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3887Y1 - 컵 보관구 - Google Patents

컵 보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3887Y1
KR200383887Y1 KR20-2005-0004373U KR20050004373U KR200383887Y1 KR 200383887 Y1 KR200383887 Y1 KR 200383887Y1 KR 20050004373 U KR20050004373 U KR 20050004373U KR 200383887 Y1 KR200383887 Y1 KR 2003838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lower body
cover
guide groove
cup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43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근대
Original Assignee
장근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근대 filed Critical 장근대
Priority to KR20-2005-00043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38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38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38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00Racks for dispensing merchandise; Containers for dispensing merchandise
    • A47F1/04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 A47F1/12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dispensing from the side of an approximately horizontal stack
    • A47F1/123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dispensing from the side of an approximately horizontal stack for nested articles, e.g. cups, co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08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온수기의 상단측에 구비되는 생수통의 상부에 끼워져 사용되는 컵 보관구에 관한 것으로, 다수개의 컵이 보관되는 보관구가 냉온수기의 상부에 구비된 생수통의 상단에 견고하게 거치될 수 있도록 하여 컵 보관에 대한 견고성을 향상할 뿐만 아니라, 상부측에 뚜껑을 더 구비하여 보관된 컵이 항상 청결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컵이 보관되는 선반을 회전가능 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컵 또는, 보관된 컵 중 필요한 컵을 쉽게 빼내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컵 보관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인 컵 보관구는, 하부에 내측으로 일정깊이 요입된 요입부(11a)가 형성된 끼움부(11)와, 상단측에 방사상으로 통공된 다수개의 구멍(12)들과, 상기 구멍(12)들의 내측에 형성되는 원추형상의 가이드홈(13)과, 상기 가이드홈(13)의 중앙에 통공된 체결공(14)과, 일측 외주연에 반원의 체결홈(15)을 갖는 하부체(10)와; 상기 하부체(10)의 체결공(14)에 끼워져 체결되는 탄성걸림편(21)과, 상기 하부체(10)의 가이드홈(13)에 끼워지는 가이드돌기(22)와, 둘레에 단턱부(23a)가 형성되고 내측에 물빠짐공(23b)가 통공된 컵 보관부(23)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체(10)의 상단측에 구비된 선반체(20)와; 상기 하부체(10)의 일측 외주연에 형성된 반원의 체결홈(15)에 끼워지는 반원형상의 끼움돌기(31a)가 형성된 반구형상의 제1덮개(31)와, 상기 제1덮개(31)의 일측면과 힌지핀(33)에 의해 힌지결합되고 타측에 손잡이(32a)가 형성된 반구형상의 제2덮개(32)를 갖는 덮개체(3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컵 보관구{CUP KEEPING CASE}
본 고안은 식당이나 가정 및 사무실 등에 비치되는 정수기 또는 냉/온수기의 생수통 상부에 구비되는 컵 보관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컵이 보관된 몸체를 생수통의 상부에 구비하여 컵을 보관하는데에 차지하는 공간활용을 최소화 하고, 컵이 수용되는 선반이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필요한 컵을 용이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려한 외관에 의해 정수기 또는 냉/온수기가 비치된 식당이나 가정 및 사무실의 실내공간을 깔끔하게 연출할 수 있도록 한 컵 보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 환경오염으로 인하여 수질오염이 심각해짐에 따라 수돗물에 대한 불신이 높아지면서 수돗물을 정수기로 정화하여 식수로 사용하거나, 시중 에서 판매되는 생수를 식수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공공장소 및 사무실, 심지어는 일반 가정집에서도 생수를 급속 냉각 및 가열시키는 냉온수기를 설치하여 물을 마시고자 하는 사람이 취향에 따라 냉, 온수를 선택하여 마실 수 있도록 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종래 생수통을 이용하는 냉온수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의 상단에 정수처리된 소정의 용량을 갖는 생수통(2)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본체(1)의 내부에 수돗물을 정화하는 정수장치(필터여과처리장치나 자외선처리장치 및 오존처리장치 등)가 설치된다.
이러한 냉온수기는 본체(1)의 전면 중앙부에 생수통(2) 또는 상기 본체(1)의 내부에 구성된 정수장치에 의해 정수된 물을 보관하는 정수통을 통하여 공급되는 물을 토출하는 냉/온수콕크(3)(4)가 장착되고, 상기 냉/온수콕크의 상단측에는 이들을 제어하는 레버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본체(1)의 내부에는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냉각수단과 가열수단이 구비되어 생수통(2)에서 공급되는 물을 순간적으로 냉각 또는 가열하여 냉수콕크(3)와 온수콕크(4)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생수통을 이용하는 냉온수기는, 필요에 따라 온수와 냉수를 선택하여 컵에 따라 음용할 수 있고 또한 깨끗한 생수를 음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상기와 같은 냉온수기는 컵 등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 적당치 않아 컵을 별도의 장소에 보관하여야 하므로 협소한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가 곤란할 뿐만 아니라, 컵을 냉온수기와 별도로 보관해야 하므로 사용시 큰 불편함이 있었다.
이를 위해 쟁반을 상기 냉온수기의 상부에 구성된 생수통에 올려 놓고, 이 쟁반위에 컵을 올려 보관하는 경우도 종종 있으나, 사용자가 잘못으로 인해 쟁반을 건드리거나 할 경우 쟁반은 물론, 쟁반위에 올려진 컵까지 떨어지게 되어 심한 소음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깨끗하게 세척된 컵에 이물질이 묻게 되어 다시 세척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함께, 심할 경우엔 떨어진 컵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등록실용신안 제285447호인 '냉온수기용 컵 받침대'가 안출된 바 있다.
이는, 그 등록공고된 공보의 청구범위에 의해 알 수 있듯이, 저면과 상면중앙에 각각 중심추와 손잡이를 돌출형성하고, 물통의 상면에 거치되는 원반상의 받침대를 구성하되, 받침대의 상면 일측에는 다수의 컵삽입홈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티백 수납공간을 형성하여 구성된 것으로, 일측에 형성된 컵 삽입홈과, 타측에 형성된 티백 수납공간을 갖는 컵받침대가 구성되어 있어, 상기 컵받침대를 냉온수기의 상부에 구비되는 생수통의 상단에 끼워 냉온수기에 다수의 컵과 티백을 함께 보관할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며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컵 받침대의 경우, 일측에 구비되어 컵을 수용하는 컵 삽입홈이 공개된 등록공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 받침대가 거치되는 생수통의 일측 외주부에 노출되어 있음에 따라, 보관된 컵이 흔들리거나 하여 견고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컵이 삽입되어 보관되는 컵 삽입홈이 그대로 외부에 노출되어 있음에 따라, 사용하지 않은 컵의 경우 외부의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쌓이거나 묻게 되어 컵의 청결상태를 유지하기에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다른 예로서, 특허출원 제1997-22593호인 '정수기의 컵 보관함 구조'가 안출된 바 있다. 이는, 본체 프레임의 전면 중앙에 형성된 취수부를 중심으로 상부에 상전면판넬, 하부에 하전면판넬 및 상단에 캡카바판넬이 조립되어져 그 본체 프레임을 형성하고, 내부에 온수 또는 냉수를 저장하는 저장탱크와 원수를 정수시키는 다수의 필터들과 정수를 냉정수로 만드는 냉각장치 및 정수를 온정수로 만드는 히터 등을 포함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하전면판넬의 전면에 입구가 형성되도록 안쪽으로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의 천장면에 살균램프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하전면판넬의 전면에 구성된 수납공간에 컵 등을 보관할 수 있는 컵 보관함이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 컵과 정수기가 따로 분리됨으로써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뿐만 아니라, 상기 수납공간에 살균램프를 더 구비하여 보관되는 컵에 잔류하고 있는 유해균을 멸균시키는 효과를 얻고자 한다.
그러나, 정수기의 하전면판넬에 수납공간이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 보관되는 컵의 개수가 적어질 수 밖에는 없고, 컵을 수납공간으로부터 인출시에 사용자가 수납공간의 후면측에 보관된 컵을 인출하기에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종래 생수통이 구비된 냉온수기에 컵을 보관함에 있어서 야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수개의 컵이 보관되는 보관구가 냉온수기의 상부에 구비된 생수통의 상단에 견고하게 거치될 수 있도록 하여 컵 보관에 대한 견고성을 향상할 뿐만 아니라, 상부측에 뚜껑을 더 구비하여 보관된 컵이 항상 청결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컵이 보관되는 선반을 회전가능 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컵 또는, 보관된 컵 중 필요한 컵을 쉽게 빼내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컵 보관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인 컵 보관구는, 하부에 내측으로 일정깊이 요입된 요입부가 형성된 끼움부와, 상단측에 방사상으로 통공된 다수개의 구멍들과, 상기 구멍들의 내측에 형성되는 원추형상의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의 중앙에 통공된 체결공과, 일측 외주연에 반원의 체결홈을 갖는 하부체와; 상기 하부체의 체결공에 끼워져 체결되는 탄성걸림편과, 상기 하부체의 가이드홈에 끼워지는 가이드돌기와, 상단측에 둘레에 단턱부를 갖는 컵 보관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체의 상단측에 구비된 선반체와; 상기 하부체의 일측 외주연에 형성된 반원의 체결홈에 끼워지는 반원형상의 끼움돌기가 형성된 반구형상의 제1덮개와, 상기 제1덮개의 일측면과 힌지핀에 의해 힌지결합되고 타측에 손잡이가 형성된 반구형상의 제2덮개를 갖는 덮개체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반체의 상단측에 형성된 컵 보관부의 내면은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체의 상단에 형성된 가이드홈의 내부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가이드돌기가 끼워지는 선반체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볼이 더 내삽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인 컵 보관구는, 컵이 보관되는 선반체의 상부에 덮개체가 더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보관되는 컵에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묻거나 하지 않아 항상 청결한 상태로 컵을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컵이 보관되는 선반체가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보관된 컵을 꺼내어 사용하기에 용이하고, 보관되는 컵이 생수통의 상부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하부체의 상단측에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컵이 쓰러지거나 하여 발생되는 문제점이 해결된다.
이하, 본 고안인 컵 보관구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인 컵 보관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인 컵 보관구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인 컵 보관구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컵 보관구는, 하부에 내측으로 일정깊이 요입된 요입부(11a)가 형성된 끼움부(11)와, 상단측에 방사상으로 통공된 다수개의 구멍(12)들과, 상기 구멍(12)들의 내측에 형성되는 원추형상의 가이드홈(13)과, 상기 가이드홈(13)의 중앙에 통공된 체결공(14)과, 일측 외주연에 반원의 체결홈(15)을 갖는 하부체(10)와, 상기 하부체(10)의 체결공(14)에 끼워져 체결되는 탄성걸림편(21)과, 상기 하부체(10)의 가이드홈(13)에 끼워지는 가이드돌기(22)와, 둘레에 단턱부(23a)가 형성되고 내측에 물빠짐공(23b)가 통공된 컵 보관부(23)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체(10)의 상단측에 구비된 선반체(20)와, 상기 하부체(10)의 일측 외주연에 형성된 반원의 체결홈(15)에 끼워지는 반원형상의 끼움돌기(31a)가 형성된 반구형상의 제1덮개(31)와, 상기 제1덮개(31)의 일측면과 힌지핀(33)에 의해 힌지결합되고 타측에 손잡이(32a)가 형성된 반구형상의 제2덮개(32)를 갖는 덮개체(30)로 구성된다.
상기 선반체(20)의 상단측에 형성된 컵 보관부(23)의 내면은 경사진 경사면(23c)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체(10)의 상단에 형성된 가이드홈(13)의 내부에는 상기 가이드홈(13)에 가이드돌기(22)가 끼워지는 선반체(22)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볼(16)이 더 내삽된다.
상기 하부체(10)와 선반체(2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체(10)의 상단에 중앙측에 형성된 가이드홈(13)에 상기 선반체(20)의 하단측 가이드돌기(22)가 끼워지고, 또한 상기 하부체(10)의 내측 중앙에 통공된 체결공(14)에 상기 선반체(20)의 하단측에 돌설연장된 탄성걸림편(21)이 탄성결합되어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선반체(20)가 하부체(10)의 상단측에서 동심원상으로 자유롭게 회전된다.
즉, 상기 선반체(20)와 하부체(10)를 고정하는 수단인 상기 탄성걸림편(21)과 이 탄성걸림편(21)이 탄성결합되는 상기 하부체(10)의 체결공(14)이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선반체(20)의 가이드돌기(22)가 상기 하부체(10)의 가이드홈(13)에 인입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선반체(20)는 하부체(10)이 가이드홈(13)을 따라 동심원상으로 자유롭게 회전됨이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가이드홈(13)의 내측에 볼(16)이 더 내삽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가이드돌기(22)가 가이드홈(13)을 따라 회전됨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선반체(20)의 컵보관부(23)에 보관된 컵 중, 자신의 컵을 찾아 꺼내고자 할 경우, 상기 선반체(20)를 회전시켜 자신의 컵이 앞으로 놓이도록 하여 꺼내어 사용하면 되는 바, 종래 자신의 컵을 찾기 위해 보관된 다른 컵을 만지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해결된다.
상기 선반체(20)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둘레에 단턱진 단턱부(23a)를 갖는 컵보관부(23)의 내면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컵보관부(23)의 일측에 통공된 물빠짐공(23b)측으로 일정각도 경사진 경사면(23c)으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보관된 컵(C)으로부터 떨어지는 물이 상기 컵보관부(23)의 경사면(23c)을 타고 자연스럽게 물빠짐공(23b)으로 흘러 밖으로 배출됨으로써, 선반부(20)의 컵보관부(23)에 물이 고이거나 함으로써, 야기되는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해결된다.
본 고안인 컵 보관구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온수기(1)의 상부에 구비되는 생수통(2)에 상기 하부체(10)의 끼움부(11) 내측에 요입형성된 요입부(11a)를 생수통(2)의 상단에 끼워 컵 보관구를 생수통의 상단에 견고하게 안착시켜 사용하면 되는 것으로, 선반체(20)의 상측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덮개(31)와 제2덮개(32)가 서로 힌지핀(33)에 의해 힌지결합된 덮개체(30)가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선반체(20)에 보관되는 컵에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쌓이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덮개체(30)가 힌지핀(33)에 의해 힌지결합된 제1덮개(31)와 제2덮개(32)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컵을 보관하거나 또는 보관된 컵을 꺼내고자 할 때, 상기 제2덮개(32)의 일측에 형성된 손잡이(32a)를 잡고, 제2덮개(32)를 제1덮개(31)측으로 젖혀 선반체(20)의 일부를 개방시켜 사용하면 된다.
본 고안인 컵 보관구는, 도시하고 설명한 것 이외에 다양하게 변형실시 될 수 있는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컵 보관구에 의하면, 컵이 보관되는 선반체의 상부에 덮개체가 더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보관되는 컵에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묻거나 하지 않아 항상 청결한 상태로 컵을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컵이 보관되는 선반체가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보관된 컵을 꺼내어 사용하기에 용이하고, 보관되는 컵이 생수통의 상부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하부체의 상단측에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컵이 쓰러지거나 함이 미연에 방지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도 1은 종래 상부에 생수통이 구비된 냉온수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컵 보관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컵 보관구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컵 보관구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컵 보관구의 구성요부인 하부체와 선반체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일부생략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컵 보관구의 구성요부인 선반체의 컵보관부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생략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인 컵 보관구가 냉온수기의 생수통 상부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부체 11 : 끼움부
11a : 요입부 12 : 구멍
13 : 가이드홈 14 : 체결공
15 : 체결홈 16 : 볼
20 : 선반체 21 : 탄성걸림편
22 : 가이드돌기 23 : 컵보관부
23a : 단턱부 23b : 물빠짐공
23c : 경사면 30 : 덮개체
31 : 제1덮개 32 : 제2덮개
32a : 손잡이 33 : 힌지핀

Claims (3)

  1. 하부에 내측으로 일정깊이 요입된 요입부(11a)가 형성된 끼움부(11)와, 상단측에 방사상으로 통공된 다수개의 구멍(12)들과, 상기 구멍(12)들의 내측에 형성되는 원추형상의 가이드홈(13)과, 상기 가이드홈(13)의 중앙에 통공된 체결공(14)과, 일측 외주연에 반원의 체결홈(15)을 갖는 하부체(10)와;
    상기 하부체(10)의 체결공(14)에 끼워져 체결되는 탄성걸림편(21)과, 상기 하부체(10)의 가이드홈(13)에 끼워지는 가이드돌기(22)와, 둘레에 단턱부(23a)가 형성되고 내측에 물빠짐공(23b)가 통공된 컵 보관부(23)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체(10)의 상단측에 구비된 선반체(20)와;
    상기 하부체(10)의 일측 외주연에 형성된 반원의 체결홈(15)에 끼워지는 반원형상의 끼움돌기(31a)가 형성된 반구형상의 제1덮개(31)와, 상기 제1덮개(31)의 일측면과 힌지핀(33)에 의해 힌지결합되고 타측에 손잡이(32a)가 형성된 반구형상의 제2덮개(32)를 갖는 덮개체(3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보관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체(20)의 상단측에 형성된 컵 보관부(23)의 내면은 경사진 경사면(23c)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보관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체(10)의 상단에 형성된 가이드홈(13)의 내부에는 상기 가이드홈(13)에 가이드돌기(22)가 끼워지는 선반체(22)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볼((16)이 더 내삽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보관구.
KR20-2005-0004373U 2005-02-18 2005-02-18 컵 보관구 KR2003838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373U KR200383887Y1 (ko) 2005-02-18 2005-02-18 컵 보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373U KR200383887Y1 (ko) 2005-02-18 2005-02-18 컵 보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3887Y1 true KR200383887Y1 (ko) 2005-05-10

Family

ID=43685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4373U KR200383887Y1 (ko) 2005-02-18 2005-02-18 컵 보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388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417Y1 (ko) * 2013-12-05 2015-06-05 변고은 화장품 보관대
KR101826588B1 (ko) 2017-05-30 2018-02-07 우용희 케이스 개별 살균 및 세척장치
KR20230105368A (ko) 2022-01-04 2023-07-11 최한형 컵홀더가 구비된 트레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417Y1 (ko) * 2013-12-05 2015-06-05 변고은 화장품 보관대
KR101826588B1 (ko) 2017-05-30 2018-02-07 우용희 케이스 개별 살균 및 세척장치
KR20230105368A (ko) 2022-01-04 2023-07-11 최한형 컵홀더가 구비된 트레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8958B2 (en) System and containers for water filtration and item sanitization
US20110204048A1 (en) Multi-purpose expandable container system
CA2533609C (en) Drinking water pitcher having a removable upper reservoir
US20110300275A1 (en) Water purifying and flavor infusion device
KR20140136397A (ko) 음료의 필터 또는 처리를 위한 병 시스템 및 방법
US20060144781A1 (en) Water purification system
KR200383887Y1 (ko) 컵 보관구
KR102656807B1 (ko) 정수기
US20080245681A1 (en) Toothbrush Holder with Integral Drain
KR200383573Y1 (ko) 음용 컵
US20120067749A1 (en) Container
KR101923819B1 (ko)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
KR20170092793A (ko) 음료 용기
US20230322441A1 (en) Storage facilitation system
CN213551246U (zh) 一种便于取放一次性杯子的饮水机
JPH04104881A (ja) 飲料水の浄化容器
CN209826306U (zh) 茶吧机
KR102432881B1 (ko) 텀블러 세척기
KR200190177Y1 (ko) 일회용 위생 생수팩에 생수를 보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생수기
KR200493932Y1 (ko) 이중 정수기 매트
CN219782169U (zh) 果盘基座、智能果盘
JP2852908B2 (ja) 水槽装置
CN215226582U (zh) 一种杯子
KR20230147841A (ko) 청소 도구의 수납이 가능한 분리형 텀블러
CN211443179U (zh) 一种饮品过滤装置及饮品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0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