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3582Y1 - 가구용 포스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가구용 포스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3582Y1
KR200383582Y1 KR20-2005-0003958U KR20050003958U KR200383582Y1 KR 200383582 Y1 KR200383582 Y1 KR 200383582Y1 KR 20050003958 U KR20050003958 U KR 20050003958U KR 200383582 Y1 KR200383582 Y1 KR 2003835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furniture
fastening strip
bracket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39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울타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울타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울타리
Priority to KR20-2005-00039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35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35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35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 A47B57/08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consisting of grooved or notched ledges, uprights or side walls
    • A47B57/1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consisting of grooved or notched ledges, uprights or side walls the grooved or notched parts being the side walls or uprights thems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66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with longitudinal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47B96/061Cantilever bracket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 작업이 용이하고, 가구를 재조립할 경우 등에도 간편하게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된 새로운 구성의 가구용 포스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통형상의 바디(22)의 외주면에 방사 방향으로 다수개의 T자형 걸림부(24)가 마련된 단면 형태로 이루어진 포스트(20)와, 길다란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의 타공(44)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포스트(20)의 단부에서 상기 T자형 걸림부(24)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된 체결스트립(4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포스트(20)의 T자형 걸림부(24) 사이에 삽입된 상기 체결스트립(40)의 타공(44)에 브라켓(30)을 관통하는 체결구(55)를 체결하여 상기 포스트(20)의 둘레부에 상기 브라켓(30)을 장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포스트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가구용 포스트 어셈블리{Post assembly for furniture}
본 고안은 가구용 포스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 작업이 용이하며, 가구를 재조립할 경우 등에도 간편하게 재사용이 가능한 가구용 포스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이블 상판이나 진열대용 선반 또는 파티션용 패널과 같은 가구용 패널은 지지포스트에 브라켓 등을 매개로 장착된다. 이러한 가구용 패널을 장착하기 위한 포스트로서, 실용신안등록 제288878호가 출원된 바 있다. 도 1은 이러한 가구용 포스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가구용 포스트(10)는 원통형의 바디(13) 둘레부에 방사 방향으로 다수개의 T자형 걸림부(17)가 마련된 단면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가구용 포스트에 진열대용 선반 또는 파티션용 패널 등을 연결하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스트(10)에 브라켓(2)을 가조립하게 되는데, 이처럼 브라켓(2)을 포스트(10)에 가조립하기 위해서는 이 포스트(10)의 T자형 걸림부(17) 사이에 너트부재(3)를 삽입하고, 이 너트부재(3)와 브라켓(2)의 위치를 맞추어 볼트(4) 결합하게 된다.
그러나, 이처럼 브라켓(2)과 너트부재(3)의 위치를 맞추어 볼팅하는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상기 포스트의 둘레부에 장착될 브라켓(2)의 전후 또는 좌우 높이를 맞추어서 볼팅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쉽지 않으며, 경우에 따라, 각 포스트(10)에 설치된 브라켓(2)의 높이가 서로 맞지 않아서, 진열대용 선반 등의 경우 각 모서리 부분의 전후 좌우 높이가 제대로 맞지 않게 설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둘레부에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나사공이 형성된 포스트가 제안된 바 있다. 즉, 포스트의 둘레부에 상하 방향으로 나사공을 형성하여, 이 나사공 중에서 선택된 곳에 브라켓을 볼팅하여 고정함으로써, 진열대용 선반과 같은 피고정물을 용이하게 장착하면서도 전후 좌우 높이가 균일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포스트는 그 둘레부에 직접 나사공을 내는 방식으로서, 포스트의 일측에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어도 다른 쪽에 새롭게 가구용 패널 등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포스트의 다른쪽 둘레부에 새롭게 나사공을 형성해 주어야 하므로, 사용하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 가구를 해체하여 재조립할 때 포스트에 형성된 나사공의 위치가 재조립될 가구의 브라켓에 형성된 체결구멍과 잘 맞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경우 포스트를 재사용하지 못하고 폐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장 제작시에 조립 오차 등에 의해 나사공을 정위치에 형성하지 못한 경우, 이 나사공과 브라켓의 체결구멍이 잘 맞지 않아, 브라켓을 포스트에 제대로 장착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 경우에도 포스트를 제대로 이용하지 못하고 폐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조립 작업이 용이하고, 가구를 재조립할 경우 등에도 간편하게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된 새로운 구성의 가구용 포스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통형상의 바디(22)의 외주면에 방사 방향으로 다수개의 T자형 걸림부(24)가 마련된 단면 형태로 이루어진 포스트(20)와, 길다란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의 타공(44)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포스트(20)의 단부에서 상기 T자형 걸림부(24)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된 체결스트립(4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포스트(20)의 T자형 걸림부(24) 사이에 삽입된 상기 체결스트립(40)의 타공(44)에 브라켓(30)을 관통하는 체결구(55)를 체결하여 상기 포스트(20)의 둘레부에 상기 브라켓(30)을 장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포스트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T자형 걸림부(24)의 측면에는 상기 통형상의 바디(22)의 외측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걸림턱(28)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T자형 걸림부(24)와 걸림턱(28) 사이에 상기 체결스트립(40)의 양단부가 끼워져 결합되어, 상기 체결스트립(40)이 상기 바디(22)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포스트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주요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포스트(20)의 둘레부에 체결스트립(4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상기 체결스트립(40)의 타공(44)에 브라켓(10)을 볼팅하여 장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포스트(20)는 원통형의 바디(22)와, 이 바디(22)의 외주면에서 방사 방향으로 돌출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T자형 걸림부(24)를 갖는 단면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스트립(40)은 포스트(20)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길게 연장된 띠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포스트(20)의 서로 마주보는 T자형 걸림부(24) 사이에 탈부착 가능하게 끼워진다. 즉, 상기 포스트(20)의 상단 개구부를 통해 체결스트립(40)을 서로 마주하는 걸림부(24) 사이에 끼워서 이 체결스트립(40)을 포스트(2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스트립(40)에는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의 타공(44)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스트립(40)의 타공(44)에 장식장용 선반(5) 등을 설치하기 위한 브라켓(10)을 볼팅하여 결합하게 되는데, 이러한 체결스트립(40)의 타공(44)은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체결스트립(40)의 타공(44)을 기준으로 브라켓(10)을 장착하기만 하면, 각 브라켓(10)의 전후 또는 좌우 높낮이가 자동적으로 맞춰진 상태로 포스트(20)에 브라켓(10)이 장착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상기 포스트(20)에 장착될 각각의 브라켓(10)의 높낮이를 일일이 맞추지 않아도 되므로, 조립 작업이 신속하면서도 용이하다.
또한, 상기 체결스트립(40)에 상하 방향으로 타공(44)이 형성되어, 상기 포스트(20)의 둘레부에 새롭게 장식장용 선반(5) 등을 설치하거나 가구를 재조립할 경우 더욱 편리하다. 즉, 본 고안은 포스트(20)에 직접 나사공을 내는 방식이 아니라, 체결스트립(40)에 다수개의 타공(44)을 형성하고, 이 체결스트립(40)을 포스트(00)의 T자형 걸림부(24) 사이에 끼운 다음, 이 체결스트립(40)의 타공(44)에 의해 장식장용 선반(5) 등을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10)을 장착하여 조립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일측에 장식장용 선반 등을 설치하는 것 이외에 다른 쪽에 새롭게 장식장용 선반(5) 등을 설치하고자 할 경우, 상기 포스트(20)의 다른 쪽에 체결스트립(40)을 끼우고, 이 체결스트립(40)의 타공(44)에 브라켓(10)을 볼팅하여 장착할 수 있으므로, 사용하기 편리한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 가구를 해체하여 재조립할 경우, 재조립될 가구의 브라켓(10)에 형성된 체결공과 체결스트립(40)의 타공(44)이 맞지 않을 경우, 이 브라켓(10)의 체결공과 맞는 새로운 체결스트립(40)으로 갈아 끼워서 브라켓(10)을 장착할 수 있으므로, 가구를 해체한 후 재조립할 경우에도 편리하고, 나아가, 브라켓(10)의 체결구멍과 포스트(20)의 나사공이 맞지 않아 포스트(20)를 폐기해야 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공장 제작시에 가공 오차 등에 의해 체결스트립(40)의 타공(44)이 브라켓(10)의 체결구멍과 잘 안맞는 경우, 규격에 맞는 체결스트립(40)으로 갈아 끼우면 되므로, 브라켓(10)을 포스트(20)에 제대로 장착하지 못하여 포스트(20)를 폐기해야 하는 경우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T자형 걸림부(24)에는 상기 통형상의 바디(22)의 외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걸림턱(28)이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T자형 걸림부(24)와 걸림턱(28) 사이에 상기 체결스트립(40)의 양단부가 끼워져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T자형 걸림부(24)와 걸림턱(28) 사이에 체결스트립(40)의 양단부가 끼워져 결합되므로, 상기 체결스트립(40)의 내측면이 포스트(20)의 바디(22)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포스트(20)의 바디(22)의 외주면과 체결스트립(40) 사이에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체결스트립(40)의 타공(44)에 체결되는 피스 등의 체결구(3)가 포스트(20)의 바디(22)를 파고들어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은 포스트의 둘레부에 상하 방향을 따라 타공이 형성된 길다란 체결스트립을 착탈 가능하게 끼움 결합하고, 상기 체결스트립의 타공에 맞추어 상기 포스트에 브라켓을 설치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사용자가 각 포스트에 설치될 브라켓의 전후 또는 좌우 높낮이를 일일이 맞추어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조립 작업이 매우 신속하고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포스트에 기설치된 패널 이외에 다른 쪽에 새롭게 장식장용 선반 등을 설치하기 위해서 포스트의 타측에 새로 나사공을 형성하지 않고, 상기 체결스트립을 끼워서 선반 등을 설치하면 되므로, 포스트에 새롭게 선반 등을 설치할 때에도 조립 작업이 편리하다.
또한, 본 고안은 기존 가구를 해체하여 재조립할 때 체결스트립의 타공이 재조립될 가구용 브라켓의 체결구멍과 맞지 않더라도, 이 브라켓의 체결구멍과 맞는 체결스트립으로 갈아 끼워서 브라켓을 장착할 수 있으므로, 가구 해체 후 재조립시 등에 포스트 자체를 재사용하지 못하고 폐기해야 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으며, 공장 제작된 제품이 브라켓의 체결구멍과 잘 맞지 않아 포스트 자체를 폐기해야 하는 경우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체결스트립이 포스트의 원통형 바디의 외주면에서 소정 간격 외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므로, 체결스트립의 타공에 체결되는 피스 등의 체결구가 상기 포스트의 원통형 바디를 파고들어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가구용 포스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주요부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포스트 28. 걸림턱
40. 체결스트립 50. 체결구

Claims (2)

  1. 통형상의 바디(22)의 외주면에 방사 방향으로 다수개의 T자형 걸림부(24)가 마련된 단면 형태로 이루어진 포스트(20)와, 길다란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의 타공(44)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포스트(20)의 단부에서 상기 T자형 걸림부(24)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된 체결스트립(4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포스트(20)의 T자형 걸림부(24) 사이에 삽입된 상기 체결스트립(40)의 타공(44)에 브라켓(30)을 관통하는 체결구(55)를 체결하여 상기 포스트(20)의 둘레부에 상기 브라켓(30)을 장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포스트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T자형 걸림부(24)의 측면에는 상기 통형상의 바디(22)의 외측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걸림턱(28)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T자형 걸림부(24)와 걸림턱(28) 사이에 상기 체결스트립(40)의 양단부가 끼워져 결합되어, 상기 체결스트립(40)이 상기 바디(22)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포스트 어셈블리.
KR20-2005-0003958U 2005-02-15 2005-02-15 가구용 포스트 어셈블리 KR2003835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958U KR200383582Y1 (ko) 2005-02-15 2005-02-15 가구용 포스트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958U KR200383582Y1 (ko) 2005-02-15 2005-02-15 가구용 포스트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3582Y1 true KR200383582Y1 (ko) 2005-05-06

Family

ID=43685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3958U KR200383582Y1 (ko) 2005-02-15 2005-02-15 가구용 포스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358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22611A (en) Wall-unit hanging system
US9976311B2 (en) Attachment brackets for panel mounting
US8152003B1 (en) Tool hanger assembly
US20030168414A1 (en) Adjustable rackmount assembly
US7987948B2 (en) Length adjustable passenger handle assembly for elevator
US20100327134A1 (en) Mount with separate device interface
US11425998B2 (en) Shelf system and method of mounting a shelf
US20070152112A1 (en) Apparatus for mounting a flat screen display device to a lift mechanism
EP2510512B1 (en) Connecting piece for a freestanding portable display sign
US7806536B1 (en) Convex mirror
US7861989B2 (en) Drapery rod bracket
US20160113447A1 (en) Shower rod assembly and related method
US20080272076A1 (en) Shelf mounting system
KR200383582Y1 (ko) 가구용 포스트 어셈블리
KR101033254B1 (ko) 책상용 스크린 패널 구조
CA2777951C (en) Shower enclosure
KR20030076103A (ko) 각형지주에 적합한 구조를 갖는 상품진열용 선반받침구 및파이프 행거홀더
WO2013067037A1 (en) Tool-less modular panel system
US4480878A (en) Clearance adjustable drawer slide assembly
KR200363417Y1 (ko) 선반의 조립구조
KR200229999Y1 (ko) 롤러 컨베이어
KR200335355Y1 (ko) 조립선반
KR20180083577A (ko) 가구용 골격 조립구조
JP3126332U (ja) 組立式棚の遮光具の取付具
KR200403200Y1 (ko) 파이프 셔터용 마그네틱 케이스 브래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