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8478Y1 - 냉각탑 - Google Patents

냉각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8478Y1
KR200388478Y1 KR20-2005-0007783U KR20050007783U KR200388478Y1 KR 200388478 Y1 KR200388478 Y1 KR 200388478Y1 KR 20050007783 U KR20050007783 U KR 20050007783U KR 200388478 Y1 KR200388478 Y1 KR 2003884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ater
housing
eliminator
vertical
coo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77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현
Original Assignee
권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현 filed Critical 권영현
Priority to KR20-2005-00077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84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84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84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28C1/02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with counter-current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28C1/10Arrangements f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5/00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 F28F25/02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for distributing, circulating, and accumulating liquid
    • F28F25/06Spray nozzles or spray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각수의 비산을 방지하는 동시에 고온의 냉각수를 효율적으로 냉각하여 에너지를 절감하며, 냉각수의 냉각시 발생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한 냉각탑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육면체로 이루어져 상부에는 통풍그릴(13)이 설치되고 하부에는 공기유입구(14)가 형성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공기유입구(14)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외부공기를 유입하는 송풍기(20)와,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에 설치되어 회수된 고온의 냉각수가 공급되는 공급관(30)과, 상기 공급관(30)에 연결되어 고온의 냉각수를 분기시키는 분기관(31)과, 상기 분기관(31)에 연결되어 고온의 냉각수를 사방으로 살포시키는 자동스프레이(100)와, 상기 자동스프레이(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살포된 고온의 냉각수를 냉각시키는 충진재(40)와, 상기 충진재(40)와 송풍기(20) 사이에 설치되어 냉각수의 비산을 방지하는 복수개의 엘리미네이터(50)와, 상기 하우징(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엘리미네이터(50)에서 낙하된 냉각수를 한곳으로 모으는 집수조(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냉각탑{COOLING TOWER}
본 고안은 냉각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각수의 비산을 방지하는 동시에 고온의 냉각수를 효율적으로 냉각하여 에너지를 절감하며, 냉각수의 냉각시 발생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한 냉각탑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생산공정 또는 냉동기와 같은 기계장치에서 발생된 열을 냉각수로 냉각시킬 경우에, 고온의 냉각수를 저온의 냉각수로 만들기 위해서 냉각장치로 보내게 되는데, 이 냉각장치는 대기의 공기를 이용하여 냉각수와 직접 접촉시켜 열이 공기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며, 이것이 바로 냉각탑이다.
즉, 냉각탑은 냉각수를 충분히 얻지 못하는 장소에서 한번 사용된 고온의 냉각수를 대기속에 분무 또는 물방울 지어 떨어지게한 후, 냉각시켜 다시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냉각탑에 관한 기술적인 구성을 간략히 살펴보면, 공기유입구가 상부에 형성된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공기유입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외부공기를 유입하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의 하부에 설치되어 회수된 고온의 냉각수를 배출시키는 분사노즐이 구비된 공급관과, 상기 하우징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공급관에서 분사된 고온의 냉각수를 냉각시키는 충진재와,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되어 충진재에서 낙하되는 냉각수가 한곳으로 모아지는 집수조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냉각탑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외부공기를 냉각탑의 내부로 유입하는 송풍기가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어 구동시 소음이 크게 발생되고,
둘째, 공급관의 분사노즐로 분사된 고온의 냉각수가 충진재를 통과하면서 작은 입자의 물방울로 부서져 이 물방울이 송풍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에 편승하여 냉각탑의 외부로 배출되므로 냉각수의 비산량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셋째, 냉각수량이 많을 때, 냉각수를 일정한 고압으로 공급관에 공급시키는 펌프에 과부하가 발생되어 고장이 발생되며, 이에 따라 낸각수가 노즐을 통하여 충지재로 고르게 분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냉각수의 비산을 방지하는 동시에 고온의 냉각수를 효율적으로 냉각하여 에너지를 절감하며, 냉각수의 냉각시 발생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한 냉각탑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된 공기유입구에 송풍기를 회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된 공급관에 분기관을 연결하여 회수된 고온의 냉각수를 분기시키며, 상기 분기관에 자동스프레이를 결합하여 냉각수를 사방으로 살포하고, 상기 하우징의 중앙부에 설치된 충진재와 송풍기 사이에 엘리미네이트를 설치하여 냉각수의 비산을 방지하며, 상기 엘리미네이터와 충진재에서 낙하되는 냉각수를 한곳으로 모으는 집수조를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엘리미네이터는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된 통풍그릴과 자동스프레이 사이에 설치되어 자동스프레이에서 살포되는 냉각수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자동스프레이는, 분기관과 결합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와 결합되는 배출관과 이 배출관에 일체로 형성되는 회전판 및 이 회전판의 외주연으로 부착되는 수직팬과 이 수직팬의 단부와 연결되는 수직차단편으로 이루어지는 구동팬과, 상기 유입구와 구동팬으로 결합되는 회전축과 이 회전축에 결합되어 냉각수를 분사시키는 디플렉터 및 이 디플렉터를 지지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분사구로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디플렉터의 상면에는 냉각수를 안내하는 수로가 동서남북 사방위(四方位)으로 형성되도록 복수개의 간극유지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디플렉터에는 복수개의 배출공을 천공하여 냉각수를 하부로 분사시킬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엘리미네이터 사이에는, 간격유지구를 개재하여 연속되는 엘리미네이터의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엘리미네이터의 상부에는 걸림홈을 형성하여 유동받침편이 일체로 형성된 지지봉을 결합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냉각탑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면체로 이루어져 상부에는 통풍그릴(13)이 설치되고 하부에는 공기유입구(14)가 형성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공기유입구(14)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외부공기를 유입하는 송풍기(20)와,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에 설치되어 회수된 고온의 냉각수가 공급되는 공급관(30)과, 상기 공급관(30)에 연결되어 고온의 냉각수를 분기시키는 분기관(31)과, 상기 분기관(31)에 연결되어 고온의 냉각수를 사방으로 살포시키는 자동스프레이(100)와, 상기 자동스프레이(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살포된 고온의 냉각수를 냉각시키는 충진재(40)와, 상기 충진재(40)와 송풍기(20) 사이에 설치되어 냉각수의 비산을 방지하는 복수개의 엘리미네이터(50)와, 상기 하우징(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엘리미네이터(50)에서 낙하된 냉각수를 한곳으로 모으는 집수조(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0)은 대략 육면체로 형성되는 프레임(11) 및 이 프레임(10)에 설치되는 패널(12)로 구성된다. 이러한 하우징(10)의 상부에는 공기가 통풍되는 통풍그릴(13)이 설치되고, 하부에는 원통형의 공기유입구(14)가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송풍기(20)는 하우징(10)의 공기유입구(14)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외부공기를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시킨다.
상기 공급관(30)은 하우징(10)의 상부에 설치되어 회수된 고온의 냉각수가 공급되는 것으로, 이러한 공급관(30)에는 공급된 고온의 냉각수를 분기시키는 복수개의 분기관(31)이 연결되고, 이 분기관(31)에는 내주연으로 암나사(32a)가 형성된 수개의 배출구(32)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자동스프레이(100)는 분기관(31)의 배출구(32)와 결합되어 고온의 냉각수를 사방으로 살포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자동스프레이(100)는; 수직축공(111)이 구비되어 분기관(31)에 결합되는 유입구(110); 상기 수직축공(111)과 연통되는 축구멍(134a)이 구비되어 유입구(110)와 결합되는 배출관(134)과, 상기 배출관(134)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회전판(131)과, 상기 회전판(131)의 외주연으로 부착되는 수직팬(132)과, 상기 수직팬(132)의 단부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빗살(133a)을 갖는 수직차단편(133)으로 이루어지는 구동팬(130); 상기 유입구(110)의 수직축공(111)과 배출관(134)의 축구멍(134a)으로 결합되는 회전축(121)과, 상기 회전축(121)에 결합되는 축공(123a)이 구비되어 배출관(134)에서 배출되는 냉각수를 사방으로 분사시키는 디플렉터(123)와, 상기 회전축(121)의 하부에 설치되어 디플렉터(123)의 저면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122)으로 이루어진 분사구(120); 로 구성된다.
상기 유입구(110)는 분기관(31)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냉각수가 유입되는 것으로, 이러한 유입구(110)는 상부 외주연으로 형성된 수나사(112)가 분기관(31)의 배출구(32)에 형성된 암나사(32a)와 나사결합되며, 유입구(110)의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된 수직축공(111)이 형성된다.
상기 구동팬(130)은 크게 배출관(134)과 회전판(131)과 수직팬(132) 및 이 수직팬(132)과 일체로 형성되는 수직차단편(133)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관(134)은 분사구(120)의 회전축(121)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축구멍(134a)이 구비되어 유입구(110)와 결합되며, 이 배출관(134)의 하부에는 원판형상의 회전판(131)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직팬(132)은 도 2c에서와 같이, 회전판(131)의 중심과 경사지도록 외주연을 따라 복수개가 설치되며, 상기 수직차단편(133)은 수직팬(132)의 단부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빗살(133a)을 갖는다. 또한, 상기 수직차단편(133)과 수직팬(132)의 각도(θ)는 도 2c에서와 같이 회전방향을 따라 예각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사구(120)는 크게 회전축(121)과 디플렉터(123) 및 스프링(122)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121)은 유입구(110)의 수직축공(111)과 배출관(134)의 축구멍(134a)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축(121)의 상·하부에는 각각 수나사(121a)가 형성되어 제 1·2고정너트(140)(141)와 각각 나사결합되며, 회전축(121)의 중앙부에는 이탈방지림(121b)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디플렉터(123)의 중앙부에는 축공(123a)이 구비되어 회전축(121)과 결합되고, 이같이 결합된 디플렉터(123)는 그 상면이 회전축(121)의 이탈방지림(121b)에 걸려 빠지지 않게 되며, 디플렉터(123)의 상면에는 냉각수를 안내하는 수로(123b)가 동서남북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4개의 간극유지돌기(124)가 등간격을 형성하여 상부로 돌출된다.
이러한, 상기 수로(123b)는 디플렉터(123)의 수직팬(132)으로 냉각수를 분사시키며, 이 수로(123b)를 형성시키는 간격유지돌기(124)는 구동팬(130)의 회전판(131) 저면과 일정한 간극을 유지하게 되어 냉각수가 원활하게 유입된다.
더하여, 상기 디플렉터(123)에는 상·하로 연통되는 수개의 배출공(123c)이 천공되어 냉각수가 원형상태를 이루며 하부방향으로 분사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122)은 회전축(121)에 끼워져 그 하단부가 제 2고정너트(141)에 지지되어 고정되고, 스프링(122)의 상단부는 디플렉터(123)의 저면에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스프링(122)은 코일스프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 하지만, 필요에 따라 판스프링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분사구(120)는, 디플렉터(123)와 스프링(122)을 회전축(121)의 하부에서 순차적으로 끼운 상태에서 회전축(121)의 하부에 형성된 수나사(121a)에 제 2고정너트(141)를 나사결합하여 고정시킨다.
따라서, 디플렉터(123)에서 사방(四方)으로 분사되는 냉각수가 수직팬(132)에 부딪혀 이 수직팬(132)과 일체로 형성된 회전판(131)이 회전축(121)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며, 수직팬(132)의 단부와 연결되는 수직차단편(133)은 회전방향을 따라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수직차단편(133)에 부딪히는 냉각수를 대략 45°회동된 부근에 살포하게 된다.
상기 충진재(40)는 하우징(10)의 내부 중앙에 다단으로 설치되어 자동스프레이(100)에서 살포된 냉각수와 송풍기(20)로 유입된 공기가 직접 접촉되므로 냉각수를 빠르게 냉각시키게 된다.
상기 엘리미네이터(50)는 충진재(40)와 송풍기(20) 사이에 설치되어 냉각수가 송풍기(20)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엘리미네이터(50)는 충진재(40)에서 낙하되는 냉각수를 안내하는 가이드판(51)과, 상기 가이드판(51)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가이드판(51)으로 안내된 냉각수가 모이도록 형성된 집수판(52)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엘리미네이터(50)에는 수평관(61)과 수직관(62)으로 이루어진 집수관(60)이 연결되어 엘리미네이터(50)에 모인 냉각수가 집수관(60)을 거쳐 집수조(70)로 모이게 된다. 즉, 충진재(40)를 통과한 냉각수가 송풍기(20)로 직접 낙하되지 않고 집수조(70)로 모이게 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엘리미네이터(50)는 통풍그릴(13)과 자동스프레이(100) 사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같이 설치되는 엘리미네이터(50)는 자동스프레이(100)로 살포되는 냉각수의 비산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판(51)의 상부에 집수판(52)이 일체로 형성되므로, 냉각수의 비산이 가이드판(51)을 따라 이동되다 집수판(52)에 걸려 자중에 의해서 하부로 낙하된다.
한편, 상기 엘리미네이터(50) 사이에는 관통공(81)이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 간격유지구(80)를 개재하되, 이 간격유지구(80)의 관통공(81)과 연이어져 통하도록 엘리미네이트(50)에 고정공(53)을 천공하여 하우징(10)에 설치된 고정봉(90)으로 고정시킨다.
이러한, 간격유지구(80)는 연속되는 엘리미네이터(50)의 대응면을 견고히 지지하여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동시에 엘리미네이터(50)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첨부된 도 5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엘리미네이터(50)의 상부에는 걸림홈(54)을 형성하고, 이 걸림홈(54)으로 결합되어 엘리미네이터(50)를 지지하도록 하우징(10)에 지지봉(200)을 설치하되, 이 지지봉(200)에는 엘리미네이터(50)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유동방지편(210)을 일체로 설치한다.
상기 지지봉(200)은 그 양단부가 하우징(10)에 고정되어 엘리미네이터(50)의 걸림홈(54)과 탄력적으로 결합되므로 엘리미네이터(50)를 지지하게 되며, 지지봉(200)의 하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유동방지편(210)이 일체로 형성되어 엘리미네이터(50)가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도 5b는 엘리미네이터(50)가 통풍그릴(13)과 자동스프레이(100) 사이에 설치될 때, 이 엘리미네이터(50)를 지지하는 지지봉(200)과 이 지지봉(200)에 일체로 형성되는 유동방지편(210)을 나타낸 것으로, 엘리미네이터(50)의 상부 일측에 걸림홈(54)을 동일체로 형성하고 이 걸림홈(54)에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지지봉(200)을 하우징(10)에 설치하되, 지지봉(200)의 하부에는 유동방지편(210)을 일체로 형성하여 엘리미네이터(50)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펌프(도시생략)에서 공급되는 고온의 냉각수가 공급관(30)을 따라 유입되어 이 공급관(30)에 연결된 분기관(31)으로 분기되고, 이 분기관(31)에 결합된 자동스프레이(100)를 통하여 사방으로 살포되며, 이와 같이 살포된 냉각수는 충진재(40)를 통과하여 냉각되며, 이 충진재(40)를 통과하여 하부로 낙하되는 냉각수는 엘리미네이트(50)를 거쳐 집수조(70)로 모이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자동스프레이(100)의 작동관계를 상세히 살펴보면, 일정한 압력으로 펌프에서 배출되는 냉각수가 공급관(30), 분기관(31)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유입구(110)로 유입되고, 이 유입구(110)로 유입된 냉각수는 구동팬(130)의 배출관(134)을 통과하여 분사구(120)의 디플렉터(123)로 배출되고, 이에 따라 배출된 냉각수의 압력으로 디플렉터(123)를 지지하는 스프링(122)이 도 2b에서와 같이 탄력적으로 압축되어 디플렉터(123)가 하부로 내려가게 되며, 이와 동시에 디플렉터(123)로 배출된 냉각수는 간극유지돌기(124) 사이에 동서남북 방향으로 형성된 수로(123b)를 따라 수직팬(132) 측으로 분사되어 이 수직팬(132)이 일체로 부착된 회전판(131)이 회전축(12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수직팬(132)의 단부와 연결된 수직차단편(133)은 동서남북 방향으로 일정하게 형성된 수로(123b)에서 분사되는 냉각수가 부딪혀 차단되지만, 도 4에서의 B부분과 같이 대략 45°정도 회동된 부근에서 냉각수를 살포하게 된다.
즉, 자동스프레이(100)로 유입된 냉각수의 일부는 분사구(120)의 디플렉터(123)의 배출공(123c)을 통하여 도 4의 A부분과 같은 원형으로 분사되고, 또 다른 냉각수의 일부분은 수직차단편(133)의 회동으로 도4의 B부분과 같이 분사되므로 냉각수가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을 이루면서 살포된다.
따라서, 자동스프레이(100)로 분사되는 냉각수가 대략 사각형상으로 살포되므로, 육면체로 이루어진 하우징의 형상에 따라 형성되는 충진재(40)로 냉각수를 사각(死角)부분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고르게 분사시켜 냉각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펌프에서 적절한 압력으로 냉각수를 공급하면 자동스프레이(100)가 무동력으로 냉각수를 살포하게 됨에 따라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충진재(40)로 통과된 냉각수는 엘리미네이터(50)로 낙하되며, 이러한 엘리미네이터(50)로 낙하되는 냉각수는 가이드판(51)을 지나 집수판(52)에 모이게 되고, 이 집수판(52)으로 모인 냉각수는 엘리미네이터(50)의 양단부에 설치된 수평관(61)과 이 수평관(61)과 연결된 수직관(62)을 지나 집수조(70)로 모이게 된다.
이때, 좌·우로 연속되는 복수개의 엘리미네이터(50)의 사이에는 간격유지구(80)가 개재되어 엘리미네이터(50)의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견고히 고정시키므로, 주로 옥외에 설치되는 냉각탑의 조건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고열로 인한 엘리미네이터(50)의 휨현상 또는 뒤틀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첨부된 도 5a,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에 설치되는 지지봉(200)에 결합되도록 엘리미네이트(50)의 상부에 걸림홈(54)을 형성하고, 엘리미네이트(50)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편(210)을 지지봉(200)에 일체로 형성하여 엘리미네이터(50)의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동시에 고열로 인한 휨현상 또는 뒤틀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하여, 송풍기(20)는 하우징(10)의 하부에 설치되므로 외부로 발산되는 소음량이 감소된다.
이상의 설명은 하나의 실시 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도록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송풍기를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하여 외부로 발산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하우징의 상·하부에 엘리미네이터를 설치하여 냉각수의 비산을 방지하는 동시에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냉각수를 자동스프레이를 통하여 사각(死角)부분이 발생되지 않도록 충진재에 고르게 살포하여 냉각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게 되며, 자동스프레이에 적절한 압력으로 냉각수를 공급하면 무동력으로 살포하게 되므로 에너지를 절감하게 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단면도.
도 2a, 2b, 2c 는 본 고안의 자동스프레이를 나타낸 사시도와 단면도 및 평면도.
도 2d 는 본 고안의 고정구를 나타낸 평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엘리미네이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의 자동스프레이로 냉각수가 분사되는 형상을 나타낸 예시도.
도 5a, 5b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하우징 13 : 통풍그릴
14 : 공기유입구 20 : 송풍기
30 : 공급관 31 : 분기관
32 : 배출구 40 : 충진재
50 : 엘리미네이터 60 : 집수관
70 : 집수조 80 : 간격유지구
81 : 관통공 100 : 자동스프레이
110 : 유입구 111 : 수직축공
120 : 고정구 121 : 회전축
122 : 스프링 123 : 디플렉터
124 : 간격유지돌기 130 : 분사구
131 : 회전판 132 : 수직날개
133 : 수직차단편 134 : 배출관
200 : 지지봉 210 : 유동방지편

Claims (8)

  1. 육면체로 이루어져 상부에는 통풍그릴(13)이 설치되고 하부에는 공기유입구(14)가 형성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공기유입구(14)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외부공기를 유입하는 송풍기(20)와,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에 설치되어 회수된 고온의 냉각수가 공급되는 공급관(30)과, 상기 공급관(30)에 연결되어 고온의 냉각수를 분기시키는 분기관(31)과, 상기 분기관(31)에 연결되어 고온의 냉각수를 사방으로 살포시키는 자동스프레이(100)와, 상기 자동스프레이(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살포된 고온의 냉각수를 냉각시키는 충진재(40)와, 상기 충진재(40)와 송풍기(20) 사이에 설치되어 냉각수의 비산을 방지하는 복수개의 엘리미네이터(50)와, 상기 하우징(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엘리미네이터(50)에서 낙하된 냉각수를 한곳으로 모으는 집수조(70)를 포함하는 냉각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그릴(13)과 자동스프레이(100) 사이에는, 엘리미네이터(50)가 더 설치되어 자동스프레이(100)에서 살포되는 냉각수의 비산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탑.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미네이터(50) 사이에는, 관통공(81)이 상·하부에 형성된 간격유지구(80)를 개재하되, 이 간격유지구(80)의 관통공(81)과 연이어져 통하도록 엘리미네이트(50)에 고정공(53)을 천공하여 하우징(10)에 설치된 고정봉(90)으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탑.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미네이터(50)의 상부에는 걸림홈(54)을 형성하고, 이 걸림홈(54)으로 결합되어 엘리미네이터(50)를 지지하도록 하우징(10)에 지지봉(200)을 설치하되, 이 지지봉(200)에는 엘리미네이터(50)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유동방지편(210)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탑.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스프레이(100)는;
    수직축공(111)이 구비되어 분기관(31)에 결합되는 유입구(110);
    상기 수직축공(111)과 연통되는 축구멍(134a)이 구비되어 유입구(110)와 결합되는 배출관(134)과, 상기 배출관(134)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회전판(131)과, 상기 회전판(131)의 외주연으로 부착되는 수직팬(132)과, 상기 수직팬(132)의 단부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빗살(133a)을 갖는 수직차단편(133)으로 이루어지는 구동팬(130);
    상기 유입구(110)의 수직축공(111)과 배출관(134)의 축구멍(134a)으로 결합되는 회전축(121)과, 상기 회전축(121)에 결합되는 축공(123a)이 구비되어 배출관(134)에서 배출되는 냉각수를 사방으로 분사시키는 디플렉터(123)와, 상기 회전축(121)의 하부에 설치되어 디플렉터(123)의 저면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122)으로 이루어진 분사구(1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탑.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플렉터(123)의 상면에는 냉각수를 안내하는 수로(123b)가 사방위로 형성되도록 간극유지돌기(124)가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탑.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차단편(133)은 수직팬(132)과 회전방향을 따라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탑.
  8.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디플렉터(123)에는 유입된 냉각수를 하부로 분사시키도록 천공되는 복수개의 배출공(123c)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탑.
KR20-2005-0007783U 2005-03-22 2005-03-22 냉각탑 KR2003884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783U KR200388478Y1 (ko) 2005-03-22 2005-03-22 냉각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783U KR200388478Y1 (ko) 2005-03-22 2005-03-22 냉각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8478Y1 true KR200388478Y1 (ko) 2005-06-30

Family

ID=43689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7783U KR200388478Y1 (ko) 2005-03-22 2005-03-22 냉각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847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7476B1 (ko) 2010-03-26 2010-11-30 현성씨티(주) 냉각탑용 엘리미네이터
KR101589170B1 (ko) * 2015-09-01 2016-01-27 문정수 엘리미네이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7476B1 (ko) 2010-03-26 2010-11-30 현성씨티(주) 냉각탑용 엘리미네이터
KR101589170B1 (ko) * 2015-09-01 2016-01-27 문정수 엘리미네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8478Y1 (ko) 냉각탑
CN109185197B (zh) 一种基于风扇的新型雾化降温装置
CN102192662B (zh) 一种节能冷却塔
KR20100001341A (ko) 직교류형 냉각탑
CN106438510B (zh) 一种风扇防护罩及风扇
KR101327119B1 (ko) 냉각탑
CN2655099Y (zh) 空调冷凝水雾化器
KR20130060690A (ko) 냉각탑
KR20190062748A (ko)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냉각탑
CN211120726U (zh) 一种闭式冷却塔
CN209726398U (zh) 一种无机械传动射流喷雾可调式冷却装置
CN208831196U (zh) 一种空气压缩机的冷却装置
CN212946830U (zh) 一种用于数控铣床的冷却油路结构
KR100310222B1 (ko) 흡입식 원심 송풍팬을 채용한 냉각탑
KR101947545B1 (ko) 냉각탑
CN219204303U (zh) 一种空间负压散热电动机
CN207715240U (zh) 一种燃气轮机进口喷雾冷却装置和燃气轮机系统
KR20110017310A (ko) 에어컨용 응축수 증발장치
CN103683855B (zh) 变频器
CN220818633U (zh) 一种可快速散热的冷却塔
CN212227785U (zh) 一种高效逆流式冷却塔
CN218864366U (zh) 一种罗茨风机室内风冷循环方式的改造装置
CN219454730U (zh) 一种防止阻塞壳体内部的冷却塔
CN221324753U (zh) 一种冷凝器的加速散热组件
CN215412294U (zh) 一种高效型汽水混合加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