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7945Y1 - 광 케이블 데이터 중계용 무선랜 액세스포인트 - Google Patents

광 케이블 데이터 중계용 무선랜 액세스포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7945Y1
KR200387945Y1 KR20-2005-0009027U KR20050009027U KR200387945Y1 KR 200387945 Y1 KR200387945 Y1 KR 200387945Y1 KR 20050009027 U KR20050009027 U KR 20050009027U KR 200387945 Y1 KR200387945 Y1 KR 2003879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voltage
signal
filter uni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90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환
Original Assignee
(주) 에이프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에이프로 filed Critical (주) 에이프로
Priority to KR20-2005-00090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79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79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79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2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microwaves or radio frequency wa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광 케이블 데이터 중계용 무선랜 액세스포인트에 있어서, AC 반송파에 데이터 신호가 혼합된 RF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AC 반송파와 데이터 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하고, 동작상태 검출을 위한 모니터링 신호를 출력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로부터 수신된 AC 반송파를 미리 설정된 제 1 DC 전압 및 제 2 DC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제공되는 상기 제 1 DC 전압 및 제 2 DC 전압으로 구동되고, 상기 필터부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케이블 모뎀부,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제공되는 상기 제 1 DC 전압 및 제 2 DC 전압으로 구동되고, 상기 케이블 모뎀부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데이터 신호를 무선랜 데이터로 변환하여 무선 안테나를 통해 송출하는 무선랜부 및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제공되는 상기 제 1 DC 전압으로 구동되고, 회로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광 케이블 데이터 중계용 무선랜 액세스포인트{A WLAN AP For Relaying Optical Cable Data}
본 고안은 광 케이블 데이터 중계용 무선랜 액세스포인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AC 반송파에 실려 전송되는 케이블 또는 인터넷 데이터로부터 AC 신호와 데이터를 분리하여 AC 신호를 전원 신호로 사용하는 무선랜 액세스포인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케이블 TV가 널리 보급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케이블 망이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케이블 망은 기지국이나 케이블 방송국에서 일정 지역까지는 광 케이블을 통해 고속으로 데이터가 전달되고, 일정 지역에서 각 가정이나 회사까지는 일반 케이블선, LAN, WLAN 등을 통해 데이터가 전달된다.
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도 종래 케이블 방송용 AV 데이터에서 점차 양방향 통신을 위한 인터넷 데이터로 확산되고 있다.
본 고안은 WLAN을 이용하여 광 케이블을 통해 전달된 케이블 데이터나 인터넷 데이터를 송출하는 액세스포인트(AP)에 관한 것이다.
액세스포인트는 유선망과 무선망을 연결하기 위한 접속점으로서, 인터넷망, PSTN망, LAN 등의 유선망을 통해 전달된 데이터를 WLAN 또는 CDMA 등의 무선망에 맞는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무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출하는 장치이다.
종래 액세스포인트는 어댑터를 사용하여 필요한 DC전원을 공급받거나 외부의 상용 AC 전원을 DC로 변환하여 각 회로에 DC전원을 공급한다.
데이터를 무선 데이터로 변환하여 안테나로 송출하는 데에는 많은 전력이 소모되므로 액세스포인트를 운영하는 데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있으며, 전원장치 가 고장나거나 정전이 된 경우에는 사용이 중지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전력 소모를 제거하고 정전 시에도 사용 가능한 광 케이블 데이터 중계용 무선랜 액세스포인트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제 1 목적은 케이블 데이터를 전달하는 반송파를 이용하여 DC전원을 생성함으로써 전원 공급에 따른 전력 소비가 전혀 없는 광 케이블 데이터 중계용 무선랜 액세스포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 2 목적은 반송파를 이용하여 DC 전원을 생산함으로써 정전시에도 동작할 수 있는 광 케이블 데이터 중계용 무선랜 액세스포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 3 목적은 생성된 DC 전원을 필터부에서 최종적으로 필터링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이고 고품질의 DC 전원을 생산할 수 있는 광 케이블 데이터 중계용 무선랜 액세스포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르면, 광 케이블 데이터 중계용 무선랜 액세스포인트에 있어서, AC 반송파에 데이터 신호가 혼합된 RF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AC 반송파와 데이터 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하고, 동작상태 검출을 위한 모니터링 신호를 출력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로부터 수신된 AC 반송파를 미리 설정된 제 1 DC 전압 및 제 2 DC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제공되는 상기 제 1 DC 전압 및 제 2 DC 전압으로 구동되고, 상기 필터부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케이블 모뎀부, 상기 전원공급부부에서 제공되는 상기 제 1 DC 전압 및 제 2 DC 전압으로 구동되고, 상기 케이블 모뎀부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데이터 신호를 무선랜 데이터로 변환하여 무선 안테나를 통해 송출하는 무선랜부 및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제공되는 상기 제 1 DC 전압으로 구동되고, 회로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케이블 데이터 중계용 무선랜 액세스포인트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광 케이블 데이터 중계용 무선랜 액세스포인트에 있어서, AC 반송파에 데이터 신호가 혼합된 RF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AC 반송파와 데이터 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하고, 동작상태 검출을 위한 모니터링 신호를 출력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로부터 수신된 AC 반송파를 미리 설정된 제 1 DC 전압 및 제 2 DC 전압으로 변환한 후, 상기 제 1 DC 전압 및 제 2 DC 전압을 상기 필터부에 인가하는 전원공급부-상기 필터부는 상기 제 1 DC 전압 및 제 2 DC 전압을 필터링하여 최종 DC 전원을 생성함-, 상기 필터부에서 필터링된 상기 제 1 DC 전압 및 제 2 DC 전압으로 구동되고, 상기 필터부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케이블 모뎀부, 상기 필터부에서 필터링된 상기 제 1 DC 전압 및 제 2 DC 전압으로 구동되고, 상기 케이블 모뎀부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데이터 신호를 무선랜 데이터로 변환하여 무선 안테나를 통해 송출하는 무선랜부 및 상기 필터부에서 필터링된 상기 제 1 DC 전압으로 구동되고, 회로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케이블 데이터 중계용 무선랜 액세스포인트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광 케이블 데이터 중계용 무선랜 액세스포인트에 있어서, AC 반송파에 데이터 신호가 혼합된 RF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AC 반송파와 데이터 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하고, 동작상태 검출을 위한 모니터링 신호를 출력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에서 출력되는 AC 반송파의 전력 레벨을 검출하는 전력 레벨 검출부, 상기 전력 레벨 검출부에서 검출된 AC 반송파의 전력 레벨을 미리 설정된 기준 레벨과 비교하여 HIGH 또는 LOW값을 출력하는 비교부, 상용 AC 전원을 공급하는 상용 AC 공급부, 상기 비교부의 출력이 HIGH인 경우 상기 필터부에서 출력되는 AC 반송파를 선택 출력하고, 상기 비교부의 출력이 LOW인 경우 상기 상용 AC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상용 AC 전원을 선택 출력하는 먹스부, 상기 먹스부로부터 수신된 AC 신호를 미리 설정된 제 1 DC 전압 및 제 2 DC 전압으로 변환한 후, 상기 제 1 DC 전압 및 제 2 DC 전압을 상기 필터부에 인가하는 전원공급부-상기 필터부는 상기 제 1 DC 전압 및 제 2 DC 전압을 필터링하여 최종 DC 전원을 생성함-, 상기 필터부에서 필터링된 상기 제 1 DC 전압 및 제 2 DC 전압으로 구동되고, 상기 필터부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케이블 모뎀부, 상기 필터부에서 필터링된 상기 제 1 DC 전압 및 제 2 DC 전압으로 구동되고, 상기 케이블 모뎀부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데이터 신호를 무선랜 데이터로 변환하여 무선 안테나를 통해 송출하는 무선랜부 및 상기 필터부에서 필터링된 상기 제 1 DC 전압으로 구동되고, 회로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케이블 데이터 중계용 무선랜 액세스포인트가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 케이블 데이터 중계용 무선랜 액세스포인트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 케이블 데이터 중계용 무선랜 액세스포인트는 필터부(10), 전원 공급부(20), 케이블 모뎀부(30), 무선랜부(40) 및 표시부(50)로 구성된다.
필터부(10)는 케이블 방송국 또는 광케이블 중계기로부터 전송된 RF 신호가 입력되는 부분이다. 현재, 광케이블을 통한 데이터 통신 시에는 AC 파형의 반송파(Carrier)에 고주파의 데이터 신호를 실어 전송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필터부(10)는 광케이블을 통해 AC 반송파에 데이터 신호가 혼합된 RF 신호가 입력되면, AC 반송파와 데이터 신호를 분리하여 각각 출력하고, 동작상태 검출을 위한 모니터링 신호를 출력하여 데이터 신호의 상태 또는 전송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한다.
전원 공급부(20)는 필터부(10)에서 필터링된 AC 반송파를 미리 설정된 제 1 DC 전압 및 제 2 DC 전압으로 변환하여 케이블 모뎀부(30), 무선랜부(40), 표시부(50) 등에 공급한다. 여기서, 제 1 DC 전압은 케이블 모뎀부(30)와 무선랜부(40)의 CPU 및 표시부(50)를 구동하기 위한 3.3V 전압이고, 제 2 DC 전압은 케이블 모뎀부(30)의 증폭기를 구동하기 위한 9V 전압이다.
케이블 모뎀부(30)는 전원공급부(20)에서 공급되는 제 1 DC 전압 및 제 2 DC 전압으로 구동되고, 필터부(10)에서 필터링된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무선랜부(40)는 전원공급부(20)에서 공급되는 제 1 DC 전압 및 제 2 DC 전압으로 구동되고, 케이블 모뎀부(30)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데이터 신호를 무선랜 환경에 맞는 무선랜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한 후 무선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외부로 송출한다. 본 고안의 무선랜 액세스포인트는 카페, 도서관, 광장 등의 사람이 밀집되는 장소에 설치되어 무선랜 모듈이 구비된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PDA 등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케이블 TV를 시청하거나 인터넷 등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표시부(50)는 전원공급부(20)에서 공급되는 상기 제 1 DC 전압으로 구동되고, 회로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5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b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광 케이블 데이터 중계용 무선랜 액세스포인트의 내부 구성도이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액세스포인트의 내부 구성은 기본적으로 제 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제 2 실시예에서는 전원 공급부(20)에서 생성된 DC 전원(전압)이 바로 케이블 모뎀부(30) 등의 회로로 공급되지 않고, 필터부(10)에서 다시 필터회로를 거쳐 리플이 완전히 제거된 후 최종 DC 전원이 케이블 모뎀부(30), 무선랜부(40) 및 표시부(50)로 공급되는 점이 제 1 실시예와 상이하다. 제 2 실시예의 구현을 위한 필터부(10)의 내부 구성은 도 3에서 도시되고 설명될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필터부(10)에서 최종 DC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보다 안정되고 고품질의 DC 전원을 만들어낼 수 있으며, 또한 실제 회로 구현에서 배선 구성의 효율성을 제공한다.
도 1c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광 케이블 데이터 중계용 무선랜 액세스포인트의 내부 구성도이다.
제 3 실시예에서는 기본적으로 제 2 실시예의 구성에 전력 레벨 검출부(60), 비교부(70), 먹스부(80) 및 상용 AC 공급부(90)가 추가된 구성을 갖는다.
전력 레벨 검출부(60)는 필터부에서 필터링되어 출력되는 AC 반송파의 전력 레벨을 검출한다.
비교부(70)는 전력 레벨 검출부(60)에서 검출된 AC 반송파의 전력 레벨값을 미리 설정된 전력 레벨값과 비교하여, HIGH 또는 LOW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검출된 전력 레벨값이 설정된 전력 레벨값보다 큰 경우에 HIGH가, 작은 경우에 LOW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그 반대의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먹스부(80)는 비교부(70)의 출력 신호를 인에이블 신호(Enable Signal) 즉, 선택 제어신호로 받아 필터부(10)의 AC 출력 및 상용 AC 공급부(90)의 출력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하여 전원공급부(20)로 제공한다. 즉, 먹스부(80)는 비교부(70)의 출력이 HIGH(또는 LOW)인 경우 필터부(10)에서 출력되는 AC 반송파를 선택 출력하고, 비교부(70)의 출력이 LOW(또는 HIGH)인 경우 상용 AC 공급부(90)에서 공급되는 상용 AC 전원을 선택 출력한다.
필터부(10)에서 필터링된 AC 반송파의 신호가 미약한 경우에는 각 회로에 충분한 전원을 공급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고,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회로가 동작하지 않고 표시부(50) 또한 구동할 수 없으므로 회로의 정상 동작 여부를 체크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상용 AC 공급부(90)를 통해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필터부(10)의 내부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필터부(10)의 회로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케이블을 통해 AC 반송파에 데이터 신호가 실린 케이블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케이블 신호는 LPF(Low Pass Filter)(15)에서 고주파 성분이 제거되므로, 저주파 성분인 AC 반송파만이 필터링되고, 필터링된 AC 반송파는 피뢰부(13) 및 퓨즈(11)를 거쳐 AC 출력단으로 출력되어 전원공급부(20)로 전송된다.
한편, 케이블 신호는 하단의 HPF(High Pass Filter)(17)에서 저주파 성분이 제거되므로, 고주파 성분인 데이터 신호만이 필터링되고, 필터링된 데이터 신호는 데이터 출력단(19)을 통해 케이블 모뎀부(30)로 전송된다.
또한, 필터링된 데이터 신호는 동작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모니터링 신호로서 모니터링 단자(MON)를 통해 출력된다.
L3 및 C1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평활부는 전원 공급부(20)에서 변환된 제 1 DC 전압(V1)의 리플을 제거하고, L2 및 C2로 이루어지는 제 2 평활부는 전원 공급부(20)에서 변환된 제 2 DC 전압(V2)의 리플을 제거한 후, 각 회로에 안정된 DC 전원을 공급한다.
도 3은 전원공급부(20)의 내부 구성도이다.
전원공급부(20)는 EMI필터부(27)와 제 1 DC 변환부 및 제 2 DC 변환부로 이루어진다.
EMI 필터부(27)는 입력단으로 유입되는 전자파 장해를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두 개의 DC 변환부는 AC 신호를 제 1 DC 전압 및 제 2 DC 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것이다.
각 DC 변환부는 입력 필터부(21), 변압부(22), 평활부(23), 출력 필터부(24) 및 피드백 제어부(25, D, PT 및 PWM 제어부)로 구성된다.
입력 필터부(21)에서 EMI 필터부(27)를 거쳐 입력되는 AC 신호를 1차적인 DC 신호로 정류한다. 제 1 변압부(22)는 입력 필터부(21)에서 정류된 DC 신호를 1차 전압으로 입력받아 권선비에 따른 2차 전압으로 변압하는 부분이다.
평활부(23)는 변압부(22)의 2차 권선에서 출력되는 2차 전압의 리플을 제거하여 직류에 가까운 파형을 만들어 낸다.
출력 필터부(24)는 출력단으로부터 노이즈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피드백 제어부는 피드백부(25), 발광다이오드(D), 광트랜지스터(PT) 및 PWM 제어부(26)로 구성된다. 피드백부(25)는 출력 필터부(24)에서 출력되는 출력 전압값을 검출한 후 검출된 출력 전압값에 상응하는 크기의 전류를 발생시킨다. 이 전류는 발광다이오드(D)를 도통시키고, 발광다이오드(D)는 이 전류의 크기에 비례하는 광도의 빛을 발산한다. 광트랜지스터(PT)는 이 빛의 세기에 상응하는 전류를 발생시키고, PWM 제어부(26)는 이 전류값에 따라 변압부(22)를 구동하는 펄스폭을 제어하게 된다.
즉, 출력 전압값에 따라 변압부(22)를 구동하는 구간을 펄스폭 제어를 통해 조정함으로써 원하는 안정된 출력 전압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4는 표시부(50)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50)는 케이블 모뎀부(30)의 증폭부(미도시)에 접속되어 케이블 모뎀 증폭부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제 1 표시부(50-1), 무선랜부(40)에 접속되어 상기 무선랜부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제 2 표시부(50-2), 랜부(미도시)에 접속되어 랜부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제 3 표시부(50-3), 케이블 모뎀부(30)에 접속되어 케이블 모뎀부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제 4 표시부(50-4) 및 전원공급부(20)에 접속되어 전원공급부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제 5 표시부(50-5)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본 실시예에서 랜부에 대한 구성은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않았으나, 케이블 모뎀부(30)에서 변환된 데이터 신호를 무선이 아닌 유선으로 가입자 라인으로 전송하기 위한 구성을 추가적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제 3 표시부(50-3)는 이러한 랜부가 추가된 경우에 관한 것이다.
별도의 도면을 첨부하지는 않았으나, 본 고안의 액세스포인트는 박스 형태의 함체에 도 1a 내지 도 1c의 각 회로들이 수납되며, 표시부(50)는 함체의 외면 상에 설치된다.
이는 본 고안의 액세스포인트가 전주와 같이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고, 이러한 경우 액세스포인트의 정상 동작 여부를 검사하기 위해서는 검사원이 직접 전주에 올라가서 각 회로부의 라인에 검사장치를 접속시켜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종래의 문제점에 착안한 것이다.
즉, 함체의 측면이나 하면 상에 표시부(50)가 설치되어 검사자가 전주에 올라갈 필요없이 육안으로 각 회로부의 동작 상태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고, 어느 회로에 이상이 있는 지도 쉽게 인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케이블 데이터를 전달하는 반송파를 이용하여 DC전원을 생성함으로써 전원 공급에 따른 전력 소비가 전혀 없는 광 케이블 데이터 중계용 무선랜 액세스포인트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반송파를 이용하여 DC 전원을 생산함으로써 정전시에도 동작할 수 있는 광 케이블 데이터 중계용 무선랜 액세스포인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DC 전원을 필터부에서 최종적으로 필터링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이고 고품질의 DC 전원을 생산할 수 있는 광 케이블 데이터 중계용 무선랜 액세스포인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함체의 외부에 각 회로부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부를 구비시켜 검사자가 직접 전주에 올라가서 라인을 점검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도 1a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 케이블 데이터 중계용 무선랜 액세스포인트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1b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광 케이블 데이터 중계용 무선랜 액세스포인트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1c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광 케이블 데이터 중계용 무선랜 액세스포인트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2는 필터부의 내부 회로도이다.
도 3은 전원공급부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4는 표시부의 내부 구성도이다.
<주요 도면 부호에 관한 설명>
10 : 필터부, 20 : 전원공급부,
30 : 케이블 모뎀부, 40 : 무선랜부,
50 : 표시부, 60 : 전력 레벨 검출부,
70 : 비교부, 80 : 먹스부,
90 : 상용 AC 공급부.

Claims (9)

  1. 광 케이블 데이터 중계용 무선랜 액세스포인트에 있어서,
    AC 반송파에 데이터 신호가 혼합된 RF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AC 반송파와 데이터 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하고, 동작상태 검출을 위한 모니터링 신호를 출력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로부터 수신된 AC 반송파를 미리 설정된 제 1 DC 전압 및 제 2 DC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제공되는 상기 제 1 DC 전압 및 제 2 DC 전압으로 구동되고, 상기 필터부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케이블 모뎀부;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제공되는 상기 제 1 DC 전압 및 제 2 DC 전압으로 구동되고, 상기 케이블 모뎀부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데이터 신호를 무선랜 데이터로 변환하여 무선 안테나를 통해 송출하는 무선랜부; 및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제공되는 상기 제 1 DC 전압으로 구동되고, 회로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케이블 데이터 중계용 무선랜 액세스포인트.
  2. 광 케이블 데이터 중계용 무선랜 액세스포인트에 있어서,
    AC 반송파에 데이터 신호가 혼합된 RF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AC 반송파와 데이터 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하고, 동작상태 검출을 위한 모니터링 신호를 출력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로부터 수신된 AC 반송파를 미리 설정된 제 1 DC 전압 및 제 2 DC 전압으로 변환한 후, 상기 제 1 DC 전압 및 제 2 DC 전압을 상기 필터부에 인가하는 전원공급부-상기 필터부는 상기 제 1 DC 전압 및 제 2 DC 전압을 필터링하여 최종 DC 전원을 생성함-;
    상기 필터부에서 필터링된 상기 제 1 DC 전압 및 제 2 DC 전압으로 구동되고, 상기 필터부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케이블 모뎀부;
    상기 필터부에서 필터링된 상기 제 1 DC 전압 및 제 2 DC 전압으로 구동되고, 상기 케이블 모뎀부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데이터 신호를 무선랜 데이터로 변환하여 무선 안테나를 통해 송출하는 무선랜부; 및
    상기 필터부에서 필터링된 상기 제 1 DC 전압으로 구동되고, 회로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케이블 데이터 중계용 무선랜 액세스포인트.
  3. 광 케이블 데이터 중계용 무선랜 액세스포인트에 있어서,
    AC 반송파에 데이터 신호가 혼합된 RF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AC 반송파와 데이터 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하고, 동작상태 검출을 위한 모니터링 신호를 출력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에서 출력되는 AC 반송파의 전력 레벨을 검출하는 전력 레벨 검출부;
    상기 전력 레벨 검출부에서 검출된 AC 반송파의 전력 레벨을 미리 설정된 기준 레벨과 비교하여 HIGH 또는 LOW값을 출력하는 비교부;
    상용 AC 전원을 공급하는 상용 AC 공급부;
    상기 비교부의 출력이 HIGH(또는 LOW)인 경우 상기 필터부에서 출력되는 AC 반송파를 선택 출력하고, 상기 비교부의 출력이 LOW(또는 HIGH)인 경우 상기 상용 AC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상용 AC 전원을 선택 출력하는 먹스부;
    상기 먹스부로부터 수신된 AC 신호를 미리 설정된 제 1 DC 전압 및 제 2 DC 전압으로 변환한 후, 상기 제 1 DC 전압 및 제 2 DC 전압을 상기 필터부에 인가하는 전원공급부-상기 필터부는 상기 제 1 DC 전압 및 제 2 DC 전압을 필터링하여 최종 DC 전원을 생성함-;
    상기 필터부에서 필터링된 상기 제 1 DC 전압 및 제 2 DC 전압으로 구동되고, 상기 필터부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케이블 모뎀부;
    상기 필터부에서 필터링된 상기 제 1 DC 전압 및 제 2 DC 전압으로 구동되고, 상기 케이블 모뎀부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데이터 신호를 무선랜 데이터로 변환하여 무선 안테나를 통해 송출하는 무선랜부; 및
    상기 필터부에서 필터링된 상기 제 1 DC 전압으로 구동되고, 회로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케이블 데이터 중계용 무선랜 액세스포인트.
  4. 제 1 항 내지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RF 신호로부터 상기 AC 반송파만을 여과하는 저역 통과 필터부;
    상기 저역 통과 필터부에서 여과된 AC 신호를 출력하는 AC 출력단;
    상기 RF 신호로부터 상기 데이터 신호만을 여과하는 고역 통과 필터부;
    상기 고역 통과 필터부에서 여과된 상기 데이터 신호를 외부로 무선 송출하는 무선 출력단;
    상기 고역 통과 필터부에서 여과된 상기 데이터 신호를 상기 모니터링 신호로 출력하는 모니터링 신호 출력단;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변환된 상기 제 1 DC 전압의 리플을 제거하기 위한 제 1 평활부; 및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변환된 상기 제 2 DC 전압의 리플을 제거하기 위한 제 2 평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케이블 데이터 중계용 무선랜 액세스포인트.
  5. 제 1 항 내지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DC 전압은 상기 케이블 모뎀부와 상기 무선랜부의 CPU 및 상기 표시부를 구동하기 위한 3.3V 전압이고, 상기 제 2 DC 전압은 상기 케이블 모뎀부의 증폭기를 구동하기 위한 9V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케이블 데이터 중계용 무선랜 액세스포인트.
  6.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입력단으로 유입되는 전자파 장해를 차단하는 EMI 필터부;
    상기 AC 신호를 상기 제 1 DC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 1 DC 변환부; 및
    상기 AC 신호를 상기 제 2 DC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 2 DC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케이블 데이터 중계용 무선랜 액세스포인트.
  7. 제 5 항에 있어서,
    제 1 DC 전원 공급부 및 제 2 DC 전원 공급부는
    상기 EMI 필터를 거쳐 입력되는 AC 신호를 DC 신호로 정류하는 입력필터부;
    상기 입력필터부에서 정류된 DC 신호를 1차 전압으로 입력받아 권선비에 따른 2차 전압으로 변압하는 변압부;
    상기 변압부의 2차 권선에서 출력되는 상기 2차 전압의 리플을 제거하는 평활부;
    출력단의 잡음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출력 필터부; 및
    상기 출력 필터부에서 출력되는 출력 전압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피드백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케이블 데이터 중계용 무선랜 액세스포인트.
  8. 제 1 항 내지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모뎀부에서 변환된 데이터 신호를 랜 데이터로 변환하는 랜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케이블 모뎀의 증폭부에 접속되어 상기 케이블 모뎀 증폭부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제 1 표시부;
    상기 무선랜부에 접속되어 상기 무선랜부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제 2 표시부;
    상기 랜부에 접속되어 상기 랜부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제 3 표시부;
    상기 케이블 모뎀부에 접속되어 상기 케이블 모뎀부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제 4 표시부; 및
    상기 전원공급부에 접속되어 상기 전원공급부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제 5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케이블 데이터 중계용 무선랜 액세스포인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구성 회로를 수납하기 위한 함체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함체부의 외부 일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케이블 데이터 중계용 무선랜 액세스포인트.
KR20-2005-0009027U 2005-04-01 2005-04-01 광 케이블 데이터 중계용 무선랜 액세스포인트 KR2003879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027U KR200387945Y1 (ko) 2005-04-01 2005-04-01 광 케이블 데이터 중계용 무선랜 액세스포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027U KR200387945Y1 (ko) 2005-04-01 2005-04-01 광 케이블 데이터 중계용 무선랜 액세스포인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7585A Division KR100639264B1 (ko) 2005-04-01 2005-04-01 광 케이블 데이터 중계용 무선랜 액세스포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7945Y1 true KR200387945Y1 (ko) 2005-06-28

Family

ID=43689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9027U KR200387945Y1 (ko) 2005-04-01 2005-04-01 광 케이블 데이터 중계용 무선랜 액세스포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794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9061B2 (en) Power-line communication device
EP2186180B1 (en) Intelligent device and power source interaction
US7003102B2 (en) Telecommunications gateway and method
WO2011040036A1 (ja) 直流電力線通信システム及び直流電力線通信装置
JP2020517212A (ja) 被充電機器、無線充電装置及び無線充電方法
US9136911B2 (en) Power line communication device, power supply circuit with communication function, electric appliance, and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KR101277650B1 (ko) 전력선 통신에서 상용전원의 진폭변화를 이용한 디밍제어 장치 및 방법
US20080080105A1 (en) Isolated switched maintain power signature (mps) and fault monitoring for power over ethernet
WO2011087082A1 (ja) 照明装置
US7486648B1 (en) Wireless extension of local area networks
KR20190026367A (ko) Led 구동 장치 및 조명 장치
WO2010150829A1 (ja) 電力供給装置
US8089176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apparatus
WO2010150828A1 (ja) 電力供給装置
US7872378B2 (en) Power management system
US7742069B2 (en) Telephone ring activation of a wireless transmitter for remote control of a television
US20070076676A1 (en) Power line communication adaptor and power line communication system
KR100639264B1 (ko) 광 케이블 데이터 중계용 무선랜 액세스포인트
KR200387945Y1 (ko) 광 케이블 데이터 중계용 무선랜 액세스포인트
JP2009165250A (ja) 直流配電システム
JP5571012B2 (ja) 非接触電力伝送装置
JP4082443B2 (ja) 電力線搬送通信用配線システム
CN107005323A (zh) 通信装置和通信方法
KR100818734B1 (ko) 전력 변환기 일체형 통신 커넥터 및 전력전송 방법
JP4388300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19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