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9273Y1 - 무자계 발열선 - Google Patents

무자계 발열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9273Y1
KR200389273Y1 KR20-2005-0010704U KR20050010704U KR200389273Y1 KR 200389273 Y1 KR200389273 Y1 KR 200389273Y1 KR 20050010704 U KR20050010704 U KR 20050010704U KR 200389273 Y1 KR200389273 Y1 KR 2003892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magnetic wave
insulating coating
heating wire
coating member
conductiv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07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원
Original Assignee
김세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세원 filed Critical 김세원
Priority to KR20-2005-00107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92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92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92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2Disposition of insulation
    • H01B7/0208Cables with several layers of insulat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5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flexible
    • H05B3/56Heating cab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98Shielding materials for shielding electrical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기파의 발생을 효율적으로 방지하고, 그 구성을 단순하게 함으로써 제작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비용절감의 효과가 크며, 중심의 도전부재와 전자기파 차단부재의 분리를 쉽게 하여 합선 또는 단선을 방지하고, 또한 이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함을 그 목적으로 한 발열선에 관한 것으로서, 중심에 위치한 도전부재와, 상기 도전부재의 둘레를 피복하는 제 1 절연 피복부재와, 상기 절연 피복부재의 외부에 그 길이방향으로 복수 배치되고, 원주방향으로 동일 간격을 가진 복수의 전자기파 차단부재와, 상기 전자기파 차단부재를 피복하는 제 2 절연 피복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도전부재와 전자기파 차단부재의 한쪽 단부가 상호 접속되고, 상기 도전부재와 전자기파 차단부재의 다른 쪽 단부가 각각 전원의 다른 극에 접속되며, 상기 제 1 절연 피복부재의 절연저항이 상기 제 2 절연 피복부재의 절연저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자계 발열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자계 발열선{NON ELECTROMAGNETIC HEATING CABLE}
본 고안은 발열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열선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를 차단하는 무자계 발열선에 관한 것이다.
보온매트 등의 발열부재로서 현재 시중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발열선은 전압인가시 자체의 고유저항에 의하여 외부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한 것으로, 상기와 같이 발열선에 전압이 인가되면 전류에 흐름에 의해 필연적으로 전자기파가 상기 발열선의 주변에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전자기파는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며, 특히 인체에 직접 접촉하는 보온매트 등으로부터 발생되는 전자기파는 인체에 매우 해로운 영향을 미치게 됨은 주지의 사실이다.
따라서, 종래 상기 발열체의 주변에 발생되는 전자기파를 차단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노력이 기울여지고 있으며,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종래에는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발열체(52) 주위에 망선(54)을 둘러감아 상기 발열체(52)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기파를 상기 망선(54)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기파로 상쇄시켜 차단시키고자 하고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6에 나타난 종래 기술은, 도전성 심재(51)에 권선된 발열체(52)와, 상기 발열체(52)를 피복하여 그 외부와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절연층(53)과, 상기 절연층(53)의 외부에 망상 형상의 도전성 망선(54)을 설치하고, 또한 상기 망선(54)의 외부를 피복하는 차폐층(55)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기술은 발열체(52)에 전압을 인가함에 따라 발열체(52)를 통하여 전류가 흐를 때 발생되는 전자기파를 상기 발열체(52)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 역방향으로 상기 망선(54)에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상기 망선(54)의 주위에 발생된 전자기파는 상기 발열체(52)에 의해 발생된 전자기파에 의해 상쇄되고 이에 따라, 상기 발열선(50)의 외부로 전자기파가 투과하는 것을 차단하게 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망선(54)을 직조하여 상기 절연층(53)에 씌워야 하는 공정이 필요하므로, 그 제조시 제작공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생산성이 저하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종래 또 다른 기술은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발열체(61)와 상기 망선에 해당하는 전자기파 차단체인 도전선(63)을 구비하며 상기 발열체(61)와 도전선(63)을 한꺼번에 한 종류의 절연물질로 피복한 절연층(62)을 구비하는 구성을 채택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도 7의 종래 기술의 경우, 도 6의 종래 기술에 비하여 구성이 단순하여 제조공정이 단순화되는 장점을 가지지만,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발열체(61)와 도전선(63)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제조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또한 상기 발연선의 제조시에는 그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하더라도, 절연층(62)의 재료로서 고무재료와 같이 연성인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발열선(60)을 구부리는 코너링 작업시에 그 간격이 좁혀질 우려가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발열체(61)와 도전선(63)이 특정부위에서 서로 맞닿게 되어 합선 또는 단선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또한 절연물질로 고무재질을 사용한 경우에는 그 절연저항이 크지 않아 발열선(60)과 도전선(63)간의 전기적 절연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절연층의 두께를 두껍게 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또한 상기 절연층(62)을 벗겨내어 온도과승방지기를 부착하거나 외부장치와의 결선하는 작업시에 절연층(62)에서 도전선(63)만을 쉽게 분리하는 것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에 있어, 상기 절연층(62)을 이루는 절연물질이 수지와 같은 경성재질인 경우에는 코너링 작업이 용이하지 않으며, 수지자체의 중량이 무거워서 전체적인 중량이 증가되는 점과, 수지의 단가가 높아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마찬가지로 상기와 같은 작업시에 절연층(62)으로부터 발열체(61)나 도전선(63)만을 쉽게 분리하는 것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분리를 하더라도 작업시 발열체(61)나 도전선(63)의 바깥쪽이 벗겨지거나 저항선 자체가 늘어질 수 있어 그 고유의 절연저항값을 유지시킨 채 쉽게 분리할 수 없다는 동일한 문제점을 나타내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자기파의 발생을 효율적으로 방지하고, 그 구성이 단순하여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비용절감의 효과가 크며, 중심의 도전부재와 전자기파 차단부재의 분리를 쉽게 하여 합선이나 단선 및 이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원의 인가에 따라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선에 있어서, 중심에 위치한 도전부재와, 상기 도전부재의 둘레를 피복하는 제 1 절연 피복부재와, 상기 절연 피복부재의 외부에 그 길이방향으로 복수 배치되고, 원주방향으로 동일 간격을 가진 복수의 전자기파 차단부재와, 상기 전자기파 차단부재를 피복하는 제 2 절연 피복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중심에 위치한 도전부재와 전자기파 차단부재의 한쪽 단부가 상호 접속되고, 상기 도전부재와 전자기파 차단부재의 다른 쪽 단부가 각각 전원의 다른 극에 접속되며, 상기 제 1 절연 피복부재의 절연저항이 상기 제 2 절연 피복부재의 절연저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자계 발열선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도전부재(1차 발열부재)의 단위 직경당 도체저항이 상기 전자기파 차단부재(2차 발열부재)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자계 발열선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제 1 절연 피복부재는 불소수지이며, 제 2 절연 피복부재는 규소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자계 발열선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전원의 인가에 따라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선에 있어서, 중심에 위치한 도전부재와, 상기 도전부재의 둘레를 피복하는 제 1 절연 피복부재와, 상기 절연 피복부재의 외부에 그 길이방향으로 복수 배치되고, 원주방향으로 동일 간격을 가진 복수의 전자기파 차단부재와, 상기 전자기파 차단부재를 피복하는 제 2 절연 피복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도전부재와 전자기파 차단부재의 한쪽 단부가 상호 접속되고, 상기 도전부재와 전자기파 차단부재의 다른 쪽 단부가 각각 전원의 다른 극에 접속되며, 상기 제 1 절연 피복부재와 상기 제 2 절연 피복부재는 규소고무이며, 상기 제 1 절연 피복부재의 외주를 둘러싼 탈크(Talc)층을 구비함에 의해, 상기 제 1 절연 피복부재와 상기 제 2 절연 피복부재를 분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자계 발열선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절연 피복부재의 단면이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자계 발열선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전부재는 제 3 종 동-니켈 저항선이며, 상기 전자기파 차단부재는 제 2 종 동-니켈 저항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자계 발열선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전부재 또는 상기 전자기파 차단부재의 어느 하나 이상이 발열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 상기 도전부재 또는 상기 전자기파 차단부재의 어느 하나 또는 양 부재가 모두 발열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자계 발열선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무자계 발열선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인 무자계 발열선의 외관 및 단면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발열선(100)은 중심에 위치한 도전부재(110)와, 그 외주를 둘러싸며 피복하는 제 1 절연 피복부재(120)와, 상기 절연 피복부재의 외부에 상기 도전부재(110)와 제 1 절연 피복부재(120)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발열선의 단면에서의 원주방향으로 동일간격을 가진, 즉 도 5에 있어서 각 θ가 동일한 복수개의 전자기파 차단부재(130)와, 상기 전자기파 차단부재(130)를 피복하여 외부와 절연시키는 제 2 절연 피복부재(140)로 구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자기파 차단부재(130)를 2개이며, 따라서 θ = 180°으로 구성하여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발열선(100)은 그 중심에 위치한 상기 도전부재(110)와 복수개의 전자기파 차단부재(130)의 한 끝단부가 접속부(150)를 통하여 상호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도전부재(110)의 나머지 다른 쪽 끝단부는 전원(170)의 한 극성에 접속되며, 상기 복수개의 전자기파 차단부재(130)의 나머지 다른 쪽 끝단부는 전자기파 차단부재 접속부(160)를 통하여 접속된 후, 상기 전원(170)의 상기 도전부재(110)에 접속된 극의 반대극에 접속되어 상기 발열선(100)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도전부재(110)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 상기 전자기파 차단부재(130)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서로 역방향이 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발열선(100)의 도전부재(110)와 전자기파 차단부재(130)에 전원이 인가되면 발열선 자체의 고유저항에 의해 열이 발생하여 그 외부로 열을 방사하게 되며, 이때 상기 도전부재(110)에 전류의 흐름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기파는 상기 전자기파 차단부재(130)의 상기 도전부재(110)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 역방향으로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기파와 상쇄되어 발열선(110) 외부로 전자기파가 차단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즉 상기 도전부재(110)와 상기 전자기파 차단부재(130)에 흐르는 전류가 상호 반대방향이므로 상호간의 전류에 의해 야기된 전자기파가 상쇄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도전부재(110)와 전자기파 차단부재(130)의 분리가 용이하고, 작업시 코너링이나 발열선(100)이 꺽어지거나 할 때 양 부재가 발열선(100) 내부에서 그 간격이 좁아지거나 맞닿게 되어 합선 등에 의해 누전이 일어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도전부재(110)와 상기 전자기파 차단부재(130)를 각각 별개의 피복부재로 피복하고, 특히, 상기 제 1 절연 피복부재(110)의 절연저항이 상기 제 2 절연 피복부재(140)의 절연저항보다 큰 것을 사용함으로써, 내부의 제 1 절연 피복부재(110)의 피복두께를 얇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발열선(100)의 전체 형태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도전부재(110)의 내부저항이 전자기파 차단부재(130)의 내부저항보다 작은 것을 사용하여, 도전부재(110)의 직경과 전자기파 차단부재(130)의 직경을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저항이 1/2배 작은 것을 사용하여, 상기 도전부재(110)와 전자기파 차단부재(130)의 양 직경이 거의 동일하게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실시예 1>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발열선 중심에 위치한 도전부재(110)로서 제 3 종 동·니켈 저항선을 사용하고, 전자기파 차단부재(130)로서 제 2 종 동·니켈 저항선을 사용한다.
상기의 발열선에 쓰이는 동·니켈 저항선은 니켈, 구리, 망간, 철, 아연 등이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일정함량 포함되며 특히, 구리와 니켈의 성분 함량에 따라 제 1 종 동·니켈 저항선 내지 제 5 종 동·니켈 저항선으로 분류를 하는 것으로서, 그 성분 및 고유저항에 대하여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다. 즉, 본 고안에 사용되는 제 2 종 동·니켈 저항선의 성분은 니켈 : 21∼25 중량%, 망간 : 10 중량% 이하, 철 : 0.5중량% 이하, 기타 : 0.5중량% 이하, 구리 : 잔부(殘部)로, 고유저항은 30 ±2(μΩ·㎝)이며, 제 3 종 동·니켈 저항선의 성분은 니켈 : 10∼13 중량%, 망간 : 10 중량% 이하, 철 : 0.3 중량% 이하, 기타 0.5 중량% 이하, 구리 : 잔부(殘部)로, 고유저항은 15 ±1.0(μΩ·㎝)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3 종 동·니켈 저항선으로 이루어진 도전부재(110)의 직경을 약 0.27mm로 하여 도체저항을 2.55(Ω/m )로 하고, 상기 도전부재(110)를 둘러싼 제 1 절연 피복부재(120)로서 절연저항이 크고 내구성이 강한 불소수지를 사용하고, 상기 도전부재(110)를 포함한 제 1 절연 피복부재(120)의 직경을 약 0.87mm로 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 1 절연 피복부재(110)로서 불소수지(절연저항 : 약 600㏁∼2500㏁)를 사용하고, 상기 제 2 절연 피복부재(130)로서 상기 불소수지보다 연성이 뛰어나고 절연저항이 약 1/25 내지 1/10 이며 열전도율이 우수한 규소고무(절연저항 : 약 50㏁∼100㏁)를 사용함으로써, 제 1 절연 피복부재(110)의 두께를 얇게 하여도 일정정도의 절연성을 확보할 수 있어 전체 발열선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연성이 뛰어난 규소고무를 제 2 절연 피복부재로 사용함에 의해 높은 작업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직경이 약 0.27mm인 경우 단위 직경당 도체저항이 5.1(Ω/m )인 상기 제 2 종 동·니켈 저항선을 상기 제 1 절연 피복부재(120)의 외주에 2개를 대칭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상기 전자기파 차단부재(130)의 발열선 내부에서의 전체 도체저항이 2.55(Ω/m )로 절반 값이 되도록 하여 상기 도전부재(110)의 도체저항과 동일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도전부재(110)에 의해 발생된 전자기파를 차단하고, 상기 전자기파 차단부재(130)를 규소고무인 제 2 절연 피복부재(140)로 피복하여 외부와 차단하여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상기와 같이, 단위 두께(길이)당 도체저항이 서로 다른 저항선을 도전부재(110)와 전자기파 차단부재(130)로 사용함에 의해, 본 고안에서 양자의 직경을 거의 동일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도전부재(110), 제 1 절연 피복부재(120), 전자기파 차단부재(130) 및 제 2 절연 피복부재(140)의 수직단면을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절연 피복부재(120)의 외부에 그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복수 배치되고, 원주방향으로 동일 간격을 가진 복수의 전자기파 차단부재(130)는 도 3(a)와 같이 상기 제 1 절연 피복부재(120)의 외주에 맞닿는 상태로 배치되어도 좋고, 도 3(b)와 같이 상기 외주로부터 일정간격을 띄우고 배치하여도 좋다.
상기와 같이, 전자기파 차단부재(130)와 제 1 절연 피복부재(120) 사이의 간격은 발열선 전체의 두께와 전기절연의 필요성에 따라 적절히 취사선택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열선(100)의 전체 형태는 타원형으로 하고, 상기 전자기파 차단부재(130)가 도 4(a)와 같이 제 1 절연 피복부재(120)의 외주에 맞닿는 상태이어도 좋고, 도 4(b)와 같이 제 1 절연 피복부재(120)의 외주로부터 일정간격을 띄우고 배치하여도 좋다.
도 4와 같이, 타원형으로 발열선을 제조함에 의해 발열선에 있어서 열을 방출하는 부위의 절연층의 두께를 얇게 하여 발열효율을 증가시키고, 발열선의 배선시의 용이성과 작업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나, 이는 본 고안과 같이 제 1 절연 피복부재(120)의 내구성과 절연저항(또는 절연내력)이 큰 경우에만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즉, 불소수지와 같이 내구성이 강하고 절연저항(또는 절연내력)이 큰 재료를 제 1 절연 피복부재(120)로 사용함으로써, 제 1 절연 피복부재(120)의 두께가 얇은 상태로 상기 발열선(100)의 형태를 타원형으로 하더라도 상기 도전부재(110)를 외부와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고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고안과 같이 다른 재질의 절연 피복부재를 2층으로 피복함에 의해 절연효율 증대와 작업성 증대라는 두 가지 효과를 모두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자기파 차단부재(130)를 2개 사용하였지만,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전자기파 차단부재(130)를 구조적으로 대칭적으로 배치하기만 하면 되고, 그 개수는 응용환경에 따라 적절히 취사 선택할 수 있다.
즉,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각의 전자기파 차단부재(130)들 사이의 각(θ)을, 상기 전자기파 차단부재(130)의 수가 3개일 경우에는 각각이 120°로, 4개일 경우는 각각이 90°로 동일하게 함으로써 전자기파 차단부재(130)에 의해 방출되는 전자기파와 도전부재(110)에 의해 방출되는 전자기파가 원주방향으로 동일하게 상쇄되게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상기 실시예에서는 도전부재(110)와 전자기파 차단부재(130)를 모두 저항선을 사용하여 양 선이 모두 발열부재로 사용되게 하였지만, 단순히 도전부재(110)만을 발열부재로 하거나 전자기파 차단부재(130)만을 발열부재로 하고, 나머지 다른 선은 저항이 낮은 단순한 전선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발열선의 전원과의 연결부위 또는 접속부(150)에 있어서, 온도과승방지기(溫度過乘防止器)에 연결하거나 전원에 연결하기 위한 도입부(도전부재와 전자기파 차단부재 각각의 리드선)는 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에는 상세하게 표시되어 있지는 아니하나, 본 고안이 속하는 종래 기술에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전자기파 차단부재(130)들이 접속된 한 단자선(리드선)과 도전부재(110)에 접속된 단자선(리드선)을 하나의 선으로 양 선을 댕기머리 형태로 꼬아 전원 또는 온도과승방지기에 접속시킴으로써, 전자기파 차단부재(130)들이 접속된 단자선과 도전부재(110)의 단자선의 절연 피복부재에 의해 피복되지 않은 부분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기파도 효율적으로 차단하고자 하였다.
<실시예 2>
본 고안의 실시예 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과 달리, 제 1 절연 피복부재(120)와 제 2 절연 피복부재(140)를 동일재질의 절연물질을 사용하고, 상기 제 1 절연 피복부재(120)와 제 2 절연 피복부재를 분리시키기 위해 양 피복부재(120, 140)의 사이에 탈크(talc)로 분리층을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중심의 도전부재(110)와, 상기 도전부재의 둘레를 피복하는 제 1 절연 피복부재(120)와, 상기 절연 피복부재의 외부에 그 길이방향으로 복수 배치되고, 원주방향으로 동일 간격을 가진 복수의 전자기파 차단부재(130)와, 상기 전자기파 차단부재(130)를 피복하는 제 2 절연 피복부재(140)로 구성하고, 상기 도전부재(110)와 전자기파 차단부재(130)의 한쪽 단부가 상호 접속되며, 상기 도전부재(110)와 전자기파 차단부재(130)의 다른 쪽 단부를 각각 전원의 다른 극에 접속시키고, 여기에 상기 제 1 절연 피복부재(120)와 상기 제 2 절연 피복부재(140)를 동일재질의 절연물질인 규소고무로 형성하고, 상기 제 1 절연 피복부재(120)의 외주를 탈크(Talc)층(180)으로 둘러쌈으로써, 상기 제 1 절연 피복부재(120)와 상기 제 2 절연 피복부재(140)를 분리시킨다.
즉, 본 고안의 실시예 2는, 실시예 1과 달리 제 1 절연 피복부재와 제 2 절연 피복부재를 동일재질인 규소고무를 사용함과 동시에, 상기 2층의 절연 피복부재 사이에 탈크(talc, 경탄)층(180)을 삽입함으로써, 제 1 절연 피복부재(120)와 제 2 절연 피복부재(140)를 분리(또는 이형)시키되 상기 탈크층(18)은 양 피복부재(120, 140)를 분리만을 위한 정도로 가능한 한 얇게 형성하여, 전자기파 차단부재(130)를 도전부재(110)와 분리시킴으로써 종래 기술에 비해 발열선의 피복을 벗겨내어 온도과승방지기나 전원과 연결하거나, 코너링 작업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기타, 그 구체적인 내용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그 구체적인 구성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전자기파 차단부재로서 망선을 사용하지 않고, 단순히 제 1 절연 피복부재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전선 또는 저항선을 사용함에 의해 발열선의 제조를 종래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발열선은 절연 피복부재로서 서로 다른 재질의 두 가지 절연피복부재 또는 같은 재질의 절연피복부재를 2층으로 분리시켜 사용함으로써, 도전부재와 전자기파 차단부재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여, 발열선의 말단에 온도과승방지기 등의 부착시 탈피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발열선은 내구성 향상을 위해 전체를 수지재질의 피복재로 사용하지 않고 필요한 부분만큼 만을 수지재질로 나머지를 고무재질의 피복재를 사용하여 원가절감을 할 수 있으며, 또한 전체적 형상을 타원형으로 하여 발열효율과 피복재의 절감으로 인한 원가절감을 동시에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발열선은 제 1 절연 피복부재로 절연내력(또는 절연저항)이 큰 수지재질을 사용함에 전체 발열선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고, 제 2 절연 피복부재로 연성과 열전도율이 우수한 고무재질을 사용하여 뛰어난 작업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발열선은 도전부재와 제 1 절연 피복부재가 결합한 뒤에 전자기파 차단부재 및 제 2 절연 피복부재를 결합시킴으로써, 제 1 절연 피복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전자기파 차단부재의 정렬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인 무자계 발열선의 외관 및 단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인 무자계 발열선의 외관 및 단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인 무자계 발열선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인 무자계 발열선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인 무자계 발열선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이 속하는 종래 기술의 무자계 발열선의 외관 및 단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이 속하는 또 다른 종래 기술의 무자계 발열선의 외관 및 단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발열선
51 : 심재
52 : 발열체
53 : 절연층
54 : 망선
55 : 차폐층
60 : 발열선
61 : 발열체
62 : 절연층
63 : 도전선
100 : 발열선
110 : 도전부재
120 : 제 1 절연 피복부재
130 : 전자기파 차단부재
140 : 제 2 절연 피복부재
150 : 접속부
160 : 전자기파 차단부재 접속부
170 : 전원

Claims (9)

  1. 전원의 인가에 따라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선에 있어서,
    중심에 위치한 도전부재와,
    상기 도전부재의 둘레를 피복하는 제 1 절연 피복부재와,
    상기 절연 피복부재의 외부에 그 길이방향으로 복수 배치되고, 원주방향으로 동일 간격을 가진 복수의 전자기파 차단부재와,
    상기 전자기파 차단부재를 피복하는 제 2 절연 피복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도전부재와 전자기파 차단부재의 한쪽 단부가 상호 접속되어 전원의 한 극에 접속되고, 상기 도전부재와 전자기파 차단부재의 다른 쪽 단부가 각각 전원의 다른 극에 접속되며,
    상기 제 1 절연 피복부재의 절연저항이 상기 제 2 절연 피복부재의 절연저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자계 발열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부재의 단위 직경당 도체저항이 상기 전자기파 차단부재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자계 발열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연 피복부재는 불소수지이며, 제 2 절연 피복부재는 규소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자계 발열선.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절연 피복부재의 단면이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자계 발열선.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부재는 제 3 종 동-니켈 저항선이며, 상기 전자기파 차단부재는 제 2 종 동-니켈 저항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자계 발열선.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부재 또는 상기 전자기파 차단부재의 어느 하나 이상이 발열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자계 발열선.
  7. 전원의 인가에 따라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선에 있어서,
    중심에 위치한 도전부재와,
    상기 도전부재의 둘레를 피복하는 제 1 절연 피복부재와,
    상기 절연 피복부재의 외부에 그 길이방향으로 복수 배치되고, 원주방향으로 동일 간격을 가진 복수의 전자기파 차단부재와,
    상기 전자기파 차단부재를 피복하는 제 2 절연 피복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도전부재와 전자기파 차단부재의 한쪽 단부가 상호 접속되며, 다른 단부가 각각 전원의 다른 극에 접속되며,
    상기 제 1 절연 피복부재와 상기 제 2 절연 피복부재는 규소고무이며, 상기 제 1 절연 피복부재의 외주를 둘러싼 탈크(Talc)층을 구비함에 의해, 상기 제 1 절연 피복부재와 상기 제 2 절연 피복부재를 분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자계 발열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부재는 제 3 종 동-니켈 저항선이며, 상기 전자기파 차단부재는 제 2 종 동-니켈 저항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자계 발열선.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부재 또는 상기 전자기파 차단부재의 어느 하나 이상이 발열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자계 발열선.
KR20-2005-0010704U 2005-04-18 2005-04-18 무자계 발열선 KR2003892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704U KR200389273Y1 (ko) 2005-04-18 2005-04-18 무자계 발열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704U KR200389273Y1 (ko) 2005-04-18 2005-04-18 무자계 발열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9273Y1 true KR200389273Y1 (ko) 2005-07-07

Family

ID=43690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0704U KR200389273Y1 (ko) 2005-04-18 2005-04-18 무자계 발열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927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78062A1 (en) Far infrared ray-radiating and electromagnetic wave-shielding heating wire using graphene plate
RU2005105990A (ru) Токоотводя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розозащиты электрооборудования и линия электропередачи, снабженная таким устройством
JP4620475B2 (ja) 電源ケーブル
JP2013191409A (ja) ワイヤーハーネスおよびワイヤーハーネスのシールド構造
US4308448A (en) Heating cable with a specific heating capacity
JP6605330B2 (ja) 遮へいケーブル
KR200389273Y1 (ko) 무자계 발열선
US20100065304A1 (en) Apparatus for Electrical Screening of a High-Voltage Bushing
KR100724605B1 (ko) 침구류용 무자계 발열선
JPH0628928A (ja) 水冷ケーブル
JP2001126550A (ja) 高周波大電流用可撓性導体
KR20200137217A (ko) 절연외피가 없는 탄소나노튜브 전선을 권선한 자화소자
JP6632954B2 (ja) 接地システム
KR100878615B1 (ko) 전력 케이블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324730Y1 (ko) 매트용 무자계 발열선
WO2014104024A1 (ja) ケーブル
KR200307204Y1 (ko) 발열선
US1508373A (en) Connecter
KR100666407B1 (ko) 침구류용 무자계 발열선
KR101034498B1 (ko) 전열판용 무자계 전열선
KR200341949Y1 (ko) 침구류용 무자계 발열선
KR101692708B1 (ko) 쉴드형 시트열선
US20220215985A1 (en) Combination cable for electrical energy and data transmission
KR200366644Y1 (ko) 침구류용 무자계 발열선
US305475A (en) Electrical comucto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