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6639Y1 - 김치냉장고용 흡입측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김치냉장고용 흡입측 열교환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86639Y1 KR200386639Y1 KR20-2005-0006890U KR20050006890U KR200386639Y1 KR 200386639 Y1 KR200386639 Y1 KR 200386639Y1 KR 20050006890 U KR20050006890 U KR 20050006890U KR 200386639 Y1 KR200386639 Y1 KR 20038663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ube
- suction
- heat exchanger
- capillary tube
- kimchi refrigerato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6—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mounting refrigerating machinery compon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7—Capillary tub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05—Compression system with heat exchange between particular parts of the system
- F25B2400/052—Compression system with heat exchange between particular parts of the system between the capillary tube and another part of the refrigeration cy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김치냉장고용 흡입측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저장용기를 수용할 수 있는 저장실을 형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벽용 인너케이스가 설치된 김치냉장고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인너케이스의 외주에 설치된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로부터 유입되는 기체냉매를 고온고압상태로 압축시켜주는 압축기를 연결하기 위한 흡입관과, 응축기로부터 유입되는 포화액체냉매를 저온저압상태로 팽창시켜주는 모세관간의 일부구간에 대한 소정의 밀착구조에 의해 상기 흡입관과 모세관이 상호 표면 접촉할 수 있도록 된 독립적 구조의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모세관은 상기 흡입관과의 열교환 접촉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상기 흡입관의 외주면상에 코일형태로 권취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의 열교환기에 의하면, 흡입관과 모세관간을 밀착시키기 위해 적용되던 기존의 납땜 용접방식을 대체하여 상기 흡입관의 외주에 모세관을 코일형태로 권취하고 수축필름을 씌워 밀착시키는 새로운 고정방식을 적용함으로써 환경오염을 예방함과 아울러 작업환경 개선 및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고, 그 접촉면적을 극대화하여 열교환 효율 및 냉매 절감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김치냉장고용 흡입측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흡입관과 모세관간을 용접이 아닌 새로운 고정방식으로 밀착시킴으로써 환경오염을 예방함과 아울러 작업환경 개선 및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고, 그 접촉면적을 극대화하여 열교환 효율 및 냉매 절감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김치냉장고용 흡입측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김치냉장고를 포함한 일반적인 냉동장치는, 저온저압의 기체냉매를 고온고압의 기체냉매로 변화시키는 압축기와, 이 압축기에서 변화된 고온고압의 기체냉매를 상온고압의 액체냉매로 변화시키는 응축기와, 이 응축기를 거친 상온고압의 액체냉매를 제습하기 위한 드라이어와, 이 드라이어를 거쳐 제습된 상온고압의 액체냉매를 저온저압의 액체냉매로 변화시키는 팽창기와, 이 팽창기에서 변화된 저온저압의 액체냉매를 기체상태로 변화시키면서 외부의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압축기가 가동됨에 따라 방열 및 흡열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응축과정 및 증발과정을 통해 가열 및 냉각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기기의 내부에는 각 구성부품 간을 연결하는 배관을 통해 순환하며 열교환을 수행하기 위한 냉매가 충전되어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냉동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열을 흡수하여 주변을 냉각시켜주는 증발기를 통과하면서 저온저압의 상태로 변화된 기체냉매가 상기 압축기 내부로 흡입되어 압축됨으로써 고온고압의 기체냉매로 변화되고, 상기 압축기는 이 고온고압의 기체냉매를 상기 응축기로 토출시켜주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응축기 내부로 유입된 고온고압의 기체냉매는 주변의 물 또는 공기와 열교환을 하여 냉각됨으로써 상온 이상의 고압 포화액체냉매로 변화된 후 상기 모세관으로 유입되고, 고압의 액체냉매는 상기 모세관의 저항에 의해 압력이 저하되어 저온저압의 액체냉매로 변화된 후, 다시 상기 증발기로 유입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압축기와 증발기 사이를 연결하는 배관을 일반적으로 흡입관이라 한다. 상기 흡입관은 상기 증발기의 증발관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압축기로 복귀하는 냉매를 안내하는 관으로서, 상기 모세관의 일부 구간과 용접 등의 방식으로 표면 접촉하여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흡입관과 모세관이 용착된 부위를 독립적으로 제작하여 열교환기를 구성한다.
도 4에 도시된 구조는 종래 기술에 따른 김치냉장고용 흡입측 열교환기(E)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5는 도 4의 C부에 대한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상기한 종래의 김치냉장고용 흡입측 열교환기(E)는,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직경의 흡입관(142)이 '영문자 E'의 형태로 절곡되어 서로 연통된 구조를 이루고, 상기 흡입관(142)의 외주에는 흡입관(142)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세한 관경을 가지며 '영문자 U'의 형상으로 절곡된 한 쌍의 모세관(131)이 상기 흡입관(142)의 관 방향을 따라 각각 연속적으로 용착된 구조로 되어있다.
도면에 기재된 부호 중 131a 및 131c는 상기 모세관(131)의 모세관 분기단부 및 증발관 연결단부를 각각 나타낸 것이고, 142a 및 142b는 증발관 연결단부 및 압축기 연결단부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한 쌍의 모세관(131)에 있어서, 중앙쪽으로 인출된 한 쌍의 상기 모세관 분기단부(131a)는 솔레노이드밸브(미도시)에 의해 단일 모세관(131)으로 통합되어 상기 응축기의 응축관 후단과 연결되고, 양쪽으로 각각 인출된 한 쌍의 상기 증발관 연결단부(131c)는 김치냉장고의 저장실을 형성하는 한 쌍의 인너케이스(미도시) 외측 둘레에 각각 설치된 상기 증발기의 각 증발관 선단과 각각 연결된다.
또한, 상기 흡입관(142)에 있어서, 양쪽으로 각각 인출된 한 쌍의 상기 증발관 연결단부(142a)는 상기 한 쌍의 인너케이스 외측 둘레에 각각 설치된 상기 증발기의 각 증발관 후단과 각각 연결되고, 중앙쪽으로 인출된 상기 압축기 연결단부(142b)는 이로부터 연장된 흡입관에 의해 상기 압축기의 인입구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열교환기(E)를 통한 냉매의 흐름은, 중앙에서 분기된 한 쌍의 모세관 분기단부(131a)를 통해 냉매가 각각 분류되어 양쪽의 각 증발관 연결단부(131c)를 통해 각 인너케이스 외측 둘레의 증발관으로 각각 유입되고, 상기 각 증발관으로부터 배출된 냉매가 상기 양쪽의 각 증발관 연결단부(142a)를 통해 각각 유입되어 단일 통로로 합류된 후 상기 압축기 연결단부(142b)를 통해 배출되며, 그 냉매가 상기 압축기로 강제 유입되는 것이다.
한편, 종전의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관(142)과 모세관(131) 간의 밀착된 접촉 표면인 열교환부(50)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땜납(51)을 사용하여 그 접촉부위를 용접하는 방식이 일반적으로 이루어져왔다.
따라서, 상기 흡입관(142)과 모세관(131) 간의 접촉면적에 해당하는 열교환부(50)를 크게 하기 위해서는 그 흡입관 절곡부 길이(d2)가 길어질 수밖에 없다. 이는 상기한 종래의 김치냉장고용 흡입측 열교환기(E)에 있어서, 그 열교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흡입관(142)과 모세관(131) 간의 접촉면적이 넓어져야 하므로 가급적 긴 구간에 대해 미세한 등 간격을 유지하며 그 무수히 많은 각 접촉지점마다 일일이 납땜 점용접(Spot Welding) 작업을 수행할 수밖에 없음을 의미한다.
결국, 이러한 납땜 용접작업으로 인한 공정 자체의 번거로움은 물론, 이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어 제품의 생산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장기간 사용할 경우에 용접부위가 이격됨으로 인하여 제품 불량률은 높아지고 열교환 효율은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열교환 성능 향상을 위하여 상기 열교환기(E)의 흡입관 절곡부 길이(d2)가 길어져야하므로 제품의 크기가 커질 수밖에 없고, 이에 따른 자재의 과다 소모로 인하여 제품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최근에는, 웰빙(Well-being) 문화의 일환으로서 인간의 건강과 자연에 대한 친환경 개념을 기반으로 한 '에코프로젝트(Eco Project)'가 산업전반에 걸쳐서 확산되고 있다. 상기 에코프로젝트는, 제품의 품질과 실용성을 기초로 자연환경과 가장 잘 조화를 이루는 제품 소재와 구조 등의 개발 및 설계를 통해 인간과 자연이 함께 건강하게 살아갈 수 있는 세상을 만들자는 취지로 기획된 것으로서, 환경유해물질을 완전제거 또는 저감시킬 수 있는 각종 산업활동을 포함한다.
특히, 납(Pb)은 환경오염 규제대상물질 중의 하나로서 인체 및 생태계에 매우 유해한 영향을 미치므로 각종 공산품의 생산에 있어서 이의 사용이 금지된 상태이나, 최근까지도 이러한 납을 사용함으로 인하여 작업자의 납중독 위험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자연환경을 오염시키게 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최근의 친환경 산업성향에 역행하는 것으로 납땜 용접작업을 대체할 수 있는 구조의 냉동장치용 열교환기를 제작하여야 할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며, 현재 시급한 해결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기존의 흡입관과 모세관간의 용착 고정방식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고정구조를 구현함으로써 작업이 수월하여 단시간 내에 다량생산이 가능하면서도 흡입관과 모세관간 접촉면적을 극대화하여 열교환 효율 및 냉매 절감효과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김치냉장고용 흡입측 열교환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흡입관에 모세관을 밀착 고정함에 있어서 용접 작업을 완전 배제함으로써 땜납의 유독성에 의해 자연환경의 오염과 작업자의 납중독 위험성 등에 대하여 보다 안정적인 작업환경을 구현하고, 크기 및 투입자재를 최소화하여 생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으면서도 제품 수명을 현저히 연장시킬 수 있도록 된 김치냉장고용 흡입측 열교환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김치냉장고용 흡입측 열교환기는, 복수의 저장용기를 수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실을 형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내벽용 인너케이스가 설치된 김치냉장고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인너케이스의 외주에 설치된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로부터 유입되는 기체냉매를 고온고압상태로 압축시켜주는 압축기를 연결하기 위한 흡입관과, 응축기로부터 유입되는 포화액체냉매를 저온저압상태로 팽창시켜주는 모세관간의 일부구간에 대한 소정의 밀착구조에 의해 상기 흡입관과 모세관이 상호 표면 접촉할 수 있도록 된 독립적 구조의 김치냉장고용 흡입측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모세관은 상기 흡입관과의 열교환 접촉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상기 흡입관의 외주면상에 코일형태로 권취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세관의 권취부 외측에는 수축필름이 씌워져 밀착 고정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김치냉장고용 흡입측 열교환기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b는 김치냉장고용 흡입측 열교환기(E)의 구조 및 설치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김치냉장고용 흡입측 열교환기(E)의 냉동사이클 내 설치 상태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적인 저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김치냉장고용 흡입측 열교환기(E)의 사시도, 도 3a는 도 2의 A부 부분확대 단면도, 도 3b는 도 2의 B부 부분확대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김치냉장고용 흡입측 열교환기(E)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저장용기를 수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실을 형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내벽용 인너케이스(1)가 설치된 김치냉장고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인너케이스(1)의 외주에 설치된 증발기(40)와 상기 증발기(40)로부터 유입되는 기체냉매를 고온고압상태로 압축시켜주는 압축기(10)를 연결하기 위한 흡입관(42)과, 응축기(20)로부터 유입되는 포화액체냉매를 저온저압상태로 팽창시켜주는 팽창기(30)의 모세관(31) 일부구간에 대한 소정의 밀착구조에 의해 상기 흡입관(42)과 모세관(31)이 상호 표면 접촉할 수 있도록 된 독립적 구조를 이루되, 상기 모세관(31)이 상기 흡입관(42)과의 열교환 접촉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상기 흡입관(42)의 외주면상에 코일형태로 권취되어 고정된 구조를 이룬다.
상기 모세관(31)의 권취부(31b)의 외측에는, 도 2의 사시도 및 상기 도 2의 A부에 대한 도 3a의 부분확대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축필름(52)이 씌워져 밀착 고정된다. 또는, 도 2의 사시도 및 상기 도 2의 B부에 대한 도 3b의 부분확대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관(42)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모세관(31)을 인접시켜 배열한 후 그 외측에 수축필름(52)을 씌워 밀착 고정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김치냉장고용 흡입측 열교환기(E)는, 종래의 구조와 같이, 소정 직경의 흡입관(42)이 '영문자 E'의 형태로 절곡되어 서로 연통된 구조를 이루고, 상기 흡입관(42)의 외주에는 흡입관(42)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세한 관경을 가지며 '영문자 U'의 형상으로 절곡된 한 쌍의 모세관(31)이 상기 흡입관(42)의 관 방향을 따라 각각 연속적으로 밀착 고정된 구조로 되어있다. 다만, 상기 모세관(31)의 일부가 상기의 권취부(31b)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권취부(31b)에 의한 흡입관(42)과의 접촉면적의 확대로 인하여 기존의 흡입관 절곡부 길이(d2)에 비해 현저히 짧은 흡입관 절곡부 길이(d1)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열교환기(E) 전체의 크기를 축소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 기재된 부호 중 31a 및 31c는 상기 모세관(31)의 모세관 분기단부 및 증발관 연결단부를 각각 나타낸 것이고, 42a 및 42b는 증발관 연결단부 및 압축기 연결단부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한 쌍의 모세관(31)에 있어서, 중앙쪽으로 인출된 한 쌍의 상기 모세관 분기단부(31a)는 솔레노이드밸브(60)에 의해 상기 팽창기(30)의 단일 모세관(31)으로 통합되어 상기 응축기(20)의 응축관(21) 후단과 연결되고, 양쪽으로 각각 인출된 한 쌍의 상기 증발관 연결단부(31c)는 김치냉장고의 저장실을 형성하는 한 쌍의 인너케이스(1) 외측 둘레에 각각 설치된 상기 증발기(40)의 각 증발관(41) 선단과 각각 연결된다.
또한, 상기 흡입관(42)에 있어서, 양쪽으로 각각 인출된 한 쌍의 상기 증발관 연결단부(42a)는 상기 한 쌍의 인너케이스(1) 외측 둘레에 각각 설치된 상기 증발기(40)의 각 증발관(41) 후단과 각각 연결되고, 중앙쪽으로 인출된 상기 압축기 연결단부(42b)는 이로부터 연장된 흡입관(42)에 의해 상기 압축기(10)의 인입구와 연결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열교환기(E)를 통한 냉매의 흐름은, 중앙에서 분기된 한 쌍의 모세관 분기단부(31a)를 통해 냉매가 각각 분류되어 상기 권취부(31b)를 따라 흐르면서 상기 흡입관(42)과의 충분한 열교환을 이룬 후 양쪽의 각 증발관 연결단부(31c)를 통해 각 인너케이스(1) 외측 둘레의 증발관(41)으로 각각 유입되고, 상기 각 증발관(41)으로부터 배출된 냉매가 상기 양쪽의 각 증발관 연결단부(42a)를 통해 각각 유입되어 단일 통로로 합류된 후 상기 압축기 연결단부(42b)를 통해 배출되며, 그 냉매가 상기 압축기(10)로 강제 유입되는 것이다.
참고적으로, 본 고안의 흡입측 열교환기(E)가 적용되는 김치냉장고의 냉매순환 사이클을 상기 도 1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냉매순환 사이클은 일반 냉동장치의 경우와 유사하다. 즉, 저온저압의 기체냉매를 고온고압의 기체냉매로 변화시키는 압축기(10)와, 이 압축기(10)에서 변화된 고온고압의 기체냉매를 상온고압의 액체냉매로 변화시키는 응축기(20)와, 이 응축기(20)를 거친 상온고압의 액체냉매를 제습하기 위한 드라이어(25)와, 이 드라이어(25)를 거쳐 제습된 상온고압의 액체냉매를 저온저압의 액체냉매로 변화시키는 팽창기(30)와, 이 팽창기(30)에서 변화된 저온저압의 액체냉매를 기체상태로 변화시키면서 외부의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4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압축기(10)가 가동됨에 따라 방열 및 흡열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응축과정 및 증발과정을 통해 가열 및 냉각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응축기(20)는 상기 압축기(10)로부터 토출되는 고온고압의 기체냉매를 상온고압의 액체냉매로 변화시키는 다중 절곡된 응축관(21)을 갖는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상하좌우로 연속 절곡된 상태를 이루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상기 팽창기(30)는 가정용 냉장고나 실내 온도조절장치 또는 소규모 냉동시설에 적합한 모세관(31)을 주로 사용하며, 길이가 길고 지름이 작은 관으로서, 상기 모세관(31)을 지나는 동안 냉매의 흐름을 감소시킴으로써 압력을 저하시켜 주게 된다. 즉, 상기 모세관(31)은 압축기(10)가 작동되는 동안 증발기(40)에서 기화하는 양을 충당할 수 있는 정도에 해당하는 알맞은 양의 액체냉매를 통과시킴으로써 냉매량을 조절하게 되고, 고압의 액체냉매를 증발 압력으로 저하시켜 모세관(31)의 끝 부분에 이르렀을 때 냉매의 10∼20% 정도에 해당하는 양이 기화하게 된다.
아울러, 이러한 냉매순환 사이클을 이루는 본 고안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작동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열을 흡수하여 주변을 냉각시켜주는 증발기(40)를 통과하면서 저온저압의 상태로 변화된 기체냉매가 상기 압축기(10) 내부로 흡입되어 압축됨으로써 고온고압의 기체냉매로 변화되고, 상기 압축기(10)는 이 고온고압의 기체냉매를 상기 응축기(20)로 토출시켜주게 된다. 상기 응축기(20)는 주위온도가 상온인 상태에서 약 35∼38℃의 온도분포를 이루게 되며, 이 온도분포에 의한 상기 응축기(20) 내의 냉매 압력은 약 7∼9기압이 된다. 계속해서, 상기 응축기(20) 내부로 유입된 고온고압의 기체냉매는 주변의 물 또는 공기와 열교환을 하여 냉각됨으로써 상온 이상의 고압 포화액체냉매로 변화된 후 상기 모세관(31)으로 유입되고, 고압의 액체냉매는 상기 모세관(31)의 저항에 의해 압력이 저하되어 저온저압의 액체냉매로 변화된 후, 다시 상기 증발기(40)로 유입되는 것이다.
실제로, 상기 응축기(20)를 통해 팽창기(30)로 유입되는 액체냉매의 일부는 상기 팽창기(30)의 감압작용에 의해 증기화하여 기체와 액체가 혼합된 습증기의 형태를 유지하게 된 후 상기 증발기(40)로 유입되며, 상기 증발기(40)로 유입된 저온저압의 냉매는 주변 온도에 비해 저온 상태를 유지함으로 주변 열을 흡수하면서 활발한 증발이 이루어져 냉각작용을 수행하게 되고, 이 증발기(40)를 경유하게 되면 다소 과열된 포화증기로 변화한다.
더욱이, 본 고안에 따른 열교환기(E)는, 특히 소형 냉동장치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컴팩트한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주로 적용되는 김치냉장고는 물론이고, 냉·온 정수기, 쇼케이스, 일반냉장고 또는 쌀 냉장고 등 각종 냉동장치에 폭넓게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김치냉장고용 흡입측 열교환기에 의하면, 기존의 납땜 용접공정을 대체하여 흡입관(42)의 외주에 모세관(31)을 권취한 후 수축필름(52)을 씌워 고정하는 작업방식이 적용됨으로써 제품의 가공성 및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납을 사용한 용접작업을 전혀 할 필요가 없게 되어 납의 유독성에 의한 납중독 위험성 등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인체에 유해한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고, 자연환경의 오염을 적극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세관(31)을 흡입관(42)의 외주에 코일형태로 촘촘히 감아서 된 권취부(31b)에 의해 상기 모세관(31)이 상기 흡입관(42)의 외주 전체표면에 대하여 충분히 접촉될 수 있는 면적을 확보할 수 있게 됨으로써, 그 열교환부(50)의 면적이 대폭 증가되어 열교환 성능(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고, 이러한 열교환 성능의 향상에 따른 불필요한 냉매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냉매량 절감의 효과도 발휘된다.
더욱이, 열교환기(E)의 흡입관 절곡부 길이(d1)를 짧게 형성하더라도 상기 모세관(31)의 권취부(31b)에 의해 충분한 열교환 면적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열교환기(E)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그 만큼의 제품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기준하여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라 할 수 있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들을 생각해 낼 수 있으므로 이러한 균등한 실시예들 또한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함은 극히 당연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김치냉장고용 흡입측 열교환기의 냉동사이클 내 설치 상태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적인 저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김치냉장고용 흡입측 열교환기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의 A부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2의 B부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김치냉장고용 흡입측 열교환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C부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1, d2 ; 흡입관 절곡부 길이 E ; 흡입측 열교환기
1 ; (김치냉장고 내벽용) 인너케이스 10 ; 압축기
20 ; 응축기 21 ; 응축관
25 ; 드라이어 30 ; 팽창기
31, 131 ; 모세관(Capillary Tube) 31a, 131a ; 모세관 분기단부
31b ; 권취부 31c, 131c ; 증발관 연결단부
40 ; 증발기 41 ; 증발관
42, 142 ; 흡입관(Suction Tube) 42a, 142a ; 증발관 연결단부
42b, 142b ; 압축기 연결단부 50 ; 열교환부
51 ; 땜납 52 ; 수축필름
60 ; 솔레노이드밸브
Claims (2)
- 복수의 저장용기를 수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실을 형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내벽용 인너케이스가 설치된 김치냉장고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인너케이스의 외주에 설치된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로부터 유입되는 기체냉매를 고온고압상태로 압축시켜주는 압축기를 연결하기 위한 흡입관과, 응축기로부터 유입되는 포화액체냉매를 저온저압상태로 팽창시켜주는 모세관간의 일부구간에 대한 소정의 밀착구조에 의해 상기 흡입관과 모세관이 상호 표면 접촉할 수 있도록 된 독립적 구조의 김치냉장고용 흡입측 열교환기에 있어서,상기 모세관은 상기 흡입관과의 열교환 접촉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상기 흡입관의 외주면상에 코일형태로 권취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용 흡입측 열교환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모세관의 권취부 외측에는 수축필름이 씌워져 밀착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용 흡입측 열교환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06890U KR200386639Y1 (ko) | 2005-03-15 | 2005-03-15 | 김치냉장고용 흡입측 열교환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06890U KR200386639Y1 (ko) | 2005-03-15 | 2005-03-15 | 김치냉장고용 흡입측 열교환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86639Y1 true KR200386639Y1 (ko) | 2005-06-16 |
Family
ID=43687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06890U KR200386639Y1 (ko) | 2005-03-15 | 2005-03-15 | 김치냉장고용 흡입측 열교환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86639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87517B1 (ko) * | 2014-07-03 | 2016-02-02 | 박재정 | 냉동사이클용 흡입측 열교환기 |
WO2016076470A1 (ko) * | 2014-11-12 | 2016-05-19 | 박재정 | 냉동사이클용 열교환기와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KR101643842B1 (ko) | 2015-01-20 | 2016-07-28 | 박재정 | 모세관 권회형 냉매관을 위한 밴딩기 |
-
2005
- 2005-03-15 KR KR20-2005-0006890U patent/KR20038663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87517B1 (ko) * | 2014-07-03 | 2016-02-02 | 박재정 | 냉동사이클용 흡입측 열교환기 |
WO2016076470A1 (ko) * | 2014-11-12 | 2016-05-19 | 박재정 | 냉동사이클용 열교환기와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KR20160056646A (ko) | 2014-11-12 | 2016-05-20 | 박재정 | 냉동사이클용 열교환기와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KR101687587B1 (ko) * | 2014-11-12 | 2016-12-19 | 박재정 | 냉동사이클용 열교환기와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KR101643842B1 (ko) | 2015-01-20 | 2016-07-28 | 박재정 | 모세관 권회형 냉매관을 위한 밴딩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360552B1 (en) | Freezing system having two vaporizers for refrigerator | |
JP2007322009A (ja) | 冷凍サイクル | |
JP2006234254A (ja) | 熱交換器及びそれを用いたヒートポンプ式給湯装置 | |
TW200732610A (en) | Dual temperature refrigeration circuit | |
CN106196709A (zh) | 半导体过冷制冷循环系统及制冷设备 | |
EP2787314B1 (en) | Double-pipe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using same | |
KR200386639Y1 (ko) | 김치냉장고용 흡입측 열교환기 | |
JP2011117710A (ja) | 液体過冷システム | |
KR20110087138A (ko) | 응축수를 이용한 이중관 열교환 장치 | |
JP2005049049A (ja) | 熱交換器 | |
KR20130055104A (ko) | 차량용 에어컨 배관 | |
KR200401543Y1 (ko) | 김치냉장고용 흡입측 열교환기 | |
CN106225273A (zh) | 制冷循环系统及制冷设备 | |
KR100667692B1 (ko) | 냉동장치용 스트레이너 및 그 제조방법 | |
KR101222609B1 (ko) | 열교환기 및 그 제조방법 | |
KR20070081324A (ko) | 에어컨용 리시버드라이어의 구조 | |
JP2008089252A (ja) | 冷却装置 | |
KR200351613Y1 (ko) | 히트펌프용 액열기 | |
KR200352292Y1 (ko) | 히트펌프용 리시버 탱크 | |
KR100248896B1 (ko) | 냉.난방 시스템 | |
KR200181944Y1 (ko) | 냉온수기의 냉각탱크 | |
JP2007016700A (ja) | パッケージ形コンプレッサ | |
KR20070097609A (ko) | 이산화탄소용 내부열교환기 | |
KR100229416B1 (ko) | 냉동기용 응축기 | |
KR20060098910A (ko) | 공기 조화기의 열교환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330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9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