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5293Y1 - 공기조화기의 배수 트랩 구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배수 트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5293Y1
KR200385293Y1 KR20-2005-0007315U KR20050007315U KR200385293Y1 KR 200385293 Y1 KR200385293 Y1 KR 200385293Y1 KR 20050007315 U KR20050007315 U KR 20050007315U KR 200385293 Y1 KR200385293 Y1 KR 2003852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drain
vertical
air conditioner
drai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73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봉섭
김종남
Original Assignee
씨에이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에이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씨에이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20-2005-00073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52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52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52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5/00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 F16L15/001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with conical threads
    • F16L15/002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with conical threads with more then one threaded 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5/00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 F16L15/001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with conical threads
    • F16L15/003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with conical threads with seal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7Condensate pipe for drainage of condensate from the evapo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의 냉방운전이나 제습운전시 공기가 증발기에서 냉각되면서 노점 현상에 의하여 응결된 물이나, 온수 또는 스팀 히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에서 운전 중단시 온수 코일 또는 스팀 코일로 부터 배출한 물을 역류 없이 외부에 배출하면서 동시에 배수구를 통하여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배수 트랩에 관한 것으로, 공기조화기의 하우징 바닥에 형성된 배수구에 그 수평부 선단이 연결된 ┏ 자 형상의 배수관; 상기 배수관의 수직부 선단이 일단 내측에 밀착되어 삽입되고, 상기 배수관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배수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물을 저장하며,선단 외측에는 수나사가 형성된 ∪자 형상의 저수관; 수직부 일단이 상기 저수관의 타단 내측에 밀착되어 삽입되고, 수평부의 높이는 상기 배수관의 높이 보다 항상 더 낮게 배치되는 ∩자 형상의 범람관; 상기 범람관의 수직부 타단을 수직부 선단 내측에 수용하고, 수평부는 상기 저수관의 수평부보다 항상 더 낮게 배치되며, 수직부 선단 외측에는 수나사가 형성된 ┛자 형상의 방출관; 상부에는 상기 배수관의 수직부 선단 및 범람관의 수직부 선단이 삽입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관통공 하부에는 패킹 수납부가 마련되며, 상기 패킹 수납부 하부에는 상기 저수관 및 방출관 선단의 수나사에 체결되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배수관과 저수관, 상기 저수관과 범람관 및 상기 범람관과 방출관을 연결하는 체결너트; 및 상기 패킹 수납부에 구비되어 연결부위에서의 기밀을 유지하게 하는 패킹;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배수 트랩 구조{STRUCTURE OF DRAIN TRAP FOR AIR-CONDITIONER}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의 배수 트랩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공기조화기의 냉방운전이나 제습운전시 공기가 증발기에서 냉각되면서 노점 현상에 의하여 응결된 물이나, 온수 또는 스팀 히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에서 운전 중단시 온수 코일 또는 스팀 코일로 부터 배출한 물을 역류 없이 외부에 배출하면서 동시에 배수구를 통하여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배수 트랩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 및 제습 운전시에는 냉매를 순환시키면서 증발기에서 통과하는 잠열을 뺏게 되는데, 이 때 증발기 주변의 포화 수증기압이 낮아져 공기 중의 수증기가 액화되는 노점 현상이 발생한다. 노점 현상에 의하여 생성된 응결수는 드레인팬(drain pan)에 모아 배수구(drain)을 통하여 배출하거나 공기조화기 하우징 바닥에 모아 배수구를 통하여 배출한다.
본 고안은 상기 공기조화기의 배수구로 부터 하수구까지 응결수를 안내하여 역류 없이 배출하면서 동시에 배수구를 통하여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배수 트랩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공기조화기의 배수는 호스를 연결하거나 단순히 파이프를 연결하는 방법으로도 이루어 졌으나, 이러한 방법이 하수구의 물을 공기정화기 내부로 역류시킬 위험이 있고, 하수구의 냄새 등을 배수구를 통하여 공기정화기 내부에 유입시킬 가능성이 있으므로, 다양한 형태의 공기조화기용 배수 트랩이 개발되었다.
그 예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96842호 고안에 기재되어 있다. 등록번호 제20-0296842호 명세서의 도 1에는 종래의 배수 트랩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 의하면 실내기에 연결되는 드레인 인렛관(3)과, 이 드레인 인렛관의 일단이 연결되어 일정량의 응축수를 항상 채워두는 트랩용기(4)와, 이 트랩용기 안에 채워진 일정수위 이상의 응축수를 안내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드레인 아웃렛관(5)으로 구성된 배수 트랩이 공지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제20-0296842호 고안은 이러한 구조의 공지 배수 트랩을 개선하고자 한 것으로, 실내기의 하부 물받이 부분과 일단이 연결되어 응축수가 통과하는 드레인 인렛관과, 이 드레인 인렛관의 타단과 연결되어 실내기로 부터 발생된 응축수를 채우는 트랩용기와, 이 트랩용기의 측면부분과 연결되어 응축수가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드레인 아웃렛관으로 구성된 공조기의 워터트랩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인렛관과 트랩용기 사이에슨 일정량의 응축수를 채울 수 있는 U자형관이 구비되고, 상기 트랩용기 안에는 응축수 역류방지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의 워터트랩(배수트랩)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응축수 역류방지수단은 상기 트랩용기의 바닥으로부터 일정높이로 돌출되어 일정량의 응축수를 채우는 돌출관과, 이 돌출관의 상부에 위치하여 응축수의 흐름을 조절하는 수밀체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돌출관의 입구부분은 원 형태로 형성한 후 그 위에 구형체의 수밀체를 올려 놓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번호 제20-0296842호 고안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어 그 개선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우선, 구조적으로 매우 복잡하여 그 제작이 곤란하고 배수 트랩을 위한 제작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등록번호 제20-0296842호 고안은 프라스틱 사출 부품 또는 주물 부품이 들어 가야하므로 단순한 배관 가공만으로는 제작이 불가능하다.
다음, 배수 트랩은 공기조화기의 설치 장소 마다 공기조화기의 하우징 바닥과 하수구 사이의 높이가 다르기 때문에, 설치 중에 즉시 응축수 저수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등록번호 제20-0296842호에 의하면, 응축수 저장관의 높이 조절을 위하여 드레인 인렛관을 절단하여야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공기조화기의 설치를 어렵게 하고, 설치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고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배수 트랩은 간단한 구조로 응축수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고, 단순한 배관 가공만으로도 제작이 가능한 공기조화기의 배수 트랩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공기조화기의 설치 장소에 따라 배관의 절단 작업 등을 할 필요 없이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응축수 저수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배수 트랩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종래 기술이 갖는 단점을 해결하고자 안출 된 본 고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배수 트랩은
공기조화기의 하우징 바닥에 형성된 배수구에 그 수평부 선단이 연결된 ┏ 자 형상의 배수관;
상기 배수관의 수직부 선단이 일단 내측에 밀착되어 삽입되고, 상기 배수관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배수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물을 저장하며,선단 외측에는 수나사가 형성된 ∪자 형상의 저수관;
수직부 일단이 상기 저수관의 타단 내측에 밀착되어 삽입되고, 수평부의 높이는 상기 배수관의 높이 보다 항상 더 낮게 배치되는 ∩자 형상의 범람관;
상기 범람관의 수직부 타단을 수직부 선단 내측에 수용하고, 수평부는 상기 저수관의 수평부보다 항상 더 낮게 배치되며, 수직부 선단 외측에는 수나사가 형성된 ┛자 형상의 방출관;
상부에는 상기 배수관의 수직부 선단 및 범람관의 수직부 선단이 삽입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관통공 하부에는 패킹 수납부가 마련되며, 상기 패킹 수납부 하부에는 상기 저수관 및 방출관 선단의 수나사에 체결되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배수관과 저수관, 상기 저수관과 범람관 및 상기 범람관과 방출관을 연결하는 체결너트; 및
상기 패킹 수납부에 구비되어 연결부위에서의 기밀을 유지하게 하는 패킹;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배수 트랩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 트랩이 설치된 공기조화기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 트랩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2에는 온수 히터 또는 스팀 히터를 갖는 공기조화기의 구성 요소 가운데, 압축기, 실외기, 송풍기, 보일러 등은 제외하고, 다리(3)를 갖는 하우징(1)의 일부, 증발기(7), 재열콘덴서(9), 온수 또는 스팀 방열기(11) 및 본 고안에 따른 배수 트랩만을 도시하였다. 부호 15는 온수 또는 스팀의 입력관이고, 부호 17은 온수 또는 스팀의 출력관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의 하우징 바닥에는 증발기(7), 재열콘덴서(9),방열기(11) 등이 바닥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데, 냉방 또는 제습 운전 중 상기 증발기(7)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는 바닥에 별도로 드레인 팬이 구비된 경우에는 드레인 팬에 고이고, 도 1 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드레인 팬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하우징 바닥(5)에 고인다. 하우징 바닥(5) 또는 드레인 팬에는 고인 응축수를 하수구로 배출하기 위하여 배수구(2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수구(20) 외측으로는 배수 트랩을 나사 체결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내부에 나사가 형성된 너트관(19)이 부착된다.
본 고안에 따른 배수 트랩은 상기 너트관(19)에 체결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배수 트랩은 절곡된 배관(21, 27, 29, 31)과 각 배관을 기밀을 유지한 상태로 연결하는 체결너트(23)만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각 배관 (21, 27, 29, 31)은 수평부와 수직부를 갖는다. 또한 상부에 배치되는 배관(21, 29)의 수직부는 하부에 배치되는 배관(27, 29)의 수직부 내경에 밀어서 삽입될 수 있는 직경을 갖는다.
공기조화기의 하우징 바닥에 형성된 배수구(20)에는 ┏ 자 형상의 배수관(21)을 연결하되, 수직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연결한다. 상기 배수관(21)은 그 하방에 구비된 ∪자 형상의 저수관(27))에 연결되는데, 이 때 상기 배수관(21)의 수직부 선단이 상기 저수관(27)의 일단 내측에 밀착되어 삽입될 수 있게 가공하되, 그 삽입 깊이를 공기조화기의 설치자가 밀어서 조절할 수 있게, 배수관(21)의 외경과 저수관(27)의 내경 사이에 거의 공차가 없게 가공한다. 이렇게 연결된 저수관(27)의 수평부 높이는 배수관(21)의 수평부 높이 보다 낮아 질 수 밖에 없다. 그리고, 상기 저수관(27)의 선단 외측에는 상기 체결 나사와 결합되는 수나사(27a)를 형성한다.
상기 저수관(27)의 타단 내측에는 ∩자 형상을 갖는 범람관(29)의 수직부가 삽입되고, 그 범람관(29)의 수평부의 높이는 상기 배수관(21)의 높이 보다 항상 더 낮게 조절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저수관(27)에는 항상 일정한 높이까지 응축수가 저장되지만 하우징 바닥(5)으로 역류하는 일이 없게 된다. 또한, 저장된 응축수에 의하여 하수구의 악취가 공기조화기의 배수구(20) 내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범람관 수평부의 높이 조절을 위하여, 상기 범람관(29)의 수직부 선단이 상기 저수관(27)의 타단 내측에 밀착되어 삽입될 수 있게 가공하되, 그 삽입 깊이를 공기조화기의 설치자가 밀어서 조절할 수 있게, 범람관(29)의 외경과 저수관(27)의 내경 사이에 거의 공차가 없게 가공한다.
상기 범람관(29)의 수직부 타단은 ┛자 형상을 갖는 방출관(31)의 수직부 선단에 연결되고, 방출관(31)의 수평부는 하수구까지 연장된다. 이 때도 범람관 수평부의 높이 조절을 위하여, 상기 범람관(29)의 수직부 선단이 상기 방출관(31)의 타단 내측에 밀착되어 삽입될 수 있게 가공하되, 그 삽입 깊이를 공기조화기의 설치자가 밀어서 조절할 수 있게, 범람관(29)의 외경과 방출관(31)의 내경 사이에 거의 공차가 없게 가공한다. 방출관(31)의 수평부 높이는 저수관(27)의 수평부 높이 보다 낮게 하여야 효과적으로 응축수 역류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방출관(31) 수직부 선단 외측에는 상기 체결너트(23)에 결합되는 수나사(31a)를 형성한다.
상기 체결 너트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배수관(21)과 저수관(27), 상기 저수관(27)과 범람관(29) 및 상기 범람관(29)과 방출관(31)을 기밀을 유지하여 연결하는데, 이를 위해 상부에는 상기 배수관(21)의 수직부 선단 및 범람관(29)의 수직부 선단이 삽입될 수 있는 관통공(23a)이 형성되고, 관통공(23a) 하부에는 패킹 수납부(23c)가 마련되며, 상기 패킹 수납부(23c) 하부에는 상기 저수관(27) 및 방출관(31) 선단의 수나사(27a, 31a)에 체결되는 암나사(23b)가 형성된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상부관(21, 29)은 너트와 나사 체결되지 않고, 설치자는 저수관(27) 및 범람관(29)의 높이를 힘으로 밀어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기밀을 위하여 상기 패킹 수납부(23c)에는 패킹(25) 구비하되, 그 패킹(25) 구조는 T자형으로 성형하여, 패킹(25)의 하부는 상기 저수관(27) 내측에 밀착 삽입 되게 하고, 상부는 하부관(27, 31) 선단 외측으로 확장되게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로 응축수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고, 배관 가공만으로도 배수 트랩의 제작이 가능하여 배수 트랩의 제조 비용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조화기의 설치 장소에 따라 배관의 절단 작업 등을 할 필요 없이 간단한 조작만으로 응축수 저수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시공이 간편하고 빠른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 트랩이 설치된 공기조화기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 트랩의 분해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하우징 3 : 다리
5 : 하우징 바닥 7 : 증발기
9 : 재열콘덴서 11 : 방열기
15 : 입력관 17 : 출력관
19 : 너트관 21 : 배수관
23 : 체결너트 25 : 패킹
27 : 저수관 29 : 범람관
31 : 방출관

Claims (2)

  1. 공기조화기의 하우징 바닥에 형성된 배수구(20)에 그 수평부 선단이 연결된 ┏ 자 형상의 배수관(21);
    상기 배수관(21)의 수직부 선단이 일단 내측에 밀착되어 삽입되고, 상기 배수관(21)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배수관(21)을 통하여 배출되는 물을 저장하며,선단 외측에는 수나사(27a)가 형성된 ∪자 형상의 저수관(27);
    수직부 일단이 상기 저수관(27)의 타단 내측에 밀착되어 삽입되고, 수평부의 높이는 상기 배수관(21)의 높이 보다 항상 더 낮게 배치되는 ∩자 형상의 범람관(29);
    상기 범람관(29)의 수직부 타단을 수직부 선단 내측에 수용하고, 수평부는 상기 저수관(27)의 수평부보다 항상 더 낮게 배치되며, 수직부 선단 외측에는 수나사(31a)가 형성된 ┛자 형상의 방출관(31);
    상부에는 상기 배수관(21)의 수직부 선단 및 범람관(29)의 수직부 선단이 삽입될 수 있는 관통공(23a)이 형성되고, 관통공(23a) 하부에는 패킹 수납부(23c)가 마련되며, 상기 패킹 수납부(23c) 하부에는 상기 저수관(27) 및 방출관(31) 선단의 수나사(27a, 31a)에 체결되는 암나사(23b)가 형성되어 상기 배수관(21)과 저수관(27), 상기 저수관(27)과 범람관(29) 및 상기 범람관(29)과 방출관(31)을 연결하는 체결 너트(23); 및
    상기 패킹 수납부(23c)에 구비되어 연결부위에서의 기밀을 유지하게 하는 패킹(25);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배수 트랩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25)의 하부는 상기 저수관(27) 내측에 밀착되어 삽입되고, 상부는 외측으로 확장된 T자형 패킹인 것을 특징으로 공기조화기의 배수 트랩 구조.
KR20-2005-0007315U 2005-03-17 2005-03-17 공기조화기의 배수 트랩 구조 KR2003852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315U KR200385293Y1 (ko) 2005-03-17 2005-03-17 공기조화기의 배수 트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315U KR200385293Y1 (ko) 2005-03-17 2005-03-17 공기조화기의 배수 트랩 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2431A Division KR20050033064A (ko) 2005-03-17 2005-03-17 공기조화기의 배수 트랩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5293Y1 true KR200385293Y1 (ko) 2005-05-25

Family

ID=43686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7315U KR200385293Y1 (ko) 2005-03-17 2005-03-17 공기조화기의 배수 트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529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15697A (en) Condensate pan with minimal residual condensate
US5797426A (en) Check valve and trap assembly
KR101091580B1 (ko) 역류방지수단이 구비된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장치
WO2007086641A3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0441282Y1 (ko) 응축수의 비산을 방지하는 이동식 에어컨디셔너
JP6826465B2 (ja) 管継手、排水構造及び排水管接続部構造
AU2016213420A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KR200385293Y1 (ko) 공기조화기의 배수 트랩 구조
US10514196B2 (en) Condensate drain pan port
KR20050033064A (ko) 공기조화기의 배수 트랩 구조
US20180156471A1 (en) Water heater appliance
ES2407590B1 (es) Aparato refrigerador y válvula de desagüe para dicho aparato refrigerador
KR100487778B1 (ko) 공기조화기용 물받이구조
US11662119B2 (en) Packaged terminal air conditioner and wall sleeve therefor
CN109357323A (zh) 具有加湿功能的空调器
CN212612931U (zh) 防臭系统及建筑物
KR101371889B1 (ko) 에어컨의 응축수 누수 방지 장치
US11788767B2 (en) Bottom drain pan for packaged terminal air conditioner sleeve
KR100623921B1 (ko) 공기조화기용 배수트랩
KR200397304Y1 (ko)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역류방지장치
KR200402012Y1 (ko) 공기조화기용 배수트랩
CN216953485U (zh) 一种厨卫空调冷凝水处理装置
KR102396856B1 (ko) 천정형 에어컨용 열교환기 지지 브라켓
KR20000007087U (ko) 패키지 에어컨의 응축수 배출장치
KR100347948B1 (ko)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처리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