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8926Y1 - Spacer - Google Patents

Spac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8926Y1
KR200388926Y1 KR20-2005-0009438U KR20050009438U KR200388926Y1 KR 200388926 Y1 KR200388926 Y1 KR 200388926Y1 KR 20050009438 U KR20050009438 U KR 20050009438U KR 200388926 Y1 KR200388926 Y1 KR 2003889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pacer
present
side plat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943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회관
강훈구
Original Assignee
정회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회관 filed Critical 정회관
Priority to KR20-2005-00094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892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89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8926Y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8Spacers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nd spacing the reinforcements from the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량의 상판(Slab)과 같이 대형의 슬래브를 콘크리트 타설하여 구축할 시에 그 내부에 평행으로 배설하는 철근의 정상위치 및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스페이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cer used to maintain the normal position and spacing of reinforcing bars that are disposed in parallel when concrete slabs are constructed in concrete, such as slabs of bridges.

본 고안은 측판과 뒷판이 L자 상으로 되어 본체를 이루고: 상기 측판과 뒷판의 하단부가 돌출 되는 연장판으로 되어 그 위에 하부 안착부가 형성되고, 측판과 뒷판의 상단에도 상기 연장판에 형성되는 하부 안착부와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상부 안착부가 형성되는 스페이서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plate and the back plate are L-shaped to form a main body: the bottom plate of the side plate and the rear plate is an extension plate which protrudes, and a lower seating portion is formed thereon, and the lower plate is formed on the extension plate at the top of the side plate and the back plate. Provided is a spacer in which an upper seating portion located in line with the seating portion is formed.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스페이서는 가격 및 강도 등을 고려하여 금속으로 제작되는 것인데, 상기 양 고안 공히 하단이 거푸집 위에 세워서 설치하는 것임으로, 콘크리트 타설이 되어 거푸집을 탈거하면, 그 밑단이 노출되게 되어 미장(美粧)면에서나 부식에 의한 내구성 열화(劣化)라는 문제를 완전히 해소하면서, 본인의 선 출원 고안에서 노출되었던 설치 편의 및 저렴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하고 효과적인 고안이다.Therefore, the spa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metal in consideration of the price and strength, etc. In both of the above devised, the bottom is installed on the formwork, and when the formwork is removed and the formwork is removed, the hem is exposed. It is a useful and effective design that can achieve the installation convenience and low cost, which was exposed in the prior application design, while completely eliminating the problem of deterioration in durability in terms of plastering and corrosion.

Description

스페이서{Spacer} Spacer {Spacer}

본 고안은 교량의 상판(Slab)과 같이 대형의 슬래브를 콘크리트 타설하여 구축할 시에 그 내부에 평행으로 배설하는 철근의 정상위치 및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스페이서 스페이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cer spacer used to maintain the normal position and spacing of reinforcing bars disposed parallel to the inside when constructing large slabs such as slabs of bridges.

대형 교량에서는 교각(B)과 교각(B)사이가 멀리 떨어져서 그 위에 얹혀지는 상판의 슬래브(S)는 대형 콘크리트 구조물로 되는데, 이러한 슬래브(S)는 그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철근 콘크리트로 구축함이 상식이며, 이때 사용되는 지지용 철근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근을 매시 상으로 조립하여 콘크리트의 상부와 하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매설되도록 하여야 강고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체를 얻을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 철근(411)을 격자 상으로 짠 상부철근(41)과 철근(421)을 역시 격자 상으로 짠 하부철근(42)간에 소정의 어댑터(adapter) 또는 스페이서(spacer)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In large bridges, the slabs (S) of the top plate placed on top of the bridge (B) and the bridges (B) are far apart and become a large concrete structure. Such a slab (S) is constructed of reinforced concrete to secure its supporting force. Common sense, the support reinforcement used in this case as shown in Figure 8 to assemble the reinforcing bars in a mesh phase to be embed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concrete to obtain a rigid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for this purpose It is common to install a predetermined adapter or spacer between the upper reinforcing bar 41 woven into the lattice 411 and the lower reinforcing bar 42 also woven into the lattice.

이러한 것으로는 실용신안등록 제210587호 및 동 제210588호인 철근 스페이서가 있으며, 또 실용신안등록 제231731호인 철근 지지용 스페이서가 있으며, 게다가 본인이 고안하여 출원중인 실용신안출원 제10-2004-0061120호인 철근용 스페이서가 있는데,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210587호 및 동 제210588호의 철근 스페이서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측벽(63)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61)과, 본체 양측 단부에 형성된 서로 다른 크기의 지름을 갖는 철근을 삽입하는 홈(62)과, 일측 측벽(63)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횡 방향으로 형성된 방향홈(64)을 포함하여서 된 원통형 관상 철근 스페이서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가 또는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스페이서"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철근 지지용 스페이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래브(S)상에 지지되며 하부근 안착부가 형성된 풋부(71); 상기 풋부(71)로부터 상향 연장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부근 안착부가 형성된 연장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안착부가 관통공(7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지지용 스페이서"로 구성되어 있다.These include reinforcing spacers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s. 210587 and 210588, and Reinforcement spacers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31731. Furthermore, Utility Model Application No. 10-2004-0061120 There is a spacer for reinforcing bars, and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s. 210587 and 210588 have reinforcing spacers as shown in FIGS. 6A and 6B, "A plurality of holes 61 formed in the body side wall 63, and both ends of the main body. In the cylindrical tubular reinforcement spacer comprising a groove (62) for inserting reinforcing bars having different sizes of diameters formed in the groove and a direction groove (64) form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t regular intervals on one side wall (63), Spacer or Reinforcing spacer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ing spacers are supported on the "slab (S) as shown in Figure 7, the foot portion 71 is formed with a lower muscle seating portion; Consists of a reinforcing bar support spacer ", which extends from the foot part 71 and is formed of an extension part formed with at least one upper muscle seating part, wherein the seating part is a through hole 72.

따라서, 상기 전자는 원통형의 측벽에 천공되는 구멍(61) 및 홈(62)을 통해 철근을 배설함으로서 철근과 철근 사이 및 철근과 거푸집(P)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철근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으나, 철근이 십자형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는 원통형의 측벽(63) 내부는 타설 되는 콘크리트가 주입되기 어려운 구조라서 공동(cavity)으로 남겨져서 취약부분으로 작용될 수 있으며, Therefore, the electrons can fix the position of the reinforcing bar while maintaining the spacing between the reinforcing bar and the rebar and between the reinforcing bar and the formwork P by disposing the reinforcing bar through the holes 61 and the grooves 62 drilled in the cylindrical side wall. However, since the interior of the cylindrical side wall 63 where the reinforcing bars are installed crosswise is difficult to inject the concrete to be poured, it may be left as a cavity to act as a weak part.

상기 후자는 관통공(72) 내에 철근을 삽입하면 격자 상으로 배설이 되어 배치의 편의는 있으나, 작은 관통공(72)에 외주에 다수의 요철이 형성된 철근을 꼽아주기가 어려우며{물론 관통공(72)이 크면 꼽기는 쉬우나 위치가 정확하지 않게 됨}, 풋부(71)의 하부에 형성되는 홈(74) 내로 콘크리트의 주입에 어려움이 여전히 남아 있다.When the latter is inserted into the reinforcing hole 72, the rebar is disposed on the lattice, so it is easy to arrange, but it is difficult to insert the reinforcing bar having a large number of irregularities in the outer periphery in the small through hole 72. If 72) is large, the plugging is easy, but the position is not accurate}, difficulties remain in the injection of concrete into the grooves 74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oot portion 71.

본인의 선 출원은 도 5에 사용상태 및 발췌상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철근 안착부가 형성되는 몸체(51)와, 상기 몸체(51)의 하단에 위치하는 지지부(52)와, 몸체(51)의 상단에 꽂혀서 설치되는 M자 상의 상부 철근 지지대(53)로 이루어지는 철근용 스페이서를 제공한다.As shown in the use state and excerpt state in Fig. 5, the applicant's own application is a body 51 in which the rebar seating part is formed, the support part 52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51, and the body 51. It provides a spacer for the reinforcement bar consisting of an upper reinforcing bar support 53 on the M-shaped that is inserted into the top of the.

따라서, 상기 고안은 종래의 고안에서의 문제점들을 모두 해소하면서, 콘크리트 내부에 배설되는 철근의 위치를 정확하고도 강력하게 세팅하면서 타설 되는 콘크리트의 진입을 방해하지 않아서 강고한 철근 콘크리트 구축물을 얻을 수 있으며, 외부로 노출되는 부위를 콘크리트와 유사한 물성의 부재로 하여 미장향상 및 내부식성을 얻을 수 있지만, 지지대(53)가 몸체(51)와 별개로 되어 설치에 불편이 있으며, 제작비용도 아주 저렴한 것은 아니라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Therefore, the above-mentioned devise solves all the problems in the conventional devise, and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reinforced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without disturbing the entry of the poured concrete while accurately and powerfully setting the position of the reinforcing bars disposed in the concrete. In this case, the part exposed to the outside can be used to improve the plastering and corrosion resistance by using a material similar to concrete, but the support 53 is separated from the body 51, which is inconvenient for installation,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very low. No problem.

본 고안은 종래의 고안들뿐만 아니라 본인의 선 출원 고안에서 파생될 수 있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예의 주시하고 연구한 결과 완성된 고안으로서, 스페이서는 가격 및 강도 등을 고려하여 금속으로 제작되는 것인데, 상기 양 고안 공히 하단이 거푸집 위에 세워서 설치하는 것임으로, 콘크리트 타설이 되어 거푸집을 탈거하면, 그 밑단이 노출되게 되어 미장(美粧)면에서나 부식에 의한 내구성 열화(劣化)라는 문제를 완전히 해소하면서, 본인의 선 출원 고안에서 노출되었던 설치 편의 및 저렴성 등의 문제점들까지 모두 해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result of a careful examination and research of various problems that can be derived from the prior design as well as the conventional design, the spacer is made of metal in consideration of price and strength, Since both bottoms are installed upright on the formwork, when the concrete is placed and the formwork is removed, the bottom is exposed and the problem of durability deterioration due to corrosion or corrosion is completely eliminated. In order to solve all the problems, such as installation convenience and low cost that was exposed in the pre-application design of the.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측판과 뒷판이 거의 직각으로 연결되어 본체를 이루고: 상기 측판과 뒷판의 하단부가 돌출 되는 연장판으로 되어 그 위에 하부 안착부가 형성되고, 측판과 뒷판의 상단에도 상기 연장판에 형성되는 하부 안착부와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상부 안착부가 형성되는 스페이서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ide plate and the back plate is connected at almost right angles to form a main body: an extension plate protruding the lower end of the side plate and the back plate is formed thereon, the lower seating portion is formed thereon, the top of the side plate and the back plate Edo provides a spacer having an upper seating portion located in line with the lower seating portion formed on the extension plate.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달성을 위해, 본 고안은 상기한 구성과 더불어, 상기 본체가 하나의 뒷판과 상기 뒷판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2개의 측판으로 형성되는 스페이서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pacer formed with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body is formed of one back plate and two side plates respectively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back plate.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 달성을 위해, 본 고안은 상기한 구성과 더불어, 상기 본체의 하단부 일부가 삽입되는 외피가 추가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pacer,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hell in which a portion of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is inserted in addition to the above configuration.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 달성을 위해, 본 고안은 상기한 구성과 더불어, 상기 본체의 측판 또는 뒷판의 상단부가 돌출 되는 돌기판이 형성되거나, 클립이 착설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pacer characterized in that, in addition to the above configuration, a projection plate protruding the upper end of the side plate or the rear plate of the main body is formed, or the clip is installed.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철근용 스페이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pacer for re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상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figura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로 이어지는 측판(11)과 뒷판(12)이 거의 직각으로 연결되어 본체(1)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측판(11)과 뒷판(12)의 하단부 일부가 돌출 되는 연장판(113, 123)으로 되어 그 위에 하부철근(42)의 일부 외형과 일치되는 요입홈이 형성되어 하부 안착부(112, 122)가 이루어지는데, 하부철근(42)이 수직으로 교차함으로 하부 안착부(112, 122) 중 하나는 위쪽에 그리고 다른 하나는 철근(42)의 두께만큼 떨어진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고, 측판(11)과 뒷판(12)의 상단에도 상기 연장판(113, 123)에 형성되는 하부 안착부(112, 122)와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상부 안착부(111, 121)가 형성되는 스페이서이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plate 11 and the rear plate 12 leading to one are connected at almost right angles to form the main body 1, and the lower end portions of the side plate 11 and the rear plate 12 protrude. The extension plates 113 and 123 are formed, and recessed grooves are formed on the lower reinforcing bars 42 to correspond to the outer shape of the lower reinforcing bars 42 to form lower seating portions 112 and 122. As the lower reinforcing bars 42 vertically intersect, One of the lower seating portions 112 and 122 is formed at the upper side and the other at the lower side separated by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ing bar 42, and the extension plate 113 is also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ide plate 11 and the rear plate 12. The upper seating portions 111 and 121 are formed in a straight line with the lower seating portions 112 and 122 formed at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s 123.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구성의 상태를 알 수 있도록 도시한 구성상태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state so as to know the state of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구성과 더불어, 상기 본체(1)가 하나의 뒷판(12)과 상기 뒷판(12)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2개의 측판(11, 11)으로 형성되는 것인데, 이는 본체(1)전체가 측판(11)-뒷판(12)-측판(11)으로 ㄷ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측판(11)들 및 뒷판(12)에 형성되는 연장판(113, 113, 123) 및 상하부 안착부(111, 111, 121, 및 112, 112, 122)는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main body 1 is formed of one back plate 12 and two side plates 11 and 11 respectively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back plate 12. This is the main body (1) is composed of the side plate 11, the back plate 12 and the side plate 11 in the U-shape, and the extension plate 113, 113 formed on the side plates 11 and the back plate 12 , 123 and the upper and lower seating portions 111, 111, 121, and 112, 112, 122 are the same.

도 1 및 도 2를 참고로,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구성과 더불어, 상기 본체(1)의 하단부 일부가 삽입되는 외피(3)가 추가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인데, 측판(11)과 뒷판(12) 각각에 형성되는 요입부(117, 127)를 외피(3)가 막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외피(3)는 수지로 되어 본체(1)의 하단부를 둘러씌우는 형태임으로 하단부 일부에만 씌워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1 and 2,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 spacer is characterized in that an outer shell 3 into which a part of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1 is inserted is added. The outer shell 3 should not block the indentations 117 and 127 formed on the side plate 11 and the rear plate 12, and the outer shell 3 is made of resin to cover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1. It is desirable to cover only a portion of the lower end.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구성을 도시한 상태도이다.3 is a state diagram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구성과 더불어, 상기 본체(1)의 측판(11)의 상단부가 돌출 되는 돌기판(116)이 형성되거나, 클립(도시 생략)이 착설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인데, 돌기판(116)이 형성되는 경우 상부철근(41)이 측면으로부터 이에 삽입되기 쉽도록 상부안착부(111)의 선단이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되지 않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직선을 이루어야 함은 긴요하며, 클립(2)은 간단히는 철사를 구부려서 사용하거나 수지로 제작될 수 있는데, 상부철근(41)을 상부안착부(111, 121)에 결착되는 구조를 가지면, 어떠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 protrusion plate 116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side plate 11 of the main body 1 is formed, or a clip (not shown) is installed. When the protrusion 116 is formed, the tip of the upper seating portion 111 does not protrude as shown in FIGS. 1 and 2 so that the upper reinforcing bar 41 is easily inserted therefrom. It is essential that the straight line as shown in the clip, the clip (2) can be simply used by bending the wire or made of resin, the structure of the upper reinforcing bar 41 is fastened to the upper seating portion (111, 121) If having, any structure can be used.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각 구성 부분들의 기능을 도 4인 본 고안의 각 구성별 설치상태도를 참고로 이하에 설명한다.The func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installation state diagram for each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4.

본 고안의 일 구성에 의하면, 본체(1)는 거의 직각으로 마주쳐서 하나로 되는 측판(11)과 뒷판(12)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고, 이렇게 본체(1)가 앵글 상으로 된 것임으로 직립이 가능하여 스페이서를 세우기 용이하며, 또한 자체 지지력을 가지게 되어 철근(411, 421)과 철근(411, 421)을 격자 상으로 짠 상하부철근(41, 42)의 하중을 적절히 지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on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1 is formed by the side plate 11 and the back plate 12 which are substantially opposite to each other at a right angle, so that the main body 1 can be erect in an angle shape. It is easy to erect the spacer, and also has a self-supporting force to appropriately support the load of the upper and lower reinforcing bars (41, 42) woven the reinforcing bars (411, 421) and reinforcing bars (411, 421) in a grid.

또한, 상기 측판(11)과 뒷판(12)의 하단부 일부가 돌출 되는 연장판(113, 123)으로 되어 하부 안착부(112, 122)가 이루어지는데, 하부 안착부(112, 122)는 연장판(113, 123)위에 하부철근(42)의 일부 외형과 일치되는 요입홈이 형성되어 하부철근(42)이 수직으로 교차함으로 하부 안착부(112, 122) 중 하나는 위쪽에 그리고 다른 하나는 철근(42)의 두께만큼 떨어진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lower plates 112 and 122 are formed by extension plates 113 and 123 through which the lower end portions of the side plate 11 and the rear plate 12 protrude, and the lower seat portions 112 and 122 are extended plates. Concave grooves are formed on (113, 123) to coincide with some contours of the lower reinforcing bar 42, so that the lower reinforcing bars 42 vertically intersect, so that one of the lower seating parts 112 and 122 is upward and the other is reinforcing bar. It is formed so as to be located below the thickness of 42.

게다가, 측판(11)과 뒷판(12)의 상단에도 상기 연장판(113, 123)에 형성되는 하부 안착부(112, 122)와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상부 안착부(111, 121)가 형성되는 것이라서, 힘의 지지점이 일치하여 짝힘이 작용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In addition, the upper seating portions 111 and 121 which are located in line with the lower seating portions 112 and 122 formed on the extension plates 113 and 123 are formed at the upper ends of the side plates 11 and the rear plate 12. Thus, the support points of the forces coincide with each other to prevent the pairing from working.

그리고, 본체(1)는 하나의 판제를 절곡하고 밴딩하여 제작이 될 수 있는 것임으로 저렴하고 손쉽게 이루어지지만, 판재의 두께가 너무 얇으면 상하부 안착부(111, 121 및 112, 122)들에 철근(411, 421)들이 얹어질 때 상부철근(41) 또는 하부철근(42)의 전체 무게가 걸림으로 지지력이 충분하지 않아서 파손되거나 찌부러질 수 있으므로, 상하부 안착부(111, 121 및 112, 122)들에는 보강을 위해 보강부(115, 125)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예컨대 판재에 프레스로 눌러서 비드(Bead)를 형성하는 방식이 손쉽게 사용될 수 있으며, 측판(11)과 뒷판(12)의 소정 개소에는 천공(114, 124)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본체(1)의 전후를 채우는 콘크리트가 천공(114, 124)을 통해 연결되도록 함으로서 스페이서가 콘크리트 내에 견고히 매설되도록 하게 되며, 이러한 견지에서 본체(1)의 하단에도 요입부(117, 127)를 형성하도록 하였다.In addition, the main body 1 is made cheap and easy because it can be produced by bending and bending one plate, but if the thickness of the plate is too thin, the upper and lower seating portions 111, 121, 112, and 122 are reinforced. Since the entire weight of the upper reinforcing bar 41 or the lower reinforcing bar 42 when the (411, 421) is loaded, the support force is not enough, so that it may be broken or crushed, the upper and lower seating parts (111, 121 and 112, 122) It is preferable to install reinforcement parts 115 and 125 in the field for reinforcement, and for example, a method of forming a bead by pressing the plate with a press may be easily used, and the side plate 11 and the back plate 12 may be easily used. Perforations 114 and 124 may be formed in certain locations, which allows the concrete filling the front and back of the body 1 to be connected through the perforations 114 and 124 so that the spacers are firmly embedded in the concrete. Lower part of the body (1) In was to form a concave inlet (117, 127).

또한, 앵글(L자) 상의 본체(1) 중 측판(11)과 뒷판(12)의 단부 측에도 약간 연장되는 막음판(13)이 형성되면 본체(1)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서 바람직하며, 상기한 추가 구성은 본 고안의 설계변경에 지나지 않음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 내임이 명백하다.In addition, if the blocking plate 13 which extends slightly in the end side of the side plate 11 and the back plate 12 of the main body 1 on an angle (L-shape) is formed, since the intensity | strength of the main body 1 can be improved, it is preferable, It is apparent that the above additional configuration is only a design chang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다른 구성에 의하면, 상기한 구성과 더불어, 상기 본체(1)가 하나의 뒷판(12)과 상기 뒷판(12)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2개의 측판(11, 11)으로 형성되는 것인데, 이는 본체(1)전체가 측판(11)-뒷판(12)-측판(11)으로 ㄷ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라서, 상기 첫 번째 구성인 앵글 상으로 이루어지는 스페이서보다 안정되게 설치되면서 구조 하중도 증가시킬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main body 1 is formed of one back plate 12 and two side plates 11 and 11 respectively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back plate 12. This is because the entire body (1) is formed in the U-shape of the side plate 11-back plate 12-side plate 11,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tructural load while more stably installed than the spacer consisting of the first configuration of the angle configuration It is preferable.

본 고안의 또 다른 구성에 의하면, 상기한 구성과 더불어, 상기 본체(1)의 하단부 일부가 삽입되는 외피(3)가 추가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인데, 외피(3)는 수지로 되어 본체(1)의 하단부를 둘러씌우는 형태로서, 스페이서의 하단부는 슬래브(S)의 표면에 노출되는 부위임으로 주변의 콘크리트와의 미장관계에도 좋지 않으면서 우수 등에 의해 녹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의 질감을 낼 수 있는 수지로 피복 함으로서 이러한 단점을 커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ccording to yet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outer shell portion 3 is inserted into the insert portion 3 is a spacer,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hell 3 is made of a resin body ( The lower part of 1) covers the lower part of the spacer, and the lower part of the spacer is exposed to the surface of the slab (S). It is possible to cover these shortcomings by coating with resin.

본 고안의 또 다른 구성에 의하면, 상기한 구성과 더불어, 상기 본체(1)의 측판(11)의 상단부가 돌출 되는 돌기판(116)이 형성되거나, 클립(2)이 착설되는 것인데, 돌기판(116)이나 클립(2)은 모두 상부철근(41)을 상부안착부(111, 121)에 공고히 결착되도록 하여 타설 되는 콘크리트에 의해 상부철근(41)이 부력을 받아 떠오름으로서 위치를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라서 철근(411)이 항상 설계 위치에 배설되어 슬래브(S)의 구조하중을 설계대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 projection plate 116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side plate 11 of the main body 1 is formed, or the clip 2 is installed, the projection plate Both the 116 and the clip 2 securely binds the upper reinforcement 41 to the upper seating portions 111 and 121 so that the upper reinforcement 41 is buoyant and floated by the concrete to be placed so as not to leave the position. Since the rebar 411 is always disposed in the design position,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structural load of the slab (S) as designed.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스페이서는 가격 및 강도 등을 고려하여 금속으로 제작되는 것인데, 상기 양 고안 공히 하단이 거푸집 위에 세워서 설치하는 것임으로, 콘크리트 타설이 되어 거푸집을 탈거하면, 그 밑단이 노출되게 되어 미장(美粧)면에서나 부식에 의한 내구성 열화(劣化)라는 문제를 완전히 해소하면서, 본인의 선 출원 고안에서 노출되었던 설치 편의 및 저렴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하고 효과적인 고안이다.As described above, the spa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metal in consideration of the price and strength, etc. Both of the above devises are to be installed standing on the formwork, and when the formwork is removed and the form is removed, the hem is exposed. It is a useful and effective design to obtain the installation convenience and low cost, which has been exposed in the prior application design, while completely eliminating the problem of durability deterioration due to corrosion and corrosion at the surface of beauty.

도 1은 본 고안의 일 구성의 구성상태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on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구성의 구성상태도.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구성의 구성상태도.Figure 3 is a configuration of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각 구성의 설치상태도.Figure 4 is an installation state of each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종래 고안의 설치 상태도.Figure 5 is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conventional design.

도 6은 종래 다른 고안의 구성상태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figuration state of another conventional design.

도 7은 종래 또 다른 고안의 구성상태 사시도.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figuration state of another conventional design.

도 8은 종래의 철근 콘크리트 구조체의 일부 파단 사시도.8 is a partially broken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drawing

1. 본체1. Main body

11. 측판 111. 상부 안착부 112. 하부 안착부11.Side plate 111. Upper seat 112. Lower seat

113. 연장판 114. 천공 113.Extension 114. Perforation

115. 보강부 116. 돌기판115. Reinforcement section 116. Protrusion board

117. 요입부117. Indents

12. 뒷판 121. 상부 안착부 122. 하부 안착부12. Rear panel 121. Upper seat 122. Lower seat

123. 연장판 124. 천공123. Extension 124. Perforation

125. 보강부 127. 요입부125. Reinforcement part 127. Recessed part

13. 막음판13. Blocking plate

3. 외피3. Outer shell

41. 상부철근 411. 철근 42. 하부철근 421. 철근41. Upper rebar 411. Rebar 42. Lower rebar 421. Rebar

51. 몸체 52. 지지부 53. 지지대51. Body 52. Support 53. Support

61. 구멍 62. 홈 63. 측벽 64. 방향홈61.hole 62.groove 63.side wall 64.directional groove

71. 풋부 72. 관통공 73. 연장부 74. 홈71. Foot 72. Through Hole 73. Extension 74. Groove

S. 슬래브(상판) B. 교각(교대) P. 거푸집S. Slab (top plate) B. Pier (shift) P. Formwork

Claims (4)

측판과 뒷판이 L자 상으로 되어 본체를 이루고: The side plate and the back plate are L-shaped to form a body: 상기 측판과 뒷판의 하단부가 돌출 되는 연장판으로 되어 그 위에 하부 안착부가 형성되고, 측판과 뒷판의 상단에도 상기 연장판에 형성되는 하부 안착부와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상부 안착부가 형성되는 스페이서.The bottom plate of the side plate and the rear plate is an extension plate protruding, the lower seating portion is formed thereon, and the upper seating portion formed in a line with the lower seating portion formed in the extension plate on the top of the side plate and the rear plat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본체가 하나의 뒷판과 상기 뒷판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2개의 측판으로 형성되는 스페이서.Spacer is formed by the main body is formed of one back plate and two side plates respectively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back plate.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본체의 하단부 일부가 삽입되는 외피가 추가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Spac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hell is inserted into which a portion of the lower end portion is inserted.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본체의 측판 또는 뒷판의 상단부가 돌출 되는 돌기판이 형성되거나, 클립이 착설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Spac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jection plate protruding the upper end of the side plate or the back plate of the main body, or the clip is installed.
KR20-2005-0009438U 2005-04-07 2005-04-07 Spacer KR20038892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438U KR200388926Y1 (en) 2005-04-07 2005-04-07 Spac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438U KR200388926Y1 (en) 2005-04-07 2005-04-07 Spac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8926Y1 true KR200388926Y1 (en) 2005-07-07

Family

ID=43690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9438U KR200388926Y1 (en) 2005-04-07 2005-04-07 Spac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8926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2605B1 (en) Water storage tank
US20070284506A1 (en) Stay-in-place concrete footing forms
KR20110040493A (en) Permanent formwork for reinforced concrete
JP3735781B2 (en) Double bar spacer
KR200388926Y1 (en) Spacer
JP5538150B2 (en) Temporary material ruler for temporary material used to form the foundation for housing
KR100663800B1 (en) Single element type Spacer
JP2016196802A (en) Spacer and reinforcement setting method
CN109779049A (en) Novel steel wire rack insulation board positioning supporting part, novel wall and its construction technology
JP4384138B2 (en) Reinforcing bar spacer
KR200262326Y1 (en) Spacer for reinforcing rod binding
KR100681882B1 (en) The precast kicker block and the method of construction using the same
KR100696278B1 (en) Spacer using by Plat panel
JP4167339B2 (en) Sleeve fixing jig
KR100735028B1 (en) Spacer for steel reinforcing
KR200414661Y1 (en) Slave form supporter for bridge
KR20090084273A (en)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method of block type using steel-bar
CN216740364U (en) Assembly type structure carrier bar with antidetonation function
JP6485720B1 (en) Reinforcing member
RU46779U1 (en) COMBINATION NODE WITH REINFORCED CONCRETE BUILDING COLUMN
JP3310956B2 (en) Jig set for holding rods for assembling grid frames such as reinforcing bars in concrete foundations
JP2005126907A (en) Spacer for reinforcement
JP2000073380A (en) Bar arrangement for mat foundation work execution, bar arrangement structure of mat foundation work execution, and work execution method of the mat foundation
JP3868336B2 (en) Molded floor board support member and stepped floor forming method
JP3035385U (en) Foundation reinforc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