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6187Y1 - 필기용구를 가지는 휴대물품 액세서리 - Google Patents

필기용구를 가지는 휴대물품 액세서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6187Y1
KR200386187Y1 KR20-2005-0008263U KR20050008263U KR200386187Y1 KR 200386187 Y1 KR200386187 Y1 KR 200386187Y1 KR 20050008263 U KR20050008263 U KR 20050008263U KR 200386187 Y1 KR200386187 Y1 KR 2003861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ting
ring
portable article
accessories
st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82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상준
Original Assignee
유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상준 filed Critical 유상준
Priority to KR20-2005-00082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61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61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61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44B13/0052Strips of hook or ey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44B13/0029Hook or eye fasteners characterised by their way of fastening to the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44B13/0058Eyelets or gromm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필기 용구를 가지는 링부를 손가락에 끼워 휴대물품의 추락을 방지하고 필요시 필기용구를 외부로 돌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구조를 가지는 휴대물품 액세서리의 구조가 제공된다. 상기 휴대물품 액세서리 구조는 휴대물품의 고리에 묶어지는 연결 체인과; 상기 연결체인이 삽입되는 연결체인 부착구가 하부에 형성되고 일측면에 형성된 슬라이딩 버튼의 이동에 의해 내부의 필기촉이 외부로 돌출되는 필기용구 하우징이 상부에 형성되며 중앙에는 손가락이 끼워지도록 반지 형상을 가지는 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필기용구를 가지는 휴대물품 액세서리{ACCESSORY OF PORTABLE GOODS HAVING WRITE MATERIALS}
본 고안은 휴대물품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필기 용구를 가지는 링부를 손가락에 끼워 휴대물품의 추락을 방지하고 필요시 필기 용구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구조를 가지는 휴대물품 액세서리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핸드폰, MP3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물품 액세서리는 휴대물품에 묶는 고리의 줄에 각종 캐릭터나 장식물을 달고 달리 수 있게 하는 매우 단순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의 예로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345386호(반지형 핸드폰 악세서리)가 있다.
그러나 상기 선 등록실용신안은 반지부와 연장끈의 헛도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반지부의 일측에 관통홀을 형성하고, 상기 연장끈의 일측이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봉합고정 되도록 구성하여 휴대폰의 휴대 및 이용을 도모할 뿐 특별한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고 있다.
따라서 상기 선 등록실용신안에 개시된 반지형 핸드폰 악세서리를 휴대폰에 묶어 악세서리로 사용하는 경우, 통화 중 메모를 하여야 할 때에는 별도의 필기구를 휴대하지 않으면 메모를 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필기구를 구비한 휴대물품 액세서리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필기촉을 갖는 필기부를 수납하여 필요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반지형 액세서리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필기 용구를 가지는 링부를 손가락에 끼워 휴대물품의 추락을 방지하고 필요시 필기 용구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구조를 가지는 휴대물품 액세서리의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휴대물품 액세서리에 있어서, 휴대물품의 고리에 묶어지는 연결 체인과; 상기 연결체인이 삽입되는 연결체인 부착구가 하부에 형성되고 일측면에 형성된 슬라이딩 버튼의 이동에 의해 내부의 필기촉이 외부로 돌출되는 필기용구 하우징이 상부에 형성되며 중앙에는 손가락이 끼워지도록 반지 형상을 가지는 링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부의 상부에 형성된 필기용구 하우징은 일측면에 제1인출가이드와 제1인출홈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고정부재와; 필기촉이 삽입된 필기촉 홀더와, 상기 필기촉 홀더의 일측면에 경사지도록 형성된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상부 일측면에 경사지도록 돌출된 걸림돌기 및 상기 탄성부재의 말단에 수직 돌출된 슬라이딩 버튼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제1인출가이드에 안착된 필기용구와; 일측면에 제2인출가이드와 제2인출홈이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인출가이드에는 장방향으로 개구(관통)된 슬라이딩 홈과 소정의 간격으로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버튼이 상기 슬라이딩홈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에 끼워지도록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는 결합부재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체인은 상기 링부의 하부에 관통된 연결끈 부착구에 끼워진 연결끈과, 상기 휴대물품의 고리에 끼워지는 고리줄과, 상기 연결끈과 상기 고리줄의 일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연결끈과 고리줄을 연결/분리하는 연결조인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조인트는 볼트와 너트 혹은 스냅 파스너(snap fastener)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견지에 따른 반지형 휴대물품 액세서리는 손가락이 끼워지도록 반지 형상을 가지는 링부와; 상기 링부의 하부에 회전 자재토록 결합된 연결끈과; 휴대물품의 고리에 연결되어지는 고리줄과; 상기 연결끈이 결합되어지고 그 반대편이 개구되어진 통형 볼트와; 상기 원통형 볼트의 개구부에 끼워져 필기촉이 돌출되도록 고정되는 필기부와; 상기 고리줄이 일측에 결합되며 타측의 개구부가 상기 통형 볼트에 나사 결합되는 통형 너트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본 고안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필기 용구를 갖는 휴대물품 액세서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연결 조인트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필기용구를 가지는 휴대물품 액세서리(1)는 휴대물품(도시하지 않았음), 예를 들면, 휴대폰, MP3플레이어 등에 마련된 고리에 묶어지는 연결 체인(40)과, 상기 연결체인(40)이 삽입되는 연결체인 부착구(12)가 하부에 형성되고 일측면에 형성된 슬라이딩 버튼(30)의 좌우 이동에 의해 내부의 필기촉(32)을 출몰되는 구조를 갖는 필기용구 하우징(20)이 상부에 형성되며 중앙에는 손가락이 끼워지도록 반지 형상을 가지는 링부(1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링부(10)의 하부에 형성된 연결끈 부착구(12)는 상기 연결체인(40)의 단면 형태와 대응하도록 장공형상으로 관통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체인(40)은 상기 링부(10)의 하부에 관통된 연결끈 부착구(12)에 끼워진 연결끈(42)과, 상기 휴대물품의 고리에 끼워지는 고리줄(50) 및 상기 연결끈(42)과 상기 고리줄(50)의 일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연결끈(42)과 고리줄(50)을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연결조인트(60)로 구성된다. 이때, 도 1에서 상기 연결조인트(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가 형성된 통형 볼트(60a)와 통형 너트(60b)로 구성하여 나사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 통형 볼트(60a) 및 통형 너트(60b)의 형상은 원통형이 바람직하나 사각통형, 삼각통형 등 다양한 형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도 1 및 도 2와 같이 구성된 휴대물품 액세서리(1)는 휴대물품의 고리에 고리줄(50)을 묶고, 링부(10)를 손가락에 끼움으로써 휴대물품의 분실 및 추락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물품이 핸드폰이라 가정하면, 통화 중 외부의 충격이 손에 가해지더라도 링부(10)가 손가락에 끼워져 있음으로 핸드폰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통화 중 메모를 할 경우 연결 조인트(60)의 나사를 풀어 연결 체인(40)의 연결끈(42)과 고리줄(50)을 분리한 후 링부(10)의 상부에 형성된 필기용구 하우징(20)의 측면에 돌출된 슬라이드 버튼(30)을 눌러 수평 이동시키면, 상기 필기용구 하우징(20)의 내부에 설치된 필기촉(32)이 필기촉 인출구(25)의 외부로 인출된다. 이때, 필기촉(32)은 연필, 볼펜 등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휴대물품의 고리에 묶어진 고리줄(50)로부터 상기 연결끈(42)이 분리된 상태에서 링부(10)의 필기용구 하우징(20)으로부터 필기촉(32)이 돌출되면, 사용자는 상기 필기촉(32)을 이용하여 메모지 등에 메모를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필기촉(32)을 이용하여 필기 할 때 상기 돌출된 필기촉(32)이 내부로 인입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가 상기 필기용구 하우징(20)의 내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를 하기의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링부(10)의 상부에 형성된 필기용구 하우징(20)의 고정부재(24)의 구조와 상기 고정부재(24)에 결합된 결합부재(26)를 분리하여 그 내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링부(10)의 상부에서 신장된 고정부재(24)의 일측 내면에는 가로방향으로 제1인출가이드(22a)와 제1인출홈(25a)이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인출가이드(22a)에는 슬라이드 버튼(30)이 형성된 필기용구(31)가 안착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재(24)의 제1인출가이드(22a)에 안착된 필기용구(31)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기촉(32)이 일측면에 끼워져 결합된 필기촉 홀더(34)의 일측면에서 상향 경사지도록 탄성부재(3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부재(34)의 상부 일측면에는 이등변 삼각형 또는 정삼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걸림 돌기(38)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부재(36)의 말단에는 슬라이딩 버튼(30)이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필기용구(31)가 안착된 상기 고정부재(24)에는 상기 필기용구(31)에 형성된 슬라이드 버튼(30)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슬라이딩 홈(23)이 형성된 결합부재(26)가 덮어져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재(26)의 내부에는 상기 필기용구(31)의 슬라이딩을 도모하기 위한 제2인출가이드(22b)와 제2인출홈(25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딩 홈(23)은 제2인출가이드(22b)의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딩 홈(23)의 상부에는 두개의 걸림홈(28a)(28b)이 이격 형성되어 있다.
이때, 고정부재(24)와 결합부재(26)를 결합 시 상기 슬라이딩 홈(23)을 통해 필기용구(31)의 슬라이딩 버튼(30)이 돌출되도록 하여야 하며, 결합부재(26)의 걸림홈(28a)(28b)들 중 하나의 걸림홈에 상기 걸림돌기(38)가 끼워지도록 하여야 한다. 도 3에서 참조부호 39는 상기 고정부재(24)에 결합부재(26)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1 및 제2인출가이드(22a)(22b)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 필기촉 홀더(34)가 안착되는 안착홈이다.
상기와 같이 링부(10)의 상부에 필기용구 하우징(20)의 조립이 완성되면, 사용자는 필기용구 하우징(20)의 측면에 돌출된 슬라이딩 버튼(30)을 눌려 전후 이동시킴으로써 필기촉(32)을 외부로 인출시켜 메모를 할 수 있게 된다. 이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의 A-A라인의 요부단면도로서 필기용구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a와 같이 필기용구(31)의 걸림돌기(38)가 결합부재(26)의 측면에 형성된 걸림홈(28b)에 위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필기를 하기 위하여 슬라이딩 버튼(30)을 수평으로 이동시키면, 필기촉홀더(34)가 도 5b와 같이 제1 및 제2인출가이드(22a)(22b)를 따라서 전진이동 된다.
소정 거리만큼 상기 필기촉 홀더(34)가 전진 이동되면, 상기 필기촉 홀더(34)에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탄성부재(36)의 탄성력에 의해 걸림돌기(38)가 도 5b와 같이 결합부재(26)의 걸림홈(28a)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필기촉(32)이 제1인출홈(25a, 25b)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필기촉 인출홈(25)의 외부로 출몰되어짐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돌출되어진 필기촉(32)을 이용하여 메모를 할 수 있게 된다.
필기촉(32)의 사용에 의해 필기촉(32)의 끝단에서 필기용구 하우징(20)의 방향으로 힘이 공급되더라도 걸림돌기(38)와 걸림홈(28a)의 맞물림에 의해 필기촉 홀더(34)가 본래의 위치로 복귀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메모를 완료 한 후 슬라이딩 버튼(30)을 누르면, 필기촉 홀더(34)에 형성된 탄성부재(36)가 하부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탄성부재(36)에 형성된 걸림돌기(38)가 상기 걸림홈(28a)으로부터 분리되어지고, 이때 슬라이딩 버튼(30)을 이동시키면 도 5a와 같이 필기용구(31)가 본래의 위치로 복귀되어 돌출된 필기촉(32)이 필기용구 하우징(20)의 내부로 들어간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물품 액세서리(1)는 휴대폰(핸드폰) 또는 MP3플레이어와 같은 소형 제품의 휴대를 간단히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메모가 필요시 연결끈(42)과 고정줄(50)을 분리하여 링부(10)의 필기용구 하우징(20)에 삽설된 필기촉(32)을 용이하게 인출시켜 필기할 수 있어 별도로 필기도구를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을 제거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필기 용기를 갖는 휴대물품 액세서리의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휴대물품 액세서리(1)는 연결조인트(60)의 구성을 원터치(one touch)에 의해 용이하게 분리 할 수 있도록 한 스냅 파스너(snap fastener)를 채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도 1의 기술적 구성과 동일하다.
도 6과 같이 스냅 파스너를 이용하여 링부(10)에 연결된 연결끈(40)과 휴대물품의 고리에 고정되는 고정줄(50)의 연결함으로써 이들의 결합 및 분리를 보다 신속하게 할 수 있어 필기용구의 이용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필기 용구를 갖는 휴대물품 액세서리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휴대 물품 액세서리의 분리 사리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연결 조인트(60)에 필기부(75)가 삽입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제3실시 예에 따른 필기 용구를 갖는 휴대 물품 액세서리(1)는 링부(10)를 단순한 반지형태로 구성하되, 연결끈(42)이 이동되지 않도록 링부(10)의 하부에 연결끈 부착구(12)를 형성하고, 도 1에 도시된 연결조인트(60)의 길이를 확장하여 그 내부에 필기부(75)를 수납하여 필요시 외부로 인출하여 사용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제3실시 예는 연결조인트(60)에 해당하는 부분만이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휴대물품 액세서리(1)의 연결 조인트(60)의 통형 볼트(60a)의 일측에 연결끈(42)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통형 볼트(60a)의 내부에는 필기부 수납부(70)가 형성되며 그 타측에는 필기촉 고정구(72)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필기촉 고정구(72)의 외주면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형 볼트(60a)의 필기촉 고정구(72)에는 필기촉(32)이 결합된 잉크튜브(33)가 끼워져 결합된다. 예를 들어, 필기부(75)의 잉크튜브(33)를 상기 필기촉 고정구(72)의 구멍으로 삽입하여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통형 볼트(60a)의 내경이 상기 잉크튜브(33)의 직경과 같거나 좁게 형성하여 잉크튜브(33)가 상기 통형 볼트(60a)의 필기구 수납공간(70)에 억지 끼움으로 결합하여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필기부(75)의 전체 길이는 통형 볼트(60a)의 길이보다 조금 길게 형성하여 필기촉(32)이 도 8과 같이 통형 볼트(60a)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여야 한다. 상기 통형 볼트(60a)의 하부에는 중앙의 내부가 파여진 통형 너트(60b)가 나사 결합된다.
상기 통형 볼트(60a)와 통형 너트(60b)들의 결합부위, 예들 들면, 통형 볼트(60a)의 하부면과 이에 대응하는 통형 너트(60b)의 상부면에는 돌기(73) 및 돌기홈(7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통형 볼트(60a)의 필기부 수납홈(70)에 잉크튜브(33)를 삽입시킨 후 상기 통형 볼트(60a)에 통형 너트(60b)를 나사 결합시키면, 도 7과 같이 링부(10), 연결끈(42), 연결 조인트(60) 및 고리줄(50)이 일체로 연결됨으로써 링부(11)를 손가락에 끼워 휴대 물품을 용이하게 보관 휴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 상태에서는, 통형 볼트(60a)의 하부면에 형성된 돌기(73)가 통형 너트(60b)의 상부면에 형성된 돌기홈(74)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이므로 나사 결합이 자연적으로 풀려 고리줄(50)에 연결된 휴대물품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필기부(75)의 필기촉(32)을 이용하여 필기를 하고자 할 때에는 고리줄(50)이 결합된 통형 너트(60b)를 회전시켜 분리하면, 통형 볼트(60a) 필기촉 인출구(72)의 외부로 돌출된 필기촉(32)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필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한 제3실시예는 연결 조인트의 내부에 잉크튜브와 필기촉으로 구성된 필기부를 수납시킴으로써 교체가 용이한 이점을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핸드폰, MP3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물품 액세서리에 필기촉이 출몰되도록 한 구조의 필기용구 하우징을 반지형태로 일체화시켜 제작하거나, 연결끈과 고리줄을 연결하는 연결조인트에 수납되도록 제작함으로써 휴대물품 이용 시 추락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고 메모가 필요시 필기용구의 필기촉을 용이하게 돌출시켜 사용하게 함으로써 별도로 필기도구를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을 제거할 수 있어 휴대물품 액세서리의 기능을 다기능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필기 용구를 갖는 휴대물품 액세서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연결 조인트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필기용구 하우징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필기용구의 상세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도 1의 A-A라인의 요부단면도로서, 필기용구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필기 용구를 갖는 휴대물품 액세서리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필기 용구를 갖는 휴대물품 액세서리의 사시도.
도 8은 도 7에 휴대 물품 액세서리의 분리 사시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연결 조인트에 필기부가 삽입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휴대물품 액세서리, 10 : 링부,
12 : 연결끈 부착구, 20 : 필기용구 하우징,
22a: 제1인출가이드, 22b: 제2인출가이드 23 : 슬라이딩홈, 24 : 고정부재,
25 : 필기촉 인출구 25a: 제1인출홈
25b: 제2인출홈, 26 : 결합부재,
28a, 28b : 걸림홈, 30 : 슬라이드 버튼,
31 : 필기용구, 32 : 필기촉,
33 : 잉크튜브, 34 : 필기촉 홀더,
36 : 탄성부재, 38 : 걸림돌기,
39 : 안착홈, 40 : 연결체인, 42 : 연결끈, 50 : 고리줄,
60 : 연결조인트. 60a: 통형 볼트,
60b : 통형 너트, 70 : 필기부수납부,
72 : 필기촉 고정구, 73 : 돌기,
74 : 돌기홈, 75 : 필기부,

Claims (7)

  1. 휴대물품 액세서리에 있어서,
    휴대물품의 고리에 묶어지는 연결 체인과;
    상기 연결체인이 삽입되는 연결체인 부착구가 하부에 형성되고 일측면에 형성된 슬라이딩 버튼의 이동에 의해 내부의 필기촉이 외부로 돌출되는 필기용구 하우징이 상부에 형성되며 중앙에는 손가락이 끼워지도록 반지 형상을 가지는 링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필기용구를 가지는 휴대물품 액세서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부의 상부에 형성된 필기용구 하우징은 일측면에 제1인출가이드와 제1인출홈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고정부재와; 필기촉이 삽입된 필기촉 홀더와, 상기 필기촉 홀더의 일측면에 경사지도록 형성된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상부 일측면에 경사지도록 돌출된 걸림돌기 및 상기 탄성부재의 말단에 수직 돌출된 슬라이딩 버튼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제1인출가이드에 안착된 필기용구와; 일측면에 제2인출가이드와 제2인출홈이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인출가이드에는 장방향으로 개구(관통)된 슬라이딩 홈과 소정의 간격으로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버튼이 상기 슬라이딩홈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에 끼워지도록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는 결합부재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용구를 가지는 휴대물품 액세서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인은 상기 링부의 하부에 관통된 연결끈 부착구에 끼워진 연결끈과, 상기 휴대물품의 고리에 끼워지는 고리줄과, 상기 연결끈과 상기 고리줄의 일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연결끈과 고리줄을 연결/분리하는 연결조인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필기용구를 가지는 휴대물품 액세서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조인트는 볼트와 너트 혹은 스냅 파스너임을 특징으로 필기용구를 가지는 휴대물품 액세서리.
  5. 반지형 휴대물품 액세서리에 있어서,
    손가락이 끼워지도록 반지 형상을 가지는 링부와;
    상기 링부의 하부에 회전 자재토록 결합된 연결끈과;
    휴대물품의 고리에 연결되어지는 고리줄과;
    상기 연결끈이 결합되어지고 그 반대편이 개구되어진 통형 볼트와;
    상기 원통형 볼트의 개구부에 끼워져 필기촉이 돌출되도록 고정되는 필기부와;
    상기 고리줄이 일측에 결합되며 타측의 개구부가 상기 통형 볼트에 나사 결합되는 통형 너트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반지형 휴대물품 액세서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는 하부 일측면에 관통된 연결끈 부착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끈은 상기 링부의 하부에 관통된 연결끈 부착구에 끼워져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지형 휴대물품 액세서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 볼트의 하부면에 형성된 돌기와 이에 대응하는 통형 너트의 상부면에 돌기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통형 볼트의 하부면에 형성된 돌기가 통형 너트의 상부면에 형성된 돌기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지형 휴대물품 액세서리.
KR20-2005-0008263U 2005-03-25 2005-03-25 필기용구를 가지는 휴대물품 액세서리 KR2003861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263U KR200386187Y1 (ko) 2005-03-25 2005-03-25 필기용구를 가지는 휴대물품 액세서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263U KR200386187Y1 (ko) 2005-03-25 2005-03-25 필기용구를 가지는 휴대물품 액세서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6187Y1 true KR200386187Y1 (ko) 2005-06-07

Family

ID=43687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8263U KR200386187Y1 (ko) 2005-03-25 2005-03-25 필기용구를 가지는 휴대물품 액세서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618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3854B1 (ko) * 2012-11-29 2014-06-27 오병기 필기구를 구비한 핸드 스트랩
CN108552688A (zh) * 2018-06-22 2018-09-21 深圳市玺爱生珠宝有限责任公司 一种项链连接结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3854B1 (ko) * 2012-11-29 2014-06-27 오병기 필기구를 구비한 핸드 스트랩
CN108552688A (zh) * 2018-06-22 2018-09-21 深圳市玺爱生珠宝有限责任公司 一种项链连接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9913B1 (en) Fast connector for gardening hose
US6641390B2 (en) Retractable device holding assembly
US7390137B1 (en) Writing instrument
US20070110508A1 (en) Convertible multi-use writing instrument
US20070075987A1 (en) Retraction mechanism of light pen
KR200386187Y1 (ko) 필기용구를 가지는 휴대물품 액세서리
JP2017521290A (ja) 握持を容易にする異軸ペン
US7385596B2 (en) Stylus attachment structure for IT products
US20060262091A1 (en) Wireless mouse with a structure for collecting a wireless receiver
CN210363090U (zh) 手持伸缩笔
US7055979B2 (en) Lantern detachable cap
KR20190142818A (ko) 터치펜 홀더 유닛
CN110303800B (zh) 一种可换笔芯的压缩笔
KR102631703B1 (ko) 펜 타입 컴퍼스
KR200406363Y1 (ko) 스타일러스 펜
CN107792249B (zh) 自行车置物装置
KR0132626Y1 (ko) 보드지우개 일체형 매직펜
CN214317690U (zh) 一种防尘便携后置按键水杯
KR200178320Y1 (ko) 연필꽂이
EP0630762A1 (en) A writing instrument with a push button, a clip and a spring in one piece
KR200391791Y1 (ko) 길이가 연장되는 접이식 볼펜
KR200259253Y1 (ko) 자동 펜촉 수납 필기구
KR200374254Y1 (ko) 휴대용 붓 케이스
KR101474508B1 (ko) 모바일 기기용 스타일러스 펜 결합체
KR200451724Y1 (ko) 스타일러스 펜이 구비된 모바일기기용 액세서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