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6129Y1 - 휴대가능한 전자기기용 자동 충방전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휴대가능한 전자기기용 자동 충방전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6129Y1
KR200386129Y1 KR20-2005-0006893U KR20050006893U KR200386129Y1 KR 200386129 Y1 KR200386129 Y1 KR 200386129Y1 KR 20050006893 U KR20050006893 U KR 20050006893U KR 200386129 Y1 KR200386129 Y1 KR 2003861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harging
contact
discharge
dis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68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영규
Original Assignee
(주)디지털브레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지털브레인 filed Critical (주)디지털브레인
Priority to KR20-2005-00068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61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61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61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기기용 자동 충방전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휴대전화기, 캠코더, 디지털카메라, 등과 같은 전자기기들은 휴대하고 이동하면서 사용하기 때문에, 이동 중에 전기를 충전하였다가 필요시 방전하여 사용하는 충전기에서 하나의 커넥터를 이용하여 충전과 방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또는 아답터를 선택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고, 휴대가능한 전자기기용 자동 충방전용 커넥터가, L, R, G의 3 개의 접점을 갖고 있는 스테레오 연결잭과 같은 구성을 갖고, 충방전용 연결잭과, 충방전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의 L 접점과 G 접점을 충전용 커넥터로 사용하며, R 접점과 G 접점을 방전용 커넥터로 사용하고, L 접점과 G 접점을 방전용 커넥터로 사용하며, 상기 충전용 커넥터와 상기 방전용 커넥터에는 각각 방향을 반대인 역전류 흐름 방지용 다이오드가 각각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가능한 전자기기용 자동 충방전용 커넥터{Automatic Charge-Discharge Connector for Portable Electronics Apparatus}
본 고안은 전자기기용 자동 충방전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휴대전화기, 캠코더, 디지털카메라, 등과 같은 전자기기들은 휴대하고 이동하면서 사용하기 때문에, 이동 중에 전기를 충전하였다가 필요시 방전하여 사용하는 충전기에서 하나의 커넥터를 이용하여 충전과 방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전화기, PDA, 캠코더, 디지털카메라와 같은 휴대가능한 전자기기는 휴대하고 이동하면서, 사용하기 때문에, 충전가능한 배터리 즉, 2차 전지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가능한 전자기기에 부착된 배터리는 일반적으로 110/200V의 상용 교류 전원을, 충전회로를 통해 일정한 전압의 DC 전원으로 변화시켜 충전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110/220V의 상용 교류 전원을 변환시켜 3~12 V의 DC 전원으로 변환시켜주는 장치를 아답터(Adaptor)라 지칭한다.
도 1a는 현재 시판되고 있는 자가발전용 랜턴 겸용 라디오 장치(50)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랜턴 겸용 라디오 장치(50)는 수동에 의해 자기 발전기를 회전시켜 전기를 발생시키고, 내부에 구비된 축전지에 전원을 축전하게 된다, 상기 장치에 내장된 축전지에 축전된 전원을 사용하여 즉, 축전지에 저장된 전원에 의해, 랜턴(후레쉬)을 온시키거나, 라디오를 들을 수 있게된다. 도 1a에 도시한 라디오 겸용 랜턴은 상용 전원을 공급받을 수 없는 경우, 즉, 등산, 또는 낚시 등의 여행지에서 자가 발전에 의해 전원을 내장된 축전지에 내장시키고, 축전된 전원에 의해 랜턴의 전구 또는 LED를 점등시키거나, 라디오를 청취할 수 있다.
도 1b는 종래의 휴대가능한 전자기기용 배터리의 충방전 개념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b에 있어서, 참조 번호(10)은 휴대가능한 전자기기를 나타내고, 참조 번호(13)은 충전 가능한 2차 전지를 나타내고, 참조 번호(14)는 배터리(13)을 충전시키기 위해 상용의 110/220V의 전원을 소정의 DC 전원으로 변환시켜 주는 아답터를 나타낸다. 아답터(14)와 배터리(13) 사이에는 배터리(13)을 충전시키기 위한 DC 충전 연결잭 또는 커넥터(11)이 접속된다. 또한, 전자 기기(10)과 배터리 사이에는 방전용 DC 연결잭 또는 커넥터(12)가 접속된다.
도 1c는 종래의 다른 형태의 휴대가능한 전자기기용 배터리의 충방전 개념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다시말하면, 도 1c에는 도 1b에 도시한 DC 충전 및 방전 연결잭 또는 커넥터(11,12)를 통합하기 위한 것으로 배터리의 충방전 개념이 도시되어 있다.
도 1c에 있어서, 참조 번호(10)은 휴대가능한 전자기기를 나타내고, 참조 번호(13)은 충전 가능한 2차 전지를 나타내고, 참조 번호(14)는 배터리(13)을 충전시키기 위해 상용의 110/220V의 전원을 소정의 DC 전원으로 변환시켜 주는 아답터를 나타낸다. 또한, 참조번호(21)은 충방전용 DC 연결잭 또는 커넥터를 나타내고, 참조 번호(22)는 충방전 선택 스위치를 나타내며, 참조 번호(23)은 충방전 조절 회로를 나타낸다.
도 1c에 있어서, 충방전용 DC 연결 잭 또는 커넥터(21)가 1개로 통합되어 있는 관계로 전자기기(10) 및 아답타(14)는 상기 커넥터(21)에 선택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배터리(13)을 충전하기 위해서는 아답터(14)가 접속되고, 방전시키기 위해서는 전자 기기(10)이 접속된다. 이러한 경우, 배터리(13)의 충전과 방전은 서로 반대의 개념이므로, 전자기기(10) 또는 아답터(14)가 선택적으로 커넥터(21)에 접속되는 경우, 이를 선택해주기 위한 선택스위치(22)이 반드시 필요하게 되며, 또한 충방전시에 충방전을 조절하기 위한 충방전 조절회로(23) 또한 필요하게 된다.
상술한 종래의 충전기는 내부의 충전 배터리(13)가 충전시와 방전시 함께 연결이 되어 있어 충전 할 때와 방전시킬 때를 구분하기 위해 별도 외부 선택 스위치를 달거나 충전과 방전의 커넥터가 별도로 부착되어 있어 그 사용이 불편하며, 구성요소가 부가되므로 제조 단가가 비싸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는 휴대가능한 전자기기용 자동 충방전용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사용상의 불편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또는 아답터를 선택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고, 휴대가능한 전자기기용 자동 충방전용 커넥터가, L, R, G의 3 개의 접점을 갖고 있는 스테레오 연결잭과 같은 구성을 갖고, 충방전용 연결잭과, 충방전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의 L 접점과 G 접점을 충전용 커넥터로 사용하며, R 접점과 G 접점을 방전용 커넥터로 사용하고, L 접점과 G 접점을 방전용 커넥터로 사용하며, 상기 충전용 커넥터와 상기 방전용 커넥터에는 각각 방향을 반대인 역전류 흐름 방지용 다이오드가 각각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인 휴대가능한 전자기기용 자동 충방전용 커넥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휴대가능한 전자기기용 자동 충방전용 커넥터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고, 도 3은 휴대가능한 전자기기용 자동 충방전용 커넥터(40)를 도 1a에 적용시킨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있어서, 참조 번호(13)은 충전가능한 배터리이고, 참조 번호(10)는 예를 들어, 휴대가능한 전자기기이며, 참조 번호(14)는 종래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아답타이고, 참조 번호(31)은 기존의 스테레오 잭을 휴대용 전자기기용 자동 충방전용 커넥터(40)에 사용될 수 있도록 변형된 스테레오 연결잭이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휴대용 전자기기용 자동 충방전용 커넥터(40)은 상기 스테레오 잭(31)이 한쪽 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다른 쪽 단부에는 휴대전화 배터리 충전 접속구(60) 예를 들어, 표준형 24 핀 충전 접속구, 18핀이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가능한 전자기기용 자동 충방전용 커넥터(40)의 한쪽 단부에 형성된 스테레오 연결잭(31)은 일반적인 스테레오 연결잭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스테레오 연결잭(31)은 일반 스테레오 연결잭과 같은 스테레오 L(Left)-커넥터(32), 스테레오 R(Right)-커넥터(33), 및 스테레오 G(Ground)-커넥터(34)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스테레오 연결 잭을 본 고안에 따른 휴대가능한 전자기기용 자동 충방전용 커넥터(40)에 사용하는 경우, 스테레오 L(Left)-커넥터(32)과 스테레오 G(Ground)-커넥터(34)를 충전용 커넥터로 사용되고, 스테레오 R(Right)-커넥터(33)와 스테레오 G(Ground)-커넥터(34)를 방전용 커넥터로 사용하게 된다. 상기 충전용 커넥터 또는 방전용 커넥터와 배터리 사이에 각각 방향을 반대하여 역방향 전류 흐름 방지용 다이오드(35)를 부가함으로써, 충방전시 전류의 역방향흐름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전류 역방향 흐름 방지용 다이오드(35)들 삽입함으로서 충방전시 커넥터를 잘못 연결하거나 외부 전원장치 혹은 배터리의 결합으로 생기는 문제를 보완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가능한 전자기기용 자동 충방전용 커넥터(40)의 스테레오 연결잭(31)에는 자가발전용 랜턴 겸용 라디오 장치(50)의 배터리로 부터 연장되어 있는 접속구(도시되지 않음)가 접속되고, 다른쪽의 단부에는 휴대가능한 전자기기(10)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b에서와 같이 배터리 충방전용 커넥터(40)의 스테레오 연결잭(31)에는 아답터(14)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나, 충방전 스위치(22) 및 충방전 조절 스위치(23)을 필요로 하지 않을 뿐만아니라, 커넥터를 잘못 연결하거나 외부 장치의 결합으로 생기는 역방향전류로 인한 내부 충전 배터리를 보호할 수 있다.
도 3은 도 1a에 도시한 자가발전용 랜턴 겸용 라디오 장치(50)에 적용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은 단지 설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상기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존의 자가 발전용 랜턴 겸용 라디오 장치(50)에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 배터리 충전 접속구(60)를 다른 단부에 일체로 구현한 휴대 전화 배터리 충전 접속구(60)를 채용함으로써, 자가 발전 라디오 겸용 랜터(50)에 구비된 충방전용 커넥터에 휴대 전화기를 접속하면, 휴대 전화기를 충전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상기 아답타를 접속하여, 상기 라디오 겸용 랜턴내에 구비된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용 전원이 있는 경우에는 라디오 겸용 랜터네에 구비된 배터리를 충전하여 두고, 휴대 전원이 없을 때는 자가 발전기에 의해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라디오 겸용 랜턴내에 구비된 배터리를 사용하여, 휴대 가능한 상술한 전자기기를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가능한 전자기기용 자동 충방전용 커넥터를 사용하는 경우, 충전기를 제조하거나 그 응용제품을 제조할 때 커넥터 수와 별도의 선택스위치를 줄임으로 인한 원가 절감효과가 있고, 커넥터를 잘못 연결하거나 외부 장치의 결합으로 생기는 역방향전류로 인한 내부 충전 배터리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a는 자가발전용 랜턴 겸용 라디오를 도시한 도면,
도 1b는 종래의 충방전 커넥터의 블록도.
도 1c는 종래의 다른 형태의 충방전 커넥터의 블록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 가능한 전자기기용 자동 충방전 커넥터의 블록도,
도 3는 도 1a에 도시한 라디오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자동 충방전 커넥터를 적용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1 : 충전용 DC-Jack 12 : 방전용 DC-Jack
13 : 충전용 배터리 21 : 충,방전용 DC-Jack
22 : 충방전 선택스위치 23 : 충방전 조절회로
31 : 스테레오 연결잭 32 : 스테레오 L-커넥터
33 : 스테레오 R-커넥터 34 : 스테레오 G-커넥터
35 : 다이오드 40 : 자동 충방전용 커넥터
50 : 종래의 자가발전 랜턴 겸용 라디오
60 : 휴대전화 충전 접속구

Claims (1)

  1. 전자기기 또는 아답터를 선택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는 휴대가능한 전자기기용 자동 충방전용 커넥터에 있어서,
    L, R, G의 3 개의 접점을 갖고 있는 스테레오 연결잭과 같은 구성을 갖고, 충방전용 연결잭과,
    충방전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의 L 접점과 G 접점을 충전용 커넥터로 사용하며, R 접점과 G 접점을 방전용 커넥터로 사용하고, L 접점과 G 접점을 방전용 커넥터로 사용하며,
    상기 충전용 커넥터와 상기 방전용 커넥터에는 각각 방향을 반대인 역전류 흐름 방지용 다이오드가 각각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능한 전자기기용 자동 충방전용 커넥터.
KR20-2005-0006893U 2005-03-15 2005-03-15 휴대가능한 전자기기용 자동 충방전용 커넥터 KR2003861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893U KR200386129Y1 (ko) 2005-03-15 2005-03-15 휴대가능한 전자기기용 자동 충방전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893U KR200386129Y1 (ko) 2005-03-15 2005-03-15 휴대가능한 전자기기용 자동 충방전용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6129Y1 true KR200386129Y1 (ko) 2005-06-07

Family

ID=43687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6893U KR200386129Y1 (ko) 2005-03-15 2005-03-15 휴대가능한 전자기기용 자동 충방전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612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55940B2 (en) Multi-functional portable power charger
US10250056B2 (en) Multi-function external attachment and safety circuit for a portable power charger
US10148103B2 (en) Multi-functional high capacity portable power charger
US7839119B2 (en) Charging devic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battery and portable phone battery
JP3180247U (ja) 逆方向への放電が可能となる携帯機器の保護カバー
US20110012552A1 (en) Electrical power source
US20110163719A1 (en) Universal Charger
CN105391105B (zh) 充电式电气设备
JP2006504240A (ja) 外装型電池パック
KR20140122495A (ko)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의 충전 제어방법
KR101567048B1 (ko) 휴대용 보조 배터리 장치
TWM596486U (zh) 多個電池組的電池充電器
US11721989B2 (en) Multi-functional portable power charger
KR200386129Y1 (ko) 휴대가능한 전자기기용 자동 충방전용 커넥터
JP2006340114A (ja) 携帯電話機、携帯電話機用の内蔵電池パック及び携帯電話機用の補助電源
EP2034584A2 (en) Power charging and supplying system
KR200379930Y1 (ko) 휴대용 다중 직류전압 공급장치
CN104953630A (zh) 移动电源
US20220149641A1 (en) Modular portable power station with battery expansion
KR20120007003U (ko) 휴대폰 충전용 보조 배터리팩
KR101599492B1 (ko)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어셈블리
KR200263801Y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원공급용 보조 배터리팩
KR200181428Y1 (ko) 자동충방전기부착배터리
KR19980014483U (ko) 휴대용 전력 저장팩
KR200259108Y1 (ko) 휴대 전화기의 간이 충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