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9377Y1 - 원료하역부두의 해양오염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원료하역부두의 해양오염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9377Y1
KR200389377Y1 KR20-2005-0009594U KR20050009594U KR200389377Y1 KR 200389377 Y1 KR200389377 Y1 KR 200389377Y1 KR 20050009594 U KR20050009594 U KR 20050009594U KR 200389377 Y1 KR200389377 Y1 KR 2003893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dust
rainwater
material loading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95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엠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엠씨
Priority to KR20-2005-00095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93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93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93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7Contaminated open waterways, rivers, lakes or p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2Eliminating or preventing deposits, scale removal, scale preven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4Separation of coarse particles, e.g. by using sieves or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해저면에 관입 형성된 강관파일(C)의 상부에 축조되며 지면에는 우천시 발생하는 빗물을 해양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공(B)이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된 원료하역부두(A)의 해양오염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강관파일(C)의 일측에 고정되어 배수공(B)을 통해 유입되는 분진 및 빗물을 집수하기 위한 집수부재(100)와, 상기 원료하역부두(A)의 지면에 형성하여 상기 집수부재(100)와 연결되어 이송된 분진이 침전되어 정화되도록 하기 위한 침전부재(200)와, 상기 침전부재(200)와 연결되어 빗물에 남아있는 분진을 여과시키기 위한 여과사부재(300)로 구성된 원료하역부두의 해양오염방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처럼 본 고안은 원료하역부두의 배수공과 연결되도록 집수부재를 설치하여 우천시 해양으로 배출되던 분진 및 빗물을 집수하도록 하여 해양오염의 주요원인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집수된 분진이 포함된 빗물을 침전 및 여과시켜 해양으로 배출시키거나 공업용수로 재활용할 수 있게 되므로 자원의 절약은 물론 해양오염원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원료하역부두의 해양오염방지장치{Apparatus prevention marine pollution of raw materials cargo wharf}
본 고안은 원료하역부두의 해양오염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을 통해 운반되는 원료의 하역작업시 발생하는 다량의 분진(粉塵)이 우천시 원료하역부두에 형성된 배수공을 통해 해양으로 그대로 배출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배출되는 분진을 포함한 빗물을 집수 및 정화시켜 해양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양오염원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원료하역부두의 해양오염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료하역부두(A)는 선박을 통해 운반된 원료(광석)를 후속공정으로 이송하기 위한 하역(荷役)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저면에 관입 형성된 강관파일(C)의 상단에 축조되며 상부에는 원료하역 버킷을 구비한 원료하역장비(D)가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원료의 하역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며, 특히 상기 원료하역부두(A)의 지면에는 우천(雨天)시 발생하는 빗물을 해양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공(B)이 일정거리마다 형성된다.
이때 하역되는 원료의 특성(입도와 비중)과 작업환경 및 온도변화와 같은 외부조건에 의하여 원료의 하역 작업중 다량의 분진이 발생하게 되며, 이렇게 발생한 분진 및 원료의 일부는 해양으로 낙광되며, 일부는 상기 원료하역부두(A)의 지면에 그대로 쌓이게 된다.
그러나 상기 원료하역부두(A)의 지면에 쌓여있는 다량의 분진(원료)은 우천시 빗물과 함께 배수공(B)을 통해 그대로 해양으로 배출되므로, 해양을 오염시키는 주요원인을 제공하게 되는 폐단을 갖게 되는 것이다.
더구나 이렇게 배출된 분진 및 원료는 해수 중의 용존(溶存)산소를 고갈시킴으로써 해양생물을 질식사시키거나, 해양생물의 서식환경을 직접적으로 파괴하게 되므로 해양생태계의 근간을 흔들게 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근래에는 상기와 같은 분진 및 원료의 배출로 인한 해양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제시되고 있으나, 이는 단지 수면위에 떠오르는 분진 및 원료를 흡착포 및 유화제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극히 한정된 범위 및 효과를 갖는 것으로 결국, 해양오염의 근본적인 원인을 해소할 수 없는 한계를 갖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원료하역작업시 발생한 분진 및 원료의 해양 배출로 인하여 발생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원료하역부두의 저면에 배수공과 연결되도록 집수부재를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우천시 분진이 포함된 빗물이 그대로 해양으로 배출되면서 발생하던 해양오염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원료하역부두의 해양오염방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집수된 분진 및 원료를 침전 및 여과를 통해 정화시켜 해양으로 배출시키거나 공업용수로 재활용할 수 있게 되므로 자원의 재활용은 물론 해양오염원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원료하역부두의 해양오염방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고안 원료하역부두의 해양오염방지장치(1)는 크게 원료하역부두(A)에 해저면의 강관파일(C)에 고정되어 배수공(B)을 통해 유입되는 분진 및 빗물을 집수하기 위한 집수부재(100)와, 상기 원료하역부두(A)의 지면에 형성하여 상기 집수부재(100)와 연결되어 이송된 분진 및 빗물이 침전되어 정화되도록 하기 위한 침전부재(200)와, 상기 침전부재(200)와 연결되어 빗물에 남아있는 분진을 여과시키기 위한 여과사부재(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집수부재(10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는 상기 원료하역부두(A)의 저면에 고정하기 위한 결합구(111)와 배수공(B)에 연결되어 분진 및 빗물을 유입하기 위한 배수공 연결관(121)을 형성하되, 내부에는 집수된 분진 및 빗물을 침전부재(200)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관(131)을 구비한 이송펌프(130)가 형성된 집수탱크(11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구(111)와 배수공 연결관(121)은 원료하역부두(A)의 저면에 설치되며, 해저의 부력 및 해류변화에 의한 이탈 및 분리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공지의 앵커 볼트(Anchor bolt)를 사용하여 원료하역부두(A)의 저면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특히 상기 배수공 연결관(121)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배수공(B)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 및 분진을 동시에 집수하기 위해서 여러 형태를 갖는 연결관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하나의 집수부재(100)를 통해서 더욱 넓은 면적의 원료하역부두(A)의 배수공(B)과 연결하여 분진 및 빗물의 집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배수공 연결관(121)은 배수되는 빗물의 집수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일정각도로 기울이도록 형성하여 빗물의 경사진 배수공 연결관을 따라서 집수부재(100)에 모일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특히 집수효율을 높이기 위한 각도조절이 용이하도록 상기 배수공 연결관(121)의 재질은 강관 또는 각도 및 위치조절이 용이한 유연성을 갖는 플랙시블관을 사용하였다.
또한, 상기 이송펌프(130)는 집수되는 분진 및 빗물을 이송하기 위한 구성으로, 본 고안에서는 집수 효율 및 취급이 용이한 수중모타펌프를 사용하되 특히 진동과 소음이 적은 수중형 유도 전동기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집수탱크(110)의 내부에는 내부탱크(120)를 더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집수부재(100)가 해저의 강관파일(C)에 고정됨을 감안할 경우 발생하는 해저의 부력작용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집수탱크(110)와 내부탱크(120)의 사이에 부력방지부(112)를 형성하되, 상기 부력방지부(112)에는 모래(왕사) 또는 콘크리트를 충진시켜 일정한 무게를 갖도록 하여 상기 집수탱크(110)가 해수의 부력(浮力)에 영향을 받지 않고 해저에서 보다 견고하게 강관파일(C)과 고정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집수탱크(110) 강관파일(C)의 고정방법은 공지의 수중용접(아크 용접)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설치 및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위해서 상기 집수탱크(100)와 강관파일(C)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밀착시켜 결속하기 위한 집수탱크 고정구(140)를 사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로 인해 집수탱크(110)의 작업자가 설치작업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시 용이하게 분리시켜 집수탱크(110)의 수리 및 교체작업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내부탱크(120)의 내부 일측에는 집수된 분진 및 빗물의 수위(水位)를 확인할 수 있도록 공지의 수위감지센서(122)를 구비하게 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집수탱크(110)의 크기와 수량은 원료하역부두(A)의 규모와 배수공(B)의 개수 또는 분진 및 빗물의 처리용량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침전부재(20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는 다수개의 격벽(220)이 형성되며 상부일측에는 상기 이송관(131)이 연결되어 분진 및 빗물이 유입하되, 하부타측에는 침전된 빗물을 여과사부재(300)로 이송하기 위한 배출관(240)을 일측에 구비한 펌프(230)가 형성된 침전탱크(210)로 구성된다.
상기 침전탱크(210)의 격벽(220)은 유입되는 분진 및 빗물의 보다 원활한 혼합 및 침전을 위해서 사용되는 구성으로, 빗물과 분진이 격벽(220)의 상부와 하부를 번갈아가며 이동되므로 더욱 많은 혼합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상기 격벽(220)의 설치간격과 개수는 작업환경과 분진이 포함된 빗물의 상태에 따라서 달라진다.
상기 침전탱크(210)의 내부 일측에는 유입된 분진 및 빗물의 수위(水位)를 확인할 수 있도록 공지의 수위감지센서(211)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여과사부재(30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는 모래 및 자갈을 포함한 여과사(32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며 하부에는 여과사(320)를 통과한 빗물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비산방지판(330)과 하부타측에는 여과된 빗물을 해양 또는 공업용수 저장탱크로 이송하기 위한 배출펌프(340)가 형성된 여과사탱크(310)로 구성된다.
따라서 분진이 포함된 빗물이 상기 여과사(320)를 통과하면서 여과되면서 해양오염에 영향을 주지않는 공업용수로 변화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침전부재(200)와 여과사부재(300)의 크기와 설치개수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료하역부두(A)의 규모와 빗물의 처리용량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수공(B)을 통해서 집수탱크(100)에 분진이 포함된 빗물이 유입되는데, 이때 집수탱크(100)의 내부일측에 형성된 수위감지센서(122)가 적정수위가 감지될 경우에는 상기 이송펌프(130)의 작동하여 분진을 포함한 빗물을 이송관(131)과 연결된 침전탱크(210)로 이송하게 된다.
상기 침전탱크(210)에 공급된 분진을 포함한 빗물은 침전탱크(210)의 내부에 형성된 격벽(220)을 이동하게 되면서 혼합 및 침전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다음 혼합 및 침전된 빗물은 상기 수위감지센서(211)를 통해 적정수위가 감지될 경우에는 상기 펌프(230)를 작동시켜 여과사탱크(310)로 빗물을 공급하게 된다.
이처럼 혼합 및 침전된 빗물은 상기 여과사탱크(310)의 내부에 적층된 여과사(320)를 통과하면서 분진과 빗물이 분리되어 분진은 여과사(320)를 통해 여과되고 빗물은 배출펌프(340)를 통해 해양으로 배출되거나 또는 공업용수 저장탱크로 이송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이처럼 본 고안은 원료하역부두의 배수공과 연결되도록 집수부재를 설치하여 우천시 해양으로 별다른 여과처리 없이 그대로 배출되던 분진 및 빗물을 집수하도록 하여 해양오염의 주요원인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집수된 분진이 포함된 빗물을 침전 및 여과시켜 해양으로 배출시키거나 공업용수로 재활용할 수 있게 되므로 자원의 절약은 물론 해양오염원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도 1 - 종래 원료하역부두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용상태 단면도.
도 2 - 본 고안 원료하역부두의 해양오염방지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3 - 본 고안에 있어서 집수부재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4 -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 - 본 고안에 있어서 침전부재와 여과사부재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6 - 도 5의 B-B선 단면도.
도 7 - 본 고안에 있어서 집수부재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8 - 본 고안에 있어서 침전부재와 여과사부재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9 - 본 고안에 있어서 집수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사용상태 단면도.
도 10 - 본 고안에 있어서 침전부재와 여과사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사용상태 단면도.
도 11 - 본 고안 원료하역부두의 해양오염방지장치를 원료하역부두에 적용한 사용상태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고안 원료하역부두의 해양오염방지장치
100: 집수부재
110: 집수탱크 111: 결합구
112: 부력방지부
120: 내부탱크 121: 배수공 연결관
122: 수위감지센서
130: 이송펌프 131: 이송관
140: 집수탱크 고정구
200: 침전부재
210: 침전탱크 211: 수위감지센서
220: 격벽(隔壁) 230: 펌프
240: 배출관
300: 여과사부재
310: 여과사탱크 320: 여과사(濾過砂)
330: 비산방지판 340: 배출펌프
A: 원료하역부두 B: 배수공(排水孔)
C: 강관파일
D: 원료하역장비(언로더,리클레이머,스태커를 통칭함)

Claims (5)

  1. 해저면에 관입 형성된 강관파일(C)의 상부에 축조되며 지면에는 우천시 발생하는 빗물을 해양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공(B)이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된 원료하역부두(A)의 해양오염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강관파일(C)의 일측에 고정되어 배수공(B)을 통해 유입되는 분진 및 빗물을 집수하기 위한 집수부재(100)와, 상기 원료하역부두(A)의 지면에 설치하되 상기 집수부재(100)와 연결되어 이송된 분진을 침전시키기 위한 침전부재(200)와, 상기 침전부재(200)와 연결되어 빗물에 남아있는 분진을 여과시키기 위한 여과사부재(300)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하역부두의 해양오염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부재(100)는 상부에 상기 원료하역부두(A)의 저면에 고정하기 위한 결합구(111)와 상기 배수공(B)에 연결되어 분진 및 빗물을 유입하기 위한 배수공 연결관(121)을 형성하되, 내부에는 집수된 분진을 포함한 빗물을 침전부재(200)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관(131)을 구비한 이송펌프(130)가 형성된 집수탱크(110)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하역부두의 해양오염방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탱크(110)의 내측에는 내부탱크(120)를 형성하고 상기 집수탱크와 내부탱크의 사이에는 모래 또는 콘크리트를 충진시켜 일정한 하중을 갖는 부력방지부(112)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하역부두의 해양오염방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부재(200)는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는 다수개의 격벽(220)이 형성되며 상부일측에는 상기 이송관(131)이 연결되어 분진을 포함한 빗물이 유입하되, 하부타측에는 침전된 빗물을 여과사부재(300)로 이송하기 위한 배출관(240)을 일측에 구비한 펌프(230)가 형성된 침전탱크(210)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하역부두의 해양오염방지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사부재(300)는 내부에 모래 및 자갈을 포함한 여과사(32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며 하부에는 여과사(320)를 통과한 빗물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 비산방지판(330)이 구비된 여과사탱크(310)와, 상기 여과사탱크(310)의 하부일측에 형성되여 여과된 빗물을 해양 또는 공업용수 저장탱크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펌프(340)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하역부두의 해양오염방지장치.
KR20-2005-0009594U 2005-04-08 2005-04-08 원료하역부두의 해양오염방지장치 KR2003893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594U KR200389377Y1 (ko) 2005-04-08 2005-04-08 원료하역부두의 해양오염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594U KR200389377Y1 (ko) 2005-04-08 2005-04-08 원료하역부두의 해양오염방지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9225A Division KR100743893B1 (ko) 2005-04-08 2005-04-08 원료하역부두의 해양오염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9377Y1 true KR200389377Y1 (ko) 2005-07-14

Family

ID=43690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9594U KR200389377Y1 (ko) 2005-04-08 2005-04-08 원료하역부두의 해양오염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937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82149A (zh) * 2022-01-27 2022-04-22 安徽海螺建材设计研究院有限责任公司 码头面雨水及冲洗水的收集装置和收集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82149A (zh) * 2022-01-27 2022-04-22 安徽海螺建材设计研究院有限责任公司 码头面雨水及冲洗水的收集装置和收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6262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basins
US7509759B2 (en) System and method of dewatering dredge spoils using sloping drain barge
KR102010653B1 (ko) 침사지 내의 탁수 및 퇴적물 처리 장치
KR100922414B1 (ko) 친환경 수중 준설 장치 및 공법
JP2009000638A (ja) 濁水の浄化方法
KR200389377Y1 (ko) 원료하역부두의 해양오염방지장치
KR100743893B1 (ko) 원료하역부두의 해양오염방지장치
CN209501001U (zh) 一种生活废水净化装置
CN210214997U (zh) 一种河道薄层清淤系统
KR101172431B1 (ko) 준설 및 부유물처리를 위한 시스템
KR100693281B1 (ko) 담수호의 침전 슬러지 및 퇴적오니 제거 시스템
CA1115436A (en) Method of removing mud from mud-water suspensions
CN210394103U (zh) 一种小型河湖疏浚及淤泥处理设备
JP2002018499A (ja) 泥水の脱水処理台船
KR20150136737A (ko) 점 오염원과 비점오염원에서 하천으로 유입되는 각종 오염물질들과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켜 주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에 적용되는 하천수 정화시스템
JPH03244716A (ja) 浚渫システム
CN220495779U (zh) 一种用于砂石船的自动排水装置
CN219315673U (zh) 一种用于城市河道漂浮物清理的装置
KR101007465B1 (ko) 해양 오폐수 실시간 정수 시스템 및 방법
CN214190021U (zh) 一种带有洗沙装置的驳船
KR102253992B1 (ko) 해상유출 고점도유 회수 장치 및 그 회수 방법
CN212052950U (zh) 一种用于水域底部清淤的预处理装置
US20230390671A1 (en) Portable settling tank configured for use as a sediment control with sludge removal
WO2011095755A1 (en) Waste water recovery
JP2006095414A (ja) 砂分離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22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