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7461Y1 -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 유화시스템의 잔재배출장치 - Google Patents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 유화시스템의 잔재배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87461Y1 KR200387461Y1 KR20-2005-0006520U KR20050006520U KR200387461Y1 KR 200387461 Y1 KR200387461 Y1 KR 200387461Y1 KR 20050006520 U KR20050006520 U KR 20050006520U KR 200387461 Y1 KR200387461 Y1 KR 20038746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sidue
- waste
- waste vinyl
- waste plastic
- plastic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1/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 C10G1/1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from rubber or rubber waste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7/00—Destructive distillation of solid carbonaceous materials with indirect heating, e.g. by external combustion
- C10B47/28—Other processes
- C10B47/32—Other processes in ovens with mechanical conveying means
- C10B47/44—Other processes in ovens with mechanical conveying means with conveyor-screws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53/00—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 C10B53/07—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of solid raw materials consisting of synthetic polymeric materials, e.g. tyr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 유화시스템의 잔재배출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파쇄기 및 분쇄기에서 파쇄 및 분쇄된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을 건조 압출용융기에서 용융하여서 열분해조에서 가열하여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에 크래킹 반응을 유도하는 데 있어, 열분해조 저면에 설치된 잔재배출기의 스크류로 용융된 폐 프라스틱 및 폐 비닐 용액에서 유류성분을 기화하고 남은 잔재 성분을 이송하여 배출하고, 잔재배출기를 이용하여 잔재를 이송하여 잔재냉각기에서 냉각하여 효율적으로 처리하므로 잔재성분의 처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고안에 관한 것이다. 즉, 종래에는 열분해조의 내부로 용융된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을 투입하여 지속적으로 열을 가하여 유류성분을 기화시키므로 잔재성분이 배출되지 않아서 주기적으로 잔재성분을 일일히 배출하므로 작업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반면에, 본 고안의 경우에는 잔재배출수단을 사용하여 지속적으로 잔재성분을 배출하여 유류성분 제조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작업성과 생산성이 증가하는 효과를 지닌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 유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쇄기 및 분쇄기에서 파쇄 및 분쇄된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을 건조 압출용융기에서 용융하여서 열분해조에서 가열하여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에 크래킹 반응을 유도하는 데 있어, 열분해조 저면에 설치된 잔재배출기의 스크류로 용융된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 용액에서 유류성분을 기화하고 남은 잔재 성분을 이송하여 배출하고, 잔재배출기를 이용하여 잔재를 이송하여 잔재냉각기에서 냉각하여 효율적으로 처리하므로 잔재를 처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 유화시스템의 잔재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유화학제품은, 1869년 미국의 하이 하트가 고안한 셀룰로이드로부터 시작되었는데, 이후로 페놀수지와 요소수지, 그리고 스틸렌수지, 초산비닐수지, 염화비닐수지,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등 순으로 고안되어져 왔다.
이러한 석유화학제품류는, 크게 열에 녹을 수 있는 열가소성수지와, 고온의 열에도 녹지 않는 열경화성수지 등으로 나뉘어진다.
그리고, 열경화성수지는, 원래의 재료 자체에는 분자량이 그다지 크지 않으며, 가열하면 연화하고, 마침내는 유동성을 나타내나 가열을 계속하면 간단한 분자가 떨어지면서 축합이 일어나 나중에는 고분자 화합물을 형성하게 되며, 이러한 고분자 화합물은, 삼차원 망상 구조를 형성하게 되며, 어떤 용매에도 녹지 않고 다시 가열해도 연화되지 않는다.
이에 반하여 열가소성수지는, 재료자체가 고분자 화합물로 되어 있으나, 그 구조가 일차원적인 쇄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가열하면 쉽게 연화하고 그 유동성을 일으키며 녹아 있을 때는 화학적 반응을 전혀 일으키지 않고 단지 물리적으로 녹아 있으며 이를 냉각하면 본래의 성질로 돌아가는 수지이다.
한편, 상기한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여 다양한 플라스틱제품을 제조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플라스틱제품을 사용한 후에는 폐기하여서 처분하거나 열분해를 이용하여 용융하여서 유화성분을 분리 추출하여 재생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방법이 이용되어지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 유화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먼저,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 유화시스템의 구성은, 이송라인(2)을 통하여 이송된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을 파쇄하고 분쇄하도록 하는 파쇄기 및 분쇄기(4)(6)와; 상기 분쇄기(6)에서 이송된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에 열을 가하여 용융하도록 하는 열분해조(10)와; 상기 열분해조(10)에서 용융된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 용융액에서 기화된 가스를 비중에 따라 분류하도록 하는 가스분류탑(12) 및 섬점조절탑(14)과; 분류된 유류성분을 냉각기로(16)로 냉각하고 유류저장탱크(20)로 이송하도록 걸러주도록 하는 유류여과기(18)로 이루어진다.
이하, 종래의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을 용융하여서 유화 제품을 제조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컨베이어 벨트 등으로 이루어진 이송라인(2)을 따라서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을 이송하여 파쇄기에서 1차적으로 파쇄하도록 하고, 재차 분쇄기(6)에서 일정한 크기로 분쇄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분쇄기(6)에서 일정한 크기로 분쇄되어진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을 열분해조(10)로 공급하여서 고온의 열로서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을 용융 상태로 만들어 크래킹 반응을 유도하여 유류성분을 전량 기화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열분해조(10)에서 기화된 유류성분은, 가스분류탑(12)에서 성분에 따라서 끓는점을 이용하여 분류하도록 하고, 계속하여 섬점조절탑(14)에서 진입된 유류성분을 뷴류시켜서 인화점 표준 규격을 보증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섬점조절탑(14)에서 이송된 유류성분을 냉각기(16)로 냉각하고, 유류여과기(18)에서 유류에 포함된 불순물을 걸러주도록 한 후, 최종적으로 유류저장탱크(20)에 보관하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열분해조(10)내에 용융된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을 공급하여 가열하고 유류성분을 기화하여 유제품을 얻은 후에, 열분해조(10)에 잔류된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의 잔류물질인 잔재성분을 열분해조(10) 내에 작업자가 진입하여서 삽 등의 작업도구를 이용하여 잔재를 제거하여야 후속공정을 진행하므로 잔재를 제거하는 작업이 번거롭고, 유류 제조 공정이 연속적으로 진행되지 못하므로 작업성 및 생산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을 지닌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파쇄기 및 분쇄기에서 파쇄 및 분쇄된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을 건조 압출용융기에서 용융하여서 열분해조에서 가열하여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에 크래킹 반응을 유도하는 데 있어, 열분해조 저면에 설치된 잔재배출기의 스크류로 용융된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용액에서 유류성분을 기화하고 남은 잔재 성분을 이송하여 배출하고, 잔재배출기를 이용하여 잔재를 이송하여 잔재냉각기에서 냉각하여 효율적으로 처리하므로 잔재를 처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은, 이송라인을 통하여 이송된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을 파쇄하고 분쇄하도록 하는 파쇄기 및 분쇄기와; 상기 분쇄기에서 이송된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에 열을 가하도록 하는 열분해조와; 상기 열분해조에서 용융된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에서 기화된 가스를 비중에 따라 분류하도록 하는 가스분류탑 및 섬점조절탑과; 상기 가스분류탑 및 섬점조절탑에서 분류된 유류성분을 냉각기로 냉각하고 유류저장탱크로 이송하도록 걸러주도록 하는 유류여과기로 이루어진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 유화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분쇄기에서 이송된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을 건조하면서 용융하도록 하는 건조 압출 용융기와; 상기 건조 압출 용융기에서 용융되어진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의 액체성분을 공급하도록 상기 열분해조의 상부 일측면에 형성되는 원료주입구와; 상기 원료주입구에서 공급되는 액체성분의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을 상기 열분해조의 저면에 설치된 원료이송관에서 이송하면서 유류성분을 기화시킴과 동시에 외부로 배출하여 수송하고 냉각하도록 하는 잔재배출수단으로 이루어진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 유화시스템의 잔재배출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잔재배출수단은, 상기 원료이송관의 내부에 설치되어져 액체 성분의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을 강제로 이송하여 기화되는 유류성분이 제거된 잔재를 배출하도록 하는 잔재배출기와; 상기 잔재배출기의 저면에서 배출된 잔재성분을 수송하도록 하는 잔재수송기와; 상기 잔재수송기에서 이송되는 잔재를 온도를 낮춰주기 위하여 냉각하도록 하는 잔재냉각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잔재배출기는, 상기 원료투입구로 공급된 용융된 폐플라스틱을 상기 원료이송관 내에서 선회하면서 골고루 교반하여 유류성분을 기화시키고 잔재성분을 수평으로 이송하도록 하는 교반스크류와; 상기 교반스크류의 축에 결합하여서 회전하도록 하는 구동부재와; 상기 원료이송관의 끝단부 저면에 형성되어 잔재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잔재배출구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원료튜입구는, 상기 교반스크류의 직경에 맞도록 타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잔재수송기는, 상기 원료이송관의 잔재배출구에 결합되어지고, 가스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태로 잔재성분을 수평으로 가이드하는 잔재이송관과; 상기 잔재이송관의 내부에서 잔재를 선회하여 이송하도록 하는 잔재이송스크류와; 상기 잔재이송스크류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도록 하는 구동부재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 유화시스템의 잔재배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 유화시스템의 잔재배출장치의 구성을 상세하게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도면을 측면에서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잔재배출수단을 상세하게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잔재배출수단을 측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잔재배출수단을 저면 외관사시도 이고, 도 8은 도 7을 "A"방향에서 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을 "B"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이송라인(30)을 통하여 이송된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을 파쇄하고 분쇄하도록 하는 파쇄기 및 분쇄기(32)(34)와; 상기 분쇄기(34)에서 이송된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에 열을 가하도록 하는 열분해조(38)와; 상기 열분해조(38)에서 용융된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에서 기화된 가스를 비중에 따라 분류하도록 하는 가스분류탑(42) 및 섬점조절탑(44)과; 상기 가스분류탑(42) 및 섬점조절탑(44)에서 분류된 유류성분을 냉각기로(46)로 냉각하고 유류저장탱크(49)로 이송하도록 걸러주도록 하는 유류여과기(48)로 이루어진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 유화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분쇄기(34)에서 이송된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을 건조하면서 용융하도록 하는 건조 압출 용융기(36)와; 상기 건조 압출 용융기(36)에서 용융되어진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의 액체성분을 공급하도록 상기 열분해조(38)의 상부 일측면에 형성되는 원료주입구(39)와; 상기 원료주입구(39)에서 공급되는 액체성분의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을 상기 열분해조(38)의 저면에 설치된 원료이송관(76)에서 이송하면서 유류성분을 기화시킴과 동시에 외부로 배출하여 수송하고 냉각하도록 하는 잔재배출수단(A)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잔재배출수단(A)은, 상기 원료이송관(76)의 내부에 설치되어져 액체 성분의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을 강제로 이송하여 기화되는 유류성분이 제거된 잔재를 배출하도록 하는 잔재배출기(70)와; 상기 잔재배출기(70)의 저면에서 배출된 잔재성분을 수송하도록 하는 잔재수송기(80)와; 상기 잔재수송기(80)에서 이송되는 잔재를 온도를 낮춰주기 위하여 냉각하도록 하는 잔재냉각기(9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잔재배출기(70)는, 상기 원료투입구(39)로 공급된 용융된 폐플라스틱을 상기 원료이송관(76) 내에서 선회하면서 골고루 교반하여 유류성분을 기화시키고 잔재성분을 수평으로 이송하도록 하는 교반스크류(78)와; 상기 교반스크류(78)의 축에 결합하여서 회전하도록 하는 구동부재(72)와; 상기 원료이송관(76)의 끝단부 저면에 형성되어 잔재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잔재배출구(79)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원료투입구(39)는, 상기 교반스크류(78)의 직경에 맞도록 타원형상으로 형성되어지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반스크류(78)의 직경에 맞게 낙하되어지도록 폭을 형성한다.
상기 잔재배출구(79)는, 잔재성분을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협소하여지게 포집하여 가이드하는 경사면부(79a)를 형성하고, 상기 경사면부(79a)의 하부에 연하여서 원통형상으로 잔재성분을 배출하여 주는 원통부(79b)를 형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잔재수송기(80)는, 상기 원료이송관(76)의 잔재배출구(79)에 결합되어지고, 가스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태로 잔재성분을 수평으로 가이드하는 잔재이송관(86)과; 상기 잔재이송관(86)의 내부에서 잔재를 선회하여 이송하도록 하는 잔재이송스크류(88)와; 상기 잔재이송스크류(88)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도록 하는 구동부재(82)로 구성된다.
상기 잔재배출기(70)의 구동부재(72)와 상기 잔재수송기(80)의 구동부재(82)는, 구동모터 혹은 엔진 등을 직접적으로 연결하거나 기어, 체인 혹은 벨트 등의 동력전달부재를 이용하여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폐 플라스틱의 잔재배출장치의 사용 상태를 살펴보게 되면,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을 이송라인(30)을 통하여 이송하여서 파쇄기(32)에서 1차적으로 파쇄하도록 하고, 재차 이송하여서 분쇄기(34)에서 일정량이 지속적으로 투입되게 적정 규격에 맞추어서 일정한 크기로 분쇄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분쇄기(34)에서 이송하는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 입자들은 건조 압출 용융기(36)로 유입되어서 일전량의 원료가 지속적으로 투입되면서 전반부에서 건조되어지고, 후반부에서 용융압출하여서 이송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건조 압출 용융기(36)에서 용융되어진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 용융액은, 열분해조(38)의 상부 일측면에 형성된 원료투입구(39)를 통하여 열분해조(38)의 저면에 설치된 원료이송관(76)내에 설치되어진 잔재배출수단(A)인 잔재배출기(70)의 교반스크류(78)에 떨어지게 되고, 구동부재(72)에 의하여 회전하는 교반스크류(78) 날개부에서 나선방향으로 선회하면서 전방으로 이송하게 된다.
이 때, 상기 교반스크류(78)에 의하여 교반되어지면서 전방으로 이송하는 용융된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은, 열분해조(38)의 고온의 열에 의하여 크래킹반응(Cracking Reaction)에 의하여 유류성분이 기화되어지면서 상기 열분해조(38)의 상측에 설치된 기상촉매반응기(40)로 증발되어져서 포집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교반스크류(78)의 전방 끝단부로 갈수록 유류성분이 기화하고 남은 잔재성분이 이송되어지면서 상기 원료이송관(76)의 전방 끝단부분에 형성된 잔재배출구(79)를 통하여 하부로 이송되어진다.
이 때, 상기 잔재배출구(79)를 통하여 배출되어진 잔재성분은, 4개의 평면부분이 일정 각도 서로 경사지게 결합되어진 경사면부(79a)를 따라서 이송되어져 모여진 후에 원형으로 형성되진 원통부(79b)로 배출되어진다.
상기 잔재배출구(79)의 경사면부(79a)는, 배출되는 잔재성분에 일정한 밀도를 형성하게 하여 지속적으로 깨끗하게 배출을 유도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만약, 잔재가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고 열분해조(38)의 내부에 잔시간 체류하게 되면, 일정시간 경과 후 적탄현상이 발생되고 부위별 적온현상을 초래하여 열분해조(38) 하부의 판재에 변형을 가져오게 되고 적탄으로 인한 단열현상, 열 불균형분포 등으로 인한 연료소비는 물론 생산성에 저하에 직결되는 문제를 가져오게 되므로 잔재배출구(79)에서 잔재성분의 배출을 효율적으로 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상기 잔재배출구(79)를 통하여 하부로 이송되어진 잔재성분은, 잔재수송기(80)의 구동부재(82)에 의하여 회전하는 잔재이송스크류(88)를 통하여 전방으로 서서히 열기를 식혀주면서 이송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잔재이송스크류(88)를 통하여 이송하는 잔재성분은, 잔재냉각기(90)로 이송하여서 잔재성분을 일정시간 저장 및 냉각시킨 후에 압출방식으로 잔재를 잔재저장고(미도시)에 배출하여 저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잔재수송기(80)와 잔재냉각기(90)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거나 내부에서 발생되는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긴밀하게 밀봉되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열분해조(38) 내부로 유입되는 용융된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을 잔재배출기(70)의 교반스크류(78)로 배출하고, 잔재이송관(86)의 잔재이송스크류(88)로 이송하여 잔재냉각기(90)에서 냉각한 후, 잔재저장소로 지속적으로 배출 및 이송하므로 잔재성분이 열분해조(38) 내에 남아 있지 않도록 하는 특징을 지닌다.
한편, 상기 기상촉매반응기(40)로 기화되어진 유류성분은, 2차 크래킹반응에 의하여 유류의 품질을 개선하고 일부의 성분중에서 물성을 변화시켜서 가스분류탑(42)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가스분리탑(42)으로 이동한 유류성분은, 기체, 휘발유, 경유 및 중유 등으로 분류하도록 하고, 가스분류탑(42)에서 분류된 유류성분을 섬점조절탑(44)으로 진입하여 유류성분을 인화점 기준으로 표준규격을 보증하기 위하여 특성을 조절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가스분류탑(42)에서 이동하는 기체성분과 섬점조절탑(44)에서 이동하는 유류성분을 3개의 냉각기(46)에서 각각의 온도차이점을 주어서 냉각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냉각기(46)는, 냉각탑(68)에서 냉기를 공급받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냉각기(46)를 이동하는 유류에서 유기분리기(50)로 가스성분을 분리하여 내고서 유류성분의 유류여과기(48)에서 이물질을 걸러주고, 유류저장탱크(49)에 보관하여 사용하거나 판매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유기분리기(50)에서 분리된 가스성분 중에서 다수의 잔유액여과기(54)에서 잡 성분을 최종적으로 걸러주도록 하고, 기체여과기(56)에서 다시 재차 여과를 수행하고 기체성분 중에서 산성기체를 촉매를 이용하여 제거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기체여과기(56)에서 이송되어져 온 가스성분의 기체를 습식가스저장탱크(58)에서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준 후 이송하여 압축기(60)에서 가스성분의 기체를 대략 5배정도로 압축하여 증압가스저장탱크(62)에서 저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기화기(64)에서 기화시키면서 상기 열분해조(38)에 설치된 연소기(66)에서 연소하여서 열분해조(38)의 열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 유화시스템의 잔재배출장치를 이용하게 되면, 파쇄기 및 분쇄기에서 파쇄 및 분쇄된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을 건조 압출용융기에서 용융하여서 열분해조에서 가열하여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에 크래킹 반응을 유도하는 데 있어, 열분해조 저면에 설치된 잔재배출기의 스크류로 용융된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용액에서 유류성분을 기화하고 남은 잔재 성분을 이송하여 배출하고, 잔재배출기를 이용하여 잔재를 이송하여 잔재냉각기에서 냉각하여 효율적으로 처리하므로 잔재성분의 처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고안이다.
즉, 종래에는 열분해조의 내부로 용융된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을 투입하여 지속적으로 열을 가하여 유류성분을 기화시키므로 잔재성분이 배출되지 않아서 주기적으로 잔재성분을 일일히 배출하므로 작업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반면에, 본 고안의 경우에는 잔재배출수단을 사용하여 지속적으로 잔재성분을 배출하여 유류성분 제조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작업성과 생산성이 증가하는 효과를 지닌다.
도 1은 종래의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 유화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 유화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 유화시스템의 잔재배출장치의 구성을 상세하게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도면을 측면에서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잔재배출수단을 상세하게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잔재배출수단을 측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잔재배출수단을 저면 외관사시도 이고,
도 8은 도 7을 "A"방향에서 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을 "B"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이송라인 32 : 파쇄기
34 : 분쇄기 36 : 건조 압출용융기
38 : 열분해조 40 : 기상 촉매반응기
42 : 가스분류탑 44 : 섬점조절탑
46 : 냉각기 48,52 : 유류여과기
49 : 유류저장탱크 50 : 유기분리기
54 : 잔유액여과기 56 : 기체여과기
58 : 습식가스 저장탱크 60 : 압축기
62 : 증압가스 저장탱크 70 : 잔재배출기
76 : 원료이송관 78 : 교반스크류
79 : 잔재배출구 80 : 잔재수송기
86 : 잔재이송관 88 : 잔재이송스크류
90 : 잔재냉각기 A : 잔재배출수단
Claims (5)
- 이송라인(30)을 통하여 이송된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을 파쇄하고 분쇄하도록 하는 파쇄기 및 분쇄기(32)(34)와; 상기 분쇄기(34)에서 이송된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에 열을 가하도록 하는 열분해조(38)와; 상기 열분해조(38)에서 용융된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에서 기화된 가스를 비중에 따라 분류하도록 하는 가스분류탑(42) 및 섬점조절탑(44)과; 상기 가스분류탑(42) 및 섬점조절탑(44)에서 분류된 유류성분을 냉각기로(46)로 냉각하고 유류저장탱크(49)로 이송하도록 걸러주도록 하는 유류여과기(48)로 이루어진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 유화시스템에 있어서,상기 분쇄기(34)에서 이송된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을 건조하면서 용융하도록 하는 건조 압출 용융기(36)와;상기 건조 압출 용융기(36)에서 용융되어진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의 액체성분을 공급하도록 상기 열분해조(38)의 상부 일측면에 형성되는 원료주입구(39)와;상기 원료주입구(39)에서 공급되는 액체성분의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을 상기 열분해조(38)의 저면에 설치된 원료이송관(76)에서 이송하면서 유류성분을 기화시킴과 동시에 외부로 배출하여 수송하고 냉각하도록 하는 잔재배출수단(A)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 유화시스템의 잔재배출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잔재배출수단(A)은, 상기 원료이송관(76)의 내부에 설치되어져 액체 성분의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을 강제로 이송하여 기화되는 유류성분이 제거된 잔재를 배출하도록 하는 잔재배출기(70)와; 상기 잔재배출기(70)의 저면에서 배출된 잔재성분을 이송하도록 하는 잔재수송기(80)와; 상기 잔재수송기(80)에서 이송되는 잔재를 온도를 낮춰주기 위하여 냉각하도록 하는 잔재냉각기(9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 유화시스템의 잔재배출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잔재배출기(70)는, 상기 원료투입구(39)로 공급된 용융된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을 상기 원료이송관(76)내에서 선회하면서 골고루 교반하여 유류성분을 기화시키고 잔재성분을 수평으로 이송하도록 하는 교반스크류(78)와; 상기 교반스크류(78)의 축에 결합하여서 회전하도록 하는 구동부재(72)와; 상기 원료이송관(76)의 끝단부 저면에 형성되어 잔재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잔재배출구(79)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 유화시스템의 잔재배출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튜입구(39)는, 상기 교반스크류(78)의 직경에 맞도록 타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 유화시스템의 잔재배출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잔재수송기(80)는, 상기 원료이송관(76)의 잔재배출구(79)에 결합되어지고, 가스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태로 잔재성분을 수평으로 가이드하는 잔재이송관(86)과; 상기 잔재이송관(86)의 내부에서 잔재를 선회하여 이송하도록 하는 잔재이송스크류(88)와; 상기 잔재이송스크류(88)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도록 하는 구동부재(8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 유화시스템의 잔재배출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06520U KR200387461Y1 (ko) | 2005-03-10 | 2005-03-10 |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 유화시스템의 잔재배출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06520U KR200387461Y1 (ko) | 2005-03-10 | 2005-03-10 |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 유화시스템의 잔재배출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20290A Division KR100512973B1 (ko) | 2005-03-10 | 2005-03-10 |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 유화시스템의 잔재배출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87461Y1 true KR200387461Y1 (ko) | 2005-06-17 |
Family
ID=43688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06520U KR200387461Y1 (ko) | 2005-03-10 | 2005-03-10 |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 유화시스템의 잔재배출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87461Y1 (ko) |
-
2005
- 2005-03-10 KR KR20-2005-0006520U patent/KR20038746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85373B1 (ko) | 폐합성 수지 재생 압출 성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지 재생 방법 | |
KR101448824B1 (ko) | 플라스틱 재료 재활용 방법 | |
KR101753105B1 (ko) | 재활용 폐기물 분쇄장치 | |
JP5980935B2 (ja) | プラスチック材料処理装置 | |
US20130119171A1 (en) | Plastic waste recycling apparatus and system | |
KR100982072B1 (ko) | 폐플라스틱과 슬러지를 합성한 고형연료 제조장치 | |
KR102505591B1 (ko) | 각 2개의 믹싱존과 환기구를 가지는 폐합성수지 재생 압출장치 | |
KR100512973B1 (ko) |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 유화시스템의 잔재배출장치 | |
KR100750647B1 (ko) | 폐플라스틱 처리용 용융로 및 이를 포함하는 폐플라스틱유화장치 | |
KR200387461Y1 (ko) |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 유화시스템의 잔재배출장치 | |
JP3583374B2 (ja) | 廃プラスチックのリサイクル設備 | |
KR101488150B1 (ko) | 폐스크랩을 이용한 재활용 수지칩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 |
KR20190115605A (ko) | 고주파히팅부를 구비한 이종수지 재생장치와 이를 이용한 재생방법 | |
CN112549355A (zh) | 一种高品质瓶片回收造粒再利用的生产装置及工艺 | |
KR19980033677A (ko) | 폐 타이어의 분쇄장치 | |
KR100997676B1 (ko) | 가스버너식 유화 및 구리회수기 | |
KR20210095327A (ko) | 폐플라스틱 처리용 용융장치 | |
KR100581066B1 (ko) |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 유화시스템의 가스 재활용장치 | |
JP3985868B2 (ja) | 廃プラスチック乾燥装置 | |
KR20090008925U (ko) | 폐기물을 이용한 고체연료 성형장치 | |
KR100813616B1 (ko) | 가연성폐기물을 이용한 고체연료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 |
KR200387462Y1 (ko) |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 유화시스템의 가스 재활용장치 | |
JP2004025734A (ja) | プラスチックの再生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 |
CN110733774A (zh) | 一种电子商务废料分类回收装置 | |
KR20050074666A (ko) | 폐 플라스틱 재생을 위한 압출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EXTG | Extingu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