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4616Y1 - 테두리 코너 힌지형 개폐구조를 갖는 다단식 종이필통 - Google Patents

테두리 코너 힌지형 개폐구조를 갖는 다단식 종이필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4616Y1
KR200384616Y1 KR20-2005-0004456U KR20050004456U KR200384616Y1 KR 200384616 Y1 KR200384616 Y1 KR 200384616Y1 KR 20050004456 U KR20050004456 U KR 20050004456U KR 200384616 Y1 KR200384616 Y1 KR 2003846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ge
storage box
corner
pencil case
o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44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준호
Original Assignee
배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준호 filed Critical 배준호
Priority to KR20-2005-00044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46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46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46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34Pencil boxes; Pencil etui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5Hinge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서랍장을 감싸는 테두리면의 테두리코너를 힌지로 하여 수납함을 개폐시키므로 별도의 힌지용 부속품을 부착할 필요가 없어 제조 공정이 단순해지고 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매끈한 필통 윤곽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하는 테두리 코너 힌지형 개폐구조를 갖는 다단식 종이필통에 관한 것으로, 복수개의 수납함이 내장되어 있는 종이재질의 다단식 필통에 있어서,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직사각면인 제1면, 제2면, 제3면, 제4면이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테두리면부와; 상기 네 개의 직사각면에 형성되어 있는 모서리부와; 상기 테두리면부 일면의 소정의 위치에 접합된 복수개의 수납함으로 구성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를 덮도록 개방된 하단부를 가진 커버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직사각면의 회전으로 복수개의 수납함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두리 코너 힌지형 개폐구조를 갖는 다단식 종이필통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테두리 코너 힌지형 개폐구조를 갖는 다단식 종이필통{A PENCIL CASE HAVING HINGE THAT IS CORNER OF FRAME }
본 고안은 내부에 필기구를 수납하는 공간이 구비되어 있는 복수개의 사각함체로 구성되는 테두리 코너 힌지형 개폐구조를 갖는 다단식 종이필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통은 연필, 볼펜 등의 필기구나 지우개, 칼, 수정 테이프, 포스트잇 등의 사무용품을 수납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필통은 재질로 구분할 때 철제, 합성수지재, 금속제, 목재, 석재, 천 재질로 제작되며, 하부가 밀폐되어 있고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원통, 각통(사각, 육각, 삼각의 실린더 형상의 통) 형상의 직립식 필기구 보관통 형식과, 커버 형상의 상단 케이싱 또는 하단 케이싱을 본체 케이싱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필갑 형식과, 천 재질로서 지퍼 등의 개폐 수단에 의해 촉감이 뛰어난 파우치 형식과, 필기구를 눕혀 보관하면서 힌지 작동에 의해 상단 케이싱을 하단 케이싱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접철식 형식과, 기타 슬라이드 개폐식, 자석 개폐식 등이 있다.
가장 기본적인 2단 필통의 형태는 단순히 종래 1단 필통의 수납체에 해당하는 하단 케이싱의 깊이를 증가시킨 후, 몸체는 하단 케이싱 내부로 삽입되고 테두리 하단이 하단 케이싱 상단에 걸려 선반의 역할을 하게 되는 중간 수납체와 뚜껑을 채용한 것으로서, 이러한 2단 필통은 하단 케이싱에 수납된 필기구를 사용하기 위해서 뚜껑을 연 후 하단 케이싱으로부터 상기 중간 수납체 전체를 꺼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중간 수납체의 테두리 둘레길이와 하단 케이싱의 상단 둘레길이의 수치적인 관계가 정확하지 않으면 하단 케이싱으로부터 중간 수납체가 너무 쉽게 이탈하거나 중간 수납체를 꺼내기 위해 많은 힘을 들여야 하므로 제조공정상의 정밀성이 요구된다.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싱(23)에 일측부가 힌지결합하는 뚜껑(2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뚜껑이 열리게 되면 함께 상부로 상승하게 되는 중간 수납체(22)가 구비된 2단 필통이 개발되어 뚜껑만을 여는 1단계의 과정만으로도 하부 케이싱(23)과 중간 수납체(22)에 수납된 필기구를 꺼낼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상기 중간 수납체(22)가 하부 케이싱(23)의 상부에 위치함으로써 하 부케이싱(23)의 수납공간을 원활히 사용함에 있어 다소 불편함이 따르게 되고, 중간 수납체(22)의 연결구조에 의해 필통의 구조가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반복적인 사용에 의해 연결구조가 손상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에 또 다른 종래기술은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이 결합되어 각각의 필기구 수납공간이 구비되며 사각함체의 형상을 하는 한 쌍의 상단필통과 하나의 하단필통이 2단으로 힌지 결합된 구조로서, 각 상단필통이 하단필통의 폭 방향 양측으로 각각 회전하여 젖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각각의 필통이 힌지 결합되기 위해 복잡한 부속품들이 부착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힌지 결합을 위한 부속품들이 견고하게 필통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필통이 철재와 같은 금속재질로 제조되어야 하므로 필통의 무게가 무거워지게 되고 이는 많은 책을 담은 가방을 메야 하는 학생들에게 부담이 되고 있다.
특히 사각함체의 형상은 직사각형으로 2~3cm의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고작 연필과 자 정도밖에 수용할 수 없으며 지우개를 비롯한 큰 부피를 차지하는 물품들은 수납할 수가 없다.
또한 하단 필통에 대한 한 쌍의 상단 필통들은 회전하여 젖혀지게 되므로 상단 필통안에 수납되어 있는 필기구들이 뒤집혀 정렬이 흐트러지게 되고 심하게는 마모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고안은 서랍장을 감싸는 테두리면부의 테두리코너를 힌지로 하여 수납함을 개폐시키는 테두리 코너 힌지형 개폐구조를 갖는 다단식 종이필통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테두리면부과 수납함으로 구성된 필통의 재질을 종이로 하는 테두리 코너 힌지형 개폐구조를 갖는 다단식 종이필통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테두리면부에 복수개의 상단이 개방된 수납함이 부착되어 있는 테두리 코너 힌지형 개폐구조를 갖는 다단식 종이필통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직사각형의 수납함 치수를 유연성 있게 변형하여 제작된 테두리 코너 힌지형 개폐구조를 갖는 다단식 종이필통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테두리면의 일측 모서리에 힌지형 덮개와, 덮개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수단을 갖는 테두리 코너 힌지형 개폐구조를 갖는 다단식 종이필통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은 복수개의 수납함이 내장되어 있는 종이재질의 다단식 필통에 있어서,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직사각면인 제1면, 제2면, 제3면, 제4면이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테두리면부와; 상기 네 개의 직사각면에 형성되어 있는 모서리부와; 상기 테두리면부 일면의 소정의 위치에 접합된 복수개의 수납함으로 구성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를 덮도록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 커버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직사각면의 회전으로 복수개의 수납함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두리 코너 힌지형 개폐구조를 갖는 다단식 종이필통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모서리부는, 상기 테두리면부의 양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개방모서리와;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이 일체로 연결되도록 접선되어 있는 모서리와; 상기 제2면과 상기 제3면이 일체로 연결되도록 접선되어 있으며, 상기 제2면과 상기 제3면이 서로 회전하여 상기 수납부를 개폐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는 힌지와; 상기 제3면과 상기 제4면이 일체로 연결되도록 접선되어 있는 모서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수납부는, 직사각형의 개방된 상단을 가지며, 상기 테두리면부의 하단모서리와 하단을 맞닿아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에 접착시키는 제1수납함과; 상기 제1수납함과 동일한 형상으로 상기 제1수납함의 상단모서리의 높이에 하단을 맞닿아 상기 제3면과 상기 제4면에 접착시키는 제2수납함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커버는, 일체로 고정되어 있는 상기 제3면, 상기 제4면, 상기 제2수납함이 일체로 상기 힌지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개방모서리가 상기 개방모서리와 맞닿게 되는 접힘 상태에서 상기 테두리면부의 개방된 상단을 덮는 뚜껑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수납부의 적층된 수납함의 높이는 상기 테두리면부의 높이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커버는, 접힘 상태의 상기 테두리면부의 개방된 상단을 모두 덮으며, 상기 테두리면부의 복수개의 직사각면 중 어느 하나의 상단 모서리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덮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복수개의 수납함이 내장되어 있는 종이재질의 다단식 필통에 있어서,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직사각면인 제1면, 제2면, 제3면, 제4면이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테두리면부와; 상기 네 개의 직사각면에 형성되어 있는 모서리부와; 상기 테두리면부 일면의 소정의 위치에 접합된 복수개의 수납함으로 구성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를 덮도록 개폐부를 형성한 커버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직사각면의 회전으로 복수개의 수납함이 개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모서리부는, 상기 테두리면부의 양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개방모서리와;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이 일체로 연결되도록 접선되어 있으며,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이 서로 회전하여 상기 수납부를 개폐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는 힌지와; 상기 제2면과 상기 제3면이 일체로 연결되도록 접선되어 있으며, 상기 제2면과 상기 제3면이 서로 회전하여 상기 수납부를 개폐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는 힌지와; 상기 제3면과 상기 제4면이 일체로 연결되도록 접선되어 있으며, 상기 제3면과 상기 제4면이 서로 회전하여 상기 수납부를 개폐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는 힌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수납부는, 직사각형의 개방된 상단과 접힘 상태의 테두리면부의 하단이 모두 덮히는 밑면을 가지며, 상기 테두리면부의 하단모서리와 하단을 맞닿아 상기 제1면에 접착시키는 제1수납함)과; 상기 제1수납함과 동일한 형상으로 상기 제1수납함의 상단모서리의 높이에 하단을 맞닿아 상기 제2면에 접착시키는 제2수납함과; 상기 제1수납함과 동일한 형상으로 상기 제2수납함의 상단모서리의 높이에 하단을 맞닿아 상기 제3면에 접착시키는 제3수납함과; 상기 제1수납함과 동일한 형상으로 상기 제3수납함의 상단모서리의 높이에 하단을 맞닿게 하고 상기 테두리면부의 상단모서리와 상단을 맞닿아 상기 제4면에 접착시키는 제4수납함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커버는, 상기 개방모서리가 상기 개방모서리와 맞닿게 되는 접힘 상태에서 상기 테두리면부의 개방된 상단을 덮는 뚜껑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수납부는, 직사각형의 개방된 상단과 접힘 상태의 테두리면부의 하단이 모두 덮히는 밑면을 가지며, 상기 테두리면부의 하단모서리와 하단을 맞닿아 상기 제1면에 접착시키는 제1수납함과; 상기 제1수납함의 1/2의 면적을 가지며, 상기 제1수납함의 상단모서리의 높이에 하단을 맞닿아 상기 제2면에 접착시키는 제2수납함과; 상기 제2수납함과 동일한 형상으로 상기 제2수납함의 상단모서리의 높이에 하단을 맞닿아 상기 제3면에 접착시키는 제3수납함과; 상기 제2수납함과 동일한 형상으로 상기 제3수납함의 상단모서리의 높이에 하단을 맞닿게 하고 상기 테두리면부의 상단모서리와 상단을 맞닿아 상기 제4면에 접착시키는 제4수납함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수납부의 적층된 복수개의 수납함의 높이는 상기 테두리면부의 높이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고안의 테두리 코너 힌지형 개폐구조를 갖는 다단식 종이필통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펼침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테두리 코너 힌지형 개폐구조를 갖는 다단식 종이필통을 도 3의 방향으로 회전하여 닫힘 상태에서 덮개를 씌우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고안의 테두리 코너 힌지형 개폐구조를 갖는 다단식 종이필통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펼침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테두리 코너 힌지형 개폐구조를 갖는 다단식 종이필통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펼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고안의 테두리 코너 힌지형 개폐구조를 갖는 다단식 종이필통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닫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본 고안의 테두리 코너 힌지형 개폐구조를 갖는 다단식 종이필통은 커버와 몸통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커버는 제1,2,3실시예에서의 뚜껑(40)이 이에 해당하는 것이며 제4실시예의 덮개(50)가 이에 해당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테두리 코너 힌지형 개폐구조를 갖는 다단식 종이필통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펼침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테두리 코너 힌지형 개폐구조를 갖는 다단식 종이필통은 수납부(30), 수납부(30)의 옆면과 접착되는 테두리면부(10), 상기 테두리면부(10)의 접힘 부위에 형성되는 힌지(23)를 포함한 모서리부(20)로 구성된다.
상기 수납부(30), 테두리면부(10), 힌지(23)는 모두 하드보드지와 같은 단단하고 균일한 두께를 가진 두꺼운 종이 재질로 제작되며 물과 습기에 약한 종이의 단점을 고려하여 겉표면을 코팅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납부(30)는 동일한 형태와 높이를 가지는 제1수납함(31)과 제2수납함(3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수납함(31)과 제2수납함(32)은 연필, 볼펜 등을 수납하는 통상의 필통 형태와 같이 긴 세로길이를 가지는 직사각형을 밑면으로 하고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옆면과 개방된 상단을 가진 형태이다.
상기 테두리면부(10)는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제1면(11), 제2면(12), 제3면(13), 제4면(14)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테두리면부(10)의 높이는 상기 제1수납함(31)과 제2수납함(32)의 높이를 합한 것과 같아야 한다.
상기 테두리면부(10)와 상기 수납부(3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이재질로 제작되었으므로 본드와 같은 접착제를 이용하면 쉽게 접착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면(11)과 상기 제2면(12)은 각각 상기 제1수납함(31)의 옆면을 감싸도록 접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3면(13)과 상기 제4면(14)은 상기 제2수납함(32)의 옆면을 감싸도록 접착되어 있다.
상기 테두리면부(10)를 구성하는 각각의 면을 연결하는 부위에는 모서리부(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모서리부(20)는 상기 테두리면부(10) 양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개방모서리(21, 25), 상기 제1면(11)과 제2면(12)이 만나는 접선인 모서리(22), 제2면(12)과 제3면(13)이 만나는 접선인 힌지(23), 제3면과 제4면(14)이 만나는 접선인 모서리(2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수납함(31)에 접착된 상기 제1면(11) 및 상기 제2면(12)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상기 모서리(22)와 상기 제2수납함(32)에 접착된 상기 제3면(13) 및 상기 제4면(14)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모서리(24)와는 달리, 제2면(12)과 제3면(13)은 서로를 고정되게 구속하는 접착부위가 없으므로 일면에 대해 270°까지 회전 가능하므로 제2면(12)과 상기 제3면(13)에 접하는 모서리는 힌지(23)가 되어 펼침과 접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개방모서리(21, 25)들은 상기 테두리면부(10)의 양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모서리이다.
상기 제1수납함(31)과 상기 제2수납함(32)의 적층 상태인 접힘 상태에서는 상기 개방모서리(21, 25)가 서로 맞닿아 있으며, 힌지(23)에 의해 상기 제1수납함(31)의 아래에 적층되어 있는 상기 제2수납함(32)이 열리게 되는 펼침 상태가 되면 개방모서리(21, 25)들도 서로 분리되어 떨어지게 된다.
상기 제1면(11)과 상기 제2면(12)에 각각 상기 제1수납함(31)의 옆면을 접착시키는데, 이때 상기 제1수납함(31)의 접착은 상기 제1수납함(31)의 밑면모서리와 상기 테두리면부(10)의 하단모서리를 일치시켜 접착되도록 한다.
또한 제3면(13)과 상기 제4면(14)에 각각 상기 제2수납함(32)의 옆면을 접착시키는데, 이때 상기 제2수납함(32)의 접착은 상기 제1면(11)과 상기 제2면(12)에 접착되어 있는 상기 제1수납함(31)의 상단 바로 위에 상기 제2수납함(32)의 밑면모서리가 오도록 하고 상기 테두리면부(10)의 상단모서리와 상기 제2수납함(32)의 옆면모서리가 일치되도록 하여 접착한다.
즉, 상기와 같이 접착된 몸체(100)는 상기 제1면(11), 상기 제2면(12), 상기 제1수납함(31)이 일체가 되고 상기 제3면(13), 상기 제4면(14), 상기 제2수납함(32)이 일체가 되어 힌지(23)에 의해 접힘 상태와 펼침 상태를 반복하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테두리 코너 힌지형 개폐구조를 갖는 다단식 종이필통을 도 3의 방향으로 회전하여 닫힘 상태에서 뚜껑을 씌우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는 접힘 상태이다.
상기 접힘 상태에서는 상기 테두리면부(10)와 제2수납함(32)이 제1수납함(31)을 감싸고 있어 상기 제1수납함(31)은 전혀 보이지 않고 제2수납함(32)만 상부가 개방되도록 보이게 된다.
상기 뚜껑(40)은 개방되어 있는 제2수납함(32)을 덮기 위한 것으로, 접힘 상태의 테두리면부(10)의 상단 직사각형과 동일한 윗면을 가지고 있으며 윗면의 둘레를 따라 접해 있는 옆면과 개방된 밑면을 가진 통상의 상자형태이다.
상기 개방 모서리들을 일치시킨 접힘 상태에서 상기 뚜껑(40)을 도면에 표시된 것과 같은 하향 방향으로 내려 상기 테두리면부(10)의 상단에 맞추어 덮게 된다.
상기 뚜껑(40)이 몸체(100)에 덮이게 되면 상기 제2수납부(32)가 덮임은 물론이고 접힘 상태에서 펼침 상태가 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테두리 코너 힌지형 개폐구조를 갖는 다단식 종이필통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펼침 상태의 사시도이다.
제2실시예의 몸체(200)는 제1면(11), 제2면(12), 제3면(13), 제4면(14)으로 구성되는 테두리면부(10), 개방모서리(21, 25)와 힌지(26, 27, 28)로 구성되는 모서리부(20'), 제1수납함(33), 제2수납함(34), 제3수납함(35), 제4수납함(36)으로 구성되는 수납부(30'), 뚜껑(40 : 미도시)으로 구성된다.
도면의 테두리면부(10)는 제1실시예의 테두리면부(10)와 동일한 형상 및 크기이며, 따라서 상기 테두리면부(10)를 구성하는 제1면(11), 제2면(12), 제3면(13), 제4면(14)도 동일한 형태이며 상기 개방모서리(21, 25)도 제1실시예의 개방모서리(21, 25)와 동일한 형태와 수치를 가지는 모서리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납부(30')의 네 개의 수납함들은 제1실시예의 일개 수납함과 동일한 면적을 가지며 옆면의 높이는 상기 제1실시예의 수납부(30) 일개 수납함의 1/2정도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납부(30')는 네 개의 수납함으로 구성되는데, 적층된 상기 수납부(30')의 전체 높이가 상기 테두리면부(10)의 높이와 같아야 하므로 상기 수납부(30') 일개의 수납함 높이는 균일하게 상기 테두리면부(10) 높이의 1/4이 되도록 한다.
상기 테두리면부(10)는 각각의 면들이 어떠한 서로 다른 면들과도 수납함과 함께 접합됨으로 인한 구속으로 고정되지 않으므로, 옆면에 대해 270°까지 회전 가능하도록 면과 면이 만나는 접선인 모서리가 힌지(26, 27, 28)가 된다.
상기 제1면(11)은 상기 제1수납함(33)의 옆면과 접착되는데, 상기 제1면(11)의 하단모서리와 상기 제1수납함(33)의 밑면모서리가 일치되도록 접착한다.
또한 상기 제2면(12)은 상기 제2수납함(34)의 옆면과 접합되는데, 상기 제1수납함(33)의 상단모서리 바로 위의 높이에 위치하도록 접착한다.
또한 제3면(13)은 상기 제3수납함(35)의 옆면과 접착되는데, 상기 제2수납함(34)의 상단모서리 바로 위의 높이에 위치하도록 접착한다.
또한 상기 제4면(14)은 상기 제4수납함(36)의 옆면과 접착되는데, 상기 제3수납함(35)의 상단모서리 바로 위의 높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4면(14)의 상단모서리와 상기 제4수납함(36)의 상단모서리가 일치되도록 접착한다.
상기 개방모서리(25)를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B 방향으로 계속적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힌지(28)에 의해 우선 상기 제3수납함(35)과 상기 제4수납함(36)이 적층되도록 포개지게 된다.
적층된 상기 제3수납함(35)과 상기 제4수납함(36)은 일체로 상기 제2면(12)에 대해 상기 힌지(27)의 회전을 통해 움직이게 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제2수납함(34), 상기 제3수납함(35), 상기 제4수납함(36)이 차례로 적층된다.
상기와 같이 적층된 상기 제2수납함(34), 상기 제3수납함(35), 상기 제4수납함(36)은 일체로 상기 제1면(11)에 대해 상기 힌지(26)의 회전을 통해 움직이게 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수납함(33), 상기 제2수납함(34), 상기 제3수납함(35), 상기 제4수납함(36)이 차례로 적층됨과 동시에 상기 개방모서리(21, 25)들은 서로 맞닿게 되어 접힘 상태가 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테두리 코너 힌지형 개폐구조를 갖는 다단식 종이필통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펼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3실시예의 몸체(300)는 제1면(11), 제2면(12), 제3면(13), 제4면(14)으로 구성되는 테두리면부(10), 개방모서리(21, 25)와 힌지(26', 27', 28')로 구성되는 모서리부(20''), 제1수납함(33'), 제2수납함(34'), 제3수납함(35'), 제4수납함(36')으로 구성되는 수납부(30''), 뚜껑(40 : 미도시)으로 구성된다.
도면의 테두리면부(10)는 제2실시예의 테두리면부(10)와 동일한 형상 및 크기이며, 상기 수납부(30'')의 제1수납함(33')은 제2실시예 수납부(30)의 일 수납함과 동일한 형태와 크기를 가지며, 상기 개방모서리(21, 25)와 힌지(26', 27', 28')도 제2실시예의 개방모서리(21, 25)와 힌지(26, 27, 28)와 동일한 형태와 수치를 가지는 모서리이므로,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3실시예에서는 상기 수납부의 수납함들의 형태를 동일하게 하는 제1, 2실시예와는 달리 제1수납함(33')을 제외한 나머지 수납함들의 형태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테두리면부(10)에 접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수납함(33')은 수납부(30'') 중에서 최 하단에 위치하게 되는데, 상기 테두리면부(10)의 접힘 상태에서 하단부 면적을 모두 감싸는 받침대 역할을 하게 되므로, 상기 제1,2실시예에서와 동일한 형태를 취해야 하며 변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제2수납함(34'), 제3수납함(35'), 제4수납함(36')의 형태는 수납부에 수납되는 필기구의 형태와 부피에 따라서 다양한 변형을 취하여 제작될 수 있는데, 상기 제3실시예에서는 모두 동일한 형태로 제작되며 상기 제1수납함(33')의 절반 정도의 크기를 갖도록 한다.
상기 제1수납함(33')은 상기 제1면(11)과 접착되는데, 상기 제1면(11)의 하단과 상기 제1수납함(33')의 밑면 모서리를 일치되게 맞닿아 접착한다.
또한 상기 제2수납함(34')은 상기 제2면(12)과 접착되는데, 상기 제1수납함(33')의 상단모서리 바로 위 높이에 상기 제2수납함(34')의 일개 밑면모서리가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제2수납함(34') 일개 옆면모서리가 상기 힌지(27') 바로 옆에 위치하도록 하여 접착한다.
또한 상기 제3수납함(35')은 상기 제3면(13)과 접착되는데, 상기 제2수납함(34')의 상단모서리 바로 위 높이에 상기 제3수납함(35')의 일개 밑면모서리가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제3수납함(35') 일개 옆면모서리가 상기 힌지(28') 바로 옆에 위치하도록 하여 접착한다.
또한 상기 제4수납함(35')은 상기 제4면(14)과 접착되는데, 상기 제3수납함(35')의 상단모서리 바로 위 높이에 상기 제4수납함(36')의 일개 밑면모서리가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제4수납함(36') 일개 옆면모서리가 상기 힌지(28') 바로 옆에 위치하도록 하여 접착한다.
상기 개방모서리(25)를 도면에 표시된 C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힌지(28')에 의해 우선 제3수납함(35')과 제4수납함(36')이 적층되도록 포개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3수납함(35')과 제4수납함(36')은 동일한 크기와 형태를 가지므로 각각의 꼭지점이 서로 일치되도록 적층된다.
적층된 제3수납함(35')과 제4수납함(36')은 일체로 제2면(12)에 대해 힌지(27')의 회전을 통해 움직이게 되며, 회전에 의해 제2수납함(34'), 제3수납함(35'), 제4수납함(36')이 차례로 적층된다.
상기 제2수납함(34') 역시 상기 제3수납함(35') 및 제4수납함(36')과 동일한 크기와 형태를 가지므로 각각의 꼭지점이 서로 일치되도록 적층된다.
상기와 같이 적층된 제2수납함(34'), 제3수납함(35'), 제4수납함(36')은 일체로 제1면(11)에 대해 힌지(26')의 회전을 통해 움직이게 되며, 회전에 의해 제1수납함(33'), 제2수납함(34'), 제3수납함(35'), 제4수납함(36')이 차례로 적층됨과 동시에 개방모서리(21, 25)들은 서로 맞닿게 되어 접힘 상태가 된다.
상기 제2수납함(34'), 제3수납함(35'), 제4수납함(36')의 하단에 놓인 상기 제1수납함(33')의 상단은 상기 테두리면부(10)의 상단까지 개방되도록 개방 부위가 생기게 되며 부피가 큰 학용품들을 수용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테두리 코너 힌지형 개폐구조를 갖는 다단식 종이필통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닫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제4실시예는 제1,2,3실시예의 몸체 중 어느 하나의 구성과 동일하나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실시예의 몸체(100)로 설명하도록 한다.
즉, 상기 제4실시예는 제 1,2,3실시예에서의 접힘 상태에서 뚜껑을 대신하는 덮개(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수납함의 형태 및 구조, 테두리면부의 구조 및 구성요소 ,수납함과 테두리면부의 접착구조는 변형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덮개(50)는 테두리면부(10)의 상단 모서리들 중 어느 하나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4실시예에서는 제4면의 상단 모서리와 상기 덮개(50)의 모서리를 맞닿아 일체로 연결한다.
이때 상기 제4면과 상기 덮개(50)의 접선 지점인 모서리는 힌지가 되어 뚜껑의 개폐를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덮개(50) 역시 종이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테두리면부를 모두 덮을 수 있는 직사각의 형태이다.
또한 상기 덮개(50)가 상기 제4수납함(36)의 상단 개방부를 고정되게 덮도록 상기 덮개(50)에 고정수단(51)을 장착하게 된다.
상기 고정수단(51)은 상기 덮개(50)의 상면, 특히 힌지 부분의 반대편 일측중앙에 고정되게 접착되어 있는 탄성을 가진 고무줄이다.
상기 제2면(12)의 일측 중앙에는 걸림부(52)가 부착되어 있어 상기 고정수단(51)인 고무줄을 잡아당겨 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걸림부(52)는 중앙의 철심과 철심의 테두리를 따라 부착되어 있는 종이로 구성되며, 상기 철심은 제2면(12)의 내부까지 박아 제2면(12)과 단단하게 고정되도록 하고 철심을 둘러싼 종이에 의해 철심에 걸림 고정수단(51)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고정수단(51)은 덮개(50)가 상기 제4수납함(36')을 고정되게 덮도록 할 뿐만 아니라 테두리면부(10)의 개방모서리(21, 25)가 맞닿게 되는 접힘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테두리 코너 힌지형 개폐구조를 갖는 다단식 종이필통은 서랍장을 감싸는 테두리면의 테두리코너를 힌지로 하여 수납함을 개폐시키므로 별도의 힌지용 부속품을 부착할 필요가 없어 제조 공정이 단순해지고 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매끈한 필통 윤곽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테두리 코너 힌지형 개폐구조를 갖는 다단식 종이필통은 테두리면과 수납함으로 구성된 필통의 재질을 종이로 하므로 철재나 나무 혹은 플라스틱 재질에 비해 무게가 가벼울 뿐만 아니라 떨어뜨리더라도 충격을 흡수하므로 형태가 찌그러지지 않으며 수납함 내부에 수용된 필기구들의 손상도 훨씬 감축된다.
또한 본 고안의 테두리 코너 힌지형 개폐구조를 갖는 다단식 종이필통은 테두리면부에 복수개의 개방된 상단을 가지는 수납함이 접착되어 있어 학용품을 비롯한 문구용품의 독립적인 공간을 다수개 확보할 수 있으며 각각의 수납함을 열기 위해 몸체를 뒤집을 필요가 없으므로 깔끔한 정리정돈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학용품들의 손상 및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테두리 코너 힌지형 개폐구조를 갖는 다단식 종이필통은 직사각형의 수납함 치수를 유연성 있게 변형하여 용도에 맞게 제작할 수 있으므로 연필과 볼펜뿐만 아니라 큰 부피를 차지하는 지우개, 스템플러 등의 수납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종래 결합형 2단 필통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종래 양방향 회동절첩식 2단 필통의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테두리 코너 힌지형 개폐구조를 갖는 다단식 종이필통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펼침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테두리 코너 힌지형 개폐구조를 갖는 다단식 종이필통의 닫힘 상태에서 덮개를 씌우는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테두리 코너 힌지형 개폐구조를 갖는 다단식 종이필통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펼침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테두리 코너 힌지형 개폐구조를 갖는 다단식 종이필통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펼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테두리 코너 힌지형 개폐구조를 갖는 다단식 종이필통의 제4실시예에 따른 닫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 : 테두리면부 11 : 제1면
12 : 제2면 13 : 제3면
14 : 제4면 20, 20', 20'' : 모서리부
21, 25 : 개방모서리 22, 24 : 모서리
23, 26, 26' 27, 27', 28, 28' : 힌지
30,30' 30'' : 수납부 31, 33, 33' : 제1수납함
32, 34, 34' : 제2수납함 35, 35' : 제3수납함
36, 36' : 제4수납함 40 : 뚜껑
50 : 덮개 51 : 고정수단
52 : 걸림부

Claims (12)

  1. 복수개의 수납함이 내장되어 있는 종이재질의 다단식 필통에 있어서,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직사각면인 제1면(11), 제2면(12), 제3면(13), 제4면(14)이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테두리면부(10)와;
    상기 네 개의 직사각면에 형성되어 있는 모서리부와;
    상기 테두리면부(10) 일면의 소정의 위치에 접합된 복수개의 수납함으로 구성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를 덮도록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 커버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직사각면의 회전으로 복수개의 수납함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두리 코너 힌지형 개폐구조를 갖는 다단식 종이필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부는,
    상기 테두리면부(10)의 양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개방모서리(21, 25)와;
    상기 제1면(11)과 상기 제2면(12)이 일체로 연결되도록 접선되어 있는 모서리(22)와;
    상기 제2면(12)과 상기 제3면(13)이 일체로 연결되도록 접선되어 있으며, 상기 제2면(12)과 상기 제3면(13)이 서로 회전하여 상기 수납부를 개폐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는 힌지(23)와;
    상기 제3면(13)과 상기 제4면(14)이 일체로 연결되도록 접선되어 있는 모서리(2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두리 코너 힌지형 개폐구조를 갖는 다단식 종이필통.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직사각형의 개방된 상단을 가지며, 상기 테두리면부(10)의 하단모서리와 하단을 맞닿아 상기 제1면(11)과 상기 제2면(12)에 접착시키는 제1수납함(31)과;
    상기 제1수납함(31)과 동일한 형상으로 상기 제1수납함(31)의 상단모서리의 높이에 하단을 맞닿아 상기 제3면(13)과 상기 제4면(14)에 접착시키는 제2수납함(3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두리 코너 힌지형 개폐구조를 갖는 다단식 종이필통.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일체로 고정되어 있는 상기 제3면(13), 상기 제4면(14), 상기 제2수납함(31)이 일체로 상기 힌지(23)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개방모서리(21)가 상기 개방모서리(25)와 맞닿게 되는 접힘 상태에서 상기 테두리면부(10)의 개방된 상단을 덮는 뚜껑(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두리 코너 힌지형 개폐구조를 갖는 다단식 종이필통.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적층된 수납함의 높이는 상기 테두리면부(10)의 높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두리 코너 힌지형 개폐구조를 갖는 다단식 종이필통.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접힘 상태의 상기 테두리면부(10)의 개방된 상단을 모두 덮으며, 상기 테두리면부(10)의 복수개의 직사각면 중 어느 하나의 상단 모서리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덮개(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두리 코너 힌지형 개폐구조를 갖는 다단식 종이필통.
  7. 복수개의 수납함이 내장되어 있는 종이재질의 다단식 필통에 있어서,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직사각면인 제1면(11), 제2면(12), 제3면(13), 제4면(14)이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테두리면부(10)와;
    상기 네 개의 직사각면에 형성되어 있는 모서리부와;
    상기 테두리면부(10) 일면의 소정의 위치에 접합된 복수개의 수납함으로 구성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를 덮도록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 커버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직사각면의 회전으로 복수개의 수납함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두리 코너 힌지형 개폐구조를 갖는 다단식 종이필통.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부는,
    상기 테두리면부(10)의 양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개방모서리(21, 25)와;
    상기 제1면(11)과 상기 제2면(12)이 일체로 연결되도록 접선되어 있으며, 상기 제1면(11)과 상기 제2면(12)이 서로 회전하여 상기 수납부를 개폐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는 힌지(26)와;
    상기 제2면(12)과 상기 제3면(13)이 일체로 연결되도록 접선되어 있으며, 상기 제2면(12)과 상기 제3면(13)이 서로 회전하여 상기 수납부를 개폐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는 힌지(27)와;
    상기 제3면(13)과 상기 제4면(14)이 일체로 연결되도록 접선되어 있으며, 상기 제3면(13)과 상기 제4면(14)이 서로 회전하여 상기 수납부를 개폐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는 힌지(2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두리 코너 힌지형 개폐구조를 갖는 다단식 종이필통.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직사각형의 개방된 상단과 접힘 상태의 테두리면부(10)의 하단이 모두 덮히는 밑면을 가지며, 상기 테두리면부(10)의 하단모서리와 하단을 맞닿아 상기 제1면(11)에 접착시키는 제1수납함(33)과;
    상기 제1수납함(33)과 동일한 형상으로 상기 제1수납함(33)의 상단모서리의 높이에 하단을 맞닿아 상기 제2면(12)에 접착시키는 제2수납함(34)과;
    상기 제1수납함(33)과 동일한 형상으로 상기 제2수납함(34)의 상단모서리의 높이에 하단을 맞닿아 상기 제3면(13)에 접착시키는 제3수납함(35)과;
    상기 제1수납함(33)과 동일한 형상으로 상기 제3수납함(35)의 상단모서리의 높이에 하단을 맞닿게 하고 상기 테두리면부(10)의 상단모서리와 상단을 맞닿아 상기 제4면(14)에 접착시키는 제4수납함(36)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두리 코너 힌지형 개폐구조를 갖는 다단식 종이필통.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개방모서리(21)가 상기 개방모서리(25)와 맞닿게 되는 접힘 상태에서 상기 테두리면부(10)의 개방된 상단을 덮는 뚜껑(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두리 코너 힌지형 개폐구조를 갖는 다단식 종이필통.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직사각형의 개방된 상단과 접힘 상태의 테두리면부(10)의 하단이 모두 덮히는 밑면을 가지며, 상기 테두리면부(10)의 하단모서리와 하단을 맞닿아 상기 제1면(11)에 접착시키는 제1수납함(33')과;
    상기 제1수납함(33)의 1/2의 면적을 가지며, 상기 제1수납함(33')의 상단모서리의 높이에 하단을 맞닿아 상기 제2면(12)에 접착시키는 제2수납함(34')과;
    상기 제2수납함(34')과 동일한 형상으로 상기 제2수납함(34')의 상단모서리의 높이에 하단을 맞닿아 상기 제3면(13)에 접착시키는 제3수납함(35')과;
    상기 제2수납함(34')과 동일한 형상으로 상기 제3수납함(35')의 상단모서리의 높이에 하단을 맞닿게 하고 상기 테두리면부(10)의 상단모서리와 상단을 맞닿아 상기 제4면(14)에 접착시키는 제4수납함(36')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두리 코너 힌지형 개폐구조를 갖는 다단식 종이필통.
  12. 제 9항 및 제 11항에 있어서,
    적층된 상기 수납부의 높이는 상기 테두리면부(10)의 높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두리 코너 힌지형 개폐구조를 갖는 다단식 종이필통.
KR20-2005-0004456U 2005-02-18 2005-02-18 테두리 코너 힌지형 개폐구조를 갖는 다단식 종이필통 KR2003846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456U KR200384616Y1 (ko) 2005-02-18 2005-02-18 테두리 코너 힌지형 개폐구조를 갖는 다단식 종이필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456U KR200384616Y1 (ko) 2005-02-18 2005-02-18 테두리 코너 힌지형 개폐구조를 갖는 다단식 종이필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4616Y1 true KR200384616Y1 (ko) 2005-05-17

Family

ID=43686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4456U KR200384616Y1 (ko) 2005-02-18 2005-02-18 테두리 코너 힌지형 개폐구조를 갖는 다단식 종이필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4616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396B1 (ko) 2007-01-09 2008-03-20 진천덕 분리형 필통
KR100844805B1 (ko) 2006-07-11 2008-07-07 진천덕 돌려서 열리는 복수의 덮개를 갖는 필통
KR100960079B1 (ko) 2010-01-14 2010-05-27 주식회사 엠티엠코 수납함
KR200474789Y1 (ko) * 2013-03-22 2014-10-23 안민석 접이식 필통
KR101964616B1 (ko) * 2017-12-21 2019-04-02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 거치충전용 필통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805B1 (ko) 2006-07-11 2008-07-07 진천덕 돌려서 열리는 복수의 덮개를 갖는 필통
KR100815396B1 (ko) 2007-01-09 2008-03-20 진천덕 분리형 필통
KR100960079B1 (ko) 2010-01-14 2010-05-27 주식회사 엠티엠코 수납함
KR200474789Y1 (ko) * 2013-03-22 2014-10-23 안민석 접이식 필통
KR101964616B1 (ko) * 2017-12-21 2019-04-02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 거치충전용 필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4616Y1 (ko) 테두리 코너 힌지형 개폐구조를 갖는 다단식 종이필통
US4832369A (en) Wind resistant clipboard/padholder
US10905212B2 (en) Multi-functional storage box
US20020044819A1 (en) Case binder with living hinge
WO2018216488A1 (ja) 自立型ペンケース
WO2005046395A1 (en) Portable easel
US20010013698A1 (en) Children's book with dispenser
CA2586078A1 (en) Standing file folder
US7478965B2 (en) Notebook/portfolio with writing pad
US20090300960A1 (en) Picture storage protection unit
CN208715735U (zh) 一种可折叠的收纳箱
US20070228059A1 (en) Container
KR20220074320A (ko) 문구 박스
JP3473507B2 (ja) 棒状小物類の収納ケース
US20030230509A1 (en) Book deposit box
JP3028740U (ja) 収納ケース
CN218199451U (zh) 一种收纳盒
KR200398333Y1 (ko) 휴대용 서류 가방
KR101021196B1 (ko) 수납 케이스
CN214030065U (zh) 一种新型套装包装盒
KR200183414Y1 (ko) 다용도 봉제필통
KR200341407Y1 (ko) 탁상용 달력
KR200229134Y1 (ko) 접철식 서류대를 구비한 백팩
CN218171898U (zh) 一种多功能儿童用绘画板
KR200383884Y1 (ko) 물품 수납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1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