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7133Y1 - 빗물저장시의 빗물여과필터장치 - Google Patents

빗물저장시의 빗물여과필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7133Y1
KR200387133Y1 KR20-2004-0032888U KR20040032888U KR200387133Y1 KR 200387133 Y1 KR200387133 Y1 KR 200387133Y1 KR 20040032888 U KR20040032888 U KR 20040032888U KR 200387133 Y1 KR200387133 Y1 KR 2003871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filter
water
filtration
filtration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28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남수
Original Assignee
한삼코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삼코라(주) filed Critical 한삼코라(주)
Priority to KR20-2004-00328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71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71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71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우천시 건물의 옥상 이나 건조물의 지붕면을 통하여 집수되는 빗물을 생활용수에 이용하기 위하여, 빗물저장탱크에 집수하는 과정에서의 빗물속의 부유물과 같은 불순물을 분리한후, 청정한 우수(雨水)만을 빗물저장탱크에 저장할수 있도록하려는 것이다.
건물의 지붕면 하단부에 집수관⑫을 설치하고 집수관⑫을 빗물여과필터외함①의 필터급수관②측에 연결하고 빗물여과필터외함①의 하단부의 필터출수관④측을 빗물저장탱크⑧에 연결하여, 지붕면을 통하여 빗물이 빗물여과필터③를 통과하면서 부유물등의 불순물은 필터 하단부의 드레인관⑤을 통하여 자동으로 배출되며, 불순물이 제거된 빗물은 필터하단부의 필터출수관④을 통하여 빗물저장탱크⑧에 저장되게 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빗물여과필터③는 스테인리스 재질로써 부식이나 노후로인한 교체가 필요치 않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수있어 매우 경제적이다.
이러한 빗물여과필터③를 사용하여 우천시 부유물등의 불순물이 제거된 깨끗한 빗물만을 저장하였다가, 필요시 생활용수로 유용하게 사용할수있기 때문에 빗물 활용도를 높이는 효과가있어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수있다.

Description

빗물저장시의 빗물여과필터장치{The rainwater filtration filter system when it stored in watertank.}
본 고안은 빗물저장시의 빗물여과필터장치에 관한것으로, 우천시 건물의 옥상 이나 건조물의 지붕면을 통하여 집수되는 빗물을 생활용수에 이용하기 위하여, 빗물저장탱크에 집수하는 과정에서의 빗물속의 부유물과 같은 불순물을 분리한후, 청정한 우수만을 빗물저장탱크에 저장할수 있도록하려는 것이다.
빗물은 전통적인 수자원으로 오래전부터 사용되어졌으며, 현재도 상수도가 보급되지 못한 산간 도서벽지에서는 아직도 빗물을 집수하여 활용하고있는 실정이며, 최근 수자원의 부족으로 인한 새로운 수자원확보의 필요성이 매우 높아지고 있으며 빗물을 활용하는 운동과 행정적으로 이를 법제화하는 추세이다.
빗물 관련 법률(대한민국 수도법 제11조 3항 : 2001년 9월시행)에서 지붕면적이 2,400㎡ 이상이고, 관람석수가 1,400석 이상으로 신축또는 증축 ·개축 ·재축하는 시설물에 빗물활용시설 설치를 법제화하고 있고, 이는 앞으로 점차 확대강화될 추세에 있다.
과거의 빗물활용을 위하여 빗물저장시 건물 옥상이나 지붕면의 집수관을 통하여 곧바로 여과없이 빗물저장탱크에 저장하도록 구성되어있다. 빗물에는 여러가지 부유 물질이 함유되어있어, 이로 인해 저장수의 부패를 초래하게 됨으로써 장기간 보관이 어려워 빗물 활용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천시 건물의 옥상이나 건조물의 지붕면으로부터 집수되는 빗물을 빗물저장탱크에 저장하는 과정에 빗물여과필터③를 추가하여 먼지나 부유물을 분리하여 깨끗한 빗물만을 저장하여 사용함으로써, 장기간 보관시 빗물내 유기물질에의한 부패를 방지함으로써 생활용수로 활용할수있게 하였고, 내식성금속제 격자형필터⑦를 사용함으로써 장기간사용시 부식이나 노후로인한 유지비용이 추가로 발생하지 않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수있게한 빗물저장시 빗물여과필터 장치를 제작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건물의 옥상이나 건조물의 지붕면 하단부에 집수관⑫을 설치하고 집수관⑫을 빗물여과필터외함①의 필터급수관②측에 연결하고 빗물여과필터외함①의 하단부의 필터출수관④측을 빗물저장탱크⑧에 연결하여, 지붕면을 통하여 빗물이 격자형 금속제필터⑦를 구비한 빗물여과필터③를 통과하면서 부유물등의 불순물은 필터 하단부의 드레인관⑤을 통하여 자동으로 배출되며, 불순물이 제거된 빗물은 필터 하단부의 필터출수관④을 통하여 빗물저장탱크⑧에 저장되게 한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빗물저장시의 빗물여과필터장치 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도1의 내부 흐름도, 도3은 빗물여과필터의 내부구조및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4, 도5, 도6은 빗물분리필터의 활용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4에서처럼 건물의 옥상이나 건조물의 지붕면 하단에 집수관⑫을 설치하고 집수관⑫을 원통형의 빗물여과필터외함①측 필터급수관②에 연결하여 우수(雨水)유입시 강한 회전수류를 형성하며 내부의 빗물여과필터③를 통과하게되며, 빗물여과필터③에는 다수의 천공된 벽⑥으로 되어있으며, 그의 내부에는 미세한 격자 구조의 금속제필터⑦가 구성되어있어, 우수(雨水)유입시 격자형 금속제 필터⑦ 와 빗물여과필터③를 통과한 빗물은 필터출수관④을 통하여 빗물저장탱크⑧에 저수되게되며, 이때 빗물여과필터③를 통과하지 못한 부유물질과 같은 유기물질은 드레인관⑤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된다. 빗물저장탱크⑧에는 오버플로워관⑬을 설치하여 과잉유입시 오버플로우를 실시하며 탱크하단부에는 배수밸브및 청소밸브를 설치하여 필요시 사용할수있게 하였다.
또한 도5에서처럼 본 고안의 빗물여과필터③를 이용하여 강수량이 적어 우수(雨水)유행이 많지않거나 지붕면적이 적어 집수량이 적을경우 지하수나 방류수를 여과하여 저장하거나, 도6에서처럼 빗물여과필터③에 전자밸브⑪를 설치함으로써 빗물과 지하수나 방류수등을 순차적으로 여과하여 같이저장함으로써 물탱크에 항상 일정량을 저수할수있게하여 생활용수 공급에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설치할수있다.
본 고안의 빗물여과필터③와 금속제 격자형필터⑦는 스테인리스재질로 설계하여 부식이나 장기간 반복사용에 의해 노후로인한 필터 교체비용이 발생하지 않고, 분리가 가능하여 주기적으로 빗물여과필터외함①에서 분리하여 내부의 불순물을 손쉽게 제거하여 반복사용이 가능함으로써 매우 경제적인 고안이다.
본 고안의 빗물저장시의 빗물여과필터장치를 활용하여 우수나 지하수 혹은 방류수를 여과하여 저장탱크에 저장후 필요시 생활용수로 사용함으로써, 수자원부족에 대처할수있고, 한번설치로 유지보수에 추가비용이 발생하지 않아 빗물활용과 비용절감등에서 매우 획기적인 효과를 얻을수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빗물저장시의 빗물여과필터장치 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도1의 내부흐름도
도3은 빗물여과필터의 내부구조및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4는 빗물여과필터의 활용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5는 지하수나 방류수 이용시 유입관 도면
도6은 빗물과 지하수 또는 방류수 겸용 도면
(도면의 주요기호에대한 설명)
① 빗물여과필터 외함 ② 필터급수관 ③ 빗물여과필터 ④ 필터출수관 ⑤ 드레인관 ⑥ 필터내 천공부 ⑦ 격자형 금속제필터 ⑧ 빗물저장탱크 ⑨ 급수관 ⑩ 드레인파이프 ⑪ 전자밸브 ⑫ 집수관 ⑬ 오버플로워관

Claims (4)

  1. 건물의 옥상이나 건조물의 지붕면 하단부에 집수관⑫을 설치하고 집수관⑫을 빗물여과필터외함①의 필터급수관②측에 연결하고 빗물여과필터③의 하단부의 필터출수관④측을 빗물저장탱크⑧에 연결하여, 지붕면을 통하여 빗물이 격자형 금속제 필터⑦와 빗물여과필터③를 통과하면서 부유물등의 불순물은 필터 하단부의 드레인관⑤을 통하여 자동으로 배출되며, 불순물이 제거된 빗물은 필터하단부의 필터출수관④을 통하여 빗물저장탱크⑧에 저장되게 설치하는것을 특징으로하는 빗물저장시의 빗물여과필터장치.
  2. 청구항1항에 있어서 빗물여과필터외함①안에 내식성 스테인리스재질의 원통형 빗물여과필터③를 설치하며 내식성 금속재질의 원통형 필터벽면을 조밀하게 천공⑥하고 그의 내부에 미세한 격자형 금속제 필터⑦를 구비하여 우수(雨水)유입시 불순물을 분리하여 깨끗한 물만을 통과시키는것을 특징으로하는 빗물저장시의 빗물여과필터장치.
  3. 청구항2의 격자형 금속제필터⑦와 빗물여과필터③를 사용하여 지하수나 방류수를 여과하여 저장함으로써 저장탱크⑧에 일정량의 여과된 지하수나 방류수를 저장하여 사용할수도있는 빗물저장시의 빗물여과필터장치.
  4. 청구항3에 집수관⑫과 필터급수관②사이에 전자밸브⑪를 설치하여 집수면적이 적거나 강우량이 적어 탱크내 충분한 저수가 안될경우, 전자밸브⑪의 개폐로 지하수나 방류수를 급수하여 격자형 금속제 필터⑦와 빗물여과필터③를 통과하게하여 저수탱크⑧에 항상 일정량이 저수될 수 있게하는 것을 특징 으로하는 빗물저장시의 빗물여과필장치.
KR20-2004-0032888U 2004-11-19 2004-11-19 빗물저장시의 빗물여과필터장치 KR2003871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888U KR200387133Y1 (ko) 2004-11-19 2004-11-19 빗물저장시의 빗물여과필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888U KR200387133Y1 (ko) 2004-11-19 2004-11-19 빗물저장시의 빗물여과필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7133Y1 true KR200387133Y1 (ko) 2005-06-17

Family

ID=43688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2888U KR200387133Y1 (ko) 2004-11-19 2004-11-19 빗물저장시의 빗물여과필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7133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559B1 (ko) 2007-10-25 2008-02-04 주식회사 동인 카트리지 나선형 스크린을 포함하는 초기우수처리장치
KR100978230B1 (ko) * 2010-02-18 2010-08-26 이용수 조립식 우수 여과장치
KR101628966B1 (ko) 2015-04-28 2016-06-09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고효율 필터형 빗물 여과기
KR20160128093A (ko) 2015-04-28 2016-11-07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필터형 2단 빗물 여과기
KR20200049722A (ko) * 2020-04-20 2020-05-08 전상동 빗물 여과기 제조방법 및 그로써 제조된 빗물 여과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559B1 (ko) 2007-10-25 2008-02-04 주식회사 동인 카트리지 나선형 스크린을 포함하는 초기우수처리장치
KR100978230B1 (ko) * 2010-02-18 2010-08-26 이용수 조립식 우수 여과장치
KR101628966B1 (ko) 2015-04-28 2016-06-09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고효율 필터형 빗물 여과기
KR20160128093A (ko) 2015-04-28 2016-11-07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필터형 2단 빗물 여과기
KR20200049722A (ko) * 2020-04-20 2020-05-08 전상동 빗물 여과기 제조방법 및 그로써 제조된 빗물 여과기
KR102132156B1 (ko) * 2020-04-20 2020-07-09 주식회사 성환산업 빗물 여과기 제조방법 및 그로써 제조된 빗물 여과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3859B1 (ko) 초기우수 분리형 저류조
KR101226173B1 (ko) 순환형 빗물저장시스템
KR101703337B1 (ko) 초기 빗물 배제 및 여과장치
CN104674929B (zh) 雨水弃流装置
CN112973272A (zh) 雨水截污过滤系统及过滤方法
WO2016200140A1 (ko) 이물질이 함유된 초기빗물을 배제한 우수 집수장치
KR200387133Y1 (ko) 빗물저장시의 빗물여과필터장치
ATE433015T1 (de) Vorrichtung zum speichern und aufbereiten von regenwasser
KR20130011103A (ko) 빗물관리시설장치
CN105692948B (zh) 一种雨水过滤净化装置
CN210086349U (zh) 一种海绵城市雨水收集系统
CN202122876U (zh) 一种雨水回收利用系统
JP3673966B2 (ja) 初期雨水分離装置付き濾過沈殿装置及び連結型貯水槽
KR20140052597A (ko) 부표와 여과망이 구비된 빗물처리장치
EP0682153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Reinigen des Wassers in dem Zulauf zum Regenwasserspeicher
CN201056715Y (zh) 建筑物雨水回收过滤再利用装置
KR20100050279A (ko) 초기강우 여과장치
KR100617844B1 (ko) 우수용 집수장치
CN209429244U (zh) 一种市政用防堵塞排水管下水口结构
CN205391933U (zh) 一种雨水收集处理装置
KR100654624B1 (ko) 건물의 물받이 홈통용 빗물정화장치
KR102489745B1 (ko) 수직형 무동력 빗물 여과 장치
JP3162174U (ja) 雨水取水装置
JP3008135U (ja) トイレ用雨水供給装置
CN215562975U (zh) 雨水收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