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0810Y1 - 능동형 알에프아이디칩을 이용한 미아 예방 시스템 - Google Patents

능동형 알에프아이디칩을 이용한 미아 예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0810Y1
KR200390810Y1 KR20-2005-0011086U KR20050011086U KR200390810Y1 KR 200390810 Y1 KR200390810 Y1 KR 200390810Y1 KR 20050011086 U KR20050011086 U KR 20050011086U KR 200390810 Y1 KR200390810 Y1 KR 2003908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g
signal
guardian
distance
rfid c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10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영호
Original Assignee
강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영호 filed Critical 강영호
Priority to KR20-2005-00110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08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08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08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Abstract

본 고안은 능동형 알에프아이디칩을 이용한 미아 예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하기의 알에프리더기의 요청에 따른 보호자 정보 및 상호 식별 가능한 소정의 코드정보로 구성된 고유한 식별정보를 저장하며, 하기의 위치확인 명령 신호에 대한 확인 신호를 송신하는 다수개의 태그(100); 및 무선통신을 통해 코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태그를 등록하며, 보호자로부터 입력받은 보호자 정보를 상기 태그에 저장시키고, 상기 각각의 태그에 대하여 최대 허용 거리를 설정한 후,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태그로 주기적인 위치확인 명령 신호를 송신하고, 태그로부터 상기 위치확인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확인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확인 신호의 신호 세기를 기반으로 거리를 산출하며, 그 산출된 거리가 상기 태그에 기설정된 최대 허용 거리를 벗어나는지 여부와 확인 신호가 수신되지 아니한 태그를 식별하여 그 결과를 소정의 출력정보로 보호자에게 출력하며, 상기 태그로부터 위험신호를 수신하였을 경우, 위험신호에 포함된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위험신호를 송신한 태그를 식별함과 아울러 경고음을 출력시키고 지속적인 거리 측정을 통해 위치 추적을 수행하는 알에프리더기(200);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능동형 알에프아이디칩을 이용한 미아 예방 시스템{SYSTEM FOR PREVENTING MISSING CHILDREN USING RFID-CHIP}
본 고안은 무선통신 송ㆍ수신 방식을 이용하여 각종 미아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능동형 알에프아이디칩이 내장된 태그와 이를 관리하는 알에프리더기를 이용한 미아 예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대표적인 미아 방지를 위한 시스템 및 이에 대한 방법에 관해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65014호("블루투스를 이용한 미아방지 장치")(이하, "선행특허1"이라 한다)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특허1은, 피보호자의 음성을 입력받은 음성신호 입력부와, 상기 피보호자의 보호자가 전송하는 음성을 상기 피보호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음성신호 처리부와, 상기 보호자와 소정의 무선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블루투스부와, 상기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서브모듈 및 상기 보호자의 음성신호를 입력받은 음성신호 입력부와, 상기 서브모듈로부터 전송받은 피보호자의 음성신호를 상기 보호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음성신호 처리부와, 상기 피보호자와 소정의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블루투스부와, 상기 블루투스부를 통해 전송받은 송신전력을 감지하여 측정수신레벨을 산출하는 수신레벨 감지부와, 기준수신레벨을 설정하고 상기 수신레벨 감지부로부터 전송받는 측정수신레벨과 비교하여 측정수신레벨이 기준수신레벨에서 벗어나는 경우, 경고음의 발생과 함께 통화모드로 전환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메인모듈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선행특허1은 메인모듈이 서브모듈로부터 기설정된 일정 거리를 벗어나면 소정의 경고음과 함께 통화모드로 전환되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이 다수의 구성요소를 필요로 하는 바, 전체적인 무게 및 부피가 증가하게 되며, 더욱이 메인모듈을 소지한 피보호자의 위치 파악이 어려우며, 특히 보호자와 원활한 대화를 수행할 수 없는 영아와 같은 피보호자의 경우에는 상기 선행특허1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 달성이 용이치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미아 방지를 위한 시스템 및 이에 대한 방법에 관해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43534호("미아방지 또는 미아추적을 위한 위치안내 시스템 및 방법")(이하, "선행특허2"라 한다)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특허2는,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송신부가 송신하는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로부터 위치 정보를 제공받아 안내하는 위치안내 제어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선행특허2는 송신부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송신부를 소지한 피보호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을 구현하고 있으나, 무게 및 부피가 커지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상기 송신부에서 송출되는 위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고가의 설치 비용이 소요되는 다수의 기지국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미아 방지를 위한 시스템 및 이에 대한 방법들은 단순히 피보호자의 위치 파악만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바, 피보호자가 위험 상황에 처했을 경우 이를 보호자에게 알릴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제공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종래에 비해 보다 용이하게, 미아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능동형 알에프아이디칩을 이용한 미아 예방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보호자와의 대화 수행 능력이 떨어지는 피보호자의 경우에도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능동형 알에프아이디칩을 이용한 미아 예방 시스템을 제공함에도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피보호자가 위험 상황에 처했을 경우 이를 보호자에게 알릴 수 있는 능동형 알에프아이디칩을 이용한 미아 예방 시스템을 제공함에도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능동형 알에프아이디칩을 이용한 미아 예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하기의 알에프리더기(200)의 요청에 따른 보호자 정보 및 상호 식별 가능한 소정의 코드정보로 구성된 고유한 식별정보를 저장하며, 하기의 위치확인 명령 신호에 대한 확인 신호를 송신하는 다수의 태그(100); 및 무선통신을 통해 코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태그(100)를 등록하며, 보호자로부터 입력받은 보호자 정보를 상기 태그(100)에 저장시키고, 상기 각각의 태그(100)에 대하여 최대 허용 거리(R)를 설정한 후,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태그(100)로 주기적인 위치확인 명령 신호를 송신하고, 태그(100)로부터 상기 위치확인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확인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확인 신호의 신호 세기를 기반으로 거리를 산출하며, 그 산출된 거리가 상기 태그(100)에 기설정된 최대 허용 거리(R)를 벗어나는지 여부와 확인 신호가 수신되지 아니한 태그(100)를 식별하여 그 결과를 소정의 출력정보로 보호자에게 출력하며, 상기 태그(100)로부터 위험신호를 수신하였을 경우, 위험신호에 포함된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위험신호를 송신한 태그(100)를 식별함과 아울러 경고음을 출력시키고 지속적인 거리 측정을 통해 위치 추적을 수행하는 알에프리더기(200); 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알에프리더기(200)가, 최대 허용 거리(R)를 벗어난 태그를 식별하였을 경우, 위치이탈 신호를 상기 태그(100)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태그(100)는, 상기 고유한 식별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위치확인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위치확인 신호를 송신하는 RFID칩(110)과, 소형의 스피커 내지는 부저로 구성되어 경고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출력부(120)와, 피보호자가 위험상황 또는 응급상황에 처했을 경우 이를 보호자에게 알리기 위한 소정의 위험신호를 발생시키는 누름방식의 버튼으로 구성된 입력부(130)와,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40), 및 코일로 이루어진 안테나(10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RFID칩(110)이, 피보호자에 의해 상기 입력부(130)가 눌렸음을 감지할 경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위험신호를 알에프리더기(200)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RFID칩(110)이, 상기 알에프리더기(200)로부터 위치이탈 신호를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출력부(120)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알에프리더기(200)는, 안테나(201)와, 상기 태그(100)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며 수신한 소정의 신호에 대한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송수신부(210)와, 다수의 기능 버튼을 포함하여 보호자에 의한 소정의 눌림신호를 감지하는 입력부(220)와, 상기 출력정보를 문자 또는 음성의 형태로 출력하는 출력부(230)와,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240), 및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는 소정의 운용 소프트웨어에 의해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운용 소프트웨어는, 상기 송수신부(210)를 통해 측정된 소정 신호의 세기를 기반으로 거리를 산출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소정의 출력정보는, 코드정보와, 상기 코드정보에 해당하는 태그(100)의 기설정된 최대 허용 거리(R), 및 산출된 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출력정보가 보호자에게 출력된 이후에 상기 최대 허용 거리를 벗어난 태그(100)에 대한 위치 추적 요청이 있을 경우, 상기 알에프리더기(200)가 위치확인 명령 신호에 대한 확인 신호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상기 최대 허용 거리(R)를 벗어난 태그(100)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보호자에게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태그(100)의 형태는, 손목시계 형태 또는 목걸이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 본 고안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알에프아이디칩을 이용한 미아 예방 시스템에 관하여 도 1a 및 도 1b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알에프아이디칩을 이용한 미아 예방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1b 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알에프아이디칩을 이용한 미아 예방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2a 내지 도 3c 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 따른 태그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 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알에프리더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상기 도 1a 및 1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능동형 알에프아이디칩을 이용한 미아 예방 시스템(이하, "미아 예방 시스템"이라 한다)은, 고유한 식별정보를 갖는 태그(100) 및 이를 무선통신(RF)방식으로 판독ㆍ해독하는 알에프리더기(200)를 포함한다. 전체적으로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미아 예방 시스템은, 전술한 바와 같이 미아의 발생 예방이라는 본 고안의 특징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알에프아이디(RFID, Radio Frequency Indentification)시스템을 이용한다. 주지하다시피, 이러한 RFID 시스템은 RFID의 특징적인 작동 양상에 의해 스마트 태그(Smart Tag)라고도 일컬어진다. 상기 RFID시스템은 소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신호를 통해 비접촉식으로 물건에 부착된 얇은 평면 형태의 알에프아이디 태그(RFID 태그)를 식별하여 처리하는 시스템으로서, 판독 및 해독 기능을 수행하는 알에프(RF) 방식의 리더기와 고유한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태그, 그리고 소정의 운용 소프트웨어로 이루어져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별도의 유무선통신 방식의 네트워크 시스템이 더 포함되기도 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고안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른 태그(100)는, 도 1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기의 알에프리더(200)의 요청에 따라 고유한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하기에서 설명될 확인 신호를 전송하는 RFID칩(110)과, 소형의 스피커 내지는 부저로 구성되어 경고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출력부(120)와, 피보호자가 위험상황 내지는 응급상황에 처했을 경우 이를 보호자에게 알리기 위한 소정의 위험신호를 발생시키는 누름방식의 버튼으로 구성된 입력부(130)와,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40), 및 얇은 박판 형태의 코일로 이루어진 안테나(101)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피보호자가 위험상황 내지 응급상황 발생시 상기 입력부(130)를 눌렀을 경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위험신호를 하기의 알에프리더기(200)로 송신하게 된다. 부연하여, RFID칩(110)은 하기에서 설명될 위치이탈 신호를 알에프리더기(200)로부터 수신할 경우, 출력부(120)를 통해 소정의 경고음을 출력시키며, 이에 따라 상기 경고음을 청취한 피보호자는 자신이 최대 허용 거리(R)를 벗어났음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태그(100)는 위험신호를 알에프리더기(200)로 송신함과 아울러 출력부(120)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시키는 것으로도 설정할 수 있으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특징적인 구성을 갖는 태그(100)와 같이 자체적으로 RF신호를 송신하고, 자체의 전원부(140)로부터 모든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는 태그는, 이른바 능동형 태그라고 일컬어지며, 상기와 같은 태그(100)는 보호자가 관리하고자 하는 피보호자에게 다양한 형태로 소지케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피보호자가 용이하게 소지할 수 있는 형태의 태그(100)는, 전체적으로 소형이며 그 무게가 가벼운 형태로서, 도 2a 내지 도 2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목시계 형태로 설정할 수 있으며, 도 3a 내지 도 3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걸이 형태로 설정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태그(100)의 외관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는 바, 본 고안이 상기 태그(100)의 외관 또는 그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적으로, 상기 능동형 태그와 대비되는 수동형 태그는 리더기로부터 수신한 무선신호를 변형 반사시킴과 아울러 상기 무선 신호에 의해 안테나(101)에 야기되는 유도전류를 이용하여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생성하는 특징을 갖는다. 물론, 상기와 같은 수동형 태그가 능동형 태그에 비해 유지ㆍ관리가 용이하나, 전원 생성을 위해서는 태그와 리더기 간의 거리가 유도성 결합이 가능한 0.16λ(람다, 파장) 이내에 들어야 가능하므로, 대략 13.56MHz 이하의 낮은 주파수를 활용해야 하고, 따라서 통신 거리도 1m 이내로 매우 짧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른 태그(100)는 보다 넓은 통신 유효 거리(통상적으로는 3m 이상이나, 전원부 및 안테나의 구조에 따라 50m 이상까지도 가능하다)를 갖는 능동형 태그 방식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유한 식별정보는 보호자에 대한 정보(이하, "보호자 정보"라 한다) 및 각각의 태그(100)가 상호 식별될 수 있는 소정의 코드정보인 것으로 설정하겠으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알에프리더기(200)는, 도 1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태그(100)와의 무선 송수신 기능을 수행하며, 수신된 소정의 신호에 대한 신호 세기 측정하는 송수신부(210)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다수개의 기능 버튼을 포함하여 이에 대한 눌림 신호를 감지하는 입력부(220)와, 작동에 관련된 정보를 문자 또는음성의 형태로 출력하는 출력부(230)와,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240), 및 상기 알에프리더기(200)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250)로 구성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송수신부(210)를 통한 무선 신호의 원활한 송신ㆍ수신을 위해 안테나(201)가 더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안테나(201)는 알에프리더기(200)의 외부 또는 내부(Built-In)에 설치되는 다양한 방식의 안테나로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출력부(230)는 LCD와 같은 디스플레이와, 부저와 같은 소형 스피커로 설정하겠으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특징적인 일 양상에 따른 알에프리더기(200)는, 마이크로프로세서(250)의 제어에 의한 무선통신을 통해, 각각의 태그(100)에 보호자 정보를 저장시킬 수 있으며, 상기 각각의 태그(100)를 고유한 식별정보를 기준으로 등록하여 관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보호자 정보는 보호자로부터 입력부(220)를 통해 입력받은 정보이며, 이러한 정보는 마이크로프로세서(250)의 내부 메모리에 등록 및 저장되어 반복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참고적으로, 상기 알에프리더기(200)는 국제표준화기구/국제전기표준회의(ISO/IEC)의 최종표준안(18000-7의 6.3.4 Anti-collision Parameters)에 의거하여, 각각의 태그(100)를 어떠한 논리적 충돌없이 3,000개 까지 광범위하게 등록하여 관리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갯수의 상한선은 기술발전에 의해 변동되는 것은 자명한 바, 본 고안이 태그(100) 등록에 관련한 그 상한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고안의 특징적인 다른 양상에 따른 알에프리더기(200)는, 소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등록된 태그(100)들에 위치확인 명령 신호를 송수신부(210)를 통해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위치확인 명령 신호를 수신한 각각의 태그(100)는 이에 대한 확인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이때, 각각의 태그(100)로부터 송신되는 확인 신호에는 고유한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수신한 알에프리더기(200)는 송수신부(210)를 통해 수신한 확인 신호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알에프리더기(200)와 각각의 태그(100) 간의 거리를 산출하게 된다. 이러한 거리 산출을 통해 기설정된 거리(최대 허용 거리) 이상 벗어난 태그(100)가 식별될 경우, 해당 태그(100)의 식별정보 및 산출된 거리, 그리고 소정의 경고음을 출력부(230)로 출력시키며, 이와 아울러 최대 허용 거리를 벗어난 상기 태그(100)로 위치이탈 신호를 송신한다.
따라서, 보호자는 해당 태그(100)를 소지한 피보호자의 이탈 여부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태그(100) 각각은 보호자가 입력부(220)를 통해 입력한 소정의 수치정보(최대 허용 거리, R)에 의해 개별적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호자는 태그(100)를 소지한 피보호자가 상기 알에프리더기(200)를 소지한 보호자로부터 떨어질 수 있는 최대 허용 거리(R)를 유연하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특징적인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알에프리더기(200)는, 등록된 각각의 태그(100)로부터 전술한 바와 같은 위치확인 명령 신호에 대한 확인 신호가 수신되지 아니한 태그(100)들과, 최대 허용 거리를 벗어난 태그(100)의 식별정보를 리스트 형식으로 가공하여 출력부(230)로 출력시키며, 상기 최대 허용 거리(R)를 벗어난 태그들 중에서 보호자가 입력부(220)를 통해 위치 추척을 하고자 하는 태그(100)가 선택될 경우, 해당 태그(100)에 대한 추적모드가 수행된다. 이러한 위치 추적모드는 위치확인 명령 신호에 대한 지속적인 확인 신호 수신을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이 신호의 세기를 기반으로 한 실시간적인 거리 산출이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하며, 이에 따라 알에프리더기(200)를 소지한 보호자는 해당 태그(100)를 소지한 피보호자를 향해 이동하면서 추적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거리 산출에 관련한 기능은 마이크로프로세서(250) 내의 메모리에 저장되는 운용 소프트웨어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고안의 보다 특징적인 양상에 따른 알에프리더기(200)는, 상기 태그(100)로부터 위험신호를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위험신호에 포함된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태그(100)를 식별하고, 소정의 경고음을 출력시킴과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은 추적모드를 자동적으로 수행한다. 이러한 특징적인 작동에 의해 보호자는 피보호자의 위험상황 내지는 위기상황에 대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술한 구성과 특징적인 기능을 갖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아 예방 시스템을 이용한 미아 예방 방법에 관하여 도 5a 내지 도 5c 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a 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알에프아이디칩을 이용한 미아 예방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며, 도 5b 및 도 5c 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알에프아이디칩을 이용한 미아 예방 방법의 세부 흐름도이다.
첨부된 도 5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에프리더기(200)의 마이크로프로세서(250)는, 먼저 송수신부(210)를 통한 무선통신으로 태그(100)를 식별 가능하게 등록한다(S510). 더욱 구체적으로, 이러한 단계는 도 5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프로세서(250)가 태그(100)의 식별 코드정보를 읽어 들여 내부 메모리에 등록 및 저장하고(S512), 입력부(220)를 통해 보호자로부터 태그(100)의 최대 허용 거리(R) 및 보호자 정보를 입력받아 태그(100)에 저장시킨다(S514, S516).
이때, 제 S514 단계에서 설정된 태그(100)의 최대 허용 거리(R)는 제 S512 단계에서 저장되는 태그(100)의 식별 코드정보를 기반으로 저장된다. 따라서, 하기에서 설명될 알에프리더기(200)의 주기적인 위치확인 명령 신호에 상응한 태그(100)의 확인 신호로부터 태그(100)가 기설정된 최대 허용 거리(R) 안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호자 정보는, 입력부(220)을 통해 다수의 문자 또는 숫자, 혹은 문자 및 숫자의 조합으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이 그 조합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마이크로프로세서(250)는, 송수신부(210)를 통해 기등록된 다수의 태그(100)들로 위치확인 명령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위치확인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확인 신호를 다수의 태그(100)들로부터 수신한다(S520, S530). 여기에서, 상기 위치확인 명령 신호는, 태그(100)가 이를 수신하였을 경우 태그(100)에 저장되어 있는 고유한 식별정보를 포함하여 소정의 코드로 구성된 확인 신호를 전송하라는 알에프리더기(200)와 태그(100) 간에 협약된 명령 신호이다. 한편, 상기 송수신부(210)를 통해 다수의 태그(100)로부터 확인 신호를 수신한 마이크로프로세서(250)는, 수신한 확인 신호 내에 포함되어 있는 고유한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확인 신호가 어느 태그로부터 전송된 것인지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전술한 확인 신호를 식별한 마이크로프로세서(250)는, 내부의 운용 소프트웨어을 이용하여 각각의 확인 신호의 신호 세기로부터 거리를 산출하고, 그 각각의 산출된 거리가 기설정된 해당 태그(100)의 최대 허용 거리 내에 있는지 유효성 여부를 판단한다. 이와 아울러, 마이크로프로세서(250)는 수신한 각각의 확인 신호를 기등록된 태그(100)와 매칭시킴으로써, 확인 신호 수신이 누락된 태그(100)를 목록 형식으로 식별한다(S540). 여기에서, 상기 확인 신호 수신이 누락된 태그(100)는 최대 허용 거리(R)를 상회하여 확인 신호 수신이 불가능한 거리로 벗어난 경우이거나, 또는 태그(100)의 파손 내지는 작동 불능 상태인 경우의 태그(100)로 추정이 가능하다.
상기 제 S540 단계 이후에 마이크로프로세서(250)는, 그 거리가 식별된 태그(100)들 중에서, 최대 허용 거리(R)를 벗어난 태그(100)들에 대한 식별 코드정보 및 산출된 거리를 포함하는 정보 및/또는 소정의 경고성 음을 출력부(230)로 출력시킨다(S550). 이때, 마이크로프로세서(250)는 최대 허용 거리(R)을 벗어난 태그(100)로 위치이탈 신호를 송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출력부(230)를 통해 출력되는 정보는 최대 허용 거리(R)를 벗어난 태그(100)들 뿐만이 아니라 기등록된 다수의 태그(100)들 각각을 포함하여, 예컨대 "식별 코드정보 - 최대 허용 거리 - 현재 거리"의 형식으로 목록 형태로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목록 중에서 최대 허용 거리를 벗어난 태그들과, 확인 신호가 수신되지 아니한 태그들의 항목은 다른 정상적인 태그들과 구분될 수 있도록 하이라이트(Highlight)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와 같은 일련의 부수적인 절차(목록 형식으로 출력, 하이라이트)는, 본 기술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마이크로프로세서(250)에 포함되는 운용 소프트웨어를 응용 내지는 변형시킴으로써, 구현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본 실시예에서, 알에프리더기(200)에 기등록된 태그(100)들 각각은 "식별 코드정보 - 최대 허용 거리 - 현재 거리"의 형식으로 출력부(230)를 통해 보호자에게 출력되는 것으로 설정하였으나, 본 고안이 그 형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출력부(230)를 통해 출력된 태그(100)의 목록에서, 보호자가 특정 태그(최대 허용 거리를 벗어난 태그)를 입력부(220)를 통해 선택함으로써, 해당 태그의 위치 추적을 할 수 있다(S560). 이를 위해서 마이크로프로세서(250)는, 도 5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200)를 통해 선택된 특정 태그로 주기적인 위치확인 명령 신호를 전송한 후(S562), 상기 특정 태그로부터 수신되는 확인 신호를 수신하여(S564), 상기 수신된 확인 신호의 신호 세기를 기반으로 거리를 산출하고, 이에 대한 결과를 출력부(230)로 출력시킴으로써, 알에프리더기(200)를 소지한 보호자가 이동하면서 특정 태그(100)를 소지한 피보호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S562 단계 내지 제 S566 단계는, 전술한 제 S520 단계 내지 제 S540 단계와 동일하며, 특정 태그(100)를 소지한 피보호자에 대한 위치 추적 방법을 예시하기 위하여 기술하였음을 밝힌다.
그리고, 도 5a 에 도시된 제 S570 단계는, 본 고안의 특징적인 단계로서, 피보호자가 태그(100)에 구비된 입력부(130)을 누름으로써 위험신호를 송신하였을 경우, 이를 수신한 마이크로프로세서(250)는 위험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식별코드에 해당하는 태그(100)를 식별한 후, 소정의 경고음을 출력부(230)로 출력시키고 전술한 제 S560 단계를 실행시킴으로써, 위기상황 또는 위험상황에 처한 해당 태그(100)를 소지한 피보호자를 추적하게 된다.
지금까지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미아 예방 시스템은, 기등록된 태그(100)를 소지한 피보호자 각각에 대하여 알에프리더기(200) 간의 거리를 주기적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기설정된 최대 허용 거리(R)를 벗어나는 경우, 또는 위험신호를 송신한 태그(100)가 있을 경우, 이를 보호자가 식별하여 적절한 후속 조치를 취함으로써, 보다 적극적으로 미아 발생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는 특징적인 장점을 갖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종래에 비해 보다 용이하게 미아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보호자와의 대화 수행 능력이 떨어지는 피보호자의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은 위치추적을 통해 미아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르면, 피보호자가 위험 상황에 처했을 경우 위험신호 송출을 통해 보호자에게 알림으로써, 보호자가 실시간적인 위치추적을 통한 후속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a 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알에프아이디칩을 이용한 미아 예방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1b 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알에프아이디칩을 이용한 미아 예방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a 내지 도 3c 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 따른 태그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4a 내지 도 4c 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알에프리더기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5a 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알에프아이디칩을 이용한 미아 예방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b 및 도 5c 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알에프아이디칩을 이용한 미아 예방 방법의 세부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태그(TAG) 101 : 안테나
110 : RFID칩 120 : 출력부
130 : 입력부 140 : 전원부
200 : 알에프리더기 201 : 안테나
210 : 송수신부 220 : 입력부
230 : 출력부 240 : 전원부
250 : 마이크로프로세서

Claims (11)

  1. 능동형 알에프아이디칩을 이용한 미아 예방 시스템에 있어서,
    하기의 알에프리더기(200)의 요청에 따른 보호자 정보 및 상호 식별 가능한 소정의 코드정보로 구성된 고유한 식별정보를 저장하며, 하기의 위치확인 명령 신호에 대한 확인 신호를 송신하는 다수의 태그(100); 및
    무선통신을 통해 코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태그(100)를 등록하며, 보호자로부터 입력받은 보호자 정보를 상기 태그(100)에 저장시키고, 상기 각각의 태그(100)에 대하여 최대 허용 거리(R)를 설정한 후,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태그(100)로 주기적인 위치확인 명령 신호를 송신하고, 태그(100)로부터 상기 위치확인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확인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확인 신호의 신호 세기를 기반으로 거리를 산출하며, 그 산출된 거리가 상기 태그(100)에 기설정된 최대 허용 거리(R)를 벗어나는지 여부와 확인 신호가 수신되지 아니한 태그(100)를 식별하여 그 결과를 소정의 출력정보로 보호자에게 출력하며, 상기 태그(100)로부터 위험신호를 수신하였을 경우, 위험신호에 포함된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위험신호를 송신한 태그(100)를 식별함과 아울러 경고음을 출력시키고 지속적인 거리 측정을 통해 위치 추적을 수행하는 알에프리더기(2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알에프아이디칩을 이용한 미아 예방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에프리더기(200)가,
    최대 허용 거리(R)를 벗어난 태그를 식별하였을 경우, 위치이탈 신호를 상기 태그(100)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알에프아이디칩을 이용한 미아 예방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100)는,
    상기 고유한 식별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위치확인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위치확인 신호를 송신하는 RFID칩(110)과, 소형의 스피커 내지는 부저로 구성되어 경고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출력부(120)와, 피보호자가 위험상황 또는 응급상황에 처했을 경우 이를 보호자에게 알리기 위한 소정의 위험신호를 발생시키는 누름방식의 버튼으로 구성된 입력부(130)와,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40), 및 코일로 이루어진 안테나(10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알에프아이디칩을 이용한 미아 예방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RFID칩(110)이,
    피보호자에 의해 상기 입력부(130)가 눌렸음을 감지할 경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위험신호를 알에프리더기(200)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알에프아이디칩을 이용한 미아 예방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RFID칩(110)이,
    상기 알에프리더기(200)로부터 위치이탈 신호를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출력부(120)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알에프아이디칩을 이용한 미아 예방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에프리더기(200)는,
    안테나(201)와, 상기 태그(100)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며 수신한 소정의 신호에 대한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송수신부(210)와, 다수의 기능 버튼을 포함하여 보호자에 의한 소정의 눌림신호를 감지하는 입력부(220)와, 상기 출력정보를 문자 또는 음성의 형태로 출력하는 출력부(230)와,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240), 및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는 소정의 운용 소프트웨어에 의해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알에프아이디칩을 이용한 분실물 예방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운용 소프트웨어는,
    상기 송수신부(210)를 통해 측정된 소정 신호의 세기를 기반으로 거리를 산출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알에프아이디칩을 이용한 미아 예방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출력정보는,
    코드정보와, 상기 코드정보에 해당하는 태그(100)의 기설정된 최대 허용 거리(R), 및 산출된 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알에프아이디칩을 이용한 미아 예방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정보가 보호자에게 출력된 이후에 상기 최대 허용 거리를 벗어난 태그(100)에 대한 위치 추적 요청이 있을 경우,
    상기 알에프리더기(200)가 위치확인 명령 신호에 대한 확인 신호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상기 최대 허용 거리(R)를 벗어난 태그(100)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보호자에게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알에프아이디칩을 이용한 미아 예방 시스템.
  10.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100)의 형태는,
    손목시계 형태 또는 목걸이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알에프아이디칩을 이용한 미아 예방 시스템.
  11. 삭제
KR20-2005-0011086U 2005-04-21 2005-04-21 능동형 알에프아이디칩을 이용한 미아 예방 시스템 KR2003908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086U KR200390810Y1 (ko) 2005-04-21 2005-04-21 능동형 알에프아이디칩을 이용한 미아 예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086U KR200390810Y1 (ko) 2005-04-21 2005-04-21 능동형 알에프아이디칩을 이용한 미아 예방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2996 Division 2005-04-21 2005-04-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0810Y1 true KR200390810Y1 (ko) 2005-07-27

Family

ID=43692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1086U KR200390810Y1 (ko) 2005-04-21 2005-04-21 능동형 알에프아이디칩을 이용한 미아 예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081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347B1 (ko) 2005-08-17 2012-04-1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전파식별에 의한 위치파악 시스템 및 방법
KR101217042B1 (ko) 2010-06-03 2012-12-31 김학성 긴급 신호 송수신 기능을 구비한 장치
KR101281872B1 (ko) 2012-05-15 2013-07-03 황태연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개인 위험인식 및 알림 시스템 및 방법
CN112717297A (zh) * 2020-12-29 2021-04-30 青岛海丽雅集团有限公司 一种智能定位消防安全绳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347B1 (ko) 2005-08-17 2012-04-1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전파식별에 의한 위치파악 시스템 및 방법
KR101217042B1 (ko) 2010-06-03 2012-12-31 김학성 긴급 신호 송수신 기능을 구비한 장치
KR101281872B1 (ko) 2012-05-15 2013-07-03 황태연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개인 위험인식 및 알림 시스템 및 방법
CN112717297A (zh) * 2020-12-29 2021-04-30 青岛海丽雅集团有限公司 一种智能定位消防安全绳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2953B1 (ko) 능동형 알에프아이디칩을 이용한 미아 예방 시스템 및 그방법
US10331609B2 (en) System for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wireless peripherals and back-end systems via a peripheral hub
US20110300905A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an Object Using a Mobile Device
US20060033623A1 (en) RFID multiple range method and system
US8179232B2 (en) RFID interrogator with adjustable signal characteristics
US20060139167A1 (en) Object positioning system, object positioning apparatus and object positioning method
CN101512546A (zh) 射频识别多普勒运动检测器
US11188806B2 (en) System and method for supervising a person
CA2526994A1 (en) A portable communications device
JP2008209965A (ja) 移動体の移動経路検出システム及び装身具
KR200390810Y1 (ko) 능동형 알에프아이디칩을 이용한 미아 예방 시스템
KR20060111232A (ko) 능동형 알에프아이디칩을 이용한 분실물 예방 시스템 및 그방법
US20230298448A1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tag location verification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JP2009213036A (ja) 物品の紛失防止及び位置検出システム
KR200397624Y1 (ko) 능동형 알에프아이디칩을 이용한 미아 예방 시스템
KR101281832B1 (ko) 애완견 위치알림 시스템
JP4821117B2 (ja) 無線タグ通信システム
US9293021B2 (en) Object monitoring system using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tags having tag-specific identifiers
KR200397625Y1 (ko) 능동형 알에프아이디칩을 이용한 분실물 예방 시스템
KR20150055304A (ko) 휴대품 분실 예방 시스템
JP2008145355A (ja) 無線タグの位置標定装置
US20180075729A1 (en) Tether System
US10762762B2 (en) Inventory systems with sensor-driven tag read points
KR200391224Y1 (ko) 능동형 알에프아이디칩을 이용한 분실물 예방 시스템
KR20100136847A (ko) 이탈 감지 방법, 그 장치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