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0834Y1 - 휴대용 콧물 흡입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콧물 흡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0834Y1
KR200390834Y1 KR20050012903U KR20050012903U KR200390834Y1 KR 200390834 Y1 KR200390834 Y1 KR 200390834Y1 KR 20050012903 U KR20050012903 U KR 20050012903U KR 20050012903 U KR20050012903 U KR 20050012903U KR 200390834 Y1 KR200390834 Y1 KR 2003908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nny nose
portable
inhaler
container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0129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민숙
Original Assignee
신민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민숙 filed Critical 신민숙
Priority to KR200500129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08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08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08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06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battery-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18Nose

Landscapes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길이방향으로 내부를 관통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일단이 콧구멍으로 인입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흡입관과, 콧물을 담을 수 있는 수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흡입관과 연결되는 입구와 기체는 통과할 수 있고 액체는 통과할 수 없도록 필터가 장착되는 출구가 마련되는 콧물수납통과, 필터를 통해 콧물수납통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모터와, 흡입모터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왕복 공기펌프를 이용한 콧물 흡입기보다 큰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한 손으로 사용할 수 있을 만큼 제품의 크기가 작고 구조가 간단하여 휴대성이 좋으며, 내부로 유입되는 콧물에 의해 부품의 손상이 발생하지 아니하는 휴대용 콧물흡입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콧물 흡입기{Portable snivel sucker}
본 고안은 콧물 흡입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공기흡입모터와 충전 배터리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장소에 구애받지 아니하고 누구나 간편하게 코 속의 콧물을 제거할 수 있는 휴대용 콧물 흡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콧물 흡입기는 감기에 걸린 소아에 주로 사용하게 되며, 소아의 연령은 신생아(출생직후~생후4주까지), 영아(출생1개월 후~생후1년까지), 유아(만1세~만6세까지), 학동기(만6세~만10세까지), 사춘기(만10세~만20세까지)로 분류되고, 특히 소아 중에서도 신생아 및 영아의 호흡기계의 문제점이 더욱 심각하다. 즉 신생아에서는 호흡조절 기능이 미숙하여 환경의 변화에 적절히 반응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코가 막힐 시 중추신경의 호흡기계 상호작용의 미숙으로 입을 벌려 호흡할 줄 모를 뿐만 아니라, 호흡근 특히 횡격막의 미발달로 코를 풀 정도의 힘이 없으며, 이러한 호흡근의 미숙한 조화 상호작용과 함께 흉벽 및 기도 등, 호흡기 구조의 미발달로 인해 전신적 또는 호흡기 질환 시에 무호흡 등 호흡조절의 문제점을 초래하게 된다.
한편, 바이러스로 말미암아 걸리는 호흡기 계통의 병인 감기는 열이 나며 머리가 아프고 콧구멍이 막히는 증세로 알려져 있으며, 콧구멍이 막히는 것은 비도(鼻道)에서 질병에 의해 생기는 진득진득한 콧물이 흘러나오면서 말라붙어 콧구멍을 막음으로써 특히 신생아, 영아, 및 유아에게는 호흡장애를 일으키게 된다. 상기 콧구멍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조기에 병을 완치하기 위해서는 치료약을 복용함과 동시에 비도에서 발생되는 콧물을 자주 흡인하여 청결하게 할 필요가 있다.
상기 비도에서 발생되는 콧물은 환자의 질병상태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한번 발병하면 완치될 때까지 계속 콧물을 인위적으로 풀거나 기계 장치로 흡인하게 되는데 인위적으로 코를 풀면 비도에 무리를 가하게 되어 더욱 심한 질병으로 진행될 수 있으므로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가정에서 수시로 코를 흡인할 수 있는 기구들을 사용하게 된다.
초기의 콧물 흡입기는 왕복 공기펌프를 이용하여 콧물을 흡인하도록 구성되었는데, 이와 같은 초기의 콧물 흡입기는 튜브의 통로를 개폐하는 고무막의 밸브를 이용하여 튜브의 압축시 공기가 밖으로 나가고 튜브의 팽창시 밸브가 닫히면서 코를 튜브 내부로 흡입하는 것으로서, 튜브의 압축 및 팽창 작용 시 발생되는 흡입력이 적정의 압력인 10-20mmHg보다 약하여 만족할만한 코를 흡인할 수 없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보다 강력한 흡입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된 콧물 흡입기가 제안된 바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강력한 흡입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된 종래의 콧물 흡입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콧물 흡입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콧물 흡입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콧물 흡입기는, 메인 스위치(6)가 바깥둘레에 부착되며 저면에 바닥판(11)이 결합되는 본체(1)와, 상기 본체(1) 내에 수용되는 모터(5) 및 원심력 임펠러(43)와, 상기 임펠러(43)의 상부에 배치되는 하부판(31) 및 덮개(34)로 이루어진 보조용기와, 상기 보조용기의 중앙에 끼워지며 하부통(21) 및 덮개(23)로 이루어진 수집용기와, 상기 수집용기의 흡입관(24)에 일단이 끼워지고 타단에 콧속으로 삽입될 수 있는 팁(7)이 끼워진 호스(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는 상하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바깥둘레에 다수의 통풍구(14)가 천공되며, 바깥둘레 일측에 메인 스위치(6)가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메인 스위치(6)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61)과 접속된다.
또한 본체(1)의 저면으로는 모터(5)가 끼워져 지지되도록 상부로 돌출 형성된 고정부(12)를 갖는 바닥판(11)이 나사못 등의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모터(5)의 회전축에 고정되는 원심력 임펠러(43)는 상면에 공기 유입공(42)이 천공되고, 측부에 안내깃(44)이 마련된다. 또한 하부통(21)은 상기 보조용기(3)의 하부판(31) 중앙에 형성된 통공(33)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상부로 돌출되는 배출관(22)이 중앙에 형성되고, 흡입관에 일단이 끼워진 탄성력의 호스(8)는 본체(1)를 테이블 등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콧속으로 팁(7)을 넣을 수 있는 1M-2M인 적정의 길이를 갖도록 구성된다.
본체(1)에 설치되어 있는 메인 스위치(6)를 작동시키면 전원이 공급되어 임펠러(43)가 회전되고, 이 임펠러(43)의 회전과 동시에 호스(8)를 끼워진 팁(7)을 콧속으로 넣으면 팁(7)으로 유입되는 콧물 및 공기는 호스(8)를 통해 흡입관(24)으로 유입된다. 비교적 무게가 있는 콧물은 하부통(21)에 낙하되고 콧물보다 무게가 가벼운 공기는 배출관(22)을 따라 계속 이동하게 되고, 이동되는 공기는 보조용기(3)의 하부판(31) 통공(33)을 지나 임펠러(43)의 공기 유입공(42)으로 유입되며 이어서 공기는 안내깃(44)에 의해 안내되어 본체(1)의 통풍구(14)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로 구성되는 콧물 흡입기는, 본체(1)를 바닥에 놓고 팁(7)을 손으로 들어 끝단을 콧속으로 인입시켜 사용하므로 사용이 불편하고, 제품 자체의 크기가 크고 구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모터(5) 구동을 위한 자체 전원이 없으므로 휴대성이 극히 낮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콧물이 배출관(22)을 따라 임펠러(43) 내부에 유입되어 임펠러(43)의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왕복 공기펌프를 이용한 콧물 흡입기보다 큰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한 손으로 사용할 수 있을 만큼 제품의 크기가 작고 구조가 간단하여 휴대성이 좋으며, 내부로 유입되는 콧물에 의해 부품의 손상이 발생하지 아니하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콧물 흡입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콧물 흡입기는, 길이방향으로 내부를 관통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일단이 콧구멍으로 인입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흡입관과; 콧물을 담을 수 있는 수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흡입관과 연결되는 입구와, 기체는 통과할 수 있고 액체는 통과할 수 없도록 필터가 장착되는 출구가 마련되는 콧물수납통과; 필터를 통해 콧물수납통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모터와; 흡입모터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원부는 배터리로 적용되며, 특히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흡입관은, 적어도 콧구멍 내부로 인입되는 일단이 거칠기가 작은 플라스틱 또는 고무로 제작되며, 콧구멍 내부로 용이하게 인입되도록 일정 크기 이상의 탄성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때 콧구멍 내부로 인입되는 흡입관의 일단은 외측면이 둥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콧물흡입기는, 흡입관과 콧물수납통과 흡입모터와 전원부를 수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마련되고, 흡입구가 내부공간과 연결되도록 흡입관의 타단이 일측에 결합되는 본체를 더 포함한다. 이때 본체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용이하게 거머쥘 수 있는 형상의 손잡이가 마련되고, 공기가 배출되는 흡입모터의 일측과 대응되는 부위에 공기배출구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콧물수납통은 본체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고, 본체는 콧물수납통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덮개가 마련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콧물흡입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콧물흡입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콧물흡입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콧물흡입기는, 일단이 콧구멍으로 인입 가능하도록 가늘고 긴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내부를 관통하는 흡입구(110)가 마련되는 흡입관(100)과; 내부공간이 마련되고, 흡입구(110)가 내부공간과 연결되도록 흡입관(100)의 타단이 일측에 결합되는 본체(200)와; 콧물을 담을 수 있는 수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수납공간이 흡입관(100)의 타단에 연결되도록 본체(200) 내부에 결합되는 콧물수납통(300)과; 본체(200) 내부에 장착되어 콧물수납통(300) 내부의 공기를 본체(200)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흡입모터(400)와; 흡입모터(400)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500)와; 흡입모터(400)로 전원이 인가 또는 차단되도록 전원의 흐름을 제어하는 스위치(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흡입관(100)은, 외측면이 거칠기가 작은 플라스틱 또는 고무로 제작되며, 콧구멍 내부로 인입되는 흡입관(100)의 일단은 외측면이 둥글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재질 및 형상으로 흡입관(100)이 제작되면 콧구멍 내부에 흡입관(100)에 의한 상처가 발생될 우려가 저하되므로, 사용자는 보다 안심하고 휴대용 콧물흡입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흡입관(100)은 콧구멍 내부로의 진입 시 콧구멍과 직접 접촉되는 일단만이 거칠기가 작은 플라스틱 또는 고무로 제작될 수도 있다.
콧물수납통(300)은 수납공간이 외부에 개방되도록 양단에 입구와 출구가 각각 형성되는데, 입구는 흡입관(100)의 타단과 연결되며, 출구는 흡입모터(400)를 향하도록 위치된다. 이때 콧물수납통(300)의 출구에는 기체는 통과할 수 있고 액체는 통과할 수 없도록 구성되는 필터(310)가 장착되고, 공기가 배출되는 흡입모터(400)의 일측과 대응되는 부위에 공기배출구(210)가 형성되어, 흡입모터(400)는 출구에 장착된 필터(310)를 통해 콧물수납통(30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배출구(210)를 통해 본체(200)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흡입모터(400)가 가동되면, 콧물수납통(300) 내부의 공기가 본체(200) 외부로 빠져나감에 콧물수납통(300)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게 되고, 이와 같은 압력차에 따라 콧구멍 속의 콧물은 흡입관(100)에 형성된 흡입구(110)를 따라 콧물수납통(300)으로 빨려 들어가게 된다. 이때 콧물은 필터(310)에 걸려 콧물수납통(300)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콧물수납통(300) 내부에 쌓이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콧물흡입기는 흡입된 콧물이 콧물수납통(300) 내부에만 쌓이게 되고 흡입모터(400)와 같은 기타 부품에 접촉되지 아니하므로, 보다 위생적이며 콧물과의 접촉으로 인한 각 부품의 손상 및 고장의 우려가 해소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기체는 통과될 수 있고 액체는 통과될 수 없도록 구성되는 필터(310)는 기존에 이미 여러 분야에서 상용화되어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콧물수납통(300)이 콧물로 꽉 찬 경우, 사용자는 콧물수납통(300)을 본체(200) 외부로 인출하여 내부에 담겨진 콧물을 제거하거나, 콧물수납통(300)을 교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콧물수납통(300)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콧물수납통(300)이 결합되는 부위에는 힌지(222)결합되는 덮개(220)가 마련되는데, 덮개(220)의 구조 및 활용에 관한 상세한 내용은 이하 별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체(200)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용이하게 거머쥘 수 있는 형상의 손잡이(230)가 마련되므로, 사용자는 한 손으로 콧물흡입기를 들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콧물흡입기는, 흡입모터(400)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부(500)가 저면에 구비된 충전단자(510)를 통해 충전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어 손잡이(230)의 내부에 결합되는 충전배터리로 적용되므로, 종래의 콧물흡입기와 같이 흡입모터(400)로의 전원인가를 위하여 본체(200) 외부로 연장되는 별도의 전선이 필요치 아니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장소에 구애받지 아니하고 언제 어디서든 본 고안에 의한 콧물흡입기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원부(500)가 충전배터리로 사용되고 있지만, 전원부(500)는 본 실시예에 언급된 충전배터리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일반 일회용 배터리 등과 같이 자체적으로 전원을 발생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구성으로도 변경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콧물흡입기의 사용예를 도시한다.
본 고안에 의한 콧물흡입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관(100)이 콧구멍 내부로 인입된 후 콧물을 흡입하도록 구성되는데, 일반적으로 사람의 콧구멍은 개인의 특성에 따라 그 형상이 모두 상이하므로, 흡입관(100)은 콧구멍 속으로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도록 일정 크기 이상의 탄성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때 흡입관(100)은 지나치게 유연하도록 형성되면 콧구멍 내부로의 인입이 어려우므로, 일정 크기 이상의 강도를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6은 콧물수납통이 탈착되는 형상을 도시하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콧물흡입기의 사시도이고, 도 7은 콧물수납통의 장착위치를 도시하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콧물흡입기의 부분 사시도이다.
콧물수납통(300) 내부에 콧물이 꽉 찬 경우 사용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220)를 개방시킴으로써, 콧물수납통(300)을 본체(200) 외부로 인출하여 콧물수납통(300) 내부에 쌓인 콧물을 제거하거나, 새로운 콧물수납통(300)으로 교체할 수 있다.
이때 콧물수납통(300)이 결합되는 부위에는 콧물수납통(300)의 결합위치를 가이드하는 거치대(230)가 마련된다. 거치대(230)는 상면에 하향으로 오목한 안착홈(242)이 형성되고, 콧물수납통(300)은 입구측 외주면이 안착홈(242)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되므로, 거치대(230)에 결합된 콧물수납통(300)은 본체(200)의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충격에 의해 결합위치가 변경되지 아니한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콧물흡입기는, 왕복 공기펌프를 이용한 콧물 흡입기보다 큰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한 손으로 사용할 수 있을 만큼 제품의 크기가 작고 구조가 간단하여 휴대성이 좋으며, 내부로 유입되는 콧물에 의해 부품의 손상이 발생하지 아니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콧물 흡입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콧물 흡입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콧물흡입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콧물흡입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콧물흡입기의 사용예를 도시한다.
도 6은 콧물수납통이 탈착되는 형상을 도시하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콧물흡입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콧물수납통의 장착위치를 도시하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콧물흡입기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흡입관 110 : 흡입구
200 : 본체 210 : 공기배출구
220 : 덮개 222 : 힌지
230 : 손잡이 240 : 거치대
242 : 안착홈 300 : 콧물수납통
310 : 필터 400 : 흡입모터
500 : 전원부 510 : 충전단자
600 : 스위치

Claims (10)

  1. 길이방향으로 내부를 관통하는 흡입구(110)가 형성되고, 일단이 콧구멍으로 인입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흡입관(100);
    콧물을 담을 수 있는 수납공간이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흡입관(100)과 연결되는 입구와, 기체는 통과할 수 있고 액체는 통과할 수 없도록 필터(310)가 장착되는 출구가 형성되는 콧물수납통(300);
    상기 필터(310)를 통해 상기 콧물수납통(30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모터(400);
    상기 흡입모터(400)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5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콧물흡입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100)과 상기 콧물수납통(300)과 상기 흡입모터(400)와 상기 전원부(500)를 수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흡입구(110)가 내부공간과 연결되도록 상기 흡입관(100)의 타단이 일측에 결합되는 본체(2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콧물흡입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0)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용이하게 거머쥘 수 있는 형상의 손잡이(230)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콧물흡입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0)는 공기가 배출되는 흡입모터(400)의 일측과 대응되는 부위에 공기배출구(2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콧물흡입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콧물수납통(300)은 상기 본체(200)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200)는 상기 콧물수납통(300)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개폐되는 덮개(220)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콧물흡입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500)는 본체(200) 내부에 결합되는 배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콧물흡입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본체(200) 외부로 노출 가능한 충전단자(510)를 구비하는 충전배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콧물흡입기.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100)은, 적어도 콧구멍 내부로 인입되는 일단이 거칠기가 작은 플라스틱 또는 고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콧물흡입기.
  9.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100)은, 일정 크기 이상의 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콧물흡입기.
  10.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100)은, 콧구멍 내부로 인입되는 일단의 외측면이 둥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콧물흡입기.
KR20050012903U 2005-05-09 2005-05-09 휴대용 콧물 흡입기 KR2003908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12903U KR200390834Y1 (ko) 2005-05-09 2005-05-09 휴대용 콧물 흡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12903U KR200390834Y1 (ko) 2005-05-09 2005-05-09 휴대용 콧물 흡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0834Y1 true KR200390834Y1 (ko) 2005-07-28

Family

ID=40566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12903U KR200390834Y1 (ko) 2005-05-09 2005-05-09 휴대용 콧물 흡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083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17272A1 (en) * 2007-07-27 2009-02-05 Welbutech Co., Ltd. Breathing relief kit
KR20200023800A (ko) 2018-08-27 2020-03-06 바이오뱅크 주식회사 코 흡입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17272A1 (en) * 2007-07-27 2009-02-05 Welbutech Co., Ltd. Breathing relief kit
KR20200023800A (ko) 2018-08-27 2020-03-06 바이오뱅크 주식회사 코 흡입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49424B1 (en) Combination lung ventilation and mucus clearance apparatus
US8696648B2 (en) Nasal aspirator
US8100886B2 (en) Aspirator assembly
JP2005518875A (ja) 携帯可能な電池作動式吸入器
US20020058915A1 (en) Portable modular chest drainage system
JP2001218831A (ja) 携帯用鼻水吸入器
KR100900317B1 (ko) 콧물 흡인 장치
KR200390834Y1 (ko) 휴대용 콧물 흡입기
CN201596152U (zh) 手握式活塞吸痰器
US20090105674A1 (en) Snivel aspirator
CN108478913B (zh) 一种病人吸氧设备
CN213526718U (zh) 一种适用于气管切开病人开放性自动吸痰的装置
CN109481750A (zh) 一种耳鼻喉科用吸痰清洁装置
CN108578865B (zh) 一种多功能病人吸氧设备
TWI743011B (zh) 具有震盪指示功能的可攜式吐氣正壓震盪器
CN211244776U (zh) 一种内科医生用急救吸痰面罩
CN108543181B (zh) 一种非接触式多功能病人吸氧设备
CN114832190A (zh) 一种便携式正压排痰呼吸训练器
CN209286281U (zh) 一种急救护理用呼吸道负压吸引装置
US20050197640A1 (en) Portable battery operated aspirator
CN209847943U (zh) 呼吸科护理吸痰装置
CN210205440U (zh) 智能自动吸痰装置
CN216169240U (zh) 一种便携式正压排痰呼吸训练器
CN215132398U (zh) 一种内科护理吸痰装置
CN116271394B (zh) 一种便捷辅助呼吸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