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4471Y1 - 낚시용 어신 감지 장치의 감지부 구조 - Google Patents

낚시용 어신 감지 장치의 감지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4471Y1
KR200384471Y1 KR20-2005-0004890U KR20050004890U KR200384471Y1 KR 200384471 Y1 KR200384471 Y1 KR 200384471Y1 KR 20050004890 U KR20050004890 U KR 20050004890U KR 200384471 Y1 KR200384471 Y1 KR 2003844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fishing
switching member
grounding
operat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48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임자
Original Assignee
김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임자 filed Critical 김임자
Priority to KR20-2005-00048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44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44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44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2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 A01K97/125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using electronic compon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낚시를 할 때, 물고기가 걸린 낚싯줄의 장력 변화를 감지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낚시용 어신 감지 장치의 감지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단부에 낚싯줄협지구(206)를 설치한 금속재 작동봉(20)을 지지봉(10) 상부에 형성하고, 지지봉(10)의 일측에는 환상의 접지부(404)를 상단부에 형성한 금속재 접지봉(40)을 부설하여, 작동봉(20)과 접지봉(40)의 하단부를 전선(80)으로 연결한 후 그 연결부를 방수피복재(90)로 피복하되, 그 전선(80)간에는 표시램프(60)와 전력공급장치를 구비한 알람부저(70)를 전기 회로로 구성한 공지의 낚시용 어신 감지 장치에 있어서, 접지봉(40)에는 스위칭부재(50)를 설치하여 스위칭부재(50)를 이용해 접지봉(40)의 상단부에 형성된 접지부(404)와 작동봉(20)의 접촉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낚시를 보다 편하게 재밌게 즐길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스위칭부재의 간편한 조작만으로도 감지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어서 사용이 매우 편리하며, 구조가 매우 간소하고 조립이 용이하기 때문에 높은 생산성과 저렴한 가격으로 인한 경제성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낚시용 어신 감지 장치의 감지부 구조{STRUCTURE OF BITE SENSOR FOR FISHING}
본 고안은 낚시를 할 때, 물고기가 걸린 낚싯줄의 장력 변화를 감지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어신 감지 장치의 감지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간소한 구조로 제작이 용이하고, 작동봉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스위칭부재를 설치하여 감지부의 작동을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게 한 낚시용 어신 감지 장치의 감지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를 할 때는 찌의 움직임을 주시하고 있다가 찌가 흔들리면 낚싯바늘에 물고기가 걸린 것으로 판단하여 낚싯대를 들어올리거나 낚싯줄을 신속히 감아 올림으로써 물고기를 낚아 올리는 찌낚시를 주로 하게 되는데, 과거 생계의 수단으로 이루어지던 낚시가 점차 레저와 스포츠로 변화되면서 낚시를 보다 편하고 즐겁게 즐기기 위한 여러 가지 낚시 도구들이나 방법들이 개발되어 왔다.
그 중 낚싯줄의 장력 변화에 의해 소리를 울리는 방울이나 또는, 야간 낚시때 낚싯대의 상태를 알려주는 캐미라이트와 같은 발광부재 등은 낚시를 좀 더 편하게 즐기기 위한 보조 낚시 도구로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이러한 보조 낚시 도구들 중 낚싯줄에 방울을 달아서 낚싯줄의 움직임에 따라 방울 소리를 내게 하는 낚시법의 경우에는 방울 소리를 싫어하는 사용자가 많고, 또 다른 낚시꾼들에서 방울 소리가 방해를 주는 경우도 많으면, 낚싯줄에 직접 방울을 매달기 때문에 낚싯줄에서 조금만 멀리 있거나 주변 소음이 있는 경우에는 방울 소리를 쉽게 인지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야간 낚시때 사용하는 캐미라이트의 경우에는 계속적으로 캐미라이트의 움직임을 주시하고 있어야 하는 불편이 있었기 때문에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 바로 낚싯줄에 연결하여 낚싯줄의 장력 변화에 따라서 램프가 점멸하거나 부저가 울리는 어신 감지 장치인 것이다.
이러한 어신 감지 장치는 주로 낚싯줄을 연결하는 감지부와, 감지부의 신호를 받아서 소리를 울리는 알람부저를 전기적으로 연결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종래의 어신 감지 장치는 감지부의 작동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스위치가 없기 때문에 어신 감지 장치의 작동을 주로 알람부저에서 제어하게 구성되어 있었다.
그런데, 보통의 낚시꾼들은 대부분 한 대가 아닌 여러 대의 낚싯대를 이용해 낚시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보통의 어신 감지 장치는 다수의 감지부가 하나의 알람부저와 연결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 일반적인 형태이지만, 다수의 감지부 중 몇 개만을 선택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능이 없어서 사용이 매우 불편할 뿐 만 아니라, 감지부의 구조가 복잡하여 생산비가 비싸고,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작동봉이 접지봉에 접촉되는 것을 제어함으로써, 감지부의 작동을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게 하며, 감지부 전체의 구조를 간소화하여 생산성 향상과 생산비 절감 효과를 동시에 달성할 있도록 하는 것이 본 고안의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접지봉이나 또는 작동봉에 스위칭부재를 마련하여 스위칭부재의 간편한 동작만으로 작동봉과 접지봉의 접촉을 제어할 수 있게 하며, 접지봉과 작동봉의 구조를 간소화하여 감지부의 제작이 용이하게 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단부에 낚싯줄협지구(206)를 설치한 금속재 작동봉(20)을 지지봉(10) 상부에 형성하고, 지지봉(10)의 일측에는 환상의 접지부(404)를 상단부에 형성한 금속재 접지봉(40)을 부설하여, 작동봉(20)과 접지봉(40)의 하단부를 전선(80)으로 연결한 후 그 연결부를 방수피복재(90)로 피복하되, 그 전선(80)간에는 표시램프(60)와 전력공급장치를 구비한 알람부저(70)를 전기 회로로 구성한 공지의 낚시용 어신 감지 장치에 있어서,
지지봉(10) 상단부에 결합부(102)를 형성하여, 상단부에 낚싯줄협지구(206)를 설치한 작동봉(20)의 하단부에 형성된 결합부(202)를 상기 결합부(102)에 끼운 후 도전을 방지하는 간격유지구(30)를 끼우고, 그 상부에는 접지봉(40)의 하단부에 형성된 결합부(402)를 끼운 후 결합부 전체를 방수피복재(90)로 피복하되, 작동봉(20)은 하단부에 절곡부(204)를 형성하고, 접지봉(40)에는 승강 또는 회전 가능케 스위칭부재(50)를 끼워서 결합하여 스위칭부재(50)를 이용해 작동봉(20)과 접지봉(40)의 접촉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한 구성이다.
한편, 상기 스위칭부재(50)는 도전을 방지하는 소재를 이용해 위가 넓고 아래가 좁은 계란형이거나 또는 두께는 납작하고 폭은 넓은 판형으로 형성하여 그 위치 변화에 따라서, 작동봉(20)과 접지봉(40)의 접촉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한 구성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도면 도 1은 본 고안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로서, 도면과 같이 감지부는 지지봉(10) 상단부에 결합부(102)를 형성하여, 그 결합부(102)에 작동봉(20)과 간격유지구(30)와 접지봉(40)을 순차적으로 끼워서 결합한 후 그 결합부 전체를 신축성이 있는 방수피복재(90)로 피복함으로서 방수 효과 뿐 만 아니라, 결합부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작용도 같이 수행하게 되는데, 첨부도면 도 2와 같이 작동봉(20)과 접지봉(40)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부(202)(402)는 코일스프링과 같이 나선형으로 꼬아서 형성함으로써, 지지봉(10)의 결합부(102)에 간편하게 끼워서 조립할 수 있으므로 제품 생산시에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작동봉(20)과 접지봉(40)의 하부 끝단에는 전선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돌출시킨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전선의 연결을 위해서 필요한 부분으로서 도시하였음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작동봉(20)과 간격유지구(30)와 접지봉(40)을 순차적으로 끼워서 결합할 때, 간격유지구(30)는 도전을 방지하는 플라스틱이나 고무와 같은 소재로 형성함으로써, 작동봉(20)과 접지봉(40)에 전선을 연결하여 감지부의 전기회로를 구성할 때, 작동봉(20)과 접지봉(40)을 구분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작동봉(20) 일측에는 절곡부(204)를 형성하고, 접지봉(40)에는 승강 또는 회전 가능케 스위칭부재(50)를 끼워서 결합하게 되는데, 이러한 구성으로 된 감지부는 첨부도면 도 3과 같이 작동봉(20)과 접지봉(40)의 하단부에 전선(80)을 연결하고 그 전선에는 표시램프(60)와 전원공급장치를 구비한 알람부저(70)를 연결함으로써 전원공급장치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도 3과 같이 접지봉(40) 상단부에 형성된 환상의 접지부(404) 내에서 작동봉(20)이 접지부(404)와 접촉함으로써 통전이 이루어져 표시램프(60)가 점등되고 알람부저(70)에는 알람이 울리게 된다.
그러나, 첨부도면 도 4와 같이 접지봉(40)에 설치된 스위칭부재(50)를 위로 밀어 올리면, 스위칭부재(50)에 의해 작동봉(20)이 바깥쪽으로 밀려나게 되는데 작동봉(20)은 탄력성을 가진 강선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위칭부재(50)에 의해 일측으로 밀린 상태에서 탄력성이 작용하여 절곡부(204) 윗부분이 도면과 같이 스위칭부재(50)를 역으로 가압함으로써, 스위칭부재(50)의 위치는 고정되고 작동봉(20)도 그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그로 인해, 접지봉(40) 상단부에 형성된 환상의 접지부(404)와 작동봉(20)의 자연스런 접촉이 차단되어 통전이 이루어지지 못함으로써, 표시램프(60)가 점등되지 않고 알람부저(70)도 울리지 않게 되어 감지부의 작동을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다수의 감지부로 구성된 낚시용 어신 감지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스위칭부재(50)를 밀어 올리는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감지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되어 다수의 감지부 중 일부 감지부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첨부도면 도 5 내지 도 8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5는 스위칭부재의 위치를 접지봉(40)이 아닌 작동봉(40)에 끼워서 설치하더라도 상기한 본 고안의 기본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6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스위칭부재의 형태를 바꾼 예시도로서 스위칭부재(50)는 도전을 방지하는 합성수지와 같은 소재를 이용해 위가 넓고 아래가 좁은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형태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첨부도면 도 6과 같이 스위칭부재(50a)를 도면과 같이 조롱박 형상으로 형성하면 스위칭부재(50a)를 환상의 접지부(404) 내부에 끼워넣어 작동봉(20)과 접지부(404)의 접촉을 차단할 수 있게되며, 첨부도면 도 7과 같이 스위칭부재(50b)를 두께는 납작하고 폭은 넓은 판형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작동봉(40)에 끼워지게 설치한 상태에서 제자리 회전시켜 작동봉(20)의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감지부의 통전을 제어할 수 있게되어 접지봉(40) 상단부에 형성된 환상의 접지부(404)와 작동봉(20)의 자연스런 접촉이 차단되어 통전이 이루어지지 못함으로써, 표시램프(60)가 점등되지 않고 알람부저(70)도 울리지 않게 되어 감지부의 작동을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도 8는 본 고안의 작동봉(20)을 판형으로 형성한 형태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스위칭부재(50)를 둥근 형태로 형성했을 때 작동봉(20)과 스위칭부재(50)와의 미끌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면과 같이 작동봉(20a)을 판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낚싯줄 끝에 걸린 낚싯바늘에 걸린 물고기가 낚싯줄을 당기게 되면 그 장력 변화에 의해 작동봉이 접지봉과 접촉되면서 알람부저가 울리고 표시램프가 켜지기 때문에 야간 낚시때나 또는 낚싯대를 주시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낚시에 물고기가 걸린 것을 쉽게 알 수 있기 때문에 낚시를 보다 편하고 재밌게 즐길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스위칭부재의 간편한 조작만으로도 감지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어서 사용이 매우 편리하며, 구조가 매우 간소하고 조립이 용이하기 때문에 높은 생산성과 저렴한 가격으로 인한 경제성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부 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감지부의 작동 가능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감지부의 작동 불가능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스위칭부재의 위치를 바꾼 예시도이며,
도 6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스위칭부재의 형태를 바꾼 예시도이며,
도 8는 본 고안의 작동봉을 판형으로 형성한 형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지지봉 102 : 결합부
20,20a : 작동봉 202 : 결합부
204 : 절곡부 206 : 낚싯줄협지구
30 : 간격유지구 40 : 접지봉
402 : 결합부 404 : 접지부
406 : 절곡부 50,50a,50b : 스위칭부재
60 : 표시램프 70 : 알람부저
80 : 전선 90 : 방수피복재

Claims (3)

  1. 상단부에 낚싯줄협지구(206)를 설치한 금속재 작동봉(20)을 지지봉(10) 상부에 형성하고, 지지봉(10)의 일측에는 환상의 접지부(404)를 상단부에 형성한 금속재 접지봉(40)을 부설하여, 작동봉(20)과 접지봉(40)의 하단부를 전선(80)으로 연결한 후 그 연결부를 방수피복재(90)로 피복하되, 그 전선(80)간에는 표시램프(60)와 전력공급장치를 구비한 알람부저(70)를 전기 회로로 구성한 공지의 낚시용 어신 감지 장치에 있어서,
    접지봉(40)에는 스위칭부재(50)를 설치하여 스위칭부재(50)를 이용해 접지봉(40)의 상단부에 형성된 접지부(404)와 작동봉(20)의 접촉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어신 감지 장치의 감지부 구조
  2. 상단부에 낚싯줄협지구(206)를 설치한 금속재 작동봉(20)을 지지봉(10) 상부에 형성하고, 지지봉(10)의 일측에는 환상의 접지부(404)를 상단부에 형성한 금속재 접지봉(40)을 부설하여, 작동봉(20)과 접지봉(40)의 하단부를 전선(80)으로 연결한 후 그 연결부를 방수피복재(90)로 피복하되, 그 전선(80)간에는 표시램프(60)와 전력공급장치를 구비한 알람부저(70)를 전기 회로로 구성한 공지의 낚시용 어신 감지 장치에 있어서,
    지지봉(10) 상단부에 결합부(102)를 형성하여, 상단부에 낚싯줄협지구(206)를 설치한 작동봉(20)의 하단부에 형성된 결합부(202)를 상기 결합부(102)에 끼운 후 도전을 방지하는 간격유지구(30)를 끼우고, 그 상부에는 접지봉(40)의 하단부에 형성된 결합부(402)를 끼운 후 결합부 전체를 방수피복재(90)로 피복하되, 작동봉(20)은 하단부에 절곡부(204)를 형성하고, 접지봉(40)에는 승강 또는 회전 가능케 스위칭부재(50)를 끼워서 결합하여 스위칭부재(50)를 이용해 작동봉(20)과 접지봉(40)의 접촉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어신 감지 장치의 감지부 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스위칭부재는 도전을 방지하는 합성수지와 같은 소재를 이용해 두께는 납작하고 폭은 넓은 판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어신 감지 장치의 감지부 구조
KR20-2005-0004890U 2005-02-23 2005-02-23 낚시용 어신 감지 장치의 감지부 구조 KR2003844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890U KR200384471Y1 (ko) 2005-02-23 2005-02-23 낚시용 어신 감지 장치의 감지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890U KR200384471Y1 (ko) 2005-02-23 2005-02-23 낚시용 어신 감지 장치의 감지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4471Y1 true KR200384471Y1 (ko) 2005-05-16

Family

ID=43685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4890U KR200384471Y1 (ko) 2005-02-23 2005-02-23 낚시용 어신 감지 장치의 감지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447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40868A (en) Fish lure
US4376349A (en) Night time fishing aid
WO1994009622A1 (en) Indicating device for fishing rods
US7357343B2 (en) Fish strike indicators
KR200384471Y1 (ko) 낚시용 어신 감지 장치의 감지부 구조
KR200384450Y1 (ko) 낚시용 어신 감지 장치의 감지부 구조
KR101839283B1 (ko) 어신 입체 감지기능을 갖는 전자 케미라이트
US20200267956A1 (en)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alarm for a fishing reel and electronic alarm system for a fishing reel
US20030066229A1 (en) Fishing float having light displaying members
US3228135A (en) Fish strike signalling device
KR100468019B1 (ko) 낚시용 무선 통신 전자찌
US9420774B1 (en) Electronic fish strike alarm for freely hanging visual bite indicators
US3999323A (en) Fishing rod rest and bite signal
US20200375167A1 (en) Ice Fishing Bite Indicator Alert Device
KR200251833Y1 (ko) 원격 어신 감지기
CN105230583A (zh) 有渔讯装置的渔线轮
CN205124786U (zh) 有渔讯装置的渔线轮
EP3375285B1 (en) Fishing line wheel provided with fishing signal device
KR200195576Y1 (ko) 낚시용 릴의 어신감지 장치
CN103283698A (zh) 一种自动脱线灵敏度可调的带回线报警功能的钓鱼报警器
JP2010246394A (ja) 釣竿用当たり報知装置
KR100251008B1 (ko) 릴낚시대용 야광찌.
CA2688896C (en) Fishing apparatus
KR19990007013U (ko) 릴낚시용 어신 경보기
JPH09224537A (ja) 電気浮子、電気浮子用発光装置及び電気浮子の発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2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