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0884Y1 - local heating type kitchen refuse trea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local heating type kitchen refuse trea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0884Y1
KR200390884Y1 KR20-2005-0008720U KR20050008720U KR200390884Y1 KR 200390884 Y1 KR200390884 Y1 KR 200390884Y1 KR 20050008720 U KR20050008720 U KR 20050008720U KR 200390884 Y1 KR200390884 Y1 KR 2003908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transfer means
heating
housing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872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정호
엄명종
Original Assignee
신정호
엄명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정호, 엄명종 filed Critical 신정호
Priority to KR20-2005-00087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088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08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0884Y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8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12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1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우징(100)에 의하여 둘러싸인 처리 챔버 내로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복수의 경사이송수단(110, 112, 114, 120, 122)을 통하여 상기 처리 챔버 내에서 순환 이송시킴으로써 발효 처리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사이송수단은 각각 인접하는 한 쌍의 이송축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이송축의 외주면에는 이송용 스크류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송용 스크류의 하측으로는 근접되게 상기 하우징 바닥면(300)이 형성되어 상기 이송용 스크류 하측의 하우징의 바닥면에 의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지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이송용 스크류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이송되게 형성되고, 상기 경사이송수단의 이송축의 상측 끝단에는 스크류가 형성되지 아니한 부분이 존재하여 음식물쓰레기가 이 부분에서 하측으로 낙하되게 형성되고, 상기 이송용 스크류 직하측의 하우징의 바닥면(300)의 외부면에는 히팅 패드(302)가 부착되고, 상기 히팅 패드의 하측에는 단열층(304)이 형성되어, 히팅 패드 내부의 발열선에 전류를 흘려주어 발열시켜 상기 경사이송수단 하측의 하우징 바닥면을 가열하여 그 위에서 접촉 이송되는 음식물 쓰레기에 직접 열을 가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 처리되게 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국부 가열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food waste treatment for fermentation treatment by circulating the food waste introduced into the processing chamber surrounded by the housing 100 in the processing chamber through a plurality of inclined transfer means (110, 112, 114, 120, 122) In the apparatus, the inclined conveying means are each formed by a pair of adjoining feed shafts, a feed screw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feed shaft,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in close proximity to the lower side of the feed screw 300 is formed so that the food waste is transported by the transporting screw while the food waste is supported by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below the transporting screw, and a screw i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transport shaft of the inclined transporting means. There is a portion that is not formed so that the food waste is formed to fall from this portion The heating pad 302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300 of the housing directly below the transfer screw, and a heat insulation layer 304 is formed below the heating pad to provide a current to the heating line inside the heating pad. It relates to a locally heated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od waste is dried by hea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below the inclined transfer means by direct heating to directly heat the food waste transported thereon. .

Description

국부가열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local heating type kitchen refuse treating apparatus} Local heating type kitchen refuse treating apparatus

본 고안은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처리 챔버 내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스크류가 형성된 복수의 경사이송축을 통해 끊임 없이 이동되면서 교반 분쇄 건조되어 처리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in which food waste is continuously agitated, dried and processed while continuously moving through a plurality of inclined feed shafts having a screw formed therein.

종래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으로는 탈수방식, 건조방식, 발효방식 등을 사용하고 있다. Conventionally, the food waste treatment method uses a dehydration method, a drying method, a fermentation method, and the like.

탈수방식은 음식물쓰레기를 압축, 분쇄, 고속회전 등을 이용하여 물기를 제거하는 방식으로 소량 배출되는 가정에서는 이용이 가능하나 비교적 다량으로 배출되는 음식점이나 급식소에서 이용하기에는 용량이 적다. 또한 탈수된 폐액의 악취 및 처리문제가 있고, 대부분 하수도로 무단 방류되어 또 다른 오염원으로 작용한다.  Dehydration can be used in households where small amounts of food waste are discharged by compressing, crushing, or rotating at high speed, but they are less used in restaurants or catering establishments that emit relatively large quantities.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of odor and disposal of the dehydrated waste liquid, and most of them are discharged to the sewer without permission to act as another source of pollution.

건조방식은 음식물쓰레기를 탈수하여 물기를 제거한 후, 열을 가하여 건조시키는 방식으로, 음식물쓰레기의 부피를 80∼90%정도 줄일 수 있다. 여기에 전처리, 탈수(분쇄, 압축, 고속회전), 건조, 악취제거, 분진제거 등이 필요하다. 분쇄, 압축, 고속회전 등 기계적인 처리에 앞서서, 이물질을 제거할 필요가 있고, 탈수, 건조시 발생하는 악취와 분진을 제어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는 것은 균질화하여 비표면적을 넓혀 열전달을 높이려는 것이다. 건조방식은 직화, 스팀, 열교환기 등의 기존 건조기술이 적용된다. 건조 방식에 있어서, 건조조 내에 열풍이나 히터를 이용하여 건조조 내부온도를 약 70℃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여 음식물쓰레기 중에 포함된 수분만을 증발시키는 일반 건조 방식, 건조조 내에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한 후 회전시키면서 건조조 외곽에 스팀을 공급하여 100℃이상의 온도에서 간접 열에 의하여 음식물쓰레기를 건조·파쇄 시키는 건조 파쇄방식, 발효조에 열풍 혹은 히터를 장착하여 발효온도 보다 높은 60℃이상의 온도를 설정하여 발효와 건조를 동시에 일어나게 하는 방식인 발효건조방식 등이 있다. In the drying method, the food waste is dehydrated to remove water and then dried by heating to reduce the volume of the food waste by 80 to 90%. Pretreatment, dehydration (crushing, compression, high speed rotation), drying, deodorization, dust removal are necessary here. Prior to mechanical treatment such as grinding, compression and high speed rotation, it is necessary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and a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odor and dust generated during dehydration and drying is needed. To crush food waste is to homogenize to increase the specific surface area to increase heat transfer. The drying method is applied to existing drying techniques such as direct fire, steam and heat exchanger. In the drying method, using a hot air or a heater in the drying tank to hea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drying tank to a temperature of about 70 ℃ or more to evaporate only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food waste, rotation of the food waste in the drying tank after rotation Drying crushing method to dry and crush food waste by indirect heat at the temperature of over 100 ℃ by supplying steam to the outside of the drying tank, and fermentation and drying by setting the temperature above 60 ℃ higher than the fermentation temperature by installing hot air or heater in the fermenter. Fermentation and drying, which is the way to make it happen at the same time.

한편, 유기물질을 다양한 미생물에 의해 생물학적으로 분해, 안정화시켜 퇴비 등으로 이용될 수 있는 최종 부산물을 생성하는 발효방식, 소멸방식 등이 사용된다. 발효방식의 기본원리는 유기물질을 다양한 미생물에 의해 생물학적으로 분해, 안정화시켜 퇴비 등으로 이용될 수 있는 최종 부산물을 생성하는 과정으로 구성된다. 음식물쓰레기는 발효기 내에 투입된 미생물 발효제에 의하여 유기물질이 안정된 상태의 부식토(humus)로 전환되며, 변원균은 지속적인 발효열(60-70℃)에 의하여 사멸되고 최종적으로 짙은 갈색의 흙냄새를 풍기는 퇴비가 생성된다. 음식물쓰레기 퇴비화 장치는 발효조, 공기공급 및 유기(공기량) 조절장치와 온도 측정장치가 포함되어 있으며, 초기의 온도상승을 원활히 하기 위한 가열장치 및 충분한 균질 혼합을 위한 교반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소멸방식은 기본적으로 발효방식의 원리와 같이 미생물 발효제에 의해 호기성상태에서 유기물질이 분해되는 원리이다. 다만 장기간 발효시켜 감량을 90%이상 높이는 소멸화 개념을 도입한 것이 특징이다. 소멸화란 일정한 퇴비화 설비내에서 수분을 조절할 수 있는 통기 개량제와 미생물 발효제를 넣어 두고 음식물쓰레기를 매일 일정량씩 넣어 부피의 증가 없이 음식물쓰레기가 분해되는 것을 기본적인 원리로 한다On the other hand, fermentation, extinction, etc. are used to produce the final by-product that can be used as a compost by biologically decomposing and stabilizing the organic material by various microorganisms. The basic principle of the fermentation method consists of producing a final by-product that can be used for composting by decomposing and stabilizing organic substances by various microorganisms. Food waste is converted into humus where organic matter is stabilized by microbial fermenter put into the fermenter, and S. aureus is killed by continuous fermentation heat (60-70 ℃) and finally compost which gives a dark brown soil smell. Is generated. Food waste composting device includes fermenter, air supply and organic (air volume) control device and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and is composed of a heating device for smoothing the initial temperature rise and a stirring device for sufficient homogeneous mixing. The extinction method is basically a principle in which organic substances are decomposed in an aerobic state by a microbial fermenter, as in the fermentation method. However, it is characterized by the introduction of an extinction concept that increases the weight loss by more than 90% by fermentation for a long time. Extinction is the basic principle that food waste is decomposed without a volume increase by adding a certain amount of food waste and aeration control agent and microbial fermentation agent to control moisture in a regular composting facility.

한편 음식물쓰레기의 재활용 기술로서 미생물 발효에 의한 퇴비화 기술은 다음과 같다. 음식물쓰레기 퇴비화시설의 주요 공정은 선별시설, 혼합 및 발효시설, 불순물제거시설, 숙성시설, 악취 제거시설로 구성된다. 퇴비발효장에서는 28∼30일간 체류시키면서 공기송풍과 온도를 55∼60℃로 유지시키며, 퇴비이송로더로 1일 20회 정도 교반을 실시한다. 퇴비 숙성장에서는 공기투입과 교반을 실시하여 함수율 45%이하의 퇴비를 생산한다. 퇴비화시설 가동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하여 혼합·이송·스크린·숙성공정에서 발생하는 악취물질은 포집하여 주퇴비화시설로 이송하고, 주 퇴비화시설에 이송된 악취물질은 압출방식으로 퇴비층을 통과시킨후 악취 제거시설인 바이오필터(미생물 탈취상)를 통과시켜 제거한다. Meanwhile, composting technology by microbial fermentation is as follows. The main processes of food waste composting facilities consist of sorting facilities, mixing and fermentation facilities, impurity removal facilities, ripening facilities and odor removal facilities. In the compost fermentation plant, the air blowing and the temperature are maintained at 55 to 60 ° C. while staying for 28 to 30 days, and agitation is performed about 20 times a day with a compost transfer loader. In compost maturation, composting with aeration and stirring produces less than 45% water content. In order to remove the odor generated during operation of the composting facility, the odorous substances generated in the mixing, conveying, screening and aging processes are collected and transferred to the main composting facility, and the odorous materials transferred to the main composting facility are passed through the composting layer by extrusion method. After removal, it is removed by passing through a biofilter (microbial deodorizing phase), which is an odor removal facility.

건조에 의한 퇴비화는 음식물쓰레기를 탈수·건조시킨후, 발효를 위한 수분살수와 미생물발효제를 첨가하는 후숙발효 과정을 거치는 공정으로 구성된다. 건조공정은 1차적으로 기계식 압착으로 음식물쓰레기의 수분을 탈수(75%제거)한 후 열풍식 건조실로 이송하여 180∼250℃ 열풍을 송풍하여 수분을 80%이상 건조시키며, 2차적으로 건조된 쓰레기는 분쇄기로 이송하여 잘게 파쇄한 후 교반기에서 후숙에 필요한 수분살수 및 발효제를 첨가하여 보관장소에 저장 후 퇴비로 이용한다. 건조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는 밀폐구조를 통하여 악취처리기로 흡입되어 제거하게 된다. Composting by drying consists of the process of dehydration and drying of the food waste, followed by the post-fermentation process of adding water spray for fermentation and adding a microbial fermenter. The drying process primarily dehydrates food waste (75%) by mechanical compression, transfers it to a hot-air drying chamber, blows hot air at 180-250 ℃, and dries more than 80% of moisture. After transferring to the grinder and finely crushed, the water spray and fermentation agent necessary for ripening in the stirrer is added to the storage place and used as a compost. Odor generated in the drying process is sucked into the odor processor through a closed structure to remove.

음식물쓰레기를 습식 분쇄하여 사료화할 수도 있다. 음식물쓰레기의 이물질을 선별 제거한 후 수분이 있는 상태에서 파쇄하여 가온 멸균하거나, 유기산 등을 첨가하여 부패균 등을 사멸시킨후 기존 배합사료와 혼합하여 가축먹이로 바로 공급하는 기술로서 축산농가(오리, 돼지)에서 직접 실용화하고 있는 기술이다. 습식사료 제조방식은 건조방식에 비해 생산원가가 매우 저렴한 장점이 있으나 이물질 선별과 부패된 음식물의 투입금지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Food waste may also be wet pulverized to feed. Livestock farming (duck, pig) as a technology that selectively removes foreign substances from food waste and then crushes them in the presence of water to sterilize them by heating, or add organic acids to kill decayed bacteria, and then mix them with existing feed to feed them directly to livestock feed. It is a technique that is applied directly in Wet feed manufacturing method has the advantage that the production cost is very cheap compared to the dry method, but the selection of foreign substances and the prohibition of the input of spoiled food must be preceded.

건조에 의한 사료화 기술은 부패되지 않은 음식물쓰레기를 선별·건조·파쇄하는 공정으로 구성되며 경제적으로 저렴한 건조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분쇄된 혼합물은 건조탑 내부에서 유동상 건조방식에 의하여 390℃정도의 뜨거운 공기와 교반되면서 순간 건조되며 햄머밀을 이용한 2차분쇄 과정과 최종 선별(진동체) 과정을 거친 후 포장되어 배합사료 원료로 공급된다. 이 방식은 390℃의 순간적 고온직열 건조방식으로 타지 않으면서 영양소 파괴가 거의 없고, 고온살균 처리로 위생적이며 또한 함수율이 낮아 장기보관이 가능하다. Drying feed technology consists of the process of sorting, drying, and crushing uncorrupted food waste, and economically inexpensive drying technology is required. The pulverized mixture is instantaneously dried by stirring with hot air of about 390 ℃ by the fluidized bed drying method in the drying tower, and is packaged after the second milling process using a hammer mill and the final sorting (vibrating body) process. Is supplied. This method is instantaneous high temperature direct drying method of 390 ℃, almost no nutrient destruction without burning, hygienic sterilization by high temperature sterilization and long-term storage with low moisture content.

증자(Cooking)에 의한 사료화기술은 음식물쓰레기를 고온에서 증자(Cooking)한 후 이를 건조·분쇄·선별하여 단미사료를 제도하는 공정으로 기존 도축부산물을 사료화 하는 방법과 동일한 기술이다. 이 기술은 1차적으로 세척·탈수공정을 거친후 증자시설에서 90∼110℃ 온도로 30분간 증자하여 가공에 따른 영양소 파괴를 최소화 하고, 2차적으로 90℃에서 1시간동안 건조시켜 수분함량을 10%이하로 낮춘후 로타리방식으로 냉각시켜 수분함량을 6% 정도로 조정한다. 마지막으로 햄머밀을 이용하여 분쇄한 후 진동체로 이물질을 제거하여 배합사료 원료로 이용하거나, 축산농가에 공급하여 기존배합사료와 혼합 사용한다. Feeding technology by cooking (cooking) is a process that cooks food waste at high temperature, and then dry, crushes, and sorts it to prepare sweet rice feed. This technology first performs washing and dehydration process and then increases the temperature at 90 ~ 110 ℃ for 30 minutes in the stock raising facility to minimize nutrient destruction by processing. Secondly, it dries for 1 hour at 90 ℃ for 10 minutes. After lowering below%, cool by rotary method and adjust water content to about 6%. Finally, after grinding by using a hammer mill, the foreign body is removed with a vibrating body to be used as a raw material for blended feed, or supplied to a livestock farm and mixed with an existing blended feed.

이상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음식물쓰레기 발효 처리에 있어서 처리 온도는 무척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그런데 종래의 음식물쓰레기 발효 처리장치 내지 발효 처리방법은 처리 챔버 내에 음식물 쓰레기를 담아 놓고 챔버 내에 열풍을 불어넣어 주는 등의 방식을 사용하였다. 종래의 음식물쓰레기는 챔버 내에 쌓아두고 이를 처리하기 때문에 챔버 내를 전체로서 히팅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처리법은 온도의 정밀한 제어가 어렵고 온도의 신속한 변화를 가해 주는 것도 어렵고 더우기 히팅에 많은 에너지가 소모된다는 단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treatment temperature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the food waste fermentation treatment. However, the conventional food waste fermentation processing apparatus or fermentation processing method used a method such as putting food waste in the processing chamber and blowing hot air into the chamber. Since the conventional food waste is piled up in the chamber and processed, it was forced to use a method of heating the inside of the chamber as a whole. However, this method has a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to precisely control the temperature, it is difficult to apply a rapid change of temperature, and moreover, a lot of energy is consumed for heating.

본 고안은 음식물 쓰레기를 대량으로 쌓아놓고 이를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경로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를 끊임없이 순환 이송시키면서 음식물 쓰레기가 교반되고 여러 번 낙하 처리되게 하여 단기간 내에 음식물 쓰레기가 처리되게 하여 처리되는 음식물쓰레기의 적층 두께를 적게 한 상태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되, 이송축에 의하여 경사지게 이송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경사이송축 하측에서 지지하여 주는 챔버 하우징 바닥의 외측면에 히팅 패드를 설치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국부 히팅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가 존재하는 부분의 온도를 원하는 온도로 신속하게 형성하여 줄 수 있고 필요시 히팅 패드에 의한 가열을 중지함으로써 온도의 변화도 신속하게 제어 가능하게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stack a large amount of food waste and process it, but the food waste is agitated and dropped several times while constantly transporting the food waste through a predetermined path so that the food waste is processed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Food waste is handled with a small thickness of the stack, but a heating pad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chamber housing that supports the food waste that is inclined by the feed shaft from the lower side of the inclined feed shaf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able to quickly form a temperature of a portion at which the presence of the present portion is desired, and to control the change of temperature quickly by stopping heating by the heating pad if necessary.

본 고안은 하우징(100)에 의하여 둘러싸인 처리 챔버 내로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복수의 경사이송수단(110, 112, 114, 120, 122)을 통하여 상기 처리 챔버 내에서 순환 이송시킴으로써 발효 처리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사이송수단은 각각 인접하는 한 쌍의 이송축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이송축의 외주면에는 이송용 스크류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경사이송수단은, 일 경사이송수단의 상측 끝단의 직하측에 다른 경사이송수단의 하측 끝단이 위치하여 상기 상측 끝단에서 낙하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다른 경사이송수단이 다시 상측으로 경사지게 이송하도록 복수의 경사이송수단이 서로 연이어 음식물 쓰레기를 받아 이송하게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경사이송수단을 차례대로 거치면서 음식물 쓰레기가 반복 이송되게 형성되고, 상기 이송용 스크류의 하측으로는 근접되게 상기 하우징 바닥면(300)이 형성되어 상기 이송용 스크류 하측의 하우징의 바닥면에 의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지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이송용 스크류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이송되게 형성되고, 상기 경사이송수단의 이송축의 상측 끝단에는 스크류가 형성되지 아니한 부분이 존재하여 음식물쓰레기가 이 부분에서 하측으로 낙하되게 형성되고, 상기 이송용 스크류 직하측의 하우징의 바닥면(300)의 외부면에는 히팅 패드(302)가 부착되고, 상기 히팅 패드의 하측에는 단열층(304)이 형성되어, 히팅 패드 내부의 발열선에 전류를 흘려주어 발열시켜 상기 경사이송수단 하측의 하우징 바닥면을 가열하여 그 위에서 접촉 이송되는 음식물 쓰레기에 직접 열을 가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 처리되게 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국부 가열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food waste treatment for fermentation treatment by circulating the food waste introduced into the processing chamber surrounded by the housing 100 in the processing chamber through a plurality of inclined transfer means (110, 112, 114, 120, 122) In the apparatus, the inclined conveying means is formed by a pair of adjoining conveying shafts, a conveying screw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of the conveying shafts, and the plurality of inclined conveying means is an upper side of one inclined conveying means. The lower end of the other inclined transfer means is located directly below the end to form a plurality of inclined transfer means to receive the food waste in succession so that the other inclined transfer means to be inclined upward again to the food waste falling from the upper end The food waste is repeatedly transpor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inclined transport means. The housing bottom surface 300 is formed to be proximate to the lower side of the transport screw, so that the food waste is supported by the transport screw in a state in which food waste is supported by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below the transport screw. Is formed to be conveyed, the upper end of the feed shaft of the inclined conveying means there is a portion is not formed screw food waste is formed to fall from this portion to the lower side,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300 directly below the conveying screw Heating pad 302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and a heat insulating layer 304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heating pad, by passing a current to the heating wire inside the heating pad to generate heat to lower the housing bottom surface of the lower transfer means Heating the food waste directly on top of it to allow food waste to be dried. It relates to a local heating typ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여기서, 상기 챔버 내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502)와, 상기 온도 센서에 연결된 마이크로 콘트롤러(500)를 포함하여,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500)에 의하여 상기 히팅 패드(504) 내의 발열선에의 전류흐름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a temperature sensor 502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in the chamber, and a microcontroller 500 connected to the temperature sensor, by the microcontroller 500, the current to the heating line in the heating pad 504 It is desirable to control the flow.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는 본 고안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음식물 쓰레기는 챔버 일측에 형성된 투입구(102)로 투입된다.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챔버 내에서 순환 이송되면서 발효되고 건조되어 처리된다. 이를 위해 챔버 내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정해진 경로를 따라 반복 이송하기 위한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투입구(102)의 직하부에는 수평이송수단(104)이 형성되어 있어서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수평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게 된다. 수평 이송수단은 이송 스크류(106)가 형성된 한 쌍의 이송축(108)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송축을 외부의 모터에 의하여 구동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스크류에 의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시키는 것이다. 즉,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음식물은 수평이송수단(104)으로 낙하되는데 수평이송수단을 구성하는 한 쌍의 이송축의 하부는 근접 설치된 하우징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가 외부로 누출되지 아니하고 이송축 주위에 쌓여 있게 된다. 이송축(108)을 외부 모터에 의하여 회전시키면 이송 스크류(106)가 회전하게 되어 음식물 쓰레기는 일방향으로 이송되는데 이송축(108)의 끝단부는 하우징 바닥면이 근접하여 받쳐주지 않는 부분이 존재하여 이 부분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아래로 낙하되어 제 1 경사이송수단의 일측 끝단으로 떨어진다. 이를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수평이송수단의 끝단에는 스크류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이 존재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용이하게 아래로 떨어지게 형성한다. 도 1 및 도 2에 수평이송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풀리(130)에 의하여 모터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일 이송축이 회전하면 한 쌍의 기어(132, 134)가 서로 치합되어 있어서 양 이송축이 동시에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풀리(130)은 체인에 의하여 모터축의 구동풀리와 체인 결합된다. 투입구 반대측의 수평이송수단의 끝단의 직하부에는 제 1 경사이송수단(110)의 끝단이 설치되어 수평이송수단으로부터 이송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받아 경사지게 이송하게 된다. 제 1 경사이송수단(110)은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이송축(140, 142)으로 형성된다. 각각의 이송축의 외주면에는 스크류(144)가 형성되어 이송축을 회전시키면 스크류에 의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이송되게 된다. 제 1 경사이송수단은 음식물 쓰레기를 수평이송수단에 직각방향으로 이송시키되 경사지게 상측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경사이송수단(110)의 상측 끝단에는 스크류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이 존재하며 이 부분의 하측은 하우징 바닥면이 근접하여 설치되어 있지 아니하여 이 부분까지 이송된 음식물 쓰레기는 아래로 낙하된다. 제 1 경사이송수단의 상측 끝단의 직하측에는 제 1 경사이송수단과 같은 방향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시키는 제 2 경사이송수단(112)의 하측 끝단이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제 1 경사이송수단(110)의 상측 끝단에서 낙하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제 2 경사이송수단(112)의 하측 끝단으로 낙하되게 된다. 음식물 쓰레기는 제 2 경사이송수단에 의하여 다시 상측으로 이송되고 제 2 경사이송수단의 상측 끝단에서 하측으로 낙하되게 된다. 제 2 경사이송수단(112)은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이송축(146, 148)으로 형성된다. 각각의 이송축의 외주면에는 스크류가 형성되어 이송축을 회전시키면 스크류에 의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이송되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 2 경사이송수단의 상측 끝단에는 스크류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이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부분의 하측은 하우징 바닥면이 근접하여 설치되어 있지 아니하여 이 부분까지 이송된 음식물 쓰레기는 아래로 낙하된다. 제 1 경사이송수단이나 제 2 경사이송수단의 각각의 이송축은 외부의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게 된다. 제 1 경사이송수단의 일 이송축(140)의 상측 끝단에는 풀리(154)가 축결합되어 있어서 구동모터(150)의 모터축의 구동풀리(152)와 체인결합되어 있고 한 쌍의 이송축(140, 142)은 각각 기어(156, 158)에 의하여 치합되어 동시에 회전되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 2 경사이송수단의 일 이송축(147)의 상측 끝단에는 풀리(164)가 축결합되어 있어서 구동모터(160)의 모터축의 구동풀리(162)와 체인결합되어 있고 한 쌍의 이송축(147, 149)는 각각 기어(166, 168)에 의하여 치합되어 동시에 회전되게 된다. 제 2 경사이송수단의 상측 끝단의 직하측에는 수평방향을 기준으로는 제 2 경사이송수단과 직각 방향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시키되 경사지게 상측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시키는 제 3 경사이송수단(114)의 하측 끝단이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제 2 경사이송수단(112)의 상측 끝단에서 낙하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제 3 경사이송수단(114)의 하측 끝단으로 낙하되게 되어, 음식물 쓰레기는 제 3 경사이송수단에 의하여 다시 상측으로 이송되고 제 3 경사이송수단의 상측 끝단에서 하측으로 낙하되게 된다. 제 3 경사이송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이송축과 그 외주면에 형성된 이송스크류로 구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나란하게 형성된 이송축(170, 172)으로 구성된다. 일 이송축을 외부 모터(169)에 의하여 회전시키면 이송 스크류가 회전하게 되어 음식물 쓰레기는 일방향으로 이송되는데 이송축의 끝단부는 하우징 바닥면이 근접하여 받쳐주지 않는 부분이 존재하여 이 부분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아래로 낙하되어 제 4 경사이송수단의 하측 끝단으로 떨어진다. 이를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제 3 경사이송수단의 끝단에는 스크류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이 존재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용이하게 아래로 떨어지게 형성한다. 제 3 경사이송수단의 이송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의 구성은 제 1 경사이송수단이나 제 2 경사이송수단의 구동을 위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3 경사이송수단(114)의 일측 끝단에서 하측으로 낙하된 음식물 쓰레기는 제 4 경사이송수단(120)의 하측 끝단으로 떨어지며 제 4 경사이송수단에 의하여 상측으로 이송된다. 제 4 경사이송수단은 제 2 경사이송수단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된다. 제 4 경사이송수단(120)은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이송축(174, 176)으로 형성된다. 각각의 이송축의 외주면에는 이송스크류(178)가 형성되어 이송축을 회전시키면 스크류(178)에 의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경사지게 이송되게 된다. 제 4 경사이송수단(120)의 상측 끝단에는 스크류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이 존재하며 이 부분의 하측은 하우징 바닥면이 근접하여 설치되어 있지 아니하여 이 부분까지 이송된 음식물 쓰레기는 아래로 낙하된다. 제 4 경사이송수단의 상측 끝단의 직하측에는 제 4 경사이송수단과 같은 방향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시키는 제 5 경사이송수단(122)의 하측 끝단이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제 4 경사이송수단(120)의 상측 끝단에서 낙하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제 5 경사이송수단(122)의 하측 끝단으로 낙하되게 된다. 음식물 쓰레기는 제 5 경사이송수단에 의하여 다시 상측으로 이송되고 제 5 경사이송수단의 상측 끝단에서 하측으로 낙하되게 된다. 제 5 경사이송수단(122)은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이송축(180, 182)으로 형성된다. 각각의 이송축의 외주면에는 스크류가 형성되어 이송축을 회전시키면 스크류에 의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이송되게 된다.마찬가지로 제 5 경사이송수단의 상측 끝단에는 스크류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이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부분의 하측은 하우징 바닥면이 근접하여 설치되어 있지 아니하여 이 부분까지 이송된 음식물 쓰레기는 아래로 낙하된다. 제 4 경사이송수단이나 제 5 경사이송수단의 각각의 이송축은 외부의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게 된다. 구동모터에 의하여 제 4 경사이송수단의 이송축이나 제 5 경사이송수단의 이송축을 회전시키는 구조는 제 1 경사이송수단이나 제 2 경사이송수단에 관한 설명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5 경사이송수단의 상측 끝단의 직하부에는 수평이송수단이 존재하게 되어 제 5 경사이송수단의 상측 끝단에서 낙하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수평이송수단에 의하여 다시 수평이송되게 된다. 1 is an embodiment of a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food waste is introduced into the inlet 102 formed on one side of the chamber. The input food waste is fermented, dried and processed while being circulated in the chamber. To this end, a structure is formed in the chamber for repeatedly transporting food waste along a predetermined path. A horizontal conveying means 104 is formed directly under the inlet 102 so that the food waste is fed by the horizontal conveying means. The horizontal conveying means is preferably composed of a pair of feed shafts 108 formed with a feed screw 106. The feed shaft is driven and rotated by an external motor to transfer food waste by a screw. That is, the food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falls into the horizontal conveying means 104. Since the lower portion of the pair of conveying shafts constituting the horizontal conveying means is surrounded by a housing installed in close proximity, food waste does not leak to the outside and the surroundings of the conveying shaft Will be piled up. When the feed shaft 108 is rotated by an external motor, the feed screw 106 is rotated so that the food waste is conveyed in one direction. The end of the feed shaft 108 has a portion which is not supported by the bottom of the housing. At the portion, food waste falls down and falls to one end of the first inclined conveying means. To this end, preferably, there is a screw-free portion at the end of the horizontal transfer means so that the food waste easily falls down. 1 and 2, the drive motor for driving the horizontal transfer means is not shown, but when the feed shaft is rotat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motor shaft by the pulley 130 as shown in Figure 2 a pair of gears 132 and 134 are engaged with each other so that both feed shafts rotate simultaneously. Of course, the pulley 130 is chain-coupled with the drive pulley of the motor shaft by the chain. Directly below the end of the horizontal transfer means on the opposite side of the inlet is provided with the end of the first inclined transfer means 110 to receive the food waste transported from the horizontal transfer means to be inclined. The first inclined conveying means 110 is preferably formed of a pair of feed shafts (140, 142). Screws 144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transport shaft to rotate the feed shaft so that food waste is transported by the screw. The first inclined conveying means transfers the food waste to the horizontal conveying means at right angles, but inclinedly upwards. As shown in the upper end of the first inclined conveying means 110, there is a portion that does not have a screw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is not installed close to the food waste transported to this portion is To fall. The lower end of the second inclined transfer means 112 for transferring food wast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inclined transfer means is located directly below the upper end of the first inclined transfer means. Therefore, the food waste fall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first inclined transfer means 110 is dropped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inclined transfer means (112). The food waste is again conveyed upward by the second inclined conveying means and falls down from the upper end of the second inclined conveying means. The second inclined conveying means 112 is preferably formed by a pair of feed shafts 146, 148. Screws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of the transport shafts so that the food waste is transported by the screws when the transport shafts are rotated. Likewise, the upper end of the second inclined conveying means preferably has a portion where no screw is formed. The lower part of this part is not provided with the bottom of the housing in close proximity, and the food waste transported to this part falls down. Each feed shaft of the first inclined transfer means or the second inclined transfer means is rotationally driven by an external drive motor. A pulley 154 is axial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one feed shaft 140 of the first inclined transfer means, and is coupled to the drive pulley 152 of the motor shaft of the drive motor 150 and has a pair of feed shafts 140. And 142 are engaged by the gears 156 and 158, respectively, to be rotated at the same time. Similarly, the pulley 164 is axial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one feed shaft 147 of the second inclined feed means, and is coupled to the drive pulley 162 of the motor shaft of the drive motor 160 and has a pair of feed shafts ( 147 and 149 are engaged by the gears 166 and 168, respectively, to be rotated at the same time. The lower end of the third inclined transfer means 114 for transferring the food wast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inclined transfer mean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second inclined transfer means. Will be located. Therefore, the food waste fall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second inclined transfer means 112 is dropped to the lower end of the third inclined transfer means 114, the food waste is transferred to the upper side again by the third inclined transfer means and 3 Dropped from the upper end of the inclined transfer means to the lower side. The third inclined conveying means is composed of at least one conveying shaft and a conveying screw formed on its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preferably consisting of a pair of parallel conveying shafts 170 and 172. When the work feed shaft is rotated by the external motor 169, the feed screw rotates, and the food waste is transferred in one direction. The end of the feed shaft has a portion which is not supported by the bottom of the housing. It falls and falls to the lower end of the 4th inclined conveyance means. To this end, preferably, there is a portion where no screw is formed at the end of the third inclined transfer means so that the food waste easily falls down. Since the structure of the drive unit for rotating the feed shaft of the third inclined transfer means is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for driving the first inclined transfer means or the second inclined transfer mean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food waste dropped down from one end of the third inclined transfer means 114 falls to the lower end of the fourth inclined transfer means 120 and is transferred upward by the fourth inclined transfer means. The fourth inclined transfer means is formed as shown in the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second inclined transfer means. The fourth inclined conveying means 120 is preferably formed of a pair of feed shafts 174, 176. A transport screw 178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transport shaft so that the food waste is inclined by the screw 178 when the transport shaft is rotated. At the upper end of the fourth inclined conveying means 120, there is a portion where no screw is formed, and the lower side of the fourth inclined conveying means 120 does not have a housing bottom surface installed so that the food waste transported to this portion falls down. The lower end of the fifth inclined transfer means 122 for transferring food wast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ourth inclined transfer means is located directly below the upper end of the fourth inclined transfer means. Therefore, the food waste fall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fourth inclined transfer means 120 is dropped to the lower end of the fifth inclined transfer means (122). The food waste is transferred upward by the fifth inclined transfer means and falls down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fifth inclined transfer means. The fifth inclined conveying means 122 is preferably formed of a pair of feed shafts 180, 182. Screws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of the feed shafts so that the food waste is conveyed by the screws when the feed shafts are rotated. Similarly, a portion where no screws are formed is present at the upper end of the fifth inclined feed means. The lower part of this part is not provided with the bottom of the housing in close proximity, and the food waste transported to this part falls down. Each feed shaft of the fourth inclined transfer means or the fifth inclined transfer means is rotationally driven by an external drive motor. The structure for rotating the feed shaft of the fourth inclined feed means or the fifth inclined feed means by the drive motor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inclined feed means or the second inclined feed means, and thus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A horizontal transfer means is provided directly below the upper end of the fifth inclined transfer means, so that the food waste fall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fifth inclined transfer means is horizontally transferred again by the horizontal transfer mean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투입구(102)를 통해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수평이송수단, 제 1 경사이송수단, 제 2 경사이송수단, 제 3 경사이송수단, 제 4 경사이송수단, 제 5 경사이송수단을 거쳐 다시 수평이송수단으로 이송되어 반복 순환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최소한의 공간 내에서 음식물쓰레기를 끊임없이 이송시키면서 한 번의 사이클 내에 적어도 여섯 번의 낙하를 거치게 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교반 혼합되면서 빠른 시간 내에 처리되게 되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food waste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02 is a horizontal conveying means, a first inclined conveying means, a second inclined conveying means, a third inclined conveying means, a fourth inclined conveying means and a fifth inclined conveying means. After it is transported back to the horizontal transport means is to be repeated. Therefore, the food waste is disposed of at least six times in one cycle while constantly transporting the food waste in a minimum space, and the food waste is processed in a short time while stirring and mixing.

이렇게 다수의 경사이송수단을 통해 교반되면서 이송되고 낙하하는 음식물 쓰레기는 경사이송수단을 구성하는 이송축의 이송용 스크류 직하에 위치하는 챔버 하우징 바닥면에 의하여 지지되게 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축의 외주면에 형성된 이송용 스크류의 직하에는 챔버의 하우징 바닥면이 위치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이에 지지되어 이동되게 되는 것이다. In this way, the food waste that is transported and dropped while being agitated through the plurality of inclined transfer means is supported by the bottom of the chamber housing which is located directly under the transfer screw of the transfer shaft constituting the inclined transfer means. That is, as shown in Figure 2 is directly below the transport screw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ransport shaft is the housing bottom surface of the chamber is to support the food waste is moved to it.

본 고안에 있어서 이와 같이 경사진 하우징 바닥면(300)의 외부면 하측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히팅 패드(302)를 설치한다. 히팅 패드의 내부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열선(306)이 포함되어 있어서 이에 전류를 흘려주면 발열하게 된다. 그리고 히팅 패드에 의한 안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히팅패드의 하측에는 단열층(304)이 형성되어 화상 등의 사고를 방지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heating pad 302 as shown in FIG. 3 is installed below the outer surface of the inclined housing bottom surface 300. As shown in FIG. 4, a heating line 306 is included in the heating pad to generate heat when a current flows thereto. In addition, as shown in order to prevent safety accidents caused by the heating pad, an insulating layer 304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heating pad to prevent an accident such as a burn.

본 고안은 이와 같이 히팅 패드를 통해 직접적으로 하우징의 바닥면을 가열하여 음식물 쓰레기에 열을 가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은 하우징의 바닥이 경사이송축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되 이송용 스크류 직하측에 형성되어 있어서 경사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하우징의 바닥면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어서 가능하다. The present invention heats the food waste by hea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directly through the heating pad. This method is possible because the bottom of the housing is formed to be inclined along the inclined conveyance axis, but is formed directly under the conveying screw so that the food waste conveyed by the inclined conveying means is supported by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고 파쇄하여 처리하기에 바람직한 온도는 45℃ 내지 70℃이다. 본 고안의 장치는 처리 챔버의 직하부에서 국부적으로 가열함으로써 원하는 음식물 쓰레기가 처리되는 온도를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Preferred temperatures for drying, crushing and treating food waste are 45 ° C to 70 ° C.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ble to accurately form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desired food waste is processed by local heating directly under the treatment chamber.

바람직하게는 도 5의 블럭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 내의 음식물 쓰레기가 처리되는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502)와 연결된 마이크로 콘트롤러(500)에 의하여 히팅 패드(504)의 전원공급을 제어한다. 즉, 원하는 온도를 50℃ 내지 60℃로 설정한 경우, 온도가 50℃이하로 떨어지면 히팅 패드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여 추가적으로 가열하고 온도가 60℃ 이상으로 감지되면 히팅패드에 전원을 차단하도록 제어하여 온도가 떨어지게 한다. 물론 마이크로 콘트롤러는 챔버 내의 수증기 등을 외부로 송풍하는 환풍팬(508)이나 이송축 구동모터(506)도 제어할 수 있다. Preferably, as shown in the block diagram of FIG. 5, the power supply of the heating pad 504 is controlled by a microcontroller 500 connected to a temperature sensor 502 that senses a temperature at which food waste in the chamber is processed. That is, if the desired temperature is set to 50 ℃ to 60 ℃, if the temperature falls below 50 ℃ to control the power supply to the heating pad additional heating and if the temperature is detected above 60 ℃ control to cut off the power to the heating pad The temperature drops. Of course, the microcontroller can also control the fan 508 or the feed shaft drive motor 506 for blowing water vapor in the chamber to the outside.

본 고안은 음식물 쓰레기를 대량으로 쌓아놓고 이를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경로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를 끊임없이 순환 이송시키면서 음식물 쓰레기가 교반되고 여러 번 낙하 처리되게 하여 단기간 내에 음식물 쓰레기가 처리되게 하여 처리되는 음식물쓰레기의 적층 두께를 적게 한 상태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되, 이송축에 의하여 경사지게 이송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경사이송축 하측에서 지지하여 주는 챔버 하우징 바닥의 외측면에 히팅 패드를 설치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국부 히팅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가 존재하는 부분의 온도를 원하는 온도로 신속하게 형성하여 줄 수 있고 필요시 히팅 패드에 의한 가열을 중지함으로써 온도의 변화도 신속하게 제어 가능하게 하여 최적의 온도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stack a large amount of food waste and process it, but the food waste is agitated and dropped several times while constantly transporting the food waste through a predetermined path so that the food waste is processed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Food waste is handled with a small thickness of the stack, but a heating pad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chamber housing that supports the food waste that is inclined by the feed shaft from the lower side of the inclined feed shaft. It is possible to quickly form the temperature of the portion to the desired temperature and, if necessary, by stopping the heating by the heating pa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change of the temperature quickly has the effect of enabling the optimum temperature control.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사시개략도이다.1 is a perspective schematic view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챔버 내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2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in a chamber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장치를 통하여 국부 가열하기 위한 장치의 단면도 및 사시개략도이다.3 and 4 are cross-sectional and perspective schematic views of an apparatus for local heating through the apparatus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히팅 제어 시스템에 관한 블럭도이다. 5 is a block diagram of a heating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호에 관한 설명><Description of Major Symbols in Drawing>

100 : 하우징 102 : 음식물쓰레기 투입구100: housing 102: food waste inlet

104 : 수평이송수단 110 : 제 1 경사이송수단104: horizontal transfer means 110: first inclined transfer means

112 : 제 2 경사이송수단 114 : 제 3 경사이송수단112: second inclined conveying means 114: third inclined conveying means

120 : 제 4 경사이송수단 122 : 4 경사이송수단120: fourth inclined transfer means 122: fourth inclined transfer means

300 : 하우징 바닥면 302 : 히팅 패드300: housing bottom surface 302: heating pad

304 : 단열층 306 : 발열선304: heat insulation layer 306: heating wire

Claims (2)

하우징(100)에 의하여 둘러싸인 처리 챔버 내로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복수의 경사이송수단(110, 112, 114, 120, 122)을 통하여 상기 처리 챔버 내에서 순환 이송시킴으로써 처리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In th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for processing the food waste introduced into the processing chamber surrounded by the housing 100 by circulating the food waste in the processing chamber through a plurality of inclined transfer means (110, 112, 114, 120, 122), 상기 경사이송수단은 각각 인접하는 한 쌍의 이송축으로 형성되고,The inclined conveying means are each formed by a pair of adjacent conveying shafts, 상기 각각의 이송축의 외주면에는 이송용 스크류가 형성되어 있고,Feeding screws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of the feed shafts, 상기 복수의 경사이송수단은, 일 경사이송수단의 상측 끝단의 직하측에 다른 경사이송수단의 하측 끝단이 위치하여 상기 상측 끝단에서 낙하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다른 경사이송수단이 다시 상측으로 경사지게 이송하도록 복수의 경사이송수단이 서로 연이어 음식물 쓰레기를 받아 이송하게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경사이송수단을 차례대로 거치면서 음식물 쓰레기가 반복 이송되게 형성되고,The plurality of inclined transfer means, the lower end of the other inclined transfer means is located directly below the upper end of one inclined transfer means, a plurality of food waste falling from the upper end so as to incline the other inclined transfer means back to the upper side The inclined conveying means of the food waste is connected to each other in succession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plurality of inclined conveying means in turn is formed to be repeatedly transported, 상기 이송용 스크류의 하측으로는 근접되게 상기 하우징 바닥면(300)이 형성되어 상기 이송용 스크류 하측의 하우징의 바닥면에 의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지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이송용 스크류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이송되게 형성되고, The housing bottom surface 300 is formed to be proximate to the lower side of the transport screw so that the food waste is transported by the transport screw in a state in which the food waste is supported by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below the transport screw. Formed, 상기 경사이송수단의 이송축의 상측 끝단에는 스크류가 형성되지 아니한 부분이 존재하여 음식물쓰레기가 이 부분에서 하측으로 낙하되게 형성되고, At the upper end of the feed shaft of the inclined conveying means there is a portion that does not have a screw is formed so that food waste falls from this portion to the lower side, 상기 이송용 스크류 직하측의 하우징의 바닥면(300)의 외부면에는 히팅 패드(302)가 부착되고,Heating pad 302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300 of the housing directly below the transfer screw, 상기 히팅 패드의 하측에는 단열층(304)이 형성되어,The heat insulation layer 304 is formed below the heating pad, 히팅 패드 내부의 발열선에 전류를 흘려주어 발열시켜 상기 경사이송수단 하측의 하우징 바닥면을 가열하여 그 위에서 접촉 이송되는 음식물 쓰레기에 직접 열을 가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 처리되게 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od waste is dried by hea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inclined transfer means by heating a heating wire inside the heating pad to apply heat directly to the food waste transported in contact therewith. 국부 가열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Locally heated food waste treatment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챔버 내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502)와,A temperature sensor 502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in the chamber, 상기 온도 센서에 연결된 마이크로 콘트롤러(500)를 포함하여, Including a micro-controller 500 connected to the temperature sensor,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500)에 의하여 상기 히팅 패드(504) 내의 발열선에의 전류흐름을 제어하는 By the microcontroller 500 to control the flow of current to the heating line in the heating pad 504 국부 가열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Locally heated food waste treatment device.
KR20-2005-0008720U 2005-03-30 2005-03-30 local heating type kitchen refuse treating apparatus KR20039088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720U KR200390884Y1 (en) 2005-03-30 2005-03-30 local heating type kitchen refuse tre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720U KR200390884Y1 (en) 2005-03-30 2005-03-30 local heating type kitchen refuse treat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0884Y1 true KR200390884Y1 (en) 2005-07-28

Family

ID=43692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8720U KR200390884Y1 (en) 2005-03-30 2005-03-30 local heating type kitchen refuse trea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0884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5168B1 (en) Method of resolving food waste using microorganism and apparatus therefor
JPH0451235B2 (en)
AU2008255802B2 (en) Apparatus for producing feeds comprising dried and fermented animal and plant residues and dried and fermented fertilizers
KR20060040562A (en) Apparatus for disposing of food waste
KR100523873B1 (en) A casting using method and resources equipment of food garbage
KR20140006897A (en) Composting machine
CN106391676A (en) Kitchen waste drying and stabilization rapid processing method and related processing equipment
US5439823A (en) Apparatus for fast fermentation treatment
GB2462651A (en) Apparatus for in-vessel composting and digestion of biodegradable waste
KR101446180B1 (en) Recycling system for food garbage
KR100722788B1 (en) kitchen refuse treating apparatus
KR100798818B1 (en) Apparatus for composting use livestock excretions
KR20180087822A (en) Fermentor for fast fermentation and ferment method
KR100589698B1 (en) A system and method which make provenders using food wastes
KR980008016A (en) Feed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food waste
KR200390884Y1 (en) local heating type kitchen refuse treating apparatus
KR0160598B1 (en) Fermenting apparatus for food wastes
KR20130142825A (en) Feed manufacturing apparatus by fermentation
KR200391582Y1 (en) kitchen refuse treating apparatus
KR100354711B1 (en) Restaur for garbage fermentation dry-feed production apparatus
KR19980066831A (en) Food Waste Disposal Device
JP2004113911A (en) Disposal method for organic waste and treatment apparatus
KR200390955Y1 (en) kitchen refuse treating apparatus
KR10023051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garbage
KR100751296B1 (en) kitchen refuse trea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