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5582Y1 - 모드선택버튼을 구비한 펜 마우스 - Google Patents

모드선택버튼을 구비한 펜 마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5582Y1
KR200385582Y1 KR20-2005-0007332U KR20050007332U KR200385582Y1 KR 200385582 Y1 KR200385582 Y1 KR 200385582Y1 KR 20050007332 U KR20050007332 U KR 20050007332U KR 200385582 Y1 KR200385582 Y1 KR 2003855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se
button
light
cpi
mode se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73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수
Original Assignee
박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수 filed Critical 박성수
Priority to KR20-2005-00073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55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55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55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2Light pens for emitting or receiving ligh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6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for light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펜 형상의 마우스에 관한 것으로, 마우스 CPI의 전환이 모드선택버튼의 누름에 의해 간단히 될 수 있게 하고, 클릭버튼 및 모드선택버튼을 마우스 본체의 좌우 양 측면에 배치하여 마우스 작업의 효율을 극대화한 모드선택버튼을 구비한 펜 마우스이다.
본 고안은 마우스 본체;와 상기 마우스 본체의 일 단부에 일체로 연결된 팁 커버와, 상기 팁 커버의 내부에 배치되어 일부는 외부에 노출된 팁을 포함하는 팁부;와 상기 팁 커버의 내부에 배치되어 바닥면에 빛을 조사하는 발광소자와, 상기 팁 커버의 내부에 배치되어 바닥면에서 반사되는 빛을 집속하고 집속된 빛의 경로를 변경하는 광경통을 포함하는 조명부;와 상기 마우스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광경통을 통하여 입사되는 빛을 감지하고 이를 설정된 CPI에 따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광학위치감지센서;와 상기 마우스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팁의 누름에 의해 작동되어 통상의 마우스에서 실행버튼과 같은 기능을 하는 제1클릭버튼과, 파지시 손가락이 접촉되는 상기 마우스 본체의 외측면에 배치되어 손가락의 누름에 의해 작동되어 통상의 마우스에서 단축메뉴버튼과 같은 기능을 하는 제2클릭버튼과, 상기 마우스 본체의 외측면에 배치되어 손가락의 누름에 의해 작동되고 마우스의 CPI(Counts Per Inch)를 전환시키는 모드선택버튼을 포함하는 버튼부;와 상기 광학위치감지센서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여 마우스의 이동방향 및 이동거리를 판독하고, 상기 버튼부의 작동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상기 광학위치감지센서 또는 컴퓨터 본체로 송신하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모드선택버튼을 구비한 펜 마우스 {PEN-TYPE MOUSE HAVING MODE-SELECTION BUTTON}
본 고안은 펜형 광 마우스에에 관한 것으로, 발광소자로부터 조사되고 바닥면에서 반사된 빛을 광학위치감지센서에서 수광하고 이를 마이컴에서 판독하여 마우스의 이동에 따른 커서의 이동을 제어하는 펜 형상의 마우스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마우스 본체의 외측면에 모드선택버튼을 구비하여 마우스 작업 중에 간단하게 CPI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한 펜 마우스에 관한 것이다.
마우스는 모니터 상의 커서를 이동시키고, 키보드와 함께 컴퓨터 입력 장치로 사용된다. 종래의 통상적인 마우스는 반구형의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손가락이 위치하는 부분에는 여러 가지 기능설정 버튼이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통상적인 마우스는 구조상 장시간 사용시 손목 등에 무리를 주고, 글을 쓰거나 서명을 하거나 그림을 그리는 등의 그래픽 작업을 할 때에는 커서의 미세한 제어가 곤란하여 정밀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펜 마우스이다. 다양한 종류의 펜 마우스가 이미 공지되어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국내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04-0032477(2004.04.17) '광학 펜 마우스', 국내공개특허 공개번호 특2001-0067896(2001.07.13) '펜형 광 마우스 장치'등이 있다.
마우스를 이용한 컴퓨터 작업을 할 경우에는 마우스의 CPI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럼에도 상기한 종래기술뿐만 아니라 통상의 마우스에서도 작업 중에 간단하게 마우스의 CPI를 전환시키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마우스에 존재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CPI란 'Counts Per Inch'를 의미한다. 즉, 마우스가 1인치 동작범위 내에서 이동했을 경우 센서가 얼마나 세밀하게 상기 마우스의 움직이는 신호를 감지하는가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400 CPI'란 마우스가 1/400 인치를 움직이면 센서가 이것을 검출해서, 즉 1인치에 400번 검출, 실제 마우스가 동작함을 컴퓨터로 알려주는 것이다.
CPI의 차이는 마우스를 동일 거리 이동시켰을 때 컴퓨터 모니터 상에서 커서의 이동거리의 차이로 나타난다. 따라서, 컴퓨터 작업시에 작업내용이 단순히 커서를 움직이고 클릭을 하는 경우에는 마우스의 CPI를 800정도로 하여 커서의 이동을 빠르게 하는 것이 효율적이나, 마우스를 이용하여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리는 등의 정밀한 그래픽 작업시에는 CPI를 400정도로 하여 커서의 이동을 느리게 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종래에는 이와 같이 마우스의 작업 내용에 따라 CPI가 중요한 역할을 함에도 이를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마우스 사용자가 직접 컴퓨터의 제어판에 접속하여 CPI를 변경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일부 사용자는 변경하는 것이 귀찮아서 중간범위의 CPI(600정도)를 설정해 놓고 마우스 작업을 하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종래의 펜 마우스의 경우 클릭버튼이 본체의 좌우 양 측면 중에서 한쪽에만 설치되어 있어, 그것도 오른손잡이를 위주로 엄지손가락이 위치하는 측면에 설치되어 있어, 왼손잡이의 경우 검지손가락으로 클릭버튼을 누르기가 상당히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펜 마우스를 보면 마우스에서 스크롤 기능을 하는 휠이 본체의 상부에 돌출되어 설치된 것이 일반적이다. 이렇게 돌출되게 설치되는 경우 휠이 파손되기 쉽고, 사용하려면 검지손가락을 휠이 돌출된 높이만큼 들어 휠을 회전시켜야 하므로 그 이용이 상당히 불편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펜 마우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마우스 사용자가 작업도중에 일일이 CPI를 변경하기 위해 컴퓨터의 제어판에 접속함이 없이 마우스 본체에 설치된 버튼을 누름으로서 간단히 변경할 수 있도록 하며,
클릭버튼을 마우스 본체의 좌우 양 측면에 모두 설치함으로서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이 오른손/왼손 구분 없이 클릭버튼을 누르기가 편리하게 하며,
커서를 상하로 움직이는 휠을 업/다운 방식의 버튼으로 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하고자 함이 본 고안의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마우스 본체;와 상기 마우스 본체의 일 단부에 일체로 연결된 팁 커버와, 상기 팁 커버의 내부에 배치되어 일부는 외부에 노출된 팁을 포함하는 팁부;와 상기 팁 커버의 내부에 배치되어 바닥면에 빛을 조사하는 발광소자와, 상기 팁 커버의 내부에 배치되어 바닥면에서 반사되는 빛을 집속하고 집속된 빛의 경로를 변경하는 광경통을 포함하는 조명부;와 상기 마우스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광경통을 통하여 입사되는 빛을 감지하고 이를 설정된 CPI에 따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광학위치감지센서;와 상기 마우스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팁의 누름에 의해 작동되어 통상의 마우스에서 실행버튼과 같은 기능을 하는 제1클릭버튼과, 파지시 손가락이 접촉되는 상기 마우스 본체의 외측면에 배치되어 손가락의 누름에 의해 작동되어 통상의 마우스에서 단축메뉴버튼과 같은 기능을 하는 제2클릭버튼과, 상기 마우스 본체의 외측면에 배치되어 손가락의 누름에 의해 작동되고 마우스의 CPI(Counts Per Inch)를 전환시키는 모드선택버튼을 포함하는 버튼부;와 상기 광학위치감지센서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여 마우스의 이동방향 및 이동거리를 판독하고, 상기 버튼부의 작동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상기 광학위치감지센서 또는 컴퓨터 본체로 송신하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클릭버튼 및 상기 모드선택버튼은 마우스 본체의 외측면에 대향되는 외측면에도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에 따른 위에서 본 내부 단면도이다. 도3 및 도4는 도1에 따른 좌우측에서 바라본 내부 단면도이다.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펜 마우스는 마우스 본체(10), 팁(21), 팁커버(20), 제1클릭버튼(41), 제2클릭버튼(42), 모드선택버튼(44), 휠버튼(43), 발광소자(31), 광경통(32), 광학위치감지센서(50), 마이컴(60) 및 컴퓨터 본체와 연결되는 케이블(7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알 수 있다.
도1을 참조하면, 상기 마우스 본체(10)와 이에 일체로 연결된 팁커버(20)는 그 모습이 펜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펜 형상을 함으로서 장시간 사용에도 손목에 무리가 가지 않으며, 정밀한 그래픽 작업이나 글을 쓸 때 사용자가 원하는 표현을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팁(21)은 팁커버(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일부는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특히 외부에 노출된 부분은 통상적인 펜촉과 같은 형상을 하여 사용자가 실제로 펜으로 작업하는 것과 같이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팁(21)은 눌림에 의해 마우스 본체방향으로 움직임이 가능한데, 이에 대해서는 제1클릭버튼(41)의 설명부분에서 함께 설명하겠다.
상기 발광소자(31)와 광경통(32)은 마우스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2를 참조하면, 상기 발광소자(31)는 PCB기판(80)에 부착되어 팁커버(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광경통(32)은 광학위치감지센서(50)에 연결되어 팁커버(20) 및 본체(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31)는 적색광을 발산하는 LED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나, 적외선 LED 소자 등이 사용되기도 한다. 상기 광통경(32)은 빛을 집속하여 광학위치감지센서(50)로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도5는 발광소자(31)에서 방출된 빛이 광학위치감지센서(50)에 도달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발광소자(31)에서 방출된 빛은 바닥면(90)에서 반사되고, 반사된 빛은 광경통(32)의 렌즈(32a)에서 집속되고 반사경(32b)에서 경로가 변경되어 광학위치감지센서(50)에 입사된다.
상기 광학위치감지센서(50)는 광경통(32)을 통하여 바닥면(90)에서 반사된 빛을 입력받아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켜 마이컴(60)에 송신한다. 이 때, 상기 광학위치감지센서(50)는 빛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함에 있어서, 모드선택버튼의 신호를 수신한 마이컴(60)의 명령에 의해 전환되어 설정된 CPI에 따라 전기적 신호의 density를 조절(변경)하여 마이컴으로 송신하게 된다.
도2를 참조하면, 상기 광학위치감지센서(50)는 PCB기판(80)에 부착되어 마우스 본체(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광학위치감지센서(50)는 CMOS나 CCD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데, CMOS를 사용할 경우 마이컴(60)과 함께 하나의 칩으로 패키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참고로, 광학마우스에 주로 사용되는 광학위치감지센서(50)는 미국 Agilent사에서 공급하는 ADNS-2051 등이 있다.
상기 마이컴(60)은 광학위치감지센서(50)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마우스의 이동방향 및 이동거리를 판독하며, 상기 각 버튼들의 작동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마우스 본체(10)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케이블(70)을 통해 컴퓨터 본체에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마이컴(60)의 컴퓨터 본체에 정보송신은 무선송신에 의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마이컴(60)이 모드선택버튼(44)의 작동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이를 광학위치감지센서(50)에 송신하여 마우스의 CPI를 전환시키도록 한다. 도2를 참조하면 상기 마이컴(60)은 PCB기판(80)에 부착되어 마우스 본체(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제1클릭버튼(41), 제2클릭버튼(42), 휠버튼(43)은 통상의 마우스의 버튼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모드선택버튼(44)은 마우스의 CPI를 전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제1클릭버튼(41)은 아이콘 등을 선택하고 실행명령을 하는 실행버튼(통상 마우스의 왼쪽버튼), 제2클릭버튼(42)은 팝업메뉴 창이 뜨게 하는 단축메뉴버튼(통상 마우스의 오른쪽버튼), 휠버튼(43)은 커서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휠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1클릭버튼(41)은 PCB기판(80)에 부착되어 상기 팁(21)의 단부(21a)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제1클릭버튼(41)은 상기 팁(21)을 바닥면(90)에 대고 눌렀을 때 마우스 본체(10) 안쪽으로 이동되는 상기 팁의 단부(21a)에 눌림으로서 작동되며, 누르는 힘이 제거되었을 때에는 탄성력으로 복원되어 작동이 중단된다.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클릭버튼(41)이 복원될 때에는 상기 팁(21)도 이와 연동하여 바닥면에 눌리기 전의 상태로 복원된다. 참고로, 위와 같은 눌림과 탄성력에 의한 복원에 따른 작동 방식은 다른 버튼(42,43,44)에서도 동일하다.
참고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마우스 본체(10)의 외측면에도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제1클릭버튼(41)을 배치하여 상기 팁(21)을 이용하지 않고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버튼을 눌러 작동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우스를 이용하여 문자나 그림 등을 그리는 작업을 할 경우에는 마우스의 CPI(Counts Per Inch)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CPI는 마우스의 움직임을 얼마나 세밀하게 감지하여 표시하는가를 나타내는 것이다. 예를 들어, 400 CPI는 마우스가 1/400인치 움직이면 컴퓨터가 마우스의 움직임을 감지함을 의미하며, 800 CPI는 마우스가 1/800인치 움직이면 컴퓨터가 마우스의 움직임을 감지함을 의미한다. 즉, 마우스가 동일한 거리를 이동했을 경우 모니터 상에서 커서의 이동 거리는 800 CPI에서 더 길다. 따라서 주로 손목을 이용하여 마우스를 사용하는 상황에서 마우스의 이동범위는 좁을 수밖에 없는데, 단순히 커서를 이동하고 클릭만 하는 경우에는 CPI가 높아야 약간의 마우스 이동으로도 모니터 상의 커서를 멀리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효과적이나, 정밀한 그래픽 작업에서는 CPI가 낮아야 커서의 세밀한 제어가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그래픽이 보다 세밀하게 표현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 단순 작업의 경우에는 800 CPI 정도로 설정하고, 그래픽 작업에서는 400 CPI 정도로 설정하여 마우스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위와 같이 마우스의 CPI는 작업 내용에 따라 변경되어 사용되어야 작업이 효율적인데, 종래에는 CPI를 변경하기 위해서 일일이 컴퓨터의 제어판에 접속하여야 했다. 본 고안의 모드선택버튼(44)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마우스 사용 중 CPI를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간단하게 마우스 본체(10)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모드선택버튼(44)을 누름으로서 마이컴(60)을 통해 광학위치감지센서(50)에 설정되어 있는 CPI를 원하는 CPI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위치감지센서(50)에 설정된 CPI가 800 또는 400이고 현재 사용 중인 CPI가 400이라면, 상기 모드선택버튼(44)을 누르면 800 CPI로 전환되며 다시 누르면 400 CPI로 전환된다. 이는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므로 상기 모드선택버튼을 누름에 따라 800, 500, 400, 300으로 차례로 변경되게 설정하는 것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참고로, CPI의 높낮이는 사용자가 컴퓨터의 제어판에 접속하여 변경하는 것도 가능함은 당연하나 이럴 경우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하므로 매우 불편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인 펜 마우스뿐만 아니라 통상의 마우스에도 모드선택버튼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7은 본고안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광학위치감지센서(50)에는 발광소자(31)와 광경통(32)이 연결되어 있고, 마이컴(60)에는 각 버튼들(41,42,43,44)과 광학위치감지센서(50)가 연결되고 컴퓨터 본체에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USB가 연결되어 있다. 참고로 상기 광경통(32)은 상기 광학위치감지센서(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도7을 참조하여 마우스의 CPI가 전환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CPI를 전환하기 위해 모드선택버튼(44)을 누르면 마이컴(60)이 이를 수신하여 이에 해당되는 명령을 광학위치감지센서(50)에 전달하고, 광학위치감지센서(50)는 상기 명령에 의해 CPI를 전환하여 광경통(32)으로부터 입사되는 빛(광학 이미지)을 전환되어 설정된 CPI로 읽어서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켜 마이컴(60)에 전달한다.
상기 휠버튼(43)은 커서를 상하로 움직이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PCB기판(80)에 부착되어 마우스 본체(10)의 하부상면에 배치되어 있다. 도3을 참조하면, 상기 휠버튼(43)은 UP/DOWN 방식으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손으로 휠버튼(43)의 앞쪽을 누르면 커서가 모니터 상에서 위로 움직이고, 뒤쪽을 누르면 커서가 모니터 상에서 아래로 움직인다. 또한, 누르는 힘이 제거되면 탄성력에 이해 원상태로 복원된다.
도6은 마우스 본체(10)의 외측면과 이와 대향되는 마우스 본체의 외측면에 상기 제2클릭버튼(42) 및 모드선택버튼(44)을 배치하기 위해 PCB기판(80)에 부착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6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에는 버튼의 다리가 버튼의 아랫면에서 시작하여 기판을 관통하여 솔더링되므로, 대향되는 위치에 다른 버튼을 솔더링하는 것이 불가능했다. 도6b는 본 고안에 관한 것으로 기판의 다리가 버튼의 양 측면에서 나와 기판에 관통되지 아니하고 솔더링되므로, 대향되는 위치에 다른 버튼을 솔더링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펜 마우스는,
첫째, 마우스 본체의 외측면에 배치되어 있는 모드선택버튼을 손으로 눌러 직접 마우스 CPI를 작업내용에 맞게 신속하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둘째, 클릭버튼 및 모드선택버튼을 마우스 본체의 좌우 양 측면에 모두 배치하여 마우스를 파지하는 손이 오른손이든 왼손이든 상관없이 용이하게 누를 수 있게 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한다.
셋째, 마우스 본체에 돌출되어 설치되는 기존의 휠 대신 UP/DOWN 방식의 버튼을 설치하여, 휠이 파손될 염려가 없고 사용자가 좀 더 편리하게 스크롤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펜 마우스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도1을 위에서 내려다본 내부 단면도.
도 3은 도1을 좌측에서 바라본 내부 단면도.
도 4는 도1을 우측에서 바라본 내부 단면도.
도 5는 발광소자에서 방출된 빛이 광경통을 통하여 광학위치감지센서에 입사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동일한 버튼이 마우스 본체의 양측 측면에 대향되게 배치하기 위해 PCB기판에 솔더링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고안에 따른 개략적인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20 : 팁커버 21 : 팁
31 : 발광소자 32 : 광경통 41 : 제1클릭버튼
42 : 제2클릭버튼 43 : 휠버튼 44 : 모드선택버튼
50 : 광학위치감지센서 60 : 마이컴 70 : 케이블
80 : PCB기판 90 : 바닥면

Claims (4)

  1. 마우스 본체;
    상기 마우스 본체의 일 단부에 일체로 연결된 팁 커버와, 상기 팁 커버의 내부에 배치되어 일부는 외부에 노출된 팁을 포함하는 팁부;
    상기 팁 커버의 내부에 배치되어 바닥면에 빛을 조사하는 발광소자와, 상기 팁 커버의 내부에 배치되어 바닥면에서 반사되는 빛을 집속하고 집속된 빛의 경로를 변경하는 광경통을 포함하는 조명부;
    상기 마우스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광경통을 통하여 입사되는 빛을 감지하고 이를 설정된 CPI(Counts Per Inch)에 따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광학위치감지센서;
    상기 마우스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팁의 누름에 의해 작동되어 통상의 마우스에서 실행버튼과 같은 기능을 하는 제1클릭버튼과, 파지시 손가락이 접촉되는 상기 마우스 본체의 외측면에 배치되어 손가락의 누름에 의해 작동되어 통상의 마우스에서 단축메뉴버튼과 같은 기능을 하는 제2클릭버튼과, 상기 마우스 본체의 외측면에 배치되어 손가락의 누름에 의해 작동되고 마우스의 CPI(Counts Per Inch)를 전환시키는 모드선택버튼을 포함하는 버튼부;
    상기 광학위치감지센서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여 마우스의 이동방향 및 이동거리를 판독하고, 상기 버튼부의 작동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상기 광학위치감지센서 또는 컴퓨터 본체로 송신하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모드선택버튼을 구비한 펜 마우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클릭버튼 및 상기 모드선택버튼은 상기 외측면과 대향되는 외측면에도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선택버튼을 구비한 펜 마우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에는 파지시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본체의 하부상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모니터 상의 커서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휠버튼이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선택버튼을 구비한 펜 마우스.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클릭버튼은 상기 마우스 본체의 내부뿐만 아니라 외측면에도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선택버튼을 구비한 펜 마우스.
KR20-2005-0007332U 2005-03-18 2005-03-18 모드선택버튼을 구비한 펜 마우스 KR2003855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332U KR200385582Y1 (ko) 2005-03-18 2005-03-18 모드선택버튼을 구비한 펜 마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332U KR200385582Y1 (ko) 2005-03-18 2005-03-18 모드선택버튼을 구비한 펜 마우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5582Y1 true KR200385582Y1 (ko) 2005-05-31

Family

ID=43687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7332U KR200385582Y1 (ko) 2005-03-18 2005-03-18 모드선택버튼을 구비한 펜 마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558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441B1 (ko) * 2011-11-16 2015-02-10 (주)파트론 마우스 기능을 갖는 휴대용 입력 장치
CN113360008A (zh) * 2020-03-05 2021-09-07 群光电子股份有限公司 鼠标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441B1 (ko) * 2011-11-16 2015-02-10 (주)파트론 마우스 기능을 갖는 휴대용 입력 장치
CN113360008A (zh) * 2020-03-05 2021-09-07 群光电子股份有限公司 鼠标
CN113360008B (zh) * 2020-03-05 2024-05-10 群光电子股份有限公司 鼠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00575B2 (ja) ペン型光マウス
US7358963B2 (en) Mouse having an optically-based scrolling feature
JPH09251347A (ja) 座標入力装置
SK500772010U1 (sk) Ceruzkový vstupný periférny ovládač počítača
WO2005033923A1 (en) A pen-type mouse apparatus
GB2383128A (en) Optical pointing device with a transparent removable panel
US20090225028A1 (en) Point and click device for computer
KR200385582Y1 (ko) 모드선택버튼을 구비한 펜 마우스
JP2007257448A (ja) マウス一体型レーザーポインター
US20230418397A1 (en) Mouse input function for pen-shaped writing, reading or pointing devices
CN113434048B (zh) 多功能输入设备及其工作模式切换方法、切换装置
KR100532929B1 (ko) 광학 펜 마우스
KR20080070786A (ko) 자동 스크롤 광학 펜형 마우스
KR20090073279A (ko) 모드 펜 마우스
KR20020024265A (ko) 펜 타입 광마우스
US6128005A (en) Mouse operable in narrow space without lifting
CN101751146A (zh) 笔记本电脑的笔形鼠标
KR100495686B1 (ko) 광마우스
US20150378454A1 (en) Mouse device with prompting function
KR20040009310A (ko) 펜형 마우스 및 이를 이용한 문자체 보정방법
KR200361529Y1 (ko) 키패드마우스
JP2000132327A (ja) ペン型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KR20080038480A (ko) 광학 펜 마우스
CN201540536U (zh) 电脑输入装置
KR19990003642U (ko) 펜타입의 마우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2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