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6831Y1 - 연결이 가능한 간격제 - Google Patents

연결이 가능한 간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6831Y1
KR200386831Y1 KR20-2005-0007581U KR20050007581U KR200386831Y1 KR 200386831 Y1 KR200386831 Y1 KR 200386831Y1 KR 20050007581 U KR20050007581 U KR 20050007581U KR 200386831 Y1 KR200386831 Y1 KR 2003868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r
coupling
cladding tube
tube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75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범연
신종덕
이인귀
Original Assignee
김범연
신종덕
이인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범연, 신종덕, 이인귀 filed Critical 김범연
Priority to KR20-2005-00075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68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68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68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21/00Anchoring-bolts for roof, floor in galleries or longwall working, or shaft-lining protection
    • E21D21/0093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홈으로 피복관을 삽입하여 간격제의 결합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용이하며, 삽입된 피복관을 철재밴드 등으로 밴딩처리하여 견고성이 뛰어나며, 몸체를 필요에 따라 여러개를 연결한 후 피복관을 삽입하여 더욱 안정되게 피복관의 배열을 유지시키므로 나중에 정착구(헤드나 웨찌)를 결합하기가 매우 용이한 연결이 가능한 간격제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간격제(100)는 내부에 중공(11)이 형성되고 외면 중앙부분은 수평(12)이고 양측으로 갈수록 경사진 경사면(13)을 갖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외면에 형성되며 외주면 둘레에 피복관(60)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삽입홈(20)과; 상기 몸체(10)의 한쪽 내부에 형성되고 내주면 양측에 체결홈(31)이 형성된 결합공(30)과; 상기 몸체(10)의 다른쪽에 외부로 돌출된 외주면 양측에 체결돌기(41)가 형성된 결합돌기(40);로 구성한다.

Description

연결이 가능한 간격제{Connection is possible spacer}
본 고안은 외주면으로 피복관이 삽입 결합되도록 하는 간격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몸체의 삽입공으로 다수의 피복관을 결합하여 결합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여러 개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삽입된 피복관을 밴딩처리하여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여 견고성이 뛰어난 연결이 가능한 간격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라운드앵커 공법을 이용한 시공순서는 착공기에 장착된 케이싱파이프(Steel casing pipe) 또는 롯드(Rod)를 사용하여 유압이나 공기압을 이용하여 회전이나 타격하면서 지반을 천공하게 된다.
그리고 지반을 천공한 케이싱파이프 내부로 선단에 앵커체가 삽입되고 PC강연선을 덮고(감싸고) 있는 피복관을 천공 외부로 약 1.5m~2m 정도 노출된 상태에서 케이싱파이프 내부로 주입재를 주입(Grouting)하고, 천공 외부로 주입재가 배출(Over Flow)되는 것을 확인한 후 1차 주입을 마치게 된다.
이와 같이 1차 주입 완료 후 지반에 삽입된 케이싱파이프를 외부로 인발(Pull-out)하면서 정착 지반의 안정을 위하여 가압마개를 천공 외부로 노출된 케이싱파이프에 덮은 후 2차 가압 주입을 실시하게 된다.
이때, 지반 상태가 안좋을 수록 이와 같은 2차 가압 주입(Grouting)을, 케이싱파이프을 외부로 인발할 때마다 반복 실시한 후 인발 및 주입을 완료한다.
상기 케이싱파이프은 외부로 인발될 때, 천공 내부에서 회전되면서 배출되기 때문에 케이싱파이프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앵커체가 주입재와 함께 회전되고 이때, 마찰계수가 발생되어 다수의 피복관들이 서로 꼬이는 꼬임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피복관이 서로 꼬인 상태로 주입재가 양생되면 강연선을 인장할 때 인장력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피복관의 배열 상태가 엉망으로 되어 나중에 피복관을 절단하고 PC강연선으로 정착구인 헤드를 체결시, 헤드구멍의 배열과 서로 차이가 있어 PC강연선의 배열을 다시 조정한 후에 헤드에 결합해야 하므로 헤드 결합이 번거럽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몸체의 외주면에 삽입홈과 서로 연결 가능하게 결합공과 결합돌기를 갖는 연결이 가능한 간격제로서, 외주면에 다수가 형성된 결합홈으로 피복관을 결합하여 결합작업이 용이하고, 케이싱파이프를 인발시나 PC강연선을 인장시 피복관이 유동되지 않아 정착구를 결합하기가 매우 용이한 연결이 가능한 간격제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몸체의 양측에 결합공과 결합돌기를 일체로 형성하여 다수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삽입홈에 결합된 다수의 피복관을 밴딩처리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연결이 가능한 간격제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2는 본 고안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의 도면중 부호 100은 본 고안의 간격제를 표시하고 있다.
상기 간격제(100)는 내부에 중공(11)이 형성되고 외면 중앙이 수평(12)이고 양측에 경사면(13)을 갖는 몸체(10)와, 외주면 둘레에 다수가 형성된 삽입홈(20)과, 몸체의 한쪽 내주면 양측에 체결홈이 형성된 결합홈(30)과, 다른쪽에 외부로 돌출되고 외주면 양측에 체결돌기(41)가 형성된 결합돌기(40)로 구성한다.
상기 몸체(10)는 내부에 관통되는 중공(11)을 형성하고, 외면은 중앙부분은 수평(12)을 유지하고 그 양측에는 앞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면(13)을 형성한다.
상기 몸체(10)는 수평(12)부분 중앙으로 ㄷ자형태의 밴딩홈(50)을 형성한다. 이는 후술하는 삽입홈(20)에 결합되는 피복관(60)을 철재밴드 등으로 밴딩처리하여 피복관(60)을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삽입홈(20)은 수평(12)부분과 경사면(13)의 끝단까지 관통하게 일자형으로 형성한다. 삽입홈(20)의 갯수는 6개가 일반적이나 8개를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삽입홈(20)은 하측이 반원형(20a)으로 형성되어 있고 원형의 피복관(60)이 내부에 수평(12)부분에서는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경사면(13) 부분부터 외부로 돌출되게 된다. 그리고 삽입홈(20)에 삽입된 다수의 피복관(60)들을 몸체(10)의 밴딩홈(50)으로 밴딩처리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결합공(30)은 첨부된 도면 도 3a와 같이 몸체(10)의 한쪽 내부에 중공(11)과 연결되게 형성되고, 그 구멍의 지름은 후술하는 결합돌기(40)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한다. 그리고 결합공(30)의 내주면 양측에는 ㄷ자형 체결홈(31)을 길게 형성한다.
상기 결합돌기(40)는 첨부된 도면 도 3b와 같이 몸체(10)의 다른쪽에 외부로 돌출된 외주면 양측에 ㄷ자형 체결돌기(41)를 형성한다. 그리고 결합돌기(40)의 내부에는 중공(11)과 동일한 구멍(40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간격제(100)는 첨부된 도면 도 4 내지 도 5와 같이 몸체(10)의 한쪽에 형성된 결합공(30)으로 몸체(10)의 다른쪽에 형성된 결합돌기(40)를 체결하여 여러개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결합공(30)의 체결홈(31)으로 결합돌기(40)의 체결돌기(41)를 삽입하면 보다 쉽고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지반을 천공한 케이싱파이프 내부로 PC강연선을 감싸고 있는 피복관(60)이 2개가 한조로 결합된 앵커체(혹은 내하체)가 보통 3개에서 4개를 다단으로 결합하여 천공으로 삽입하므로, 천공 외부로는 피복관(60)이 6~8개가 배출되게 된다.
이때, 앵커체와 앵커체 사이 간격이 약 2M~2.5M정도 되고, 앵커체에 결합되어 있는 피복관(60)의 중간지점에 첨부된 도면 도 6a와 같이 본 고안의 간격제(100)가 결합된다.
상기 간격제(100)의 결합은 몸체(10)의 수평(12)부분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삽입홈(20)으로 피복관(60)을 삽입한다. 그리고 피복관(60)이 삽입홈(20)에서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밴딩홈(50)에 철재밴드로 밴딩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간격제(100)는 앵커체와 앵커체의 사이 중간지점 마다 결합하여 피복관(60)이 수평을 유지하게 하고 꼬임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피복관(60)의 배열이 삐둘어지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첨부된 도면 도 6b와 같이 앵커체와 앵커체의 사이 간격이 긴 경우에는 몸체(10)의 한쪽에 형성된 결합공(30)으로 몸체(10)의 다른쪽에 형성된 결합돌기(40)를 체결하여 연결하고, 몸체(10)의 수평(12)부분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삽입홈(20)으로 피복관(60)을 삽입한다. 그리고 피복관(60)이 삽입홈(20)에서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밴딩홈(50)에 철재밴드으로 밴딩하여 고정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주입재를 1,2차 주입하면서 케이싱파이프을 인발하더라도 여러개의 피복관(60)이 간격제(100)에 결합 고정되어 있어 간격이 벌어지거나 피복관(60)의 결합 배열이 흐트러지지 않게 되므로, 인장후 정착구(헤드나 웨찌)를 결합하기가 용이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홈으로 피복관을 삽입하여 간격제의 결합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용이하며, 삽입된 피복관을 철재밴드 등으로 밴딩하여 고정하므로 피복관의 배열이 어긋나거나 꼬이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몸체를 필요에 따라 여러개를 결합한 후 피복관을 삽입하여 더욱 안정되고 피복관의 배열을 유지시키므로 나중에 정착구(헤드나 웨찌)를 결합하기가 매우 용이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a는 본 고안의 결합공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3b는 본 고안의 체결돌기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4~5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6a~6b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간격제 10: 몸체
11: 중공 12: 수평
13: 경사면
20: 삽입홈 30: 결합공
31: 체결홈 40: 결합돌기
41: 체결돌기 50: 밴딩홈

Claims (2)

  1.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외면 중앙부분은 수평이고 양측으로 갈수록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면에 형성되며 외주면 둘레에 피복관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삽입홈과;
    상기 몸체의 한쪽 내부에 형성되고 내주면 양측에 체결홈이 형성된 결합공과;
    상기 몸체의 다른쪽에 외부로 돌출된 외주면 양측에 체결돌기가 형성된 결합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이 가능한 간격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수평부분 중앙에 밴딩홈이 형성된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이 가능한 간격제.
KR20-2005-0007581U 2005-03-21 2005-03-21 연결이 가능한 간격제 KR2003868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581U KR200386831Y1 (ko) 2005-03-21 2005-03-21 연결이 가능한 간격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581U KR200386831Y1 (ko) 2005-03-21 2005-03-21 연결이 가능한 간격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6831Y1 true KR200386831Y1 (ko) 2005-06-16

Family

ID=43688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7581U KR200386831Y1 (ko) 2005-03-21 2005-03-21 연결이 가능한 간격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683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2517B1 (ko) 2009-09-07 2010-06-15 이인귀 천공 내부의 구조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회수코일
KR100997426B1 (ko) 2008-08-20 2010-11-30 김상수 지중앵커파일의 심재 접속용 고정구
KR101031838B1 (ko) 2008-08-20 2011-05-02 김상수 지중앵커파일용 심재의 접속 이음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7426B1 (ko) 2008-08-20 2010-11-30 김상수 지중앵커파일의 심재 접속용 고정구
KR101031838B1 (ko) 2008-08-20 2011-05-02 김상수 지중앵커파일용 심재의 접속 이음구조
KR100962517B1 (ko) 2009-09-07 2010-06-15 이인귀 천공 내부의 구조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회수코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6083954A3 (en) Microtaper needle and method of use
KR200386831Y1 (ko) 연결이 가능한 간격제
GB0313880D0 (en) Rope terminator
FI111802B (fi) Sutuura-ankkuri
KR100881351B1 (ko) 이탈 방지구조로 이루어진 확관단부를 갖는 관
KR102023086B1 (ko) 끝단압축 인장형 영구앵커
KR100479358B1 (ko) 지반 안정화용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지반 안정화공법
KR20110006604A (ko) 분사노즐이 부착된 스페이서
JP5638933B2 (ja) グラウンドアンカー用先端キャップおよびグラウンドアンカー
KR101277730B1 (ko) 앵커용 일체형 정착체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KR200351733Y1 (ko) 압축형 앵커
KR20140049729A (ko) 강연선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
JP5336211B2 (ja) 架空ケーブル防護管
KR200454729Y1 (ko) 어스 앵커의 강연선 고정구
KR20200030248A (ko) 그라운드 앵커
KR100962517B1 (ko) 천공 내부의 구조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회수코일
KR200221743Y1 (ko) 김 양식용 어망 지지대
KR100717252B1 (ko) 어스앵커의 시공방법 및 장치
KR101230174B1 (ko) 제거식 앵커
RU2014152887A (ru) Трубный фитинг
US20110094042A1 (en) Wire guider and a drill using the same
KR20030052233A (ko) 인장재 중심선을 이용한 인장재 제거식 앵커
KR101368055B1 (ko) 그라운드 앵커
KR200229811Y1 (ko) 건축물 외벽 차단막의 결속 고정부재
JP3175418U (ja) ワイヤーアンカ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