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8690Y1 - 유티 오수받이 - Google Patents

유티 오수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8690Y1
KR200388690Y1 KR20-2005-0010301U KR20050010301U KR200388690Y1 KR 200388690 Y1 KR200388690 Y1 KR 200388690Y1 KR 20050010301 U KR20050010301 U KR 20050010301U KR 200388690 Y1 KR200388690 Y1 KR 2003886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p
main body
protrusion
sewage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03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씨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씨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씨피
Priority to KR20-2005-00103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86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86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86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84Odour seals having U-shaped tra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정용 오수를 다양한 위치에서 받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오수받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앙에는 직관이 연결되며 그 양측으로 연결되는 유-트랩은 일정한 각도를 회전 이동하여 다양한 위치에서 오수를 받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며, 바닥면의 안정된 구조를 통하여 설치위치를 정확하게 유지하여 부등침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오수받이에 관한 것이다.
입구(18)의 양측면에서 호상 돌출부(13')가 돌출되며 그 선단에 트랩 연결구(13)를 갖고 그 하측의 내측으로 결합부(29)가 형성된 본체(11)와;
상기 본체(11)에 형성된 트랩 연결구(13)에 연결되며 하측면이 돌출부(21)가 형성되어 바닥덮개(40)에 수평되게 형성되고 안쪽으로 보조 돌출부(50)가 트랩 받침부(43)의 상측에 위치하여 안정되게 회전 가능한 유-트랩(20, 20')과;
상기 본체(11)의 하측면에 결합하는 결합 돌출부(41)가 형성되며 유-트랩(20, 20')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트랩 받침부(43)가 형성되어 부등침하 및 처짐을 방지하는 바닥덮개(4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유티 오수받이{Tub that dirty water that use U-T}
본 고안은 가정용 오수를 다양한 위치에서 받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오수받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앙에는 직관이 연결되며 그 양측으로 연결되는 유-트랩은 일정한 각도를 회전 이동하여 다양한 위치에서 오수를 받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며, 바닥면의 안정된 구조를 통하여 설치위치를 정확하게 유지하여 부등침하 및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오수받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수받이는 다양한 위치에 연결되는 파이프를 통하여 오수를 받아 일시에 배출되도록 하며, 유-트랩에는 일부의 오수가 저장되어 있어서 냄새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오수받이는, 설치장소와 사용목적에 따라 오수처리 용량과 크기를 결정하여 그에 맞는 각각의 오수받이를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가정용 오수받이의 경우에는, 악취 때문에 대개 생활폐수용 오수받이와 변기용 오수받이로 나뉘어 사용되어 왔으나, 이는 적어도 두 개의 오수받이를 별도로 구입하여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여러곳에서 입수되는 오수를 하나의 몸체를 통하여 배수되도록 하였으나, 하나의 몸체에 배수관을 여러개 연결하기 위해서는 구조물에 따라서 배수관이 연결되는 위치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몸체에 형성된 구멍으로 배수관을 정확하게 연결하기가 매우 어려워 배관작업이 매우 불편한 결점이 있었다.
또한, 오수받이의 몸체에 여러개의 배수관을 연결하는 경우에는, 바닥면이 일정하지 않아서 지중에 매설된 상태에서 오수받이에서 유출되는 오수 또는 주변에서 형성되는 수분으로 인하여 최초에 수평상태로 설치되었다고 하더라도 지질이 매우 불안정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연약한 지반을 향하여 기울어져 배수관의 연결상태가 이탈되거나 완전히 분리되어 오수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결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체 하나에 다수의 배수관이 연결되도록 하고, 입구의 양측으로 설치된 유-트랩이 일정한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배수관의 방향에 따라서 정확한 위치에 연결이 가능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본체의 바닥으로 바닥덮개를 설치하여 본체와 유-트랩의 위치를 안정되게 유지시켜 오수받이가 설치된 수평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하여 균형있게 설치상태를 제공하며, 침하를 방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입구의 양측면에서 호상 돌출부가 돌출되며 그 선단에 트랩 연결구를 갖고 그 하측의 내측으로 결합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형성된 트랩 연결구에 연결되며 하측면이 돌출부가 형성되어 바닥덮개에 수평되게 형성되고 안쪽으로 보조 돌출부가 트랩 받침부의 상측에 위치하여 안정되게 회전 가능한 유-트랩과;
상기 본체의 하측면에 결합하는 결합 돌출부가 형성되며 유-트랩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트랩 받침부가 형성되어 부등침하 및 처짐을 방지하는 바닥덮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체적으로 원통형이 되게 형성된 본체(11)는 상측이 개방되어 있으며 그 내경의 안쪽으로 걸림턱(19)이 형성되어 있어서 연결관(33)과 직립되게 삽입된 후 결합되도록 한다.
오수받이(10)는 지면에서 70~100cm의 깊이에 본체(11)가 설치되며, 연결관(33)의 상측에는 외경으로 돌출되어 요철이 형성된 본체 뚜껑에 패킹(34)이 삽입되어 밀폐시키도록 하고, 내부에는 소제걸이구(31)가 형성되어 오수받이(10)의 내부를 청소할 수 있는 소제구(32)를 걸어 보관한다.
본체(11)의 중앙부분에서 양측으로 출구(14)와 입구(18)가 형성되며, 입구(18)는 출구(14)보다 내경이 작고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안쪽의 내경에 패킹홈(15)을 형성하여 패킹(16)이 설치되고 내경으로 기성품인 직관(17)이 삽입되어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출구(14)와 입구(18)는 배수 안내면(12)이 경사지게 연결되어 있도록 하여 입수된 오수가 출구(14)를 향하여 용이하게 배수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체(11)의 입구(18)보다 약간 낮은 위치에서 양측으로 호상 돌출부(13')를 형성하여 트랩 연결부(13)를 형성하되, 외측으로 반지름 정도가 돌출되도록 하고 내측으로 반지름 정도가 들어가서 결합부(29)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트랩 연결부(13)의 하측은 개방되어 있으며 유-트랩(20, 20')이 각각 연결된다.
유-트랩(20, 20')은 전체적으로 U자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트랩 연결부(13)와 결합되는 부분의 외경으로 요철 결합부(22)와 같이 다수의 요철이 형성되고 그 일부분에 고무링(23)이 삽입되어 있어서 방수가 유지되도록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유-트랩(20, 20')의 반대편에는 배수관(25)이 오링(26)을 통하여 외측으로 결합되거나 오링(26)이 없는 경우에는 본드를 이용하여 연결한 후 일정한 범위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결합되며, 하측면에는 바닥덮개(40)와 수평이 유지되도록 돌출부(21)를 형성하고, 돌출부(21)의 내부에는 트랩 받침부(43)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들어간 위치에 보조 돌출부(50)를 형성하여 유-트랩(20, 20')이 더욱 안정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바닥덮개(40)는 바닥면이 전체적으로 수평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트랩 연결부(13)와 동일한 위치의 저면에서 호상으로 돌출되는 트랩 받침부(43)를 형성하고 테두리부(42)의 안쪽으로 결합 돌출부(41)를 형성하여 본체(11)의 저면에 결합되도록 한다.
바닥덮개(40)의 트랩 받침부(43)의 외측으로 돌출부(21)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돌출되어 있어서 바닥덮개(40)와 돌출부(21)의 전체면적이 바닥면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오수받이(10)를 설치할 깊이로 터파기를 한 후 본체(11)의 트랩 연결부(13)에 유-트랩(20, 20')을 양측으로 결합하면 요철 결합부(22)와 고무링(23)을 통하여 누수가 방지되도록 견고하게 결합된다.
본체(11)의 저면에는 바닥덮개(40)를 조립하면 결합돌출부(41)에 의하여 본체(11)와 일체형이 되도록 결합이 이루어지며, 오수받이(10)가 설치될 바닥면을 수평하게 평탄작업한 후 그 상측에 설치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오수받이(10)는 중앙의 입구(18)에는 직관(17)을 수평방향에서 삽입하여 패킹홈(15)에 설치된 패킹(16)을 통하여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입구(18)의 양측으로 형성된 트랩 연결부(13)에 결합된 유-트랩(20, 20')에는 외부에서 연결되는 배수관(25)과 외측에서 오링(26)을 이용하여 연결되거나, 본드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바로 연결하여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유-트랩(20, 20')이 결합부(29)의 내부에서 일정한 범위에서 회전 이동이 가능하므로 유-트랩(20, 20')에 연결되는 배수관(25)의 위치에 따라서 유-트랩(20, 20')을 회전시켜 정확한 위치를 일치시킨 후 배수관(25)이 상측에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유-트랩(20, 20')은 바닥덮개(40)의 트랩 받침부(43)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이며, 트랩 받침부(43)의 외주연을 따라서 돌출부(21)가 외측에 내부의 상측에 보조 돌출부(50)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유-트랩(20, 20')의 회전이 안정되고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바닥덮개(40)와 돌출부(21)는 바닥면의 전체면을 이루어 설치된 이후에 오수받이(10)가 어느 한 방향으로 기울어지지 않아 전체적으로 균형을 안정되게 이루며 침하 및 빠짐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바닥덮개(40)는 결합 돌출부(41)가 본체(11)의 하측면 형상을 따라서 형성되어 결합되며, 테두리부(42)가 안정되게 받침하는 것이다.
본체(11)의 중앙 상측은 관통되어 있으며, 내경의 걸림턱(19)에 이르도록 연결관(33)을 삽입하여 고정시키고, 이 연결관(33)은 필요에 따라서 약 50~100cm 정도의 높이로 설치되어 지하에 매설되는 것이다.
연결관(33)의 상측에는 뚜껑(30)이 하측으로 돌출 요철의 외측으로 패킹(34)이 설치되어 안정된 결합상태를 제공한다.
뚜껑(30)의 내부에는 소제 걸이구(31)가 형성되어 연결관(33) 정도의 길이를 갖는 소제구(32)를 걸어 보관하는 것이며, 오수받이(10)를 청소할 때 뚜껑(30)을 열고 소제구(32)를 이용하여 본체(11)의 내부를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유-트랩(20, 20')은 트랩 연결부(13)의 양측으로 설치되어 배수관(25)이 각각 연결되도록 하였으나, 하나의 배수관(25)만 연결하는 경우에는 트랩 연결부(13)에 다리(45)를 결합하여 배수가 방지되도록 하며, 다리(45)의 하측면은 바닥덮개(40)와 수평을 이루도록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본체 하나에 다수의 배수관이 연결되도록 하고, 연결되는 배수관의 양측으로 설치된 유-트랩이 일정한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배수관의 입수 방향에 따라서 정확한 위치에서 연결이 가능하므로 배수관의 연결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체의 바닥으로 바닥덮개를 설치하여 본체와 유-트랩의 위치를 안정되게 유지시켜 오수받이가 설치된 수평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하여 균형있게 설치상태를 제공하며, 부등침하를 방지한다.
또한, 뚜껑의 내부에 소제 걸이구를 설치하여 소제구를 걸어 보관하면서 오수받이를 청소할 때 뚜껑을 개방시켜 소제구로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바닥덮개의 양측으로 형성된 트랩 받침부의 외측으로 돌출부가 형성되고 내부의 상측에는 보조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유-트랩을 더욱 안정적으로 회전시켜 배수관과 편리하게 연결할 수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외형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평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저면 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의 정면도
도 7 은 본 고안의 도 6 에 대한 A-A선 단면도
도 8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오수받이 11 : 본체
12 : 배수 안내면 13 : 트랩 연결부
13' : 호상 돌출부 14 : 출구
15 : 패킹홈 16 : 패킹
17 : 직관 18 : 입구
19 : 걸림턱 20, 20' : 유-트랩
21 : 돌출부 22 : 요철 결합부
23 : 고무링 24 : 입구
25 : 배수관 30 : 뚜껑
31 : 소제걸이구 32 : 소제구
33 : 연결관 40 : 바닥덮개
41 : 결합 돌출부 42 : 테두리
43 : 트랩 받침부 45 : 다리
50 : 보조 돌출부

Claims (4)

  1. 연결관(33)이 상측으로 연결되는 본체(11)의 일측으로 직관(17)이 연결되며 이 직관(17)의 반대편에 출구(14)를 형성하며 배수관이 연결되는 오수받이에 있어서,
    상기 직관(17)이 연결되는 입구(18)의 양측면에서 호상 돌출부(13')가 돌출되며 그 선단에 트랩 연결구(13)를 갖고 그 하측의 내측으로 결합부(29)가 형성된 본체(11)와;
    상기 본체(11)에 형성된 트랩 연결구(13)에 연결되며 하측면이 돌출부(21)가 형성되어 바닥덮개(40)에 수평되게 형성되고 안쪽으로 보조 돌출부(50)가 트랩 받침부(43)의 상측에 위치하여 안정되게 회전 가능한 유-트랩(20, 20')과;
    상기 본체(11)의 하측면에 결합되는 결합 돌출부(41)가 형성되며 유-트랩(20, 20')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트랩 받침부(43)가 형성되어 부등침하를 방지하는 바닥덮개(4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티 오수받이.
  2. 제1항에 있어서, 본체(11)의 상측으로 결합되는 연결관(33)의 상단에 결합되며 안쪽에 소제구(32)를 걸어 보관하는 소제 걸이구(31)가 형성된 뚜껑(30)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티 오수받이.
  3. 제1항에 있어서, 트랩 연결부(13)는 본체(11)의 내측과 외측으로 절반씩 위치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티 오수받이.
  4. 제1항에 있어서, 트랩 연결부(13)는 입구(18)의 양측면으로 본체(11)의 양측에 형성되어 유-트랩(20, 20')과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티 오수받이.
KR20-2005-0010301U 2005-04-14 2005-04-14 유티 오수받이 KR2003886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301U KR200388690Y1 (ko) 2005-04-14 2005-04-14 유티 오수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301U KR200388690Y1 (ko) 2005-04-14 2005-04-14 유티 오수받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8690Y1 true KR200388690Y1 (ko) 2005-07-01

Family

ID=43689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0301U KR200388690Y1 (ko) 2005-04-14 2005-04-14 유티 오수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869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600Y1 (ko) * 2009-06-18 2010-02-10 박경자 배수트랩
KR101269425B1 (ko) * 2010-05-24 2013-05-30 이창남 6방향접속구를 활용한 바닥배수공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600Y1 (ko) * 2009-06-18 2010-02-10 박경자 배수트랩
WO2010147322A2 (ko) * 2009-06-18 2010-12-23 Kim Ki Sung 배수트랩 및 배수트랩 개폐장치
WO2010147322A3 (ko) * 2009-06-18 2011-03-31 Kim Ki Sung 배수트랩 및 배수트랩 개폐장치
KR101269425B1 (ko) * 2010-05-24 2013-05-30 이창남 6방향접속구를 활용한 바닥배수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3538B1 (en) Hydration system for animals
US20100180966A1 (en) Waste water outlet
US20090173396A1 (en) One piece plumbing vent, drain pipe
KR100562898B1 (ko) 막힘 방지기능을 겸비한 방취 배수트랩
KR100892620B1 (ko) 오수받이
GB2475297A (en) Clogging resistant drain
KR101869955B1 (ko) 슬러지의 퇴적 방지구조를 갖는 오수받이
KR200388690Y1 (ko) 유티 오수받이
KR100784857B1 (ko) 유티 오수받이
US7934516B1 (en) Toilet leak containment and detection system
JP2761282B2 (ja) 排水桝
KR102035964B1 (ko) 통합 오수 수집 장치
KR101384662B1 (ko) 조립식 오수받이
KR100495394B1 (ko) 트랩 내장형 오수받이장치
KR100923133B1 (ko) 내장형 봉수트랩을 구비한 오수받이
KR200449978Y1 (ko) 세면기용 배수 트랩
KR100811125B1 (ko) 오수받이
JP2014080852A (ja) 建物用排水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る管継手
KR101114822B1 (ko) 오수받이
KR20120052493A (ko) 오수받이장치
KR102117327B1 (ko) 정,편심 겸용 양변기의 배수관 연결장치
KR200379968Y1 (ko) 트랩 내장형 오수받이장치
KR20180057918A (ko) 양변기의 배수관 연결장치
KR200402979Y1 (ko) 오수받이용 뚜껑의 고정장치
KR200392301Y1 (ko) 오수받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