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7485Y1 - 가스누출사고시의 신속 막음 장치 - Google Patents

가스누출사고시의 신속 막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7485Y1
KR200387485Y1 KR20-2005-0007937U KR20050007937U KR200387485Y1 KR 200387485 Y1 KR200387485 Y1 KR 200387485Y1 KR 20050007937 U KR20050007937 U KR 20050007937U KR 200387485 Y1 KR200387485 Y1 KR 2003874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operating shaft
shaft
tapping machine
bra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79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각
Original Assignee
이우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각 filed Critical 이우각
Priority to KR20-2005-00079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74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74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74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16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the branch pipe comprising fluid cut-off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16L55/11Plu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5/00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 F17D5/005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of gas pipelines, e.g. ala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본 고안은 가스가 흐르는 메인관과, 상기 가스를 필요로 하는 장소까지 설치되어 있는 분기관을 연결하는 배관작업중에 가스누출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 신속하게 분기티를 막아 큰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하는 가스누출사고시의 신속 막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가스누출사고시의 신속 막음 장치는 하단에 결합수단이 형성되어 있고 상하 이동 및 회전을 하도록 되어 있으며 수직으로 길게 뻗은 작동축(11)이 구성되어 있는 태핑머신(10), 상부가 상기 태핑머신(10)의 작동축(11)의 결합수단과 결합하여 상하 이동 및 회전하도록 되어 있고 하부에 분기티 유입부(1a)의 내경보다 작은 원통부(2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원통부(25)의 외면에 O링홈(26)이 형성되어 있는 마개(20), 그리고 상기 분기티의 유입부(1b)를 완전히 폐쇄하기 위하여 마개의 원통부 O링홈에 삽입되는 O링(3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스누출사고시의 신속 막음 장치{QUICK CLOSING APPARATUS UPON THE ACCIDENT OF GAS LEAKAGE}
본 고안은 가스가 흐르는 메인관과, 상기 가스를 필요로 하는 장소까지 설치되어 있는 분기관을 연결하는 배관작업중에 가스누출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 분기티를 막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스누출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신속하게 분기티를 막아 대형 가스누출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하는 가스누출사고시의 신속 막음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스, 화공물질 또는 상하수 등의 유체는 공급원에 연결된 메인관과, 상기 유체를 필요로 하는 장소까지 설치된 분기관을 분기티를 이용하여 연결하여서 최종사용장소에서 유체를 이용하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어 유체가 가스인 경우에는, 가스공장과 연결되어 있는 메인관으로 부터 최종 사용장소인 건물 또는 주택 등에까지 도시가스를 공급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이미 매설된 가스가 흐르는 메인관으로부터 건물, 주택으로 연결되는 분기관을 먼저 매설을 하고 최종작업으로서 분기티를 이용하여 메인관과 분기관을 연결한다.
이와 같이 메인관과 분기관을 연결하는 배관 분기티(1)는 일반적으로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형성되어 있고,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분기티(1)의 유입부(1a)를 먼저 메인관(2)에 용접한 후 분기티(1)의 유출부(1b)를 분기관(3)에 용접하는 방법으로 메인관(2)과 분기관(3)을 용접한다. 그리고 나서 메인관(2)을 천공하고 분기티(1)의 플랜지(flange)(5)에 덮개판(6)을 결합하면 연결작업이 끝난다.
가스가 흐르는 상태에서 가스가 누출되지 않도록 메인관(2)을 천공하고 덮개판(6)을 플랜지(5)에 결합하는 공정은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런데 분기티(1)에 의하여 메인관(2)과 분기관(3)에 연결하는 작업을 할 때 메인관(2)을 잘못 선택하여 연결하는 문제가 최근에 발생하였다. 즉 지하에는 다양한 종류의 배관이 매설되어 있는데 예를 들면 산업용의 5 Kg/cm2의 가스가 흐르는 배관과 가정용으로 사용되는 0.025 Kg/cm2의 가스가 흐르는 배관이 매설되어 있는데 이들은 구별을 용이하게 위하여 배관외면의 색상을 달리 하고 있다. 그런데 장기간 땅속에 파묻혀 있어서 색상이 변질되어 산업용 가스관과 가정용 가스관의 구별이 용이하지 않거나 또한 색상이 변질되지 않아도 작업자가 착각하여 가정용 가스관과 연결하여야 하는 상황에서 산업용 가스관을 연결하는 사고가 우려가 있다.
가정용 가스관과 연결하여야 하는데도 불구하고 산업용 가스관을 연결하는 경우에는 각 가정에서 가스누출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매우 높다.
따라서 작업자가 메인관(2)과 분기관(3)을 연결하는 작업중에 메인관(2)을 천공하여 가스압력이 강하여 가정용이 아니고 산업용이라는 사실을 감지하는 경우에 즉시 천공한 부분을 막아야 가스누출로 인한 대형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메인관(2)과 분기관(3)의 연결 작업 중에 이와 같은 긴급사고가 일어나더라도 응급조치의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분기티를 이용하여 메인관과 분기관을 연결을 하는 작업중에 메인관의 선택을 잘못하여 가스누출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 즉시 분기작업자가 현장에서 메인관의 천공부분을 폐쇄할 수 있는 가스누출사고시의 신속 막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여 휴대하기 편리하고 전술한 바와 같은 긴급상황발생시 작업자가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가스누출사고시의 신속 막음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가스 누출사고시의 신속 막음 장치는 하단에 결합수단이 형성되어 있고 상하 이동 및 회전을 하도록 되어 있는 작동축이 구성되어 있으며 중간차단밸브에 설치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태핑머신, 상부가 상기 태핑머신의 작동축의 결합수단과 결합하여 상하 이동 및 회전하도록 되어 있고 하부에 분기티 유입부의 내경보다 작은 원통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원통부의 외면에 O링홈이 형성되어 있는 마개, 그리고 상기 분기티의 유입부를 완전히 폐쇄하기 위하여 마개의 원통부 O링홈에 삽입되는 O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스누출사고시의 신속 막음 장치의 일부 분해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스누출사고시의 신속 막음 장치의 결합상태 부분 절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스누출사고시의 신속 막음 장치의 결합상태의 부분단면도이고,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스누출사고시의 신속 막음 장치의 구성요소인 막음부재의 정단면도이며,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스누출사고시의 신속 막음 장치의 구성요소인 막음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4c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스누출사고시의 신속 막음 장치의 구성요소인 막음부재의 측면도이며,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스누출사고시의 신속 막음 장치의 구성요소인 작동축의 부분 정면도이고,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스누출사고시의 신속 막음 장치의 구성요소인 작동축의 저면도이다.
본 고안의 가스 누출사고시의 신속 막음 장치는 태핑머신(10), 그리고 막음부재, 즉 마개(20) 및 O링(30)으로 구성되어 있다.
태핑머신(10)은 하단에 결합수단이 형성되어 있고 상하 이동 및 회전을 하도록 되어 있는 작동축(11)이 구성되어 있으며 중간차단밸브(40)에 설치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태핑머신(10)은 도 1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길게 뻗은 작동축(11), 상기 작동축(11)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부설치커버(12), 상기 상부설치커버(12)와 결합되어 있는 회전원통(13), 상기 회전원통(13)의 내면에 나사 결합되어 있으며 하단에 아답타(50)와 결합하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원통(14)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작동축(11)은 그 상단에 작동축을 회전시키는 렌치 등의 공구가 결합되는 사각끼움부(11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5a,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축(11)의 하부에는 마개(20)와 결합하기 위한 수단이 구성되어 있는데, 그 결합수단은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삽입공(11b), 상기 삽입공(11b)을 횡방향으로 관통하는 핀공(11d), 그리고 상기 삽입공(11b)의 하부에 형성된 회전가압홈(11c)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핀공(11d)이 있는 외주면에는 핀의 끝단부를 안으로 들어가게 하기 위한 환형홈(11e)이 형성되어 있다.
마개(20)는 상부에 상기 태핑머신(10)의 작동축(11)의 결합수단과 결합하도록 되어 있으며 하부에 분기티 유입부(1a)의 내경보다 작은 원통부(2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원통부(25)의 외면에 O링홈(26)이 형성되어 있다. 마개(20)의 상부는 태핑머신(10)의 작동축(11)의 삽입공(11b)에 삽입되는 삽입축(21)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축(21)에는 작동축(11)의 핀공(11d)과 일직선으로 정렬되는 핀공(21a)이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축(21)의 하부에 태핑머신(10)의 작동축(11)의 회전가압홈(11c)에 결합되는 키(key)부(22)가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O링(30)은 상기 분기티(1)의 유입부(1a)를 완전히 폐쇄하기 위하여 마개(2)의 원통부 O링홈(26)에 삽입된다.
상기 O 링(30)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분기티(1)의 유입부(1a) 내면은 매끈하게 절삭을 해 놓는 것이 O링(30)이 용이하게 맞물리게 되므로 바람직하다.
중간차단밸브(40)는 소위 샌드위치밸브라고 불리며 내부에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개폐판(미도시)이 구성되어 있어서 태핑머신(10)을 분리할 때에 분기티(1)내에 있는 가스가 상부로 흐르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이는 종래 널리 알려진 것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중간차단밸브(40)의 하부에는 분기티(1)의 상부에 설치된 덮개 마운트(9)에 결합되는 밸브아답타(45)가 구성되어 있다.
태핑 아답타(50)는 중간차단밸브(40)와 태핑머신(10)의 사이에 설치되며 내부의 가스를 배출시키는 퍼지 밸브(purge valve)(51)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가스누출사고시의 신속 막음 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종래와 같이 덮개 마운트(9)가 결합(용접)된 분기티(1)를 메인관(2)과 분기관(3)사이에 용접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티(1)의 덮개 마운트(9)의 상부에 밸브 아답타(45)와 태핑 아답타(50)가 결합된 중간차단밸브(40)를 설치하고, 이어서 작동축(11)의 하단 결합수단에 홀쑈(hole saw, 미도시)가 결합된 태핑머신(10)을 설치한다.
중간차단밸브(40)를 개방한 상태에서 태핑머신(10)의 회전원통(13)을 돌려 회전원통(13) 및 작동축(11)을 하향이동시키고 작동축(11) 하단의 홀쑈가 메인관(2)에 접촉하면 작동축(11) 상단의 사각끼움부(11a)에 렌치 등의 공구를 결합하여 작동축(11)을 회전시키면서 손으로 회전원통(13)도 회전시킨다. 이 때 작동축(11)은 회전원통(13)의 회전에 의한 하향이동과 렌치의 회전에 의한 회전을 동시에 하고 작동축(11)의 하단에 결합된 홀쑈에 의하여 메인관(2)을 천공한다.
메인관(2)이 천공되면 메인관(2)의 가스가 분기관(3)으로 흘려 분기관(3)을 통하여 각 가정에 가스가 공급된다.
정상적으로 메인관(2)이 천공된 경우에는 회전원통(13)을 반대로 돌려 작동축(11)을 상향 이동시켜 그 하단이 중간차단밸브(40)의 위까지 올라오게 하고 중간차단밸브(40)를 차단시킨다. 그리고 태핑머신(10)을 태핑 아답타(50)로부터 제거하여 작동축(11) 하단의 홀쇼를 막음볼트(미도시)로 교체하고 다시 태핑머신(10)을 태핑 아답타(50)에 설치한다. 다시 중간차단밸브(40)를 개방하고 회전원통(13)을 회전시켜 작동축(11)을 하향이동시키고 렌치에 의해 작동축(11)을 회전시켜 막음볼트를 덮개 마운트(9)의 내부에 체결한다. 이 상태에서는 가스의 누출이 없으므로 태핑머신(10) 및 중간차단밸브(40)를 동시에 제거하고 덮개 마운트(9)의 외부에 덮개(미도시)를 체결하여 완전히 가스의 누출을 차단한다.
그러나 착오에 의하여 가정용 메인관을 천공하지 않고 압력이 높은 산업용 메인관(2)을 천공한 경우에는 즉시 가스의 흐름을 차단하여야 2차적인 대형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인관(2)의 천공이 잘못된 것을 감지한 경우에는 천공 즉시 작동축(11)을 상향으로 이동시키고 중간차단밸브(40)를 폐쇄한 상태에서 태핑머신(10)을 제거하고 홀쑈대신 본 고안의 막개(20)를 작동축(11)의 하단에 결합한다. 다시 태핑머신(10)을 태핑 아답타(50)에 결합하여 중간차단밸브(40)를 개방하여 회전원통(13)을 돌리면서 작동축(11)을 하향 이동시킨다. 그러면 마개(20) 및 O링(30)이 분기티(1)의 유입부(1a)의 내부에 끼워진다. 손으로 회전원통(13)을 돌리는 것이 힘이 드는 경우에는 렌치를 이용하여 작동축(11)을 회전시키면서 동시에 회전원통(13)을 회전시키면 보다 용이하게 마개(20) 및 O링(30)을 유입부(1a)의 내부에 견고하게 끼울 수 있다. O링(30)은 탄력을 갖고 있는 것이므로 가스를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인관(2)의 가스가 분기관(3)으로 흐르는 것을 긴급으로 차단한 후에는 분기관(3)을 분리하여 분기티(1)의 유출부(1b)를 폐쇄하고 중간차단밸브(40) 및 태핑머신(10)을 제거하여 분기티(1)의 덮개 마운트(9)의 내부에 막음볼트를 체결하고 외부에는 덮개를 체결하여 가스의 흐름을 차단한다.
본 고안의 가스누출사고시의 신속막음장치는 태핑머신(10)을 메인관의 천공작업뿐만 아니라 응급조치시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마개(20) 및 O링(30)은 구조가 간단하고 크기가 적어 휴대하기가 편리하다. 즉 메인관의 분기를 위한 천공작업시에는 항상 마개(20) 및 O링(30)을 휴대하도록 하여 긴급상황 발생시에 신속하게 대처하게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가스누출사고시의 신속 막음장치는 분기티를 이용하여 메인관과 분기관을 연결하는 작업중에 메인관의 선택을 잘못하여 가스누출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 즉시 분기작업자가 현장에서 메인관의 천공부분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폐쇄하여 가스누출로 인한 대형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스누출사고시의 신속 막음 장치의 일부 분해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스누출사고시의 신속 막음 장치의 결합상태 부분 절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스누출사고시의 신속 막음 장치의 결합상태 부분단면도,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스누출사고시의 신속 막음 장치의 구성요소인 막음부재의 정단면도,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스누출사고시의 신속 막음 장치의 구성요소인 막음부재의 평면도,
도 4c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스누출사고시의 신속 막음 장치의 구성요소인 막음부재의 측면도,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스누출사고시의 신속 막음 장치의 구성요소인 작동축의 부분 정면도,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스누출사고시의 신속 막음 장치의 구성요소인 작동축의 저면도,
도 6은 가스배관의 분기작업시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분기티의 일예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분기티를 이용하여 메인관과 분기관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연결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분기티 1a: 유입부
1b: 유출부 2 : 메인관
3: 분기관 5: 플랜지
6: 덮개판 9: 덮개 마운트
10: 태핑 머신 11: 작동축
11a: 사각끼움부 11b: 삽입공
11c: 회전가압홈 11d: 핀공
11e: 환형홈
12: 상부설치커버 13: 회전원통
14: 고정원통
20: 마개 21: 삽입축
22: 키이(key)부 25: 원통부
26: O링홈
30: O링 40: 중간차단밸브(샌드위치밸브)
45: 밸브 아답타
50: 태핑 아답타 51: 퍼지 밸브

Claims (2)

  1. 하단에 결합수단이 형성되어 있고 상하 이동 및 회전을 하도록 되어 있으며 수직으로 길게 뻗은 작동축(11)이 구성되어 있는 태핑머신(10),
    상부가 상기 태핑머신(10)의 작동축(11)의 결합수단과 결합하여 상하 이동 및 회전하도록 되어 있고 하부에 분기티 유입부(1a)의 내경보다 작은 원통부(2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원통부(25)의 외면에 O링홈(26)이 형성되어 있는 마개(20),
    그리고 상기 분기티의 유입부를 완전히 폐쇄하기 위하여 마개의 원통부 O링홈에 삽입되는 O링(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누출사고시의 신속 막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핑머신(10)의 하단에 형성된 결합수단은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삽입공(11b), 상기 삽입공(11b)을 횡방향으로 관통하는 핀공(11d), 상기 삽입공(11b)의 하부에 형성된 회전가압홈(11c), 그리고 핀공(11d)이 있는 외주면에는 핀의 끝단부를 안으로 들어가게 하기 위한 환형홈(11e)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축(11)을 상하 이동 및 회전을 하도록 하기 위하여, 작동축(11)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설치커버(12), 상기 상부설치커버(12)와 결합되어 있는 회전원통(13), 상기 회전원통(13)의 내면에 나사 결합되어 있으며 하단에 아답타(50)와 결합하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원통(14)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축(11)은 그 상단에 작동축을 회전시키는 공구가 결합되는 사각끼움부(11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마개(20)의 상부는 태핑머신(10)의 작동축(11)의 삽입공(11b)에 삽입되는 삽입축(21)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축(21)에는 작동축(11)의 핀공(11d)과 일직선으로 정렬되는 핀공(21a)이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축(21)의 하부에 태핑머신(10)의 작동축(11)의 회전가압홈(11c)에 결합되는 키(key)부(22)가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누출사고시의 신속 막음 장치.
KR20-2005-0007937U 2005-03-23 2005-03-23 가스누출사고시의 신속 막음 장치 KR2003874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937U KR200387485Y1 (ko) 2005-03-23 2005-03-23 가스누출사고시의 신속 막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937U KR200387485Y1 (ko) 2005-03-23 2005-03-23 가스누출사고시의 신속 막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7485Y1 true KR200387485Y1 (ko) 2005-06-20

Family

ID=43688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7937U KR200387485Y1 (ko) 2005-03-23 2005-03-23 가스누출사고시의 신속 막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748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173B1 (ko) 2006-07-25 2007-08-09 주식회사 경동도시가스 가스배관 연결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173B1 (ko) 2006-07-25 2007-08-09 주식회사 경동도시가스 가스배관 연결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86655B2 (en) Line stop adapter
KR200399091Y1 (ko) 배관 차단용 핏팅
US7063098B2 (en) Flush cartridge apparatus and method of use
US4598731A (en) Valve assembly for placement over a capped, stub-out which is under water pressure in a dwelling
US6546951B1 (en) Appliance safety hose
KR200387485Y1 (ko) 가스누출사고시의 신속 막음 장치
JP3682031B2 (ja) 配管分岐弁装置及びその分岐方法
US9856991B2 (en) Flush cap for a valve assembly
US7044149B2 (en) Pipe fitting
KR100748173B1 (ko) 가스배관 연결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장치
US5664626A (en) Mechanical plug device
KR101037733B1 (ko) 배관 작업용 플러깅 마감판
KR100237064B1 (ko) 배관의 분기방법
KR200157684Y1 (ko) 배관분기용 홀쑈
KR200232257Y1 (ko) 분기티의 플러그 마감장치
KR200330200Y1 (ko) 칩제거 겸용 플러깅머신
US20040011397A1 (en) In-line shut-off valve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KR200210495Y1 (ko) 배관의 분기장치
KR200232256Y1 (ko) 분기티의 플러그 마감장치
KR200163954Y1 (ko) 상부용접형 배관의 분기티
KR200157683Y1 (ko) 배관의 스톱플 피팅
KR200251631Y1 (ko) 관로 작업용 유체 차단장치
CA2662049C (en) Line stop adapter
KR200227722Y1 (ko) 압력배관 천공용 플랜지 및 원터치 플러그
JP2001304479A (ja) 耐震型サドル分水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