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8346Y1 - 의자등받이의 틸팅 구조 - Google Patents

의자등받이의 틸팅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8346Y1
KR200388346Y1 KR20-2005-0008240U KR20050008240U KR200388346Y1 KR 200388346 Y1 KR200388346 Y1 KR 200388346Y1 KR 20050008240 U KR20050008240 U KR 20050008240U KR 200388346 Y1 KR200388346 Y1 KR 2003883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plate
cylindrical frame
tilting structure
bracket
back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82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관영
Original Assignee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정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정관영 filed Critical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082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83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83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83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6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characterised by elastic means
    • A47C1/03277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characterised by elastic means with bar or leaf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6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47C7/004Chair or stool bases for chairs or stools with central column, e.g. offic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1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adjustable elastic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5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bar or leaf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등받이가 탄성적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한 등받이 지지대의 틸팅 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 의자등받이의 틸팅 구조는 좌판을 지지하는 좌판지지대가 하부 중앙에 결합된 좌판지지 케이싱과, 상기 좌판지지 케이싱 전방에 안착 결합되고 양측 개구 단부에 각 등받이 지지대 하단부가 결착되는 원통형 프레임과, 원통형 프레임의 양단부를 통해 삽입되고 삽입단부 측면에 스프링 삽입홈이 구비된 브라켓과, 상기 원통형 프레임을 관통하여 양단부가 브라켓의 스프링 삽입홈에 결착되는 판상의 탄성부재와, 상기 원통형 프레임의 양단부와 브라켓의 돌출단부 외주면에 밀착 결합되는 사이드캡과, 상기 사이드캡의 최외측에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서 결합되는 사이드캡 덮개가 포함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의자등받이의 틸팅 구조{Tilting structure of backrest}
본 고안은 등받이가 탄성적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한 의자등받이의 틸팅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좌판을 지지하는 좌판지지구상에 원통형 프레임이 안착되고 양측 개방단부가 각 등받이 지지대 하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원통형 프레임 내부에 판상의 탄성부재가 삽입 장착된 의자등받이의 틸팅 구조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의 생활 문화가 점차 서구화되면서 좌식 생활 문화의 보급으로 인해 의자에 앉아 생활하게 되는 시간이 점차 많아지게 되고 특히, 사무직 근로자나 학생의 경우에는 대부분의 시간을 의자에 앉아 보내게 됨으로써 의자의 기능적 중요성이 점차 크게 대두되고 있다.
이로 인하여, 현재 생산되고 있는 의자는 외형의 디자인 못지 않게 착석자가 편안하게 앉아 생활할 수 있는 기능적 요소가 점차 크게 부각되고 각 의자마다 다양한 형태의 쿳션을 제공하여 착석자의 둔부와 등부위가 편안하게 지지될 수 있는 의자가 출시되고 있다.
일반적인 의자는 지면에 지지되는 다수의 다리와, 다리의 상단부에 착석자의 둔부가 지지되도록 수평 장착된 좌판부와, 상기 좌판부 후방 저면에서 연장형성된 수직지지대 상단부에 착석자의 등부위를 지지하는 등받이로 구성되어 있다.
교구용 의자의 경우에는 비교적 저렴한 단가로 제작될 수 밖에 없어 나무 소재의 좌판과, 철재 파이프로 이루어진 다리와, 좌판에 대하여 90°각도로 고정된 등받이로만 구성되기 때문에 등받이의 유동구조는 전혀 고려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도1은 종래 의자의 등받이 회동 등받이의 회동 지지 구조가 도시된 의자의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의 의자(1)는 지면에 지지되는 다리(2) 상단부에 지면과 수평을 이루어 좌판부(3)가 결합되고 상기 좌판부(3) 배면측에 스프링이 내장된 지지수단(4)이 장착되며, 상기 지지수단(4) 후방에 일단부가 결합되어 좌판부(3) 후방 상부로 수직 연장형성된 수직지지대(6)의 상단부에 등받이(5)가 결합된 구조이다.
이때, 상기 좌판부(3)와 등받이(5)는 지지수단(4)내에 장착된 스프링(도면 미도시)에 의해서 착석자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대해 소정의 범위내로 유동됨으로써 착석자의 편안한 착석자세가 유도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좌판부(3)와 등받이(5)는 지지수단(4)을 통해서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유동된다.
종래 의자는 좌판부(3)를 지지하는 지지수단(4) 내부의 스프링 부재에 의해서 등받이(5)가 착석자의 기대는 하중으로 인하여 뒤로 젖혀지면서 탄성 유동되는 데, 상기 지지수단(4)의 스프링 부재는 주로 코일형태로 감겨진 압축스프링이 내장되고 지지수단(4) 전방에 돌출 결합된 회전봉(7)의 조절에 의해서 등받이(5)의 유동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종래 의자는 상기 지지수단(4) 내부에 착설된 탄성 스프링에 의해서 등받이(5)가 유동될 때 착석자가 등받이에 가하는 하중에 대한 탄성력을 지지수단(4) 전방에 결합된 회전봉(7)으로 조절할 수 밖에 없어 착석자의 신체 조건이나 착석자세에 따라 상기 회전봉(7)을 일일이 조정해야 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상기 회전봉(7)의 조임 강도를 높이게 되면 스프링의 텐션 강도가 커질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스프링의 텐션 이하의 하중으로 등받이에 기대는 경우 등받이의 탄성 유동 효과를 나타낼 수 없어 장시간 앉아있기가 불편한 단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의 텐션 이상의 하중으로 기대거나 갑작스런 외부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스프링의 손상될 수 있으며, 스프링이 손상될 때마다 수시로 부품을 교체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한편, 의자를 오랫동안 사용하거나 외부 습기가 많은 곳에서 사용될 경우에는 스프링의 외주면에 녹이 발생되거나 점차적으로 소음이 크게 발생함으로써 주기적으로 부품을 교체해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 의자등받이의 탄성 유동 구조에서 제기되고 있는 상기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좌판을 지지하는 좌판지지구의 전방에 원통형 프레임이 안착되고 상기 원통형 프레임의 내부로 판형의 탄성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뒤틀림 탄성에 의해서 등받이에 가해지는 착석자의 하중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착석자의 안락한 착석자세가 유도될 수 있도록 한 의자등받이의 틸팅 구조를 제공함에 고안의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좌판을 지지하는 좌판지지대가 하부 중앙에 결합된 좌판지지 케이싱과, 상기 좌판지지 케이싱 전방에 안착 결합되고 양측 개구 단부에 각 등받이 지지대 하단부가 결착되는 원통형 프레임과, 원통형 프레임의 양단부를 통해 삽입되고 삽입단부 측면에 스프링 삽입홈이 구비된 브라켓과, 상기 원통형 프레임을 관통하여 양단부가 브라켓의 스프링 삽입홈에 결착되는 판상의 탄성부재와, 상기 원통형 프레임의 양단부와 브라켓의 돌출단부 외주면에 밀착 결합되는 사이드캡과, 상기 사이드캡의 최외측에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서 결합되는 사이드캡 덮개로 구성된 의자등받이의 틸팅 구조에 의해서 달성된다.
상기 좌판지지 케이싱은 상부에 좌판의 저면이 지지되고 하부 중앙에 좌판지지대 상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지지대 삽입공이 형성되며 전방에 원통형 프레임이 안착되는 반원형의 프레임 안착홈이 구비된다.
상기 좌판지지 케이싱의 프레임 안착홈에 삽입된 원통형 프레임은 내부에 판상의 탄성부재가 길이방향으로 삽입되고 원통형 프레임 내부에서 탄성부재의 회동이 제한되도록 원통형 프레임의 중앙부는 협소 단면의 협소고정부로 구성된다.
상기 원통형 프레임의 양측 단부에 삽입 장착되는 한 쌍의 브라켓은 삽입단부측에 스프링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 삽입홈상에 결착되는 판상의 탄성부재의 양단부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브라켓의 외측으로는 브라켓과 원통형 프레임의 양측단부에 밀착 결합되는 사이드캡과 브라켓의 외측 단부를 마감 처리 하기 위한 사이드캡 덮개가 장착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의자등받이 틸팅 구조는 등받이에 가해지는 하중이 각 등받이 지지대를 통해 좌판 저면의 좌판지지 케이싱 전방에 고정된 원통형 프레임으로 전달되어 원통형 프레임의 내부에 삽입 장착된 판상의 탄성부재에 뒤틀림 응력을 발생시키게 되고 등받이의 하중이 제거되면 상기 원통형 프레임 내부의 탄성부재 탄성에 의해서 비틀림 응력이 풀리면서 등받이의 원상태 복원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고안 의자 등받이 틸팅 구조의 상기 목적에 대한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작용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먼저,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틸팅 구조가 장착된 의자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의자등받이 틸팅 구조의 조립사시도이며, 도4는 본 고안 의자등받이 틸팅 구조의 횡단면도이고, 도5와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의자등받이 틸팅 구조의 종단면도로서, 도5는 도4의 A-A선 종단면도이고, 도6은 도4의 B-B선 종단면도이며,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의자등받이 틸팅 구조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 의자등받이의 틸팅 구조는 다수의 다리(12)에 의해서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지지되는 좌판(11)과, 좌판의 후방으로 연장형성된 등받이 지지대(13)에 의해서 지지되는 등받이(14)로 이루어진 의자(10)에 있어서, 좌판(11)을 지지하는 좌판지지대(15)가 하부 중앙부의 지지대 삽입공(21)을 통해 결합된 좌판지지 케이싱(20)과, 상기 좌판지지 케이싱(20)의 반원형 안착홈(22)에 고정되어 각 등받이 지지대(13) 하단부가 양측 개구 단부를 통해 결합되며 중앙부가 양측부에 비해 협소한 단면을 갖는 협지고정부(31)로 이루어진 원통형 프레임(30)과, 원통형 프레임(30)의 내부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스프링(40)과, 상기 원통형 프레임(30)의 양측 단부에 장착되고 삽입단부 측면에 구비된 스프링 삽입홈(51)을 통해 판스프링(40) 양단부가 결착되는 브라켓(50)과, 상기 브라켓(50)의 돌출단부(52)와 원통형 프레임(30)의 양단부에 밀착 결합되는 한 쌍의 사이드캡(60)과,상기 사이드캡(60)의 외측 단부에 결합되는 사이드캡 덮개(70)로 이루어진다.
상기 좌판지지 케이싱(20)은 상부 전,후방에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서 좌판(11)의 저면에 결합되고 하부 중앙에 구비된 지지대 삽입공(21)을 통해 다수의 다리(12) 상부로 연장 형성된 좌판지지대(15) 상단부가 삽입 고정되어 좌판(11)과 좌판(11)의 후방에 결합된 등받이(14)가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서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좌판지지 케이싱(20)은 전방에 좌,우를 가로지르는 반원형의 안착홈(22)이 형성되어 이에 원통형 프레임(30)이 안착되고 원통형 프레임(30)의 양 개방단부 에 각 등받이 지지대(13)의 하단 절곡부가 결합된다.
상기 원통형 프레임(30)의 양단부측에는 장방형의 핀삽입공(32)이 구비되고 그 양측 개방단부를 통해 스프링 삽입홈(51)이 형성된 한 쌍의 브라켓(50)이 장착되며, 상기 원통형 프레임(30)의 양측면으로 돌출 결합된 브라켓(50)의 타단부측은 각 등받이 지지대(13)의 하단 절곡부와 관통 결합된다.
상기 브라켓(50)은 삽입단부측에 구비된 핀삽입공(53)이 원통형 프레임(30)의 양단부측에 구비된 핀삽입공(32)과 대응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핀삽입공(53)(32)을 통해 삽입되는 핀이나 리벳등의 결합수단(P)으로 통해 원통형 프레임(30)의 양단부에 브라켓(50)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고정된다.
이때, 상기 브라켓(50)의 핀삽입공(53)은 핀등의 결합수단(P)이 억지끼움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핀삽입공(53)과 대응 결합되는 원통형 프레임(30)의 핀삽입공(32)은 장방형으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브라켓(50)이 원통형 프레임(30)의 내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장방형의 핀삽입공(32) 길이만큼 회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50)과 원통형 프레임(30) 내주면 사이에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구성되어 외주면에 관통공(81)이 형성된 원통형 부시(80)가 삽입됨으로써, 프레임(30)의 내주면과 브라켓(50) 외주면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접촉 소음의 발생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50)의 돌출단부측에는 볼트결합공(54)이 형성되어 각 등받이 지지대(13) 하단 절곡부의 일측에 브라켓(50)의 돌출단부가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볼트등의 고정수단(B)이 결합된다.
한편, 상기 원통형 프레임(30)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내입되는 판스프링(40)은 프레임(30) 양측부에 장착된 브라켓(50)의 스프링 삽입홈(51)상에 양단부가 협지 고정되어 브라켓(50)으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서 브라켓(50)과 함께 원통형 프레임(30) 내부에서 판상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판스프링(40)은 원토형 프레임(30)의 중앙부에 형성된 협소고정부(31) 내주면상에 중앙부 양측면이 접촉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양측 브라켓(50)의 회전에 의한 판스프링(40)의 양측부 회전시 원통형 프레임(30)의 협소고정부(31)로 인하여 판스프링(40)의 중앙부 회전이 제한됨에 따라 판스프링(40) 양단부에 비틀림 응력이 발생된다.
이때, 상기 원통형 프레임(30) 내부의 판스프링(40)과 그 양단부에 결착된 브라켓(50)을 회전시키는 외력은 브라켓(50)의 돌출단부측이 관통 결합된 등받이 지지대(13)를 통해 등받이(14)에 가해진 하중으로부터 전달된다.
상기 판스프링(40)에 발생된 비틀림 응력은 등받이(14)에 하중이 가해지는 동안 계속 유지되며, 등받이(14)에 가해지는 하중이 제거되면 원통형 프레임(30) 내부의 판스프링(40) 응력이 풀리면서 원통형 프레임(30) 양단부에 결합된 브라켓(50)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브라켓(50)의 돌출 단부측에 결합된 등받이 지지대(13)와 그 상부의 등받이(14)를 원상태로 복원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50)이 장착된 원통형 프레임(30) 양단부측에는 브라켓(50)의 돌출단부(52) 및 프레임(30)과 등받이 지지대(13)의 용접부위를 감싸는 사이드캡(60)이 장착되고, 상기 사이드캡(60)의 외측면상에는 브라켓(50)과 등받이 지지대(13)와의 결합 및 용접 부위를 마감 처리하기 위한 사이드캡 덮개(70)가 결합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캡(60)의 측면부상에는 원통형 프레임(30) 단부와 브라켓(50)의 핀삽입공(32)(53)을 통해 삽입된 핀등의 결합수단(P)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측면판(61)이 슬라이딩 결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 의자등받이의 틸팅 구조는 착석자가 등받이에 기대는 하중에 대하여 각 등받이 지지대가 결합된 원통형 프레임 내부의 판스프링에 발생되는 뒤틀림 응력에 의해서 등받이의 틸팅 강도가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착석자의 안락한 착설자세를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좌판지지구의 전방에 고정된 원통형 프레임 내부에서 회동되는 판상의 탄성부재에 의해서만 등받이의 틸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등받이의 회동 소음이 현저하게 저하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1은 종래 등받이의 유동 지지 구조가 도시된 의자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틸팅 구조가 장착된 의자의 저면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의장 등받이 틸팅 구조의 조립사시도.
도4는 본 고안 의자등받이 틸팅 구조의 횡단면도.
도5와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의자등받이 틸팅 구조의 종단면도로서,
도5는 도4의 A-A선 종단면도이고,
도6은 도4의 B-B선 종단면도이다.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의자등받이 틸팅 구조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좌판 14. 등받이
20. 좌판지지구 30. 원통형 프레임
40. 판스프링 50. 브라켓
60. 사이드캡 70. 사이드캡 덮개
80. 부시 P. 결합수단

Claims (8)

  1. 좌판과, 좌판을 지지하는 다리 및 좌판의 후방에서 착석자의 등부위를 지지하기 위한 등받이로 이루어진 의자에 있어서, 다수의 다리(12) 상부로 연장된 좌판지지대(15)가 하부 중앙의 지지대 삽입공(21)에 결합되어 좌판(11)의 저면이 지지되는 좌판지지 케이싱(20)과, 상기 좌판지지 케이싱(20)의 전방에 안착되고 양 개방단부가 각 등받이 지지대(13) 하단 절곡부와 결합되며 중앙부에 협소고정부(31)가 구비된 원통형 프레임(30)과, 원통형 프레임(30) 내부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형 탄성부재(40)와, 상기 원통형 프레임(30)의 양측 단부에 삽입되고 삽입단부측에 탄성부재(40)의 양단부가 고정되는 스프링 삽입홈(51)이 구비되며 그 일측으로 핀삽입공(53)이 형성된 브라켓(50)과, 상기 브라켓(50)의 돌출단부(52)와 원통형 프레임(30)의 양단부를 감싸며 결합되는 한 쌍의 사이드캡(60)과, 상기 사이드캡(60)의 외측 단부에 장착되는 사이드캡 덮개(7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등받이의 틸팅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지지 케이싱(20)은 전방에 원통형 프레임(30)이 고정 결합되는 반원형의 안착홈(2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등받이의 틸팅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프레임(30)의 양단부측에는 장방형의 핀삽입공(32)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등받이의 틸팅 구조.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50)의 핀삽입공(53)과 원통형 프레임(30)의 핀삽입공(32)을 통해 결합수단(P)이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등받이의 틸팅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P)은 핀 또는 리벳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등받이의 틸팅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50)과 원통형 프레임(30) 내주면 사이에는 외주면에 관통공(81)이 구비된 원통형 부시(80)가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등받이의 틸팅 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40)는 판스프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등받이의 틸팅 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캡(60)의 측면부상에는 측면판(61)이 슬라이딩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등받이의 틸팅 구조.
KR20-2005-0008240U 2005-03-25 2005-03-25 의자등받이의 틸팅 구조 KR2003883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240U KR200388346Y1 (ko) 2005-03-25 2005-03-25 의자등받이의 틸팅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240U KR200388346Y1 (ko) 2005-03-25 2005-03-25 의자등받이의 틸팅 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4996A Division KR20060102925A (ko) 2005-03-25 2005-03-25 의자등받이의 틸팅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8346Y1 true KR200388346Y1 (ko) 2005-06-30

Family

ID=43689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8240U KR200388346Y1 (ko) 2005-03-25 2005-03-25 의자등받이의 틸팅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834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47679B1 (en) Chair
KR20060102925A (ko) 의자등받이의 틸팅 구조
US20110285191A1 (en) Chair
US9072386B2 (en) Sitting arrangement
KR101231028B1 (ko) 기능성 좌판
US20020113474A1 (en) Chair with a folding backrest and a hinge therefor
KR200388346Y1 (ko) 의자등받이의 틸팅 구조
KR200419580Y1 (ko) 의자용 좌판
KR100428434B1 (ko) 등받이폭 조절이 가능한 등받이 지지구
KR20160016549A (ko) 휴대용 의자
KR100722991B1 (ko) 등받이가 밀착되는 의자
US3845984A (en) Folding chair
JP2009517285A (ja) シート、特に自転車サドルの安定取りつけのための取りつけアセンブリ
US8672405B2 (en) Sitting arrangement
KR100526444B1 (ko) 의자 등받이 및 좌판의 탄성 결합 구조
KR200340269Y1 (ko) 학생용 의자의 틸팅 구조
KR200382955Y1 (ko) 의자의 등받이 연결구
KR200333967Y1 (ko) 의자 등받이 및 좌판의 탄성 결합 구조
CN114098335B (zh) 一种椅子
KR102292617B1 (ko) 학습용 의자
KR200416750Y1 (ko) 테이블설치용절첩의자구조
KR102251795B1 (ko) 의자 등받이의 탄성 결합구 체결구조
KR200371543Y1 (ko) 의자의 등받이 결합구조
KR200375178Y1 (ko) 의자용 이중 등받이 결합구조
US20150351552A1 (en) Chair with flex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