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5772Y1 - 이중 파이프 - Google Patents

이중 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5772Y1
KR200385772Y1 KR20-2005-0006581U KR20050006581U KR200385772Y1 KR 200385772 Y1 KR200385772 Y1 KR 200385772Y1 KR 20050006581 U KR20050006581 U KR 20050006581U KR 200385772 Y1 KR200385772 Y1 KR 2003857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steel pipe
wall
stainless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65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율
Original Assignee
김창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율 filed Critical 김창율
Priority to KR20-2005-00065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57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57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57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 E04C2003/044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substantial shape of the cross-section
    • E04C2003/0447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substantial shape of the cross-section circular- or oval-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중 파이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틸강관의 표면을 스테인레스강 피막으로 표피층으로 처리하여 스틸강관의 표면구조를 스테인레스강 구조재의 특성을 갖도록 변화시켜 저가 구조재에 속하는 스틸강관을 고품질의 강관 구조재로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이중 파이프는, 내벽이 되는 내표면과 외벽이 되는 외표면이 있고 그 내벽과 외표면 두께를 통해 통체를 형성하여 내부 공간으로 비워지는 스틸강관의 외표면에 소정의 두께를 갖는 피복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피복층은 스테인레스강판을 상기 스틸강관의 외표면을 따라 피복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중 파이프{Steel pipe with stainless steel surface}
본 고안은 이중 파이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틸강관의 표면을 스테인레스강 피막으로 표피층으로 처리하여 스틸강관의 표면구조를 스테인레스강 구조재의 특성을 갖도록 변화시켜 저가 구조재에 속하는 스틸강관을 고품질의 강관 구조재로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스틸강관의 사용용도는 산업일반 및 가정용 기계기구에 널리 사용되며, 건축용 구조재, 관재, 시설물 설치 및 시설재, 운동용구 등을 포함하여 생활용품 그밖에 상하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특정 목적의 구조재로 스틸강관을 활용할 경우 가장 큰 단점은 내부식성이 없는 것이다. 수분에 접촉하거나 대기중 산화물질과 접촉되면 쉽게 표면 부식이 일어나 내구성을 저하시키고 강도를 떨어뜨리고 표면 외관도 변질된다. 또한 압출이나 인발 및 그밖에 성형 가공으로 가공되는 스틸강관은 표면이 거칠어 연마 가공을 거치지 않으면 원하는 표면을 얻기 어렵기 때문에 실내 장식용 구조재나 마감재로 사용하기 어렵다.
스틸강관은 일정한 강도와 내구성이 있고 기계적 성질도 우수하며 저가격으로 대량 공급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른 구조재에 비해 널리 이용되고 있는데 이는 저가격으로 다양한 구조재로 사용될 수 있는데 따른 것이다.
스틸강관 보다 기계적 성질이 우수한 다른 소재의 구조재들은 얼마든지 있으나 소재의 희소성 때문에 스틸강관과 비교될 수 있는 적절한 가격으로 공급이 어렵다.
도 1은 구조재로 사용되는 일반적인 스틸강관(10)의 형상을 나타낸 것으로, (a)는 진원형상의 스틸강관(10)이고, (b)는 반원형 스틸강관(10)의 형상이다. 각각 내벽(12)과 외벽(11)으로 되어 있고 외벽(11) 표면에 부식면(13)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부식면(11)은 스틸강관(10)의 강도를 약화시키고 손상된 표면 부식면(13)이 그대로 외부로 드러나게 되어 외관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일정한 강도을 장기간 유지하고 표면 외관을 보호하기 위하여 방청도료를 도포하거나 표면보호재 코팅 피막을 형성하여 금속 부식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구조재로서 스테인레스강은 스틸강관과 같은 부식 문제가 없고 표면도 연마 없이 깨끗한 상태로 성형할 수 있어 표면을 안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스틸강관의 장점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스틸강관의 단점중 하나인 표면부식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스틸강관의 형상 변형 없이 고품질의 스틸강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스틸강관에 스테인레스강의 기계적 성질을 부가하여 저가격으로 고품질의 스틸강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이중 파이프는, 내벽이 되는 내표면과 외벽이 되는 외표면이 있고 그 내벽과 외표면 두께를 통해 통체를 형성하여 내부 공간으로 비워지는 스틸강관의 외표면에 소정의 두께를 갖는 피복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피복층은 스테인레스강판을 상기 스틸강관의 외표면을 따라 피복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이중 파이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분의 사시도 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이중 파이프의 제조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이중 파이프의 종단면도 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이중 파이프(20)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내벽(24)이 되는 내표면과 외벽(23)이 되는 외표면이 있고 그 내벽(24)과 외벽(23) 표면 두께를 통해 통체를 형성하여 내부 공간으로 비워지는 스틸강관(21)의 외표면에 소정의 두께를 갖는 피복층(22)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피복층(22)은 스테인레스강판(26)을 상기 스틸강관(21)의 외표면을 따라 피복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틸강관(21)의 외벽(23) 표면에 피복되는 스테인레스강판(26)은 스틸강관(21)의 둘레 전면적에 피복되거나 필요에 따라 부분적으로 피복층(22)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피복층(22)은 스테인레스강판(26)을 소재로 형성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다른 소재를 피복할 수 있다.
또한, 스테인레스강판(26)으로 스틸강관(21)의 피복층(22)을 형성할 경우 스틸강관(21)의 두께를 스테인레스강판(26) 두께에 비해 더 두껍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저가격의 스틸강관(21) 재료 비중을 높혀주면서도 표면 피복층(22)을 형성하는 스테인레스강판(26)의 내식성은 두께에 영향이 적은데 따른 것으로, 재료사용의 효율성을 고려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이중 파이프(20)는 도 3과 같이 스틸강관(21)의 외벽(23)에 스테인레스강판(26)을 피복시키고 인발 다이(25)를 통과시켜 인발 축관하여 연속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즉 정해진 규격의 스틸강관(21)의 외벽(23) 표면에 스티인레스강판(26)을 피복시킨 뒤 인발작업으로 스테인레스강판(26)을 스틸강관(21)의 외표면을 형성하도록 축관할 수 있다.
또한, 스테인레스강판(26)을 사용하지 않고 스틸강관(21)의 규격에 맞추어 스테인레스관으로 사전 제작하여 스틸강관(21)에 스테인레스관을 끼운 뒤 인발작업으로 밀착시켜 연속적으로 제조하여 축관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이중 파이프(20)로서, 스틸강관(21)의 외벽(23) 표면이 피복층(22)을 형성한 경우이다.
이 피복층(22)은 스테인레스강판(26)을 스틸강관(21)을 중심으로 축관하여 형성된 것으로, 스테인레스강의 기계적 성질이 그대로 스틸강관(21)의 외부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스틸강관(21)의 외표면 부식의 문제는 스틸강관(21)의 외부 피복층(22)을 형성하는 스테인레스강판(26)에 의해 제어된다.
일반적으로 스테인레스강관 구조물은 내식성이 요구되는 가로등, 펜스, 포스트, 자동차, 이륜차 및 다양한 운동기구를 포함하여 실내 내장재, 건축용 구조물 일반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데, 스틸강관에 비해 고가이고 내식성이 우수하고 외관이 깨끗하여 장식용 구조물에 적합하지만 스테인레스강의 기계적 성질로 인하여 원하는 다양한 형상과 모양의 제품을 성형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고안은 스테인레스강의 우수한 기계적 성질을 그대로 이용하고 부족한 성형성 등을 스테인레스강판(26) 형태로 스틸강관(21)에 피복층(22)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스틸강관(21)과 스테인레스강의 기계적 성질이 하나의 이중 파이프(20)에 복합적으로 나타나 우수한 구조재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이중 파이프(20)를 다양한 구조재로 활용할 경우 스틸강관(21)의 물성중 하나인 양호한 성형성이 주어지고 스틸강관(21)의 부식성을 스테인레스강판(26)으로 커버할 수 있으며, 겉 표면을 형성하는 스테인레스강의 양호한 외관으로 장식용 구조재로 활용이 가능하고, 이중 파이프(20)를 구성하는 재료의 비중을 저가의 스틸강관(21)에 크게 둠으로서 저가격으로 우수한 구조재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이중 파이프는 스틸강관과 스테인레스강의 우수한 기계적 성질이 하나의 구조재에 복합적으로 나타나도록 함으로서 양호한 성형성과 내식성이 주어지고 저가격으로 고품질의 내장 및 외장용 구조재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스틸강관의 구성을 보인 것으로, (a)는 진원 단면형상의 스틸강관 이고, (b)는 반원형 단면 형상의 스틸강관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이중 파이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분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이중 파이프의 제조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이중 파이프의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이중파이프 21:스틸강관
22:피복층 23:외벽
24:내벽 25:인발다이
26:스테인레스강판

Claims (3)

  1. 내벽이 되는 내표면과 외벽이 되는 외표면이 있고 그 내벽과 외표면 두께를 통해 통체를 형성하여 내부 공간으로 비워지는 스틸강관의 외표면에 소정의 두께를 갖는 피복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피복층은 스테인레스강판을 상기 스틸강관의 외표면을 따라 피복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파이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틸강관의 외표면 외벽에 피복되는 스테인레스강판은 스틸강관의 둘레 전면적에 피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파이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틸강관의 두께가 스테인레스강판 두께에 비해 더 두껍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파이프.
KR20-2005-0006581U 2005-03-11 2005-03-11 이중 파이프 KR2003857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581U KR200385772Y1 (ko) 2005-03-11 2005-03-11 이중 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581U KR200385772Y1 (ko) 2005-03-11 2005-03-11 이중 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5772Y1 true KR200385772Y1 (ko) 2005-06-02

Family

ID=43687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6581U KR200385772Y1 (ko) 2005-03-11 2005-03-11 이중 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577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59147A1 (ko) * 2009-11-12 2011-05-19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하이드로 포밍을 이용한 워터 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59147A1 (ko) * 2009-11-12 2011-05-19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하이드로 포밍을 이용한 워터 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US9101972B2 (en) 2009-11-12 2015-08-11 Hyundai Hysco Water pipe for which hydroforming is employed, and a production method therefor
US9579705B2 (en) 2009-11-12 2017-02-28 Hyundai Steel Company Water pipe for which hydroforming is employed, and a production method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Y157280A (en) Downhole cables with both fiber and copper elements
RU2007111489A (ru) Труба для защиты оптического кабеля от перегиба
KR101172494B1 (ko) 이종금속 재질로 구성되는 이중 파이프 및 그 제조방법
RU2008131768A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фасонных композиционных материалов и композитная шайба
KR200385772Y1 (ko) 이중 파이프
EA200500845A1 (ru) Шланг, имеющий окружную поверхность, которая состоит из некоторого количества металлических проводов или трубок
NO20033599D0 (no) Komposittrör laget av et ytterrör i metall med et innerbelegg av plastikkmateriale, og fremgangsmåte for å lage et slikt rör, samt anvendelseav röret
CN101748874A (zh) 陶瓷塑料复合结构件及其制作方法
RU2007110990A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металлических втулок
RU2009119460A (ru) Стойка для строительства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рубы стойки для строительства
CN201206672Y (zh) 复合波纹管
CN2602243Y (zh) 带内外防腐层的滚塑成型钢塑复合管道
KR102006705B1 (ko) 공기정화기 케이스 제조방법
CN202627377U (zh) 一种装饰修边保护罩
CN2246742Y (zh) 高强度耐腐蚀复合管材
CN103802371A (zh) 环保美观复合高频焊管及其生产方法
DE60208011D1 (de) Herstellungsverfahren für dickwandige rohre mit kleinem durchmesser
KR200408895Y1 (ko) 다층중공관
CN2748732Y (zh) 钢塑复合管
CN208634543U (zh) 一种增强型塑料管材
CN2379545Y (zh) 建筑用易清洗塑料管材
CN2392057Y (zh) 薄壁铜与塑料复合管
KR200246870Y1 (ko) 단열 호스
CN2480656Y (zh) 一种金属复合型管
AU2015215961B2 (en) Telescopic ho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