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8262Y1 - 창틀용 고정부재 - Google Patents

창틀용 고정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8262Y1
KR200388262Y1 KR20-2005-0009242U KR20050009242U KR200388262Y1 KR 200388262 Y1 KR200388262 Y1 KR 200388262Y1 KR 20050009242 U KR20050009242 U KR 20050009242U KR 200388262 Y1 KR200388262 Y1 KR 2003882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vertical
frame
hol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92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폴영
Original Assignee
무한창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한창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무한창호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092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82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82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82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45Mitre joints
    • E06B3/9646Mitre joints using two similar connecting pieces each connected with one or the frame members and drawn together at the joint

Abstract

본 고안은 현장에서 작업자가 창틀을 간편하게 조립하여 견고히 고정시키고, 보관과 운반을 용이하게 하여 그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창틀용 고정부재에 관한 것이다.
상·하로 배치되는 수평프레임(10) 및 이 수평프레임(10)의 좌·우 양측을 각각 연결시키는 수직프레임(20)으로 구성된 창틀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10)의 양측 가장자리에 결합수단으로 결합되어 고정볼트(50)가 관통되는 관통공(34)이 구비된 수평브래킷(30)과, 상기 수직프레임(20)에 형성된 끼움공(26)으로 끼워지는 끼움편(46) 및 이 끼움편(46)에 형성되어 고정볼트(50)와 나사결합되는 너트공(44)이 구비되어 수직프레임(20)에 결합수단으로 결합되는 수직브래킷(40)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창틀용 고정부재{FIXING MEMBER FOR WINDOW FLAME}
본 고안은 창틀용 고정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현장에서 작업자가 창틀을 간편하게 조립하여 견고히 고정시키고, 보관과 운반을 용이하게 하여 그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창틀용 고정부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369709호 “저부 개방구조의 공틀 일체형 창틀”에 적용하여 창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창틀용 고정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틀은 건물의 실내로 외부공기가 통하고 햇빛을 받을 수 있는 창문이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창틀의 간략한 구성을 살펴보면, 상·하로 배치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양단부를 각각 연결시키는 수직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은 제작시 양단부가 45°로 절단되어 열융착으로 접합되며, 이와 같이 완성된 창틀은 차량 등의 이동수단으로 현장에 이동되어 건물의 적절한 위치에 설치되고, 이 창틀에 창문이 개폐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창틀은, 수평·수직프레임 제작시 그 양단부가 열융착으로 접합되어 현장으로 이동되므로 그에 따라 발생되는 충격이나, 보관시 발생되는 주변환경의 변화에 따라 접합된 부분이 벌어져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창틀의 제작시 숙련된 기능공이 수평·수직프레임을 접합하게 되므로 인건비 상승으로 인하여 제품단가 상승으로 이어지게 되며, 상기 열융착으로 접합되어 완성된 창틀은 부피를 많이 차지하게 되므로, 운반 및 보관 시에 많은 공간을 확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현장에서 창틀을 간편하게 조립하여 견고히 고정시키고, 보관과 운반을 용이하게 하여 그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창틀용 고정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369709호 “저부 개방구조의 공틀 일체형 창틀”에 적용하여 창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창틀용 고정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수평프레임의 양측 가장자리에 결합수단으로 결합되는 수평브래킷에 고정볼트가 관통되는 관통공을 형성하고, 수직프레임에 형성된 끼움공으로 끼워지는 끼움공 및 이 끼움공에 형성되어 고정볼트와 나사결합되는 너트공이 구비된 수직브래킷을 수직프레임에 결합수단으로 결합하는 것이다.
상기 결합수단은 수평·수직브래킷에 천공된 통공으로 관통되는 체결볼트와, 상기 체결볼트와 나사결합되도록 수평·수직프레임에 형성된 체결공으로 구현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결합수단은 수평·수직브래킷의 내측 단부로 돌출된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되도록 수평·수직프레임에 형성된 결합공으로 구현된다.
한편, 상기 수평브래킷에는 외측단부로 돌출되는 돌출편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편과 맞춤결합되도록 수직브래킷에 결합홈이 형성되어 맞춤결합되며, 상기 돌출편은 수직브래킷 측으로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하여, 상기 수평브래킷에는 관통공을 보강하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보스가 형성되고, 상기 보스가 끼워지는 수평프레임에 안착공을 형성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수평브래킷과 수직브래킷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 창틀용 고정부재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배치되는 수평프레임(10) 및 이 수평프레임(10)의 좌·우 양측을 각각 연결시키는 수직프레임(20)으로 구성된 창틀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10)의 양측 가장자리에 결합수단으로 결합되어 고정볼트(50)가 관통되는 관통공(34)이 구비된 수평브래킷(30)과, 상기 수직프레임(20)에 형성된 끼움공(26)으로 끼워지는 끼움편(46) 및 이 끼움편(46)에 형성되어 고정볼트(50)와 나사결합되는 너트공(44)이 구비되어 수직프레임(20)에 결합수단으로 결합되는 수직브래킷(40)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수평프레임(10)과 수직프레임(20)은 그 양단부가 45°로 절단되어 상호 접하게 되며, 내부는 중공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프레임(10)에는 양단부와 근접하는 가장자리에 복수개의 안착공(19)과 체결공(17)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20)에는 수평프레임(10)과 접하는 가장자리에 복수개의 끼움공(26) 및 체결공(28)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수평프레임(10)에 결합수단으로 결합되는 수평브래킷(30)은 관통공(34)과 돌출편(32)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관통공(34)은 수평브래킷(10)에 복수개가 천공되어 고정볼트(50)가 관통되는 것으로, 이 관통공(34)에는 도 5에서와 같이 구멍치기가 형성되어 고정볼트(50)의 헤드가 수평브래킷(30)의 외면과 동일평면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관통공(34)이 천공된 수평브래킷에(30)는 관통공(34)을 보강하는 보스(39)가 수평프레임(10)의 안착공(19)으로 끼워지도록 돌출되어 수평프레임(10)에 설치되는 수평브래킷(30)이 적절한 위치에 정확하게 안착된다.
상기 돌출편(32)은 수평브래킷(30)의 외측단부로 복수개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이와 같이 형성된 돌출편(32)은 도 2에서와 같이 수직프레임(20)의 외면과 밀착되도록 대략 90°정도 절곡된다.
한편, 상기 수직프레임(20)에 결합수단으로 결합되는 수직브래킷(40)은 끼움편(46)과 너트공(44) 및 결합홈(42)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끼움편(46)은 수직프레임(20)의 체결공(26)으로 끼워지도록 도 2에서와 같이 부분적으로 커팅된 부분을 굽힘가공으로 형성하며, 이 끼움편(46)에는 고정볼트(50)와 나사결합되는 너트공(44)이 형성된다.
따라서, 수평브래킷(30)의 관통공(34)을 지나 수직브래킷(40)의 너트공(44)으로 고정볼트(50)가 나사결합되어 고정되므로 수평·수직프레임(10)(20)이 사방으로 유동되지 않고 견고히 고정된다.
더하여, 상기 수직브래킷(40)에 형성되는 결합홈(42)은 수평브래킷(30)의 돌출편(32)과 맞춤결합되도록 도 2에서와 같이 형성되며, 돌출편(32)과의 맞춤결합으로 수평·수직브래킷(30)(40)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수평·수직프레임(10)(20)에 수평·수직브래킷(30)(40)이 각각 결합되는 결합수단은, 수평·수직브래킷(30)(40)에 천공된 통공(37)(47)으로 관통되는 체결볼트(60)와, 이 체결볼트(60)와 나사결합되도록 수평·수직프레임(10)(20)에 형성되는 체결공(17)(27)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체결볼트(60)는 수평·수직브래킷(30)(40)에 천공된 복수개의 통공(37)(47)을 지나 수평·수직프레임(10)(20)에 형성된 체결공(17)(27)에 나사결합으로 고정된다.
한편, 첨부된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수단은 수평·수직브래킷(30)(40)의 내측단부로 돌출된 결합돌기(38)(48)와 결합되도록 수평·수직프레임(10)(20)에 각각 형성된 결합공(18)(28)으로 벤딩되어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돌기(38)(48)는 수평·수직브래킷(30)(40)에 각각 형성된 돌출편(32) 및 결합홈(42)과 대응되는 단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결합공(18)(28)으로 결합돌기(38)(48)를 벤딩하면 수평·수직프레임(10)(20)에 견고히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에 따라, 수평프레임(10)의 적절한 위치에 안착공(19)과 체결공(17)을 천공하고, 수직프레임(20)에도 적절한 위치를 선정하여 끼움공(26)과 체결공(27)을 천공한다.
이어서, 수평브래킷(30)의 보스(39)를 안착공(19)으로 끼워 수평프레임(10)에 자리를 잡은 후에, 체결공(17)으로 나사결합되는 체결볼트(60)를 이용하여 수평프레임(10)에 수평브래킷(30)을 결합한다.
또한, 수직브래킷(40)의 통공(47)과 수직프레임(20)의 체결공(27)이 연이어져 통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체결볼트(60)를 체결공(27)으로 나사결합하여 수직프레임(20)에 수직브래킷(40)을 결합한다.
다음으로, 고정볼트(50)를 수평브래킷(30)의 관통공(34)으로 넣어 수직브래킷(40)의 너트공(44)으로 나사결합하면, 수평프레임(10)과 수직프레임(20)이 견고히 고정된다.
여기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수평·수직프레임(10)(20)에 결합되는 수평·수직브래킷(30)(40)은, 결합돌기(38)(48)와 이 결합돌기(38)(48)으로 벤딩되어 결합되는 결합공(18)(28)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에 따라 수평·수직프레임(10)(20)에 각각 결합되는 수평·수직브래킷(30)(40)은, 수평·수직프레임(10)(20)을 각각 제작하여 결합수단으로 결합한 후, 현장으로 이동하여 조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수평·수직브래킷(30)(40)이 각각 결합된 수평·수직프레임(10)(20)을 고정볼트(50)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손쉽게 고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숙련된 기능공이 필요치 않게 되어 제품단가를 낮출 수 있고, 현장으로 이동 및 보관 시에도 수평·수직프레임(10)(20)이 분리된 상태로 이루어지므로 불필요한 공간사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창틀의 이동 및 보관시에 발생될 수 있는 접합불량을 예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수평·수직브래킷이 각각 결합된 수평·수직프레임을 현장에서 손쉽게 조립하여 고정할 수 있으며, 수평·수직프레임이 분리된 상태로 운반 및 보관이 이루어지므로, 이에 따른 불필요한 공간사용을 줄일 수 있으며, 고정볼트와 돌출편 및 이 돌출편과 맞춤결합되는 결합홈으로 인하여 수평·수직프레임을 사방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수평브래킷과 수직브래킷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4 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 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6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수평프레임 17 : 체결공
19 : 안착공 20 : 수직프레임
26 : 끼움공 27 : 체결공
30 : 수평브래킷 32 : 돌출편
34 : 관통고공 37 : 통공
38 : 결합돌기 39 : 보스
40 : 수직브래킷 42 : 결합홈
44 : 너트공 46 : 끼움편
47 : 통공 48 : 결합돌기
50 : 고정볼트 60 : 체결볼트

Claims (6)

  1. 상·하로 배치되는 수평프레임(10) 및 이 수평프레임(10)의 좌·우 양측을 각각 연결시키는 수직프레임(20)으로 구성된 창틀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10)의 양측 가장자리에 결합수단으로 결합되어 고정볼트(50)가 관통되는 관통공(34)이 구비된 수평브래킷(30)과,
    상기 수직프레임(20)에 형성된 끼움공(26)으로 끼워지는 끼움편(46) 및 이 끼움편(46)에 형성되어 고정볼트(50)와 나사결합되는 너트공(44)이 구비되어 수직프레임(20)에 결합수단으로 결합되는 수직브래킷(4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용 고정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수평·수직브래킷(10)(20)에 천공된 통공(37)(47)으로 관통되는 체결볼트(60)가 수평·수직프레임(10)(20)에 형성된 각각의 체결공(17)(27)으로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용 고정부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수평·수직브래킷(30)(40)의 내측단부로 돌출된 결합돌기(38)(48)와 결합되도록 수평·수직프레임(10)(20)에 각각 형성된 결합공(18)(28)으로 벤딩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용 고정부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브래킷(10)에는 외측단부로 돌출되는 돌출편(32)이 형성되고, 이 돌출편(32)과 맞춤결합되도록 수직브래킷(40)에 결합홈(42)이 형성되어 맞춤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용 고정부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브래킷(30)의 돌출편(32)은, 수직브래킷(40) 측으로 절곡되어 결합홈(42)으로 맞춤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용 고정부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브래킷(30)에는 관통공(34)을 보강하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보스(39)가 형성되고, 이 보스(39)가 끼워지도록 수직프레임(20)에 안착공(19)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용 고정부재.
KR20-2005-0009242U 2005-04-04 2005-04-04 창틀용 고정부재 KR2003882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242U KR200388262Y1 (ko) 2005-04-04 2005-04-04 창틀용 고정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242U KR200388262Y1 (ko) 2005-04-04 2005-04-04 창틀용 고정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8262Y1 true KR200388262Y1 (ko) 2005-06-29

Family

ID=43689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9242U KR200388262Y1 (ko) 2005-04-04 2005-04-04 창틀용 고정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826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108U (ko) * 2016-12-29 2018-07-10 주식회사 에코프린스 방풍구조를 갖는 이중 창호용 프레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108U (ko) * 2016-12-29 2018-07-10 주식회사 에코프린스 방풍구조를 갖는 이중 창호용 프레임
KR200488945Y1 (ko) 2016-12-29 2019-04-09 주식회사 에코프린스 방풍구조를 갖는 이중 창호용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79243U (ja) 配電箱の組立式フレーム
JP2009084844A (ja) ドアパネル
JP5389854B2 (ja) 土台用スペーサ
KR101698593B1 (ko) 알루미늄-스틸 복합 커튼월 구조
US20060197360A1 (en) Multi-piece roof with reinforcement
KR200388262Y1 (ko) 창틀용 고정부재
JP2010043403A (ja) 建具および建具の製造方法
KR101942821B1 (ko) 창문프레임의 연결구조
KR101421678B1 (ko) 조립식 파티션
JP2006057440A (ja) 土台用スペーサ及び土台構造
KR200273496Y1 (ko) 조립식 진열장
KR102641529B1 (ko) 다기능 커튼월 결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0430565Y1 (ko) 창문의 외기차단장치
JP4707544B2 (ja) 構造材の結合構造
JP2006219831A (ja) 窓サッシ
KR101571024B1 (ko) 구조물용 고정 브라켓과 이를 이용한 diy 조립식 구조물
WO2023245831A1 (zh) 一种百叶篷用无焊接篷架固定结构
KR200430564Y1 (ko) 내풍압 강화기능을 갖는 창호결합장치
KR20160009470A (ko) 구조물용 고정 브라켓과 이를 이용한 diy 조립식 구조물
KR102351435B1 (ko) 장부 맞춤 구조를 갖는 비탈형 보 거푸집 및 이의 제작방법
KR200430776Y1 (ko) 판넬 탈착이 가능한 파티션 구조
KR101632927B1 (ko) 판넬 조립식 구조물 구축용 연결부재
JP2009185568A (ja) 建具体
KR100970507B1 (ko) 조립식 구조물의 커넥터 구조체
JP3143341U (ja) 椅子の連接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