일측에 별도의 끈이 연결되어 있어 상기 끈을 이용하여 PDA폰에 장신구를 연결하여 휴대하고 다니는 것으로, 장신구의 다양한 형상에 의해 타인의 PDA폰과 자신의 PDA폰을 차별화 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Such, the ornament is connected to a separate strap on the top side of the ornament by carrying the strap connected to the PDA phone by using the strap, can be differentiated from the PDA phone of others and their own PDA phone by the various shapes of the ornament I have to.

그러나, 종래 PDA폰에 연결된 장신구의 경우, 다양한 형상과 모양에 의한 시각적인 미려함을 얻을 수 있고 또한, 타인의 PDA폰과 차별화 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PDA폰의 외관을 미려하게 연출한다는 것 이외에는 별다른 기능이 부여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ornaments connected to the conventional PDA phone, it is possible to obtain visual beauty by various shapes and shapes, and also to differentiate from the PDA phone of others, while producing a beautiful appearance of the PDA phone. Other than this, no situation is given.

물론, 액자 형상의 장신구들이 안출되어 내측에 연인의 사진이나 가족의 사진 등을 넣어 보관하도록 하는 장신구들이 안출된 바 있으나, 이 또한 외적인 미감이외에는 별다른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장신구에 대해 금방 식상해지는 문제점이 있다.Of course, ornaments in the form of frame have been conceived, and ornaments have been conceived to keep pictures of lovers or family members inside, but this also prevents the user from performing any functions other than the external aesthetics, so that the user can quickly receive ornaments. There is a problem of eating away.

본 고안은, 종래의 PDA폰에 연결되는 장신구와 PDA폰의 구성요부인 스타일러스펜을 결합하여 하나의 장신구에 의해 PDA폰의 외적인 미감을 미려하게 연출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장신구에 구성된 스타일러스펜을 이용하여 PDA폰의 스크린을 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심미감을 불러 일으키어 장신구의 부가가치는 물론, 타인의 PDA폰과 자신의 PDA폰을 차별화 시킬 수 있도록 한 스타일러스 펜이 구비된 장신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mbines a stylus pen, which is a constituent of a PDA phone, with an ornament connected to a conventional PDA phone, so that the external aesthetics of the PDA phone can be beautifully produced by a single ornament, and a stylus pen configured in the ornament is produced. By using the touch screen of the PDA phone to bring out the aesthetics to add value and accessories, as well as to provide accessories with a stylus pen that can differentiate the PDA phone of another person and their PDA phone. There is thi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인 스타일러스 펜이 구비된 장신구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stylus pen,

다양한 캐릭터 형상이나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측단에 PDA폰에 연결하는 수단인 연결 끈이 구비된 봉재 장신구에 있어서, 상기 장신구의 일측단에 일측이 내삽되어 고정되고 상기 PDA폰의 스크린을 터치하는 도구인 스타일러스 펜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bar ornaments are formed in a variety of character shapes or shapes and provided with a connecting strap that is a means for connecting to the PDA phone at the upper end, one side of the ornament is fixed to the one end is inserted into the tool to touch the screen of the PDA phone A stylus pen is further included.

상기 장신구의 상측단에 구성되어 장신구를 PDA폰에 연결하는 수단인 연결끈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necting strap, which is configured at the upper end of the ornament and is a means for connecting the ornament to the PDA phone,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상기 일측에 스타일러스 펜이 구비된 장신구는 고릴라, 도깨비 등과 같은 캐릭터 형상일 수 있다.Ornaments provided with a stylus pen on one side may have a character shape such as gorilla and goblin.

상기 일측에 스타일러스 펜이 구비된 장신구는 바느질 할 때 사용되는 골무형상일 수 있다.Ornaments provided with a stylus pen on one side may be a thimble shape used when sewing.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인 스타일러스 펜이 구비된 장신구는, 예컨대, 장신구의 형상이 고릴라 형상일 경우 고릴라 형상에 형성된 발톱 중 하나의 발톱 부분을 스타일러스 펜으로 구성하거나, 또는 장신구의 형상이 도깨비 형상일 경우 도깨비 형상의 뿔이나 도깨비 방망이에 장착되어 장신구의 형상의 변형됨이 없이 스타일러스 펜이 장착되어 있음에 따라, 장신구의 외관에 손상을 주지않고 별도의 스타일러스 펜을 구성하지 않고도 PDA폰의 스크린을 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Ornaments provided with a stylus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haracteristics, for example, when the shape of the ornament is a gorilla shape, one of the claws formed in the gorilla shape is composed of a stylus pen, or the shape of the ornament is a ghost In the case of the shape, the horns or ghosts of the ghost shape are attached to the stylus pen without deforming the shape of the trinket, so that the screen of the PDA phone does not damage the appearance of the trinket and does not constitute a separate stylus pen. You can touch to use.

또한, 예컨대 장신구의 형상이 바느질 할 때 사용되는 골무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골무의 일측 다시 말해 손가락을 골무에 끼웠을 때 손가락의 끝단에 위치되는 부분에 스타일러스 펜이 돌출되어 있음으로써, 시각적으로 전혀 다른 골무의 형상을 갖을 수 있고 PDA폰의 스크린을 쉽게 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for example, when the shape of the ornament is formed into a thimble shape used when sewing, one side of the thimble, that is, the stylus pen protrudes at the end portion of the finger when the finger is inserted into the thimble, thereby visually not at all. It can have a different thimble shape and can be used by easily touching the screen of a PDA phone.

이하, 본 고안인 스타일러스 펜이 구비된 장신구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ornaments provided with the stylus pe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인 스타일러스 펜이 구비된 장신구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이 구비된 장신구의 구성요부인 스타일러스 펜이 내삽된 것을 나타낸 일부 생략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이 구비된 장신구의 사용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ornament provided with a stylus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 omitted configuration showing that the stylus pen which is a constituent of the ornaments provided with a stylus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use of jewelry with a stylus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스타일러스 펜이 구비된 장신구는, 다양한 캐릭터 형상이나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측단에 PDA폰에 연결하는 수단인 연결 끈(11)이 구비된 봉재 장신구(10)의 일측단에 일측이 내삽되어 고정되고 PDA폰의 스크린을 터치하는 도구인 스타일러스 펜(20)으로 구성된다.As shown, the ornaments provided with the stylus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in various character shapes or shapes, and at one end of the bar ornaments 10 provided with a connecting string 11 which is a means for connecting to a PDA phone at an upper end. One side is interpolated and fixed, and is composed of a stylus pen 20 that is a tool for touching the screen of the PDA phone.

상기 장신구(10)의 일측단에 일측이 내삽되어 고정되는 스타일러스 펜(20)은, 예를 들어 장신구(10)의 형상이 고릴라 캐릭터 등과 같은 동물의 형상일 경우, 동물의 형상에 형성되어 표현된 손이나 발의 다수개의 발톱(12) 또는 손톱 중 하나의 손/발톱에 적용되어 표현될 수 있음에 따라, 장신구(10)의 일부분으로 나타낼 수 있어 장신구 전체 형상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게 된다.The stylus pen 20, one side of which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one side end of the ornament 10, for example, when the shape of the ornament 10 is a shape of an animal such as a gorilla character, is formed and expressed in the shape of an animal. As applied to a plurality of toenails 12 of the hand or foot or one of the nails / claws, it can be represented as part of the ornament 10 so that it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overall shape of the ornament.

상기 스타일러스펜(20)은, 장신구(10)의 일측에 일측부가 내삽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신구(10)의 일측에 상기 스타일러스 펜(20)의 일측부가 내삽될 수 있는 인입부(13)를 형성한 후, 상기 스타일러스 펜(20)의 일측부의 외주연에 본드 등과 같은 별도의 접합수단을 도포하여 상기 장신구(10)의 인입부(13)에 인입시켜 고정하거나 또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20)의 일측부를 상기 장신구(10)의 일측에 요입형성된 인입부(13)에 인입시킨 후 재봉작업 등에 의해 상기 스타일러스 펜(20)이 인입된 상기 장신구(10)의 둘레부를 재봉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20)을 고정하면 된다.The stylus pen 20 is fixed to one side of the ornament 10 is inserted into one side, which is one side of the stylus pen 20 can be interpolated to one side of the ornament 10 as shown in FIG. After forming the inlet portion 13, a separate bonding means such as a bond is appli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one side of the stylus pen 20 to draw in the inlet portion 13 of the ornament 10 or fixed Alternatively, one side of the stylus pen 20 is inserted into the inlet 13 formed in the recess of one side of the ornament 10, and then the circumference of the ornament 10 into which the stylus pen 20 is inserted by sewing or the like. It is enough to fix the stylus pen 20 by sewing a part.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스타일러스 펜이 구비된 장신구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신구(10)의 상측단에 구성된 연결끈(11)을 이용하여 PDA폰(30)에 연결하여 휴대하고 다니다가 PDA폰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상기 장신구(10)의 일측에 일측부가 내삽 고정된 스타일러스 펜(20)을 이용하여 PDA폰의 스크린을 터치하여 사용하면 된다.As shown in FIG. 3, the accessory having the stylus pe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onnected to the PDA phone 30 by using a connection strap 11 configured at the upper end of the ornament 10. If you want to use a PDA phone, one side of the ornament 10 may be used by touching the screen of the PDA phone by using the stylus pen 20 is interpolated fixed.

상기 장신구(10)의 상측단에 구성되어 장신구(10)를 PDA폰(30)에 연결하는 수단인 연결 끈(11)은 탄성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장신구(10)에 내삽된 스타일러스 펜(20)을 이용하여 PDA폰(30)의 스크린을 터치하기 위해서는 장신구(10)가 PDA폰의 전면 즉, PDA폰(30)의 스크린 측으로 위치되어야 하기 때문이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ng string 11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ornament 10 to connect the ornament 10 to the PDA phone 30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which is an stylus interpolated to the ornament 10. This is because, in order to touch the screen of the PDA phone 30 using the pen 20, the jewelry 10 must be positioned in front of the PDA phone, that is, the screen side of the PDA phone 30.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인 스타일러스 펜이 구비된 장신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신구(10)의 형상을 도깨비 형상으로 형성하였을 때, 스타일러스펜(20)은 도깨비 형상의 장신구(10)의 도깨비 방망이(14) 부분에 내삽시켜 구성하거나 또는 도깨비 형상의 장신구(10) 상측단의 도깨비 뿔 형상에 내삽시켜 구성한 것이다.4a and 4b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ornament with a stylus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hape of the ornament 10 as shown in the shape of the ghost, when the stylus pen 20 is a ghost It is constructed by interpolating to the ghost bat batting 14 part of the trinket 10, or inserting into the ghost horn shape of the upper end of the ghost ornament 10.

도 5는 본 고안인 스타일러스 펜이 구비된 장신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신구(10)의 형상을 바느질 할 때 사용되는 골무 형상으로 형성하고, PDA폰의 스크린을 터치하는데에 사용되는 스타일러스펜(20)을 상기 골무형상의 장신구(10) 외측단, 다시 말해 사용자가 손가락을 상기 골무 형상의 장신구(10)에 끼웠을 때 손가락 끝부분이 위치되는 외측단에 상기 스타일러스 펜(20)을 내삽시켜 구성한 것이다.Figure 5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ornament with a stylus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thimble shape used when sewing the shape of the ornament 10, to touch the screen of the PDA phone The stylus pen 20 used at the outer end of the thimble-shaped ornament 10, that is, the stylus pen at the outer end where the finger tip is positioned when the user inserts the finger into the thimble-shaped ornament 10. It is constructed by interpolating (20).

이와 같이 본 고안인 스타일러스 펜이 구비된 장신구는, 장신구의 형상이 동물의 형상이거나 또는 다양한 캐릭터 형상이거나 또는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사물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장신구의 일측에 내삽되어 고정되고 PDA폰의 스크린을 터치하는데에 사용되는 스타일러스 펜은, 상기 장신구의 다양한 형상에 일부분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독창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본 고안인 스타일러스 펜이 구비된 장신구는 다양하게 변형실시 될 수 있는 바, 본 고안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 해석되어야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ornaments provided with the stylus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n animal, in the form of various characters, or in the shape of an object used in daily life, and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ornament and fixed to the PDA. The stylus pen used to touch the screen of the phone may be formed in part or in an original form in various shapes of the ornaments, and the ornaments provided with the stylus pe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Unles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parts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ll modification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스타일러스 펜이 구비된 장신구에 의하면, 장신구의 형상이 고릴라 형상일 경우 고릴라 형상에 형성된 발톱 중 하나의 발톱 부분을 스타일러스 펜으로 구성하거나, 또는 장신구의 형상이 도깨비 형상일 경우 도깨비 형상의 뿔이나 도깨비 방망이에 장착되어 장신구의 형상의 변형됨이 없이 스타일러스 펜이 장착되어 있음에 따라, 장신구의 외관에 손상을 주지 않고 별도의 스타일러스 펜을 구성하지 않고도 PDA폰의 스크린을 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ornaments provided with the stylus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hape of the ornament is a gorilla shape, when the claw portion of one of the toenails formed on the gorilla shape is formed of a stylus pen, or the shape of the ornament is a ghost shape Since the stylus pen is mounted on the horn or ghost of the ghost shape without deforming the shape of the trinket, by touching the screen of the PDA phone without damaging the appearance of the trinket and constructing a separate stylus pen Can be used.

또한, 장신구의 형상이 바느질 할 때 사용되는 골무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골무의 일측 다시 말해 손가락을 골무에 끼웠을 때 손가락의 끝단에 위치되는 부분에 스타일러스 펜이 돌출되어 있음으로써, 시각적으로 전혀 다른 골무의 형상을 갖을 수 있고 PDA폰의 스크린을 쉽게 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hape of the ornament is formed in the shape of the thimble used when sewing, one side of the thimble, that is, the stylus pen protrudes at the end portion of the finger when the finger is inserted into the thimble, thereby visually different It can have a thimble shape and can be used by easily touching the screen of a PDA phone.

따라서, PDA폰의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연출하는 장신구의 역할 이외에 PDA폰을 사용할 때 필수 요소인 스타일러스 펜을 겸하여 사용할 수 있음으로써, 하나의 장신구를 통해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refore, in addition to the role of ornaments to more beautifully direct the appearance of the PDA phone can be used as a stylus pen which is an essential element when using the PDA phone, it is possible to obtain a variety of effects through a single ornament.

도 1은 본 고안인 스타일러스 펜이 구비된 장신구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ornament provided with a stylus pe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이 구비된 장신구의 구성요부인 스타일러스 펜이 내삽된 것을 나타낸 일부 생략 구성도이다.Figure 2 is a partially omitted configuration showing that the stylus pen which is a main component of the ornament provided with the stylus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이 구비된 장신구의 사용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use of jewelry with a stylus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인 스타일러스 펜이 구비된 장신구의 다른 실시예를 각각 나타낸 정면도이다.4A and 4B are front views each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ornament provided with the stylus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인 스타일러스 펜이 구비된 장신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ornament with a stylus pe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 : 장신구 11 : 연결끈10: ornaments 11: link

12 : 손/발톱 13 : 인입부12: hand / claws 13: inlet

14 : 방망이 20 : 스타일리스펜14: bat 20: stylispen

30 : PDA폰30: PDA phone

Claims (4)

다양한 캐릭터 형상이나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측단에 PDA폰에 연결하는 수단인 연결 끈(11)이 구비된 봉재 장신구(10)에 있어서,In the bar ornaments (10) formed of various character shapes or shapes and provided with a connecting strap 11 which is a means for connecting to the PDA phone at the upper end, 상기 장신구(10)의 일측단에는, 상기 PDA폰의 스크린을 터치하는 도구인 스타일러스 펜(20)이 더 내삽되어 고정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이 구비된 장신구.At one end of the ornament 10, the stylus pen with a stylus pen, characterized in that the stylus pen 20, which is a tool for touching the screen of the PDA phone is further interpolated and fixe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장신구의 상측단에 구성되어 장신구를 PDA폰에 연결하는 수단인 연결끈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이 구비된 장신구.Accessory provided with a stylus pe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ng strap is configured on the upper end of the ornament means for connecting the ornament to the PDA phon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일측에 스타일러스 펜이 구비된 장신구는 고릴라, 도깨비 등과 같은 캐릭터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이 구비된 장신구.Ornaments provided with a stylus pen on one side is provided with a stylus pen,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shape of a gorilla, goblin and the lik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일측에 스타일러스 펜이 구비된 장신구는 바느질 할 때 사용되는 골무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이 구비된 장신구.Ornaments provided with the stylus pen on the one side is provided with a stylus pen,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thimble shape used when sewing.
KR20-2005-0012716U 2005-05-06 2005-05-06 Pen for personal digital assistant with accessories KR20039105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716U KR200391051Y1 (en) 2005-05-06 2005-05-06 Pen for personal digital assistant with accessori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716U KR200391051Y1 (en) 2005-05-06 2005-05-06 Pen for personal digital assistant with accessori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1051Y1 true KR200391051Y1 (en) 2005-08-01

Family

ID=43692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2716U KR200391051Y1 (en) 2005-05-06 2005-05-06 Pen for personal digital assistant with accessori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1051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262B1 (en) 2010-02-11 2011-11-08 최승철 Touch P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262B1 (en) 2010-02-11 2011-11-08 최승철 Touch P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944277S1 (en)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559855S1 (en) Graphic user interface for handheld terminal
USD550229S1 (en) Graphic user interface for handheld terminal
WO2005109247A8 (en) Customizing widget draw styles
US20150047095A1 (en) Modular Necktie
KR200391051Y1 (en) Pen for personal digital assistant with accessories
KR101425452B1 (en) Changeable attaching and detaching type button case
US7249840B1 (en) Accessory
Jarusriboonchai et al. Exploring non-emissive wearable display as a clothing accessory
JP3231776U (en) Body decoration
US20070137251A1 (en) Decorative earring sleeve
JP7157439B2 (en) Body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US10455905B1 (en) Interchangeable accessory assembly and method of use
KR200312238Y1 (en) Accessory Adhesing Structure for Hair Pin and Finger Ring
KR20090006171U (en) Fixer for accessary
ITRM20060242U1 (en) HEADS AND CLOTHING ACCESSORIES EQUIPPED WITH HEADSET AND POCKET FOR THE USE OF MULTIMEDIA ELECTRONIC DEVICES EQUIPPED WITH AUDIO OUTPUT
CN205179144U (en) Multifunctional mobile phone protection case
JP3097613U (en) Lens protection for mobile phones with camera function
KR200359719Y1 (en) Carrying accessory
JP3043076U (en) Toe accessories and artificial nails
KR200361790Y1 (en) Doll mobile phone
KR20060092399A (en) Portable appliance necklace and assembly in use with the necklace
KR200360664Y1 (en) Multi-function ornament
JP3016485U (en) Fingertip accessory
KR200340218Y1 (en) Accessory watch form cl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