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4952Y1 - 지우개 털이장치 - Google Patents

지우개 털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4952Y1
KR200384952Y1 KR20-2004-0035842U KR20040035842U KR200384952Y1 KR 200384952 Y1 KR200384952 Y1 KR 200384952Y1 KR 20040035842 U KR20040035842 U KR 20040035842U KR 200384952 Y1 KR200384952 Y1 KR 2003849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raser
suction
hair
filt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58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옥영욱
Original Assignee
옥영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옥영욱 filed Critical 옥영욱
Priority to KR20-2004-00358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49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49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49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21/00Blackboard or slate cleaning devices
    • B43L21/02Blackboard or slate cleaning devices with means for absorbing the chalk dust

Landscapes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우개 털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우개 털이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용량 및 청소 등과 같은 유지관리상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지우개 털이장치를 구성함에 있어 몸체의 내부에 외부통체와 필터주머니 및 내부통체로 이루어진 필터부를 구비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지우개 털이장치를 구성함에 있어 내부에 복층으로 이루어진 필터부를 구비하므로서 흡입된 공기중의 먼지제거 효과가 극대화되며 청소와 같은 유지관리가 매우 용이한 것이다.

Description

지우개 털이장치{A blackboard eraser cleaner}
본 고안은 지우개 털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우개에 붙어 있는 분필가루의 흡입하여 걸러줄 수 있게 몸체 내부에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팬과 흡입되는 공기중의 분필가루를 걸러주는 필터부를 구비하여서 지우개에 붙어 있는 분필가루를 효율적으로 제거함과 더불어 분필가루를 효율적으로 걸러줄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삭제
삭제
일반적으로, 분필을 사용하여 필기가 이루어지는 칠판을 지울 때 사용하는 지우개는 그 사용에 있어 적정한 시점에 분필가루를 털어 제거하여 주지 않으면 칠판의 글씨를 지우는 과정에 많은 먼지가 발생하여 강의를 하는 선생님은 물로 학생들에게까지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지우개를 일정주기로 청소하지 않고 사용함에 따른 문제점에 따라 지우개의 분필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지우개 털이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었으나, 대부분이 그 크기가 작고 걸러진 분필가루의 처리가 용이하지 않으며, 일정시간만 사용하게 되면 그 용량이 초과하여 사용상에 많은 문제점이 있었었다.또한, 걸러진 분필가루의 청소과정에 있어 분필가루가 비산되어 청소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지우개 털이장치의 용량 및 청소 등과 같은 유지관리상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지우개 털이장치를 구성함에 있어 몸체의 내부에 복층으로 이루어져 청소가 용이하게 형성된 필터부를 구비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지우개 털이장치를 구성함에 있어 내부에 복층으로 이루어진 필터부를 구비하므로서 흡입된 공기중의 먼지제거 효과가 극대화되며 청소와 같은 유지관리가 매우 용이한 것이다.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지우개 털이 과정에 있어 흡입된 공기중 분필가루를 효율적으로 제거하며 청소 등과 같은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지우개 털이장치에 있어서, 전면에 도어(110)를 구비하고 내부에 일정체적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게 요입되며 흡입공을 형성한 털이부(120)와,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털이부(120)와 연통되게 구비되는 필터부(200)와, 상기 필터부(200)의 후면측에 구비되어 털이과정에 있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팬(300)과 상기 흡입팬(300)에 의하여 배기되는 공기가 배출되게 몸체(100)의 후면에 망체로 형성한 배기부(130) 및 상기 흡입팬(300)을 동작을 제어하는 조작부(400)로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필터부(200)는 몸체(100)의 바닥면에 형성한 슬라이딩 끼움홈(101)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돌기(211)를 하부 양측에 형성하며 후면측에 흡입팬(300)과 잠금장치에 의하여 연결되는 배기공(212)을 형성한 하부통체(210)와, 상기 하부통체(210)의 상부에 잠금장치에 의하여 결속되게 구비되며 털이부(120)와 흡입관(221)으로 연통되게 결합되는 상부뚜껑(220)과, 상기 하부통체(210)의 내부에 고정구비되며 상부가 개구되고 다수의 통기공이 천공형성된 관상의 외부망통(230)과, 상기 외부망통(230)의 내부에 끼워 결합되며 상측에 외부망통(230)의 상단에 끼움 결합되는 기밀패킹(241)을 구비한 필터주머니(240)와, 상기 필터주머니(240)의 내측에 끼워 결합되며 다수의 통기공이 천공형성되며 상단에 하부통체와 동일평면을 이루어 필터주머니(240)의 기밀패킹(241)과 밀착되는 밀폐판(251)을 구비하여 공기의 유동이 필터주머니(240)를 통하여만 흡입팬(300)으로 유입되게 하는 내부망통(250) 및 상기 내부망통(250)의 내측에 끼워 결합되는 내부주머니(260)로 구성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는 도 5 와 같이 털이부(120)의 흡입공과 흡입공 사이에 털이과정의 걸림에 의한 털이가 이루어지게 돌출형성하여 실시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지우개 털이장치에 있어서, 전면에 도어(110)를 구비하고 내부에 일정체적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게 요입되며 흡입공을 형성한 털이부(120)와,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털이부(120)와 연통되게 구비되는 필터부(200)와, 상기 필터부(200)의 후면측에 구비되어 털이과정에 있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팬(300)과 상기 흡입팬(300)에 의하여 배기되는 공기가 배출되게 몸체(100)의 후면에 망체로 형성한 배기부(130) 및 상기 흡입팬(300)을 동작을 제어하는 조작부(400)로 구성한 본 고안을 이용하여 지우개에 붙어 있는 분필을 흡입 제거하고자 할 경우에는 조작부(400)를 조작하여서 흡입팬(300)을 작동시킨 후 지우개를 몸체(100) 상부의 털이부(120)에서 전후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면 상기 흡입팬(300)의 흡인력에 의하여 상기 털이부(120)를 통하여 흡입되어서 흡입관(221)과 내부망통(250)을 통하여 유동되다가 필터주머니(240)에서 분필가루는 걸러지게 되고 깨끗한 공기만이 흡입팬(300)을 통하여 배기부(130)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필터주머니(240)에 걸러진 분필가루는 흡입팬(300)을 작동을 정지시키게 되면 내부망통(250)의 바닥으로 떨어져서 청소시 내부망통(250)을 비워주는 작업만으로도 청소가 용이하고 신속하며 깔끔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지우개 털이장치를 구성함에 있어 내부에 외부통체와 필터주머니 및 내부통체로 이루어진 필터부를 구비하므로서 흡입된 공기중의 먼지제거 효과가 극대화 되며 청소와 같은 유지관리가 매우 용이한 것이다.
삭제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측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부분 분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 필터부의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털이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몸체 101 : 끼움홈
110 : 도어 120 : 털이부 130 : 배기부
200 : 필터부
210 : 하부통체 211 : 끼움돌기 212 : 배기공
220 : 상부뚜껑 221 : 흡입관
230 : 외부망통
240 : 필터주머니 241: 기밀패킹
250 : 내부망통 251 : 밀폐판
260 : 내부주머니
300 : 흡입팬
400 : 조작부
삭제
삭제
삭제

Claims (3)

  1. 지우개 털이장치에 있어서;
    전면에 도어(110)를 구비하고 내부에 일정체적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게 요입되며 흡입공을 형성한 털이부(120)와,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털이부(120)와 연통되게 구비되는 필터부(200)와, 상기 필터부(200)의 후면측에 구비되어 털이과정에 있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팬(300)과 상기 흡입팬(300)에 의하여 배기되는 공기가 배출되게 몸체(100)의 후면에 망체로 형성한 배기부(130) 및 상기 흡입팬(300)을 동작을 제어하는 조작부(40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지우개 털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200)는 몸체(100)의 바닥면에 형성한 슬라이딩 끼움홈(101)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돌기(211)를 하부 양측에 형성하며 후면측에 흡입팬(300)과 잠금장치에 의하여 연결되는 배기공(212)을 형성한 하부통체(210)와, 상기 하부통체(210)의 상부에 잠금장치에 의하여 결속되게 구비되며 털이부(120)와 흡입관(221)으로 연통되게 결합되는 상부뚜껑(220)과, 상기 하부통체(210)의 내부에 고정구비되며 상부가 개구되고 다수의 통기공이 천공형성된 관상의 외부망통(230)과, 상기 외부망통(230)의 내부에 끼워 결합되며 상측에 외부망통(230)의 상단에 끼움 결합되는 기밀패킹(241)을 구비한 필터주머니(240)와, 상기 필터주머니(240)의 내측에 끼워 결합되며 다수의 통기공이 천공형성되며 상단에 하부통체와 동일평면을 이루어 필터주머니(240)의 기밀패킹(241)과 밀착되는 밀폐판(251)을 구비하여 공기의 유동이 필터주머니(240)를 통하여만 흡입팬(300)으로 유입되게 하는 내부망통(250) 및 상기 내부망통(250)의 내측에 끼워 결합되는 내부주머니(26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지우개 털이장치.
  3. 제 1 항 내지 제 2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털이부(120)의 흡입공과 흡입공 사이에 털이과정의 걸림에 의한 털이가 이루어지게 돌출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지우개 털이장치.
KR20-2004-0035842U 2004-12-16 2004-12-16 지우개 털이장치 KR2003849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842U KR200384952Y1 (ko) 2004-12-16 2004-12-16 지우개 털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842U KR200384952Y1 (ko) 2004-12-16 2004-12-16 지우개 털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4952Y1 true KR200384952Y1 (ko) 2005-05-24

Family

ID=43686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5842U KR200384952Y1 (ko) 2004-12-16 2004-12-16 지우개 털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495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53800B2 (en) Handheld vacuum cleaner
JP3960984B2 (ja) サイクロン集塵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真空掃除機
CN110069142B (zh) 一种数据处理中心
EP1674019A2 (en) Dust collection unit and vacuum cleaner with the same
JP2005040597A (ja) ロボット掃除機のホコリ収去筒及びこれを使用して集塵されたホコリを処理する方法
CN204274310U (zh) 窗刮机
KR100470558B1 (ko)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가지는 진공청소기
KR20040075573A (ko) 진공청소기용 집진통
US7442219B2 (en) Dust collection unit for vacuum cleaner
WO2015043116A1 (zh) 一种带污水循环利用的硬质表面清洁器
US9775483B2 (en) Vacuum cleaner having cyclonic separator
KR200384952Y1 (ko) 지우개 털이장치
CN114727736B (zh) 真空清洁器
CN103462565B (zh) 一种硬质表面清洁器
JP2019528830A (ja) 改良されたフィルタを有するスティック型真空掃除機
KR100544479B1 (ko) 로봇청소기의 먼지수거통, 및 이를 사용하여 집진된먼지를 처리하는 방법
CN101653344B (zh) 自动打开底盖的集尘桶
KR101007886B1 (ko) 칠판지우개
CN208371718U (zh) 一种表面清洁器
KR200407704Y1 (ko) 소형 진공청소기
CN104309377A (zh) 一种吸尘黑板擦
KR960000525A (ko) 소거 장치
KR100270513B1 (ko) 진공청소기의 배기바람 여과장치
KR101117917B1 (ko) 건타입 청소기
CN211280434U (zh) 一种环保型除尘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