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3609Y1 - 목재쟁반 - Google Patents

목재쟁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3609Y1
KR200383609Y1 KR20-2005-0004507U KR20050004507U KR200383609Y1 KR 200383609 Y1 KR200383609 Y1 KR 200383609Y1 KR 20050004507 U KR20050004507 U KR 20050004507U KR 200383609 Y1 KR200383609 Y1 KR 2003836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handle
rim
edge
wood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45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금용
김의용
Original Assignee
배금용
김의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금용, 김의용 filed Critical 배금용
Priority to KR20-2005-00045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36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36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36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6Serving trays
    • A47G23/0625Serving trays with thumb holes, handles or the like positioned below the tray facilitating carrying the tray with one hand

Landscapes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쟁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스와 테두리로 이루어지며 상부가 개방되어 음식물이나 기타 물건을 담아서 이동·운반을 하는 쟁반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는 양 끝단에 요철모양의 끼움부가 형성되어 서로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테두리의 외측 모서리에 손잡이가 형성되는 목재쟁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구조에 의하면, 목재쟁반의 테두리 양 끝단의 요철형상의 끼움부를 형성하여 더욱 견고하게 조립하고, 테두리의 모서리 외측에 손잡이를 부착함으로써, 손으로 파지하기가 용이하여 안정적으로 이동 운반할 수 있게 하는 쟁반을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목재쟁반 {A wood tray}
본 고안은 쟁반에 관한 것으로서, 테두리의 양 끝단에 요철모양의 끼움부가 형성하여 서로 끼워 결합하고 상기 테두리의 외측 모서리에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쟁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쟁반은, 그 상부가 개방되어 음식물이나 기타 물건을 담을 수 있고, 상단 둘레에는 손으로 파지하여 이동, 운반할 수 있는 테두리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재질은 통상적으로 합성수지나 금속 또는 목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목재쟁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목재쟁반(1)은 물건을 받치는 베이스(3)와 상기 베이스(3) 가장자리에는 손으로 파지하여 이동, 운반할 수 있는 테두리(5)로 형성된다.
상기 테두리(5)는 끝단에 서로 대응되도록 경사면을 이루고 있어 접촉면적을 넓히고 결합부재를 사용하여 결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목재쟁반에 있어서는 목재쟁반에 충격이 가해질 시 경사면에 균열이 발생하게 되고, 음식물이나 기타물건을 담아 이동 운반할 때 손으로 파지하여 안전하게 이동 운반하기 위한 손잡이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은 목재쟁반의 테두리 양 끝단의 요철형상의 끼움부를 형성하여 더욱 견고하게 조립하고, 테두리의 모서리 외측에 손잡이를 부착함으로써, 손으로 파지하기가 용이하여 안정적으로 이동 운반할 수 있게 하는 목재쟁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베이스와 테두리로 이루어지며 상부가 개방되어 음식물이나 기타 물건을 담아서 이동 운반하는 쟁반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는 양 끝단에 요철형상의 끼움부가 형성되어 서로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테두리의 외측 모서리에 손잡이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손잡이는 원통형상으로 일단에 'ㄱ'형상의 홈인 부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와 손잡이는 접착제에 의해 부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테두리의 양 끝단에 요철형상의 끼움부가 서로 교차하여 끼워짐으로 접촉면적을 증가시킴으로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고, 상기 테두리 모서리의 외측에 손잡이를 구비하여 상기 목재쟁반을 이동 운반에 안전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종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 또는 명칭을 사용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목재쟁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목재쟁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목재쟁반(10)은 음식물과 기타 물건을 받치는 베이스(20)와 소정높이를 갖으며 음식물과 기타 물건이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테두리(30)와 상기 테두리(30)의 모서리 외측에 부착되고, 손으로 파지하여 상기 목재쟁반(10)을 이동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베이스(20)의 가장자리에는 삽입돌기(22)가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테두리(30)는 양 끝단이 요철형상의 끼움부(40)를 형성되고 내측면의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장홈인 삽입홈(36)이 형성된다.
상기 끼움부(40)는 끼움돌기(42)와 끼움홈(44)이 규칙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 1테두리(32)와 제 2테두리(34)의 끼움부(40)는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50)는 원통형상으로 일단에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한 'ㄱ'형상의 장홈인 부착홈(52)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이하, 상기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20)의 가장자리에 연장 형성된 삽입돌기(22)를 상기 제 1테두리(32)의 내측면 중앙에 형성된 삽입홈(36)에 결합시킨다.
그리고 다음으로 상기 제 2테두리(34)의 삽입홈(36)을 상기 삽입돌기(22)에 일치시킨 후 삽입하면, 동시에 상기 테두리(30)에 형성된 끼움부(40)의 끼움돌기(42)와 끼움홈(44)이 서로 대응되면서 결합된다.
이때 결합되는 부분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결합력을 더욱 강화시킨다.
상기 끼움부(40)의 형상이 요철형상이므로 접촉 면적이 넓어서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며, 충격 시 균열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강도 보강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다.
각 결합부분에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서 별도의 결합부재가 필요하지 않고, 외관을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테두리(30)의 외측 모서리에 손잡이(50)를 접착제로 부착시킨다.
상기 손잡이(50)의 일단에 형성된 'ㄱ'형상의 장홈인 부착홈(52)이 형성되어 상기 테두리(30)와 손잡이(50)의 접촉면적을 넓어짐으로 더욱 단단하게 고정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50)의 형상이 원통형상으로 형성하여, 사용자가 파지 시에 부드러운 느낌을 주는 효과뿐 만 아니라 안전사고의 예방에도 뛰어난 효과가 있고, 조립과정에 있어서도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삽입하여 결합이 가능함으로 쉽고 간단하게 조립이 완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목재쟁반에 의하면 목재쟁반의 테두리 양 끝단에 끼움부를 형성하여 대응되는 위치에 삽입하여 결합함으로 쉽고 간단하게 조립가능하고, 요철형상의 끼움부로 접촉면적을 넓혀 견고하게 결합함으로서 충격 시 균열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강도보강의 효과가 있다.
또한 테두리의 외측 모서리에 손잡이를 부착함에 있어서 손잡이의 일단에 부착홈을 형성하여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으며, 손잡이의 존재로 손으로 목재쟁반 파지가 용이해져 목재쟁반에 담긴 음식물이나 기타 물건을 안정적으로 이동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목재쟁반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목재쟁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목재쟁반의 결합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 : 목재쟁반 3, 20 : 베이스
5, 30 : 테두리 22 : 삽입돌기
32 : 제 1테두리 34 : 제 2테두리
36 : 삽입홈 40 : 끼움부
42 : 끼움돌기 44 : 끼움홈
50 : 손잡이 52 : 부착홈

Claims (3)

  1. 베이스와 테두리로 이루어지며 상부가 개방되어 음식물이나 기타 물건을 담아서 이동·운반을 하는 쟁반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는 양 끝단에 요철모양의 끼움부가 형성되어 서로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테두리의 외측 모서리에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쟁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원통형상으로 일단에 'ㄱ' 형상의 부착홈이 형성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쟁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와 손잡이는 접착제에 의해서 부착되는 특징으로 하는 목재쟁반.
KR20-2005-0004507U 2005-02-21 2005-02-21 목재쟁반 KR2003836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507U KR200383609Y1 (ko) 2005-02-21 2005-02-21 목재쟁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507U KR200383609Y1 (ko) 2005-02-21 2005-02-21 목재쟁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3609Y1 true KR200383609Y1 (ko) 2005-05-06

Family

ID=43685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4507U KR200383609Y1 (ko) 2005-02-21 2005-02-21 목재쟁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360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740B1 (ko) 2019-11-06 2020-12-04 정준호 분리가능한 잔받침이 내장된 업소용 쟁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740B1 (ko) 2019-11-06 2020-12-04 정준호 분리가능한 잔받침이 내장된 업소용 쟁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69068B2 (en) Bottle with open loop handle
KR102474739B1 (ko) 착탈식 손잡이
US8282439B2 (en) Doll with flexible arms and legs
CA2461681A1 (en) Pinch grip type bottle-shaped container
USD468634S1 (en) Crate for 20-24 oz. bottles
USD461957S1 (en) Two liter bottle crate
US20050103794A1 (en) Liquid holding vessel with separately attached handle
KR200383609Y1 (ko) 목재쟁반
US7232019B2 (en) Seamless handle grip of luggage
USD537728S1 (en) Bottle
US20160265268A1 (en) Corner for a screen frame
JP2003028119A (ja) 木板に支柱を連結するための連結構造
KR101324568B1 (ko) 조리기구용 핸들
USD461054S1 (en) Two liter bottle crate
USD938230S1 (en) Beer mug
KR20100087538A (ko) 페트병용 손잡이
KR200404578Y1 (ko) 책상 상판의 테두리 보호구조
JPH0216707Y2 (ko)
KR200492422Y1 (ko) 식사도구
KR200492794Y1 (ko) 식사도구
KR102298637B1 (ko) 접이식 식사도구
KR200493964Y1 (ko) 조립형 식사도구
USD945735S1 (en) Part for a pallet
JP3165065U (ja) プラスチック製割箸
KR200420658Y1 (ko) 음식물 보관용 종이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0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