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8841Y1 - Apparatus for falling amusing means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falling amusing mea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8841Y1
KR200388841Y1 KR20-2005-0010950U KR20050010950U KR200388841Y1 KR 200388841 Y1 KR200388841 Y1 KR 200388841Y1 KR 20050010950 U KR20050010950 U KR 20050010950U KR 200388841 Y1 KR200388841 Y1 KR 2003888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y
wire
switch
winding drum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095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지일
Original Assignee
정지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지일 filed Critical 정지일
Priority to KR20-2005-00109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8841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88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8841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5/00Auxiliaries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on stages, or in circuses or arenas
    • A63J5/02Arrangements for making stage effects; Auxiliary stage appli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54Safety gear
    • B66D1/56Adaptations of limit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2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Abstract

본 고안은 노래방용 유희물 낙하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주요 구성은 와이어의 일단에 장착된 유희물이 권취드럼에서 풀려져 연직 하방향으로 낙하하는 도중에 상기 유희물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물체에 부딪침에 의해서 상기 유희물을 지지하는 와이어에 작용하는 장력이 순간적으로 급격히 감소되는 것을 감지하여 모터의 회전 방향을 정방향에서 역방향으로 전환구동되도록 함으로써 와이어가 다시 권취드럼쪽으로 감겨지도록 하기 위한 방향전환용 스위치를 권취드럼을 장착한 지지판의 일지점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노래방의 천정에 근접 설치된 유희물이 사람의 신장에 따라 낙하하는 거리를 달리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araoke play drop device,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play on the one end of the wire is released from the winding drum while fall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hitting an object that is loc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play Winding the switch for turning the direction switch so that the wire is wound back to the winding drum by detecting that the tension acting on the wire supporting the play material is suddenly reduced and switchi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otor from the forward direction to the reverse direc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at one point of the support plate equipped with, by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adjusted to the distance of the play falling near the ceiling of the karaoke drop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person.

Description

노래방용 유희물 낙하장치{Apparatus for falling amusing means}Apparatus for falling amusing means}

본 고안은 노래방용 유희물 낙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노래방의 천정에 근접 설치된 유희물이 사람의 신장에 따라 낙하하는 거리를 달리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노래방용 유희물 낙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araoke play drop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karaoke play drop device for controlling the distance that the play is installed close to the ceiling of the karaoke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person.

노래방에서 노래방 이용자의 흥미를 유발시키고 분위기를 한층 고조시키기 위한 유희물 낙하장치로서,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18-0333971호와 18-0377749호 및 18-0371986호와 같은 노래방용 유희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A karaoke game device such as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s. 18-0333971 and 18-0377749 and 18-0371986 has been disclosed as a play drop device to induce interest and heighten the atmosphere of karaoke users in karaoke. have.

위와 같은 고안들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노래방 반주기(1)에 쟁반(2) 등과 연결된 구동장치를 일체로 설치하고, 노래할 때 음정과 박자가 틀리거나 노래가 끝난 후에 노래점수가 일정 기준에 미달되면 반주기(1)가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구동장치를 작동시키거나 별도의 제어신호에 의해서 쟁반(2)을 낙하시켜 노래하는 사람의 머리를 타격하도록 함으로써 노래방 이용자의 시각적 청각적 흥미를 유발한다는 점에서 노래방 분위기를 고조시키도록 하고 있다.The above devises are integrally installed with a driving device connected to the tray (2) and the like in the karaoke half cycle (1), as shown in Figure 1, when the song is not pitch or beat or after the end of the song score is below a certain standard If the half cycle (1) detects this to automatically drive the drive or by dropping the tray (2) by a separate control signal to hit the head of the singer to induce a visual auditory interest of the karaoke user To increase the karaoke mood.

그러나, 위와 같은 고안들은 모두 사람의 머리 위에서 승강되는 쟁반(2)이 사전에 설정된 일정한 거리로 낙하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쟁반의 아래에 위치하는 사람의 키가 작을 경우에는 미처 머리를 타격하기도 전에 다시 상승되는 경우가 있고, 또 사람의 키가 큰 경우에는 이미 쟁반이 사람의 머리를 타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쟁반이 상당 거리만큼 계속 하강하게 되어 노래를 부르는 사람의 흥미를 반감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above designs all allow the tray 2 to be lifted above the person's head to fall at a predetermined distance, so if the person under the tray is short, the person rises again before hitting the head. In addition, if the height of the person is already tall, even though the tray hit the head of the person, the tray continues to descend by a considerable distance there is a problem that halting the interest of the person singing.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노래방의 천정에 근접 설치된 유희물이 사람의 신장에 따라 낙하하는 거리를 달리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노래방용 유희물 낙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lay a karaoke play that can be adjusted to the distance of the play falls near the height of the karaoke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person To provide a dropping devic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노래방용 유희물 낙하장치는 천정의 일지점에 부착되어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 고정설치되며,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정역으로 회전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일측에 형성한 회전축에 끼워져 상기 회전축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는 권취드럼과, 상기 권취드럼에 감겨져서 상기 권취드럼의 회전에 따라 풀리거나 감겨지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가 상기 권취드럼의 감김에 따라 수직상승하고 풀림에 따라 연직 하방향으로 낙하하게 되는 유희물과, 상기 지지판의 일지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권취드럼에서 풀려 나오거나 감겨지는 와이어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로울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노래방용 유희물 낙하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내로울러와 권취드럼의 사이에는 상기 와이어의 일단에 장착된 유희물이 상기 권취드럼에서 풀려져 연직 하방향으로 낙하하는 도중에 상기 유희물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물체에 부딪침에 의해서 상기 유희물을 지지하는 와이어에 작용하는 장력이 순간적으로 급격히 감소되는 것을 감지하여 모터의 회전 방향을 정방향에서 역방향으로 전환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와이어가 다시 권취드럼쪽으로 감겨지도록 하기 위한 방향전환용 스위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karaoke play drop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fixed plate that is fixed to the fixed point attached to one point of the ceiling, the support plate is fixed to one side of the fixing plate, and is fixed to the support plate, When the motor is rotated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 the winding drum is inserted into the rotating shaft formed on one side of the motor and rotates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and wound around the winding drum to be unwound or woun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winding drum A wire that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wire, the wire rises vertically as the winding drum winds up and falls vertically as it is unwinded, and is rotatably installed at one point of the support plate so that the winding A karaoke kit comprising a guide roller for guiding the wire to be unwound or wound from the drum In the water dropping device, between the guide roller and the take-up drum, a play attached to one end of the wire is hit by an object positioned at the bottom of the play while being released from the take-up drum and falling vertically. By detecting a sudden decrease in the tension acting on the wire supporting the play material by the moment to rotate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motor from the forward direction to the reverse direction is installed to switch the direction of the wire to be wound back to the winding drum It is characterized by.

상기 방향전환용 스위치는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스위치를 접속 또는 차단시키도록 하는 레버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direction switching switch is preferably composed of a switch for controlling the drive of the motor, and a leve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witch to rotate around the hinge axis to connect or disconnect the switch.

또한, 상기 유희물을 지지하기 위한 와이어의 일지점에는 소정 두께로 형성되는 접촉자가 더 장착되고,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접촉자가 소정 위치의 높이까지 도달한 것을 감지하여 모터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하기 위한 리미트스위치가 더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contactor formed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further mounted at one point of the wire for supporting the play material, and the support plate detects that the contactor has reached a height of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limits for stopping the driving of the motor. It is preferable that the switch be further installed.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래방용 유희물 낙하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karaoke play drop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s follows.

본 고안에 따른 노래방용 유희물 낙하장치는 도 2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판(11)과, 지지판(13)과, 모터(14)와, 클러치판(15)과, 클러치판제동수단(16)과, 권취드럼(17)과, 와이어(18)와, 유희물(19)과, 방향전환용 스위치(20)와, 안내로울러(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karaoke play drop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plate 11, the support plate 13, the motor 14, the clutch plate 15, the clutch plate braking means (as shown in Figs. 16, a winding drum 17, a wire 18, a play 19, a switch 20 for changing the direction, and a guide roller 21.

상기 고정판(11)은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천정에 직접 나사와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부착할 수도 있고, 또 고정판(11)의 하부에 설치되는 측판(12)들이 천정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천정 매립식으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천정으로부터 약간 상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2 and 3, the fixing plate 11 may be directly attached to the ceiling by using fastening means such as screws, and the side plates 12 install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fixing plate 11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part of the ceiling. If the ceiling is installed to be located, it may be installed to be located slightly above the ceiling.

상기 고정판(11)의 하부에는 도 3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모터(14)를 고정 결합시키기 위한 지지판(13)이 소정의 형상으로 부착되고, 상기 모터(14)가 결합되는 위치에는 모터(14)의 회전축(14a)이 끼워질 수 있도록 구멍(13a)이 형성되어 있다.3 to 5, a support plate 13 for fixing and coupling the motor 14 to be described later is attach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ixing plate 11 in a predetermined shape, and the motor 14 is coupled to the position. The hole 13a is formed so that the rotating shaft 14a of the motor 14 may be fitted.

상기 모터(14)는 상기 지지판(13)에 볼트(미도시)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서 고정설치되며,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된다.The motor 14 is fixed to the support plate 13 by a fastening means such as a bolt (not shown), and rotates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as power is applied.

상기 모터(14)의 회전축(14a)에는 일측에 권취드럼(17)이 끼워지고, 타측에는 클러치판(15)이 각각 체결되어 모터(14)가 회전될 때, 모터(14)의 회전과 함께 상기 권취드럼(17)과 클러치판(15)도 함께 회전된다.When the winding drum 17 is fitted on one side of the rotating shaft 14a of the motor 14, and the clutch plate 15 is engaged on the other side, respectively, and the motor 14 is rotated, with the rotation of the motor 14. The winding drum 17 and the clutch plate 15 are also rotated together.

상기 클러치판(15)의 외주 일측에는 상기 클러치판(15)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클러치판제동수단 구체적으로는 도 3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은 솔레노이드(16)가 상기 고정판(11)에 고정 부착된다.Clutch plate braking means for preventing the clutch plate 15 from rotating on on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clutch plate 15. Specifically, the solenoid 16 as shown in FIGS. 3 to 5 is attached to the fixed plate 11. It is fixedly attached.

상기 솔레노이드(16)는 상기 클러치판(15)의 외주 일지점과 접촉되어 상기 클러치판(15)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동부(16a)가 구비되며, 상기 제동부(16a)는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서 소정거리만큼 후퇴 이동하여 상기 클러치판(15)과의 접촉상태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해제되게 되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클러치판(15)은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되고, 그에 따라 유희물이 유희물의 자중에 의해서 자유낙하하게 된다.The solenoid 16 is provided with a braking portion 16a for contacti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lutch plate 15 to prevent the clutch plate 15 from rotating, and the braking portion 16a has a power supply. As it is applied, it retreats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contact state with the clutch plate 15 is released as shown in FIG. 5, and in this case, the clutch plate 15 is freely rotatable. The play will fall freely due to the weight of the play.

상기 클러치판(15)과 클러치판제동수단(16)은 유희물(19)이 자중에 의하여 자유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클러치판을 모터(14)의 일측 회전축에 설치하고, 또 상기 클러치판(16)의 외주에 상기 클러치판을 제동토록 하기 위한 클러치판 제동수단(16)을 설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위와 같은 클러치판(15)과 클러치판제동수단(16)은 하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할 뿐이며, 당업자라면 유희물(19)이 자중에 의하여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을 달리 변경하여 다른 구성으로 실시할 수도 있다.The clutch plate 15 and the clutch plate braking means 16 are configured to prevent the play 19 from falling freely by its own weigh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lutch plate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otor shaft 14. In addition, although the clutch plate braking means 16 for braking the clutch plate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lutch plate 16, the clutch plate 15 and the clutch plate braking means 16 are the same. Only one exemplary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and a person skilled in the art may change the configuration to prevent the play 19 from falling by its own weight, and may be implemented in another configuration.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노래방용 유희물 낙하장치의 모터 회전축(14a)에는 모터(14)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는 권취드럼(17)이 고정결합되며, 상기 권취드럼(17)에는 권취드럼(17)의 회전에 따라 풀리거나 감겨지게 되는 와이어(18)가 감겨진다.In addition, a winding drum 17 which is rotated with the rotation of the motor 14 is fixedly coupled to the motor rotation shaft 14a of the karaoke play drop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winding drum 17 is wound on the winding drum 17. The wire 18, which is to be unwound or rolled up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is wound.

상기 권취드럼(17)은 상기 모터(14)의 회전축(14a)에 축결합되는 연결부(17a)와, 상기 와이어(18)가 권취되는 권취부(17b)와, 상기 권취부(17b)의 양단에 돌출되어 상기 와이어(18)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턱(17c)으로 구성된다.The winding drum 17 has a connecting portion 17a axially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14a of the motor 14, a winding portion 17b on which the wire 18 is wound, and both ends of the winding portion 17b. Protrudes to the separation prevention jaw (17c) for preventing the separation of the wire (18).

상기 와이어(18)는 그 일단은 상기 권취드럼(17)에 감겨지고, 타단은 유희물(19)이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다수의 와이어(18)가 연결되며, 상기 권취드럼(17)의 회전에 따라 풀리거나 감겨지게 된다.One end of the wire 18 is wound on the winding drum 17, and the other end of the wire 18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wires 18 so that the play 19 may be maintained in a horizontal state. It will be unwound or rolled up as it rotates.

상기 유희물(19)은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다수의 와이어(18)에 의해서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18)가 권취드럼(17)에 감김에 따라 수직상승하고, 풀림에 따라 낙하하게 되며, 그 구체적인 예로서는 쟁반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그 이외에 직사각형의 판상체와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The play 19 is connected by a plurality of wires 18 to maintain a horizontal state, the wire 18 rises vertically as it is wound around the winding drum 17, and falls as it is unwinding, As a specific example, it may have the shape of a tray, and in addition, it may be compris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rectangular plate-shaped object.

상기 방향전환용 스위치(20)는 상기 와이어(18)의 일단에 장착된 유희물(19)이 상기 권취드럼(17)에서 풀려져 연직 하방향으로 낙하하는 도중에 상기 유희물(19)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물체에 부딪침에 의해서 상기 유희물(19)을 지지하는 와이어(18)에 작용하는 장력이 순간적으로 급격히 감소되는 것을 감지하여 모터(14)의 회전 방향을 정방향에서 역방향으로 전환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와이어(18)가 다시 권취드럼(17)쪽으로 감겨지도록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모터(14)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20a)와, 상기 스위치(20a)의 일측에 설치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스위치(20a)를 접속 또는 차단시키도록 하는 레버(20b)로 구성된다.The directional switch 20 is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play 19 while the play 19 mounted on one end of the wire 18 is released from the winding drum 17 and falls vertically downward. By detecting a sudden decrease in tension acting on the wire 18 supporting the play 19 by hitting the object to be located by causing the motor 14 to rotate and drive the rotational direction from the forward direction to the reverse direction. In order to allow the wire 18 to be wound back toward the winding drum 17, a switch 20a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motor 14 and a side of the switch 20a are installed to rotate about a hinge axis. It consists of a lever (20b)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the switch 20a.

위와 같은 방향전환용 스위치(20)는 유희물(19)이 상부쪽에서 하부쪽으로 낙하하는 도중에는 도 6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와이어(18)가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하부쪽으로 풀려지게 되며, 이때에는 와이어(18)가 방향전환용 스위치(20)의 레버(20b)를 누른 상태로 있게 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유희물(19)이 그 하부에 위치하는 물체, 예를 들면, 사람의 머리를 타격하게 되면, 유희물(19)을 지지하는 와이어(18)의 장력이 순간적으로 급격히 감소하게 되므로, 이때에는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와이어(18)가 방향전환용 스위치(20)의 레버(20b)를 누르는 힘이 순간적으로 제거되므로 레버(20b)가 스위치(20a)를 off시키게 되므로 이와 같은 스위치(20a)의 전환신호에 의해서 제어부(미도시)에서는 모터(14)를 정방향에서 역방향으로 구동시키도록 하는 전기신호를 발생하게 되고, 이와 같은 신호에 의해서 유희물(19)은 다시 상부쪽으로 이동하게 된다.As shown in FIG. 6A, the switch 20 for changing the direction 20 is releas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while the wire 18 is loosened while maintaining a taut state. In this case, the wire 18 When the lever 20b of the direction switching switch 20 is pressed, and the play object 19 hits an object located below it, for example, a human head in such a state, Since the tension of the wire 18 supporting the play 19 decreases instantaneously,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6B, the force of the wire 18 pressing the lever 20b of the direction switching switch 20 is shown. Since the moment is removed, the lever 20b turns off the switch 20a. Thus, the control signal (not shown) drives the motor 14 in the forward direction to the reverse direction by the switching signal of the switch 20a. Causing By this signal, the play 19 is moved upward again.

상기 안내로울러(21)는 상기 지지판(13)의 일지점에 회전 가능하게 상기 권취드럼(17)에서 풀려 나오거나 감겨지는 와이어(18)를 안내한다.The guide roller 21 guides the wire 18 to be released or wound from the winding drum 17 to be rotatable at one point of the support plate 13.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방용 유희물 낙하장치는 와이어(18)의 최종 상승 위치를 설정하기 위해서 모터(14)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22a)와, 상기 스위치(22a)의 일측에 설치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스위치(22a)를 접속 또는 차단시키도록 하는 레버(22b)로 구성되는 리미트스위치(22)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karaoke play drop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switch 22a for controlling the drive of the motor 14 and the one side of the switch 22a to set the final rising position of the wire 18 It may further include a limit switch 22 composed of a lever (22b) to rotate around the hinge axis to connect or disconnect the switch (22a).

상기 리미트스위치(22)는 상기 유희물(19)이 모터(14)의 정방향 회전에 의해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낙하되었다가 모터(14)의 역방향 회전에 의해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측으로 다시 상승하게 될 때, 상기 유희물(19)이 상승되는 최종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스위치로서, 유희물(19)이 상승하게 되면, 와이어(18)의 소정 위치에 장착된 접촉자(18a)가 소정위치에 도달하게 되어 도 6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리미트스위치(22)의 레버(22b)를 누르게 되고, 따라서, 상기 레버(22b)는 스위치(22a)를 조작하게 되어 상기 스위치(22a)는 모터(14)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한다.The limit switch 22 falls as shown in FIG. 5 by the forward rotation of the motor 14, and then back upwards as shown in FIG. 4 by the reverse rotation of the motor 14. As a switch for setting the final position at which the play 19 rises when it rises, when the play 19 rises, the contactor 18a moun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wire 18 becomes a predetermined position. 6A, the lever 22b of the limit switch 22 is pressed, so that the lever 22b operates the switch 22a so that the switch 22a is the motor 14. To stop the driving.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노래방용 유희물 낙하장치는 노래방의 노래반주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신호에 의해서 작동되게 되는데, 먼저 유희물(19)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로 상승한 상태로 위치한 상태에서 대기를 하고 있다가 노래를 부르는 사람이 노래의 음정이나 박자 등이 틀리거나 노래가 끝난 후의 점수가 일정 기준에 미달될 때에는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신호에 의해서 솔레노이드(16)에 전기신호를 인가하여 클러치판(15)과의 접촉을 해제하여 클러치판(15)이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모터(14)에 정방향의 신호를 보내어 모터(14)가 정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권취드럼(17)이 정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유희물(19)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낙하하게 되는데, 위와 같이 유희물(19)이 낙하하는 도중에 소정 시간(예를 들면, 0.5초)이 경과하는 경우 또는 유희물(19)이 노래를 부른 사람의 머리를 타격하게 되어 유희물(19)을 지지하는 장력이 순간적으로 급격히 감소되어 방향전환용 스위치(20)의 레버(20b)를 누르는 힘이 순간적으로 제거되어 레버(20b)가 스위치(20a)를 off시키므로서 스위치(20a)의 전환신호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제어부(미도시)에서는 모터(14)를 정방향에서 역방향으로 구동시키도록 하는 전기신호를 발생하게 되고, 이와 같은 신호에 의해서 모터(14)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므로 권취드럼(17)이 역방향으로 회전되고, 그에 따라 유희물(19)도 다시 상승되게 되며, 상기 유희물(19)이 소정 위치에 이르게 되면, 와이어(18)의 일측에 연결된 접촉자(18a)가 도 6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리미트스위치(22)의 레버(22a)를 누르게 되므로 그 접속신호를 제어부(미도시)에서 공급받아 제어부에서는 모터(14)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하는 전기신호를 발생시키고, 그와 동시에 솔레노이드(16)의 전원을 차단하여 다시 솔레노이드(16)의 제동부(16a)가 소정 거리 만큼 이동하여 상기 제동부(16a)가 다시 클러치판(15)의 외주와 접촉되게 되므로 클러치판(15)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게 되어 다시 유희물(19)은 최대 상승 위치에서 대기를 할 수 있게 된다.The karaoke play object dropp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s operated by a control signal of a controller (not shown)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karaoke cycle of karaoke, first, the play 19 is shown in FIG.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inger who is waiting in the state of being raised to the upper position and the song pitcher or beat of the song is wrong or the score after the song ends up below a certain standard, the signal from the controller controls the solenoid ( 16, the electrical signal is applied to release the contact with the clutch plate 15 so that the clutch plate 15 can rotate freely, and at the same time sends a positive signal to the motor 14 so that the motor 14 moves in the positive direction. As the winding drum 17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play material 19 falls as shown in FIG. 5, as shown in FIG. 5. When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0.5 second) elapses while the water 19 falls, or the play 19 hits the head of the person who sang, the tension supporting the play 19 is momentary. Is abruptly reduced so that the force for pressing the lever 20b of the directional switch 20 is momentarily removed, and the lever 20b turns off the switch 20a so that the control signal of the switch 20a is generated. (Not shown) generates an electric signal for driving the motor 14 in the reverse direction from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winding drum 17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because the motor 14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by such a signal, Accordingly, the play 19 is also raised again. When the play 19 reaches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contact 18a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wire 18 is limited as shown in FIG. 6A. Press the lever 22a The control unit (not shown) receives the connection signal, and the control unit generates an electric signal for stopping the driving of the motor 14, and at the same time, cuts off the power supply of the solenoid 16 and again the braking unit of the solenoid 16 ( Since the brake part 16a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lutch plate 15 again by moving the predetermined distance 16a, the clutch plate 15 can be prevented from rotating, and the play 19 again rises at the maximum. You will be able to wait at your location.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노래방용 유희물 낙하장치는 노래방의 천정에 근접 설치된 유희물이 사람의 신장에 따라 낙하하는 거리를 달리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므로 노래방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흥미를 지속 유지토록 할 수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karaoke play drop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justed to the distance that the play falls close to the ceiling of the karaoke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person to maintain the interest of the user using the karaoke You can do it.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기준하여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라 할 수 있고,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들을 생각해 낼 수 있으므로 이러한 균등한 실시예들 또한 본 발명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may be regarded as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conceive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therefrom. Such equivalent embodiments should also be considered to be included within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종래의 노래방용 유희물 낙하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ventional karaoke play drop device,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노래방용 유희물 낙하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Figure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karaoke 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노래방용 유희물 낙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karaoke 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노래방용 유희물 낙하장치의 상승위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며,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rising position of the karaoke 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노래방용 유희물 낙하장치의 하강위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며,Figure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falling position of the karaoke play equipment fal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6b는 본 고안에 따른 노래방용 유희물 낙하장치의 방향전환 스위치의 작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설명도이다.Figure 6a, 6b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directional switch of the karaoke play drop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 : 고정판 13 : 지지판11: fixing plate 13: support plate

14 : 모터 15 : 클러치판14 motor 15 clutch plate

16 : 클러치판제동수단 17 : 권취드럼16: clutch plate braking means 17: winding drum

18 : 와이어 19 : 유희물18: wire 19: play

20 : 방향전환용 스위치 22 : 리미트스위치20: direction change switch 22: limit switch

Claims (3)

천정의 일지점에 부착되어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 고정설치되며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정역으로 회전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일측에 형성한 회전축에 끼워져 상기 회전축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는 권취드럼과, 상기 권취드럼에 감겨져서 상기 권취드럼의 회전에 따라 풀리거나 감겨지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가 상기 권취드럼의 감김에 따라 수직 상승하고 풀림에 따라 연직 하방향으로 낙하하게 되는 유희물과, 상기 지지 판의 일지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권취드럼에서 풀려 나오거나 감겨지는 와이어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로울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노래방용 유희물 낙하장치에 있어서,A fixed plate attached to one point of the ceiling and fixedly installed, a support plate fixed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xed plate, a motor fixedly installed on the support plate and rotated forward and reverse as power is applied, and a rotating shaft formed on one side of the motor A winding drum which is inserted into and rotated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and a wire wound on the winding drum to be unwound or woun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winding drum, a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wire to connect the wire to the winding drum. And a guide roller for guiding a wire that is vertically lifted up and falls vertically as it is loosened, and is rotatably installed at one point of the support plate to be released or wound from the winding drum. In the karaoke play drop device, 상기 안내로울러와 권취드럼의 사이에는, 상기 와이어의 일단에 장착된 유희물이 상기 권취드럼에서 풀려져 연직 하방향으로 낙하하는 도중에 상기 유희물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물체에 부딪침에 의해서 상기 유희물을 지지하는 와이어에 작용하는 장력이 순간적으로 급격히 감소되는 것을 감지하여 모터의 회전 방향을 정방향에서 역방향으로 전환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와이어가 다시 권취드럼쪽으로 감겨지도록 하기 위한 방향전환용 스위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용 유희물 낙하장치.Between the guide roller and the winding drum, the play material mounted on one end of the wire is hit by an object that is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play while being released from the winding drum and falling vertically. Karaok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rection switch is installed so that the wire is wound back to the winding drum by detecting that the tension acting on the supporting wire is suddenly reduced to drive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otor from the forward direction to the reverse direction. Dragon play dropp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용 스위치는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스위치를 접속 또는 차단시키도록 하는 레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용 유희물 낙하장치.The switch of claim 1, wherein the switch for changing the direction comprises a switch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motor, and a lever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switch to rotate about a hinge axis to connect or disconnect the switch. Karaoke play equipment falling apparatu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희물을 지지하기 위한 와이어의 일지점에는 소정 두께로 형성되는 접촉자가 더 장착되고,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접촉자가 소정 위치의 높이까지 도달한 것을 감지하여 모터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하기 위한 리미트스위치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용 유희물낙하장치.The motor of claim 1, wherein a contactor formed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further mounted at a point of the wire for supporting the play, and the support plate detects that the contactor reaches a height of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stops driving of the motor. Play equipment for karaoke characterized in that the limit switch is further installed to make.
KR20-2005-0010950U 2005-04-20 2005-04-20 Apparatus for falling amusing means KR20038884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950U KR200388841Y1 (en) 2005-04-20 2005-04-20 Apparatus for falling amusing mea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950U KR200388841Y1 (en) 2005-04-20 2005-04-20 Apparatus for falling amusing mea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8841Y1 true KR200388841Y1 (en) 2005-07-07

Family

ID=43690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0950U KR200388841Y1 (en) 2005-04-20 2005-04-20 Apparatus for falling amusing mea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8841Y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145B1 (en) 2007-10-19 2009-04-16 김순화 Rope guide pulley for stage set
KR100972000B1 (en) 2010-04-15 2010-07-22 이광현 Safety apparatus for crash prevention
KR100972781B1 (en) 2010-04-12 2010-07-28 주식회사 중앙엔지니어링 Batten lift up and down device for studio
KR200460166Y1 (en) * 2009-10-29 2012-05-04 이동현 Electric hanger for an advertisement
KR102391164B1 (en) * 2021-08-10 2022-04-26 김은숙 stage equipment lifting apparatu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145B1 (en) 2007-10-19 2009-04-16 김순화 Rope guide pulley for stage set
KR200460166Y1 (en) * 2009-10-29 2012-05-04 이동현 Electric hanger for an advertisement
KR100972781B1 (en) 2010-04-12 2010-07-28 주식회사 중앙엔지니어링 Batten lift up and down device for studio
KR100972000B1 (en) 2010-04-15 2010-07-22 이광현 Safety apparatus for crash prevention
KR102391164B1 (en) * 2021-08-10 2022-04-26 김은숙 stage equipment lift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8841Y1 (en) Apparatus for falling amusing means
TW201040100A (en) Sheet product dispenser
KR100495303B1 (en) Device of turn over the page with automatic
CN201449510U (en) Reel-type self-hoisting elevator motor projection curtain
JP2015226475A (en) Fishing reel
US5961425A (en) Jump rope device
KR200386848Y1 (en) Apparatus for falling amusing means
CN215781449U (en) VR recreation equipment elevating gear
JP2008289627A (en) Crane bucket mechanism of crane type prize acquisition game machine
JPH10295929A (en) Crane game machine
WO2000043091A1 (en) Spinning top and actuating member therefor
CN208599070U (en) A kind of portable treadmill
JP2000126441A (en) Gift gaining game machine
CN213536890U (en) Normally-on self-winding lifter and special lifting lamp for disinfection
US20240154400A1 (en) Elevating cable reel of single-layer winding type
KR101332296B1 (en) Table tennis practice apparatus
KR200235825Y1 (en) Apparatus for going up and down Microphone
JP2613597B2 (en) Crane play equipment
JP2564307B2 (en) Crane game device
CN218909353U (en) Indoor electric power construction is with antiwind unwrapping wire ware
CN219429581U (en) Lifting control mechanism of automatic clothes airing machine
CN211410964U (en) VR recreation equipment&#39;s installation device and VR recreation equipment
CN216023120U (en) Double sports simulation equipment
JP3174513U (en) Electric reel device
CN114687170A (en) Automatic lifting clothes airing machine and lift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