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3425Y1 - 비닐하우스의 난방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의 난방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3425Y1
KR200383425Y1 KR20-2005-0005042U KR20050005042U KR200383425Y1 KR 200383425 Y1 KR200383425 Y1 KR 200383425Y1 KR 20050005042 U KR20050005042 U KR 20050005042U KR 200383425 Y1 KR200383425 Y1 KR 2003834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eating
drain pipe
vinyl house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50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숙자
Original Assignee
이숙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숙자 filed Critical 이숙자
Priority to KR20-2005-00050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34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34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34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0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9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electric he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02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with forced circulation, e.g. by pum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8Electric he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열된 상태의 온수를 순환용 펌프와 동파이프를 통하여 비닐하우스 내를 순환시킴으로써, 특히 외기의 온도가 낮는 동절기나, 야간에 전기에 의해 얻어지는 적은 난방 비용으로 비닐하우스내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시킴에 따라 작물의 성장을 고르게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한 비닐하우스의 난방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난방 공급장치는 양측에 입수관과 배수관이 연결된 수납함과; 상기 입수관과 배수관 사이에 설치된 온수이송부재와; 상기 온수이송부재의 내부에 설치된 발열수단과; 상기 입수관에 연결된 입수지관의 분기구에 다수의 연결관 및 엘보우를 통해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배수관에 연결된 배수지관의 분기구에 다수의 연결관 및 엘보우를 통해 타단부가 연결된 동파이프와; 상기 배수관과 배수지관 사이에 설치된 펌프; 및 상기 비닐하우스 내부의 온도 감지에 따라 상기 발열수단 및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판넬;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닐하우스의 난방 공급장치{Apparatus for heating supply of vinyl house}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의 난방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열된 상태의 온수를 순환용 펌프와 동파이프를 통하여 비닐하우스 내를 순환시킴으로써, 특히 외기의 온도가 낮는 동절기나, 야간에 전기에 의해 얻어지는 적은 난방 비용으로 비닐하우스내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시킴에 따라 작물의 성장을 고르게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한 비닐하우스의 난방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비닐하우스(vinyl house)는 채소류의 촉성재배 또는 열대식물을 재배하기 위하여 비닐 필름을 씌운 온실으로서, 현재 가장 중요한 원예시설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기 비닐 하우스용 골격재료로서는 철파이프 ·철재(鐵材) ·경질 PVC 파이프 등이 많이 사용되고, 지붕도 모양에 따라 외쪽지붕식 ·3/4식 ·양면식 ·아치형 등으로 구분된다.
한편, 하우스의 난방에는 온탕가온 ·증기가온 ·온풍난방 ·난로 전열장치 등이 있으나, 큰 규모에 가장 적당한 것은 온풍난방기에 의한 난방이다.
여러 가지 작물이 재배되는 비닐하우스내의 적절한 온도(20~25℃) 유지는 작황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서, 이른 봄, 늦은 가을 또는 동절기에는 외기의 온도가 낮아 비닐하우스의 내부온도를 작물의 성장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온도로 유지시킬 수 없게 되므로 별도의 난방을 실시하여야 된다.
동절기 등에 비닐하우스의 내부 온도를 유지시키기 위해 현재까지 알려진 열공급방식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이 중 대표적인 방식으로는 작물이 재배된 두둑과 두둑사이에 위치하는 각각의 고랑에 비닐 튜브형태의 닥트를 설치한 다음 온풍기에서 발생된 온풍을 상기 닥트를 통해 공급하는 방식과, 두둑에 방열판을 설치한 다음 기름 또는 전기보일러에서 예열된 온수를 상기 방열판으로 공급하여 외부로 방열되는 열에 의해 비닐하우스내의 온도를 유지시키는 방식이 있다.
상기 방식 중 전자의 경우에 의한 열공급 방식은 온풍기의 송풍압력에 의해 설정된 온도까지 가열된 열이 닥트를 통해 공급되므로 온풍기가 근접된 부위는 온도가 정해진 시간내에 설정온도까지 상승하지만, 송풍기로부터 원거리에 위치된 부분에는 닥트를 통해 온풍이 이동하면서 열이 소모되므로 비교적 차거운 바람이 토출된다.
즉, 온풍기의 설치위치로부터 근거리와 원거리의 온도편차가 발생되는데, 이러한 현상은 작물의 재배면적이 넓으면 넓을수록 온도편차가 더욱 심화되므로 비닐하우스내의 전체온도를 설정된 온도로 유지시키는데 많은 연료와 시간을 필요로 하게 되고, 이에 따라 비닐하우스를 유지하는데 비경제적이다.
한편, 후자에 설명한 방열판에 의한 열공급 방식은 방열판과 근접한 작물의 밑부분이 뜨거워 열에 메말라 버려 폐기되는 작물이 많아져 수확량이 떨어지며, 키가 큰 작물인 경우에는 대류의 온도편차로 인해 냉해를 입게 되어 과실의 표면이 균열되는 등 상품가치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에 따른 부가적인 문제점으로는, 재배면적에 난방장치들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여 재배면적이 줄어들게 되므로 수확량이 줄어드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온풍난방기는 기름이나 연탄과 같은 화석 연료를 사용하여 보일러를 작동시킨 후, 이 보일러에서 발생한 열기를 송풍기를 통해 비닐하우스 내부로 강제 공급하므로써, 난방이 이루어지므로 열효율이 낮아 난방비용이 크게 증가하고, 화석연료의 사용으로 인한 환경오염물질의 배출로 대기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일정 온도 이상을 갖는 물을 동파이프를 통해 비닐 하우스 내부를 순환시켜서 비닐 하우스의 내부 온도를 일정 온도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비닐하우스의 난방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전기를 통한 발열로 화석연료의 사용을 배제하므로써 난방비를 크게 절감하고 환경친화적인 영농기술을 실현할 수 있는 비닐하우스의 난방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은 양측에 입수관과 배수관이 연결된 수납함과; 상기 입수관과 배수관 사이에 설치된 온수이송부재와; 상기 온수이송부재의 내부에 설치된 발열수단과; 상기 입수관에 연결된 입수지관의 분기구에 다수의 연결관 및 엘보우를 통해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배수관에 연결된 배수지관의 분기구에 다수의 연결관 및 엘보우를 통해 타단부가 연결된 동파이프와; 상기 배수관과 배수지관 사이에 설치된 펌프; 및 상기 비닐하우스 내부의 온도 감지에 따라 상기 발열수단 및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판넬;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비닐하우스의 난방 공급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서 상기 온수이송부재는 다수의 직선형 파이프와, 상기 각각의 파이프를 연결하는 T관 및 엘보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본 고안에서 상기 발열수단은 열선을 구비한 막대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이러한 본 고안에서 상기 제어판넬에 연결되어 상기 비닐하우스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난방 공급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난방 공급장치에 있어서의 본체와 이에 연결된 동파이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닐하우스의 난방 공급장치에 있어서의 본체 내부를 도시한 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비닐하우스의 난방 공급장치에 있어서의 온수이송부재와 발열수단의 분리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난방 공급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이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난방 공급장치는 크게 입수관과 배수관이 연결된 수납함과, 상기 입수관과 배수관 사이에 설치된 온수이송부재와, 상기 온수이송부재의 내부에 설치된 발열수단과, 상기 입수관 및 배수관에 연결된 입수지관 및 배수지관에 다수의 연결관 및 엘보우를 통해 연결된 동파이프와, 상기 배수관과 배수지관 사이에 설치된 펌프와, 상기 발열수단 및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판넬로 이루어져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함(10)은 중공의 장방 형태로서, 양측에 입수관(11)과 배수관(12)이 고정설치되고, 상기 입수관(11)과 배수관 (12)사이에 온수이송부재(20)가 연결관(도시되지 않음) 및 연결캡(11a)(12a)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온수이송부재(20)는 10개의 직선형 파이프(20a 내지 20j, 20i 및 20j는 각각 도시되지 않았으며, 20i는 20d의 하부에 위치, 20j는 20c의 하부에 위치)와, 상기 각각의 파이프(20a 내지 20j)를 연결하는 다수의 T관(21) 및 엘보우(22)로 이루어져서 전체적으로 보아 일체형 구조를 가진다.
상기 발열수단(23)은 'U'자형 막대히터(23b)의 단부에 열선(23a)이 연결되고, 상기 열선(23a)은 후술하는 제어판넬(60)에 연결되며, 상기 파이프(20a 내지 20j)에 나사결합된다.
또한, 상기 입수관(11)의 타단부에 입수지관(30)이 연결되어지되, 상기 입수지관(30)에서 돌출형성된 다수의 분기구(30b)에 다수의 연결관(31)(32)이 엘보우(30a)(31a)(32a)를 각각 연결되며, 상기 연결관(31)(32)에는 열전도도가 뛰어난 동파이프(33)의 일단부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배수관(12)의 타단부에 펌프(50)를 매개로 하여 배수지관(40)이 연결되어지되, 상기 배수지관(40)에 형성된 다수의 분기구(40b)에 다수의 연결관(41)(42)이 엘보우(40a)(41a)(42a)를 각각 연결되며, 상기 연결관(41)(42)에도 상기 동파이프(33)의 타단부가 연결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파이프(33)는 비닐하우스(7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설치된다.
또한, 상기 비닐하우스(70)의 내부 일측 상단에는 비닐하우스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이를 상기 수납함(10) 상단에 설치된 제어판넬(60)에 그 신호값을 전송하는 온도감지센서(74)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판넬(60)은 상기 열선(23a) 및 펌프(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야간에 비닐하우스(70) 내부의 온도가 일정 온도 즉, 20℃ 이하로 하락시 이를 감지하여 상기 열선(23a)에 전원을 가하고, 상기 펌프(50)를 구동시킨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5는 단열재, 72는 도어, 76은 비닐하우스 골조, 90은 수납함 받침용 다이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기의 온도가 저하되는 야간에 상기 비닐하우스 (70) 내부에 설치된 온도감지센서(74)가 비닐하우스(7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약 20℃ 이하일 경우, 상기 제어판넬(60)에 신호를 보내면, 제어판넬은 상기 발열수단(23)의 열선(23a)에 전원을 가한다.
상기 열선(23a)이 막대히터(23b)를 통해 열을 가하면서 각 파이프(20a 내지 20j) 내부의 물이 가열되며, 이와 같이 가열된 물은 상기 일체형 구조를 갖는 파이프(20a 내지 20j)를 경유하여 더욱 그 수온(약 80 ℃)이 높아진 상태로서 이송하며, 이후 상기 제어판넬(6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펌프(50)가 가동되면서 데워진 상태의 물이 상기 배수지관(40)의 분기구(40b)와, 연결관(41)(42) 및 동파이프(33)를 통해 비닐하우스(7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순환된 후, 상기 연결관(31)(32)과 입수지관(30)을 통해 다시 수납함(10) 내부로 인입되면서 재순환되어 상기 동파이프(33)를 통해 온수가 비닐하우스(70) 내부를 순환하면서 비닐하우스 내부를 난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여 비닐하우스(70) 내부의 온도가 일정 온도(약 30℃) 이상이 되면, 온도감지센서(74)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판넬(60)을 통해 수납함(10) 내부의 열선(23a)에 인가되던 전원이 오프(off)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르면 기름이나 연탄과 같은 화석 연료를 사용하지 않고, 야간에 비닐하우스(70) 내부의 온도 감지에 따라 발열수단(23)을 통해 물을 가열하고, 이 가열된 물이 다수의 파이프(20a 내지 20j)를 통해 비닐하우스(70) 내부를 순환하면서 난방하므로 저렴한 전력을 통해 비닐하우스(70) 내부를 난방하므로써, 비닐하우스내의 전체 온도를 일정 온도로 유지시킴에 따라 작물의 고른 성장 촉진과 함께 연료가 대폭 절감되고, 환경친화적인 난방의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수납함(10)의 설치 면적이 작으므로 비닐하우스(70) 내부의 재배면적의 증가를 통해 작물의 수확량이 대폭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난방 공급장치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야간에 비닐하우스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열선을 통해 물을 가열하고, 이 가열된 물을 비닐하우스 내부를 따라 순환시켜서 비닐하우스 내부 온도를 일정 온도 이상 유지하므로써 작물의 고른 성장 촉진과 함께 난방비를 크게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석연료의 사용을 배제하므로써 대기오염을 방지하고, 환경친화적인 영농기술을 실현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난방 공급장치에 있어서의 본체와 이에 연결된 동파이프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닐하우스의 난방 공급장치에 있어서의 본체 내부를 도시한 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비닐하우스의 난방 공급장치에 있어서의 온수이송부재와 발열수단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난방 공급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납함 11 : 입수관
12 : 배수관 20 : 온수이송부재
23 : 발열수단 30 : 입수지관
33 : 동파이프 30b,40b : 분기구
31,32,41,42 : 연결관 50 : 펌프
60 : 제어판넬 70 : 비닐하우스
74 : 온도감지센서 80 : 보온재

Claims (4)

  1. 비닐하우스의 난방 공급장치에 있어서,
    양측에 입수관(11)과 배수관(12)이 연결된 수납함(10)과;
    상기 입수관(11)과 배수관(12) 사이에 설치된 온수이송부재(20)와;
    상기 온수이송부재(20)의 내부에 설치된 발열수단(23)과;
    상기 입수관(11)에 연결된 입수지관(30)의 분기구(30b)에 다수의 연결관(31) (32) 및 엘보우(30a)(31a)(32a)를 통해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배수관(12)에 연결된 배수지관(40)의 분기구(40b)에 다수의 연결관(41) (42) 및 엘보우(40a)(41a)(42a)를 통해 타단부가 연결된 동파이프(33)와;
    상기 배수관(12)과 배수지관(40) 사이에 설치된 펌프(50); 및
    상기 발열수단 및 펌프(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판넬(6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의 난방 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이송부재(20)는 다수의 직선형 파이프(20a~20j)와, 상기 각각의 파이프(20a~20j)를 연결하는 T관(21) 및 엘보우(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의 난방 공급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수단(23)은 열선(23a)을 구비한 막대히터(23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의 난방 공급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판넬(60)에 연결되어 상기 비닐하우스(7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7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의 난방 공급장치.
KR20-2005-0005042U 2005-02-24 2005-02-24 비닐하우스의 난방 공급장치 KR2003834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5042U KR200383425Y1 (ko) 2005-02-24 2005-02-24 비닐하우스의 난방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5042U KR200383425Y1 (ko) 2005-02-24 2005-02-24 비닐하우스의 난방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3425Y1 true KR200383425Y1 (ko) 2005-05-03

Family

ID=43684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5042U KR200383425Y1 (ko) 2005-02-24 2005-02-24 비닐하우스의 난방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342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9685B1 (ko) 축열식 온실 난방시스템
CN105475008A (zh) 日光温室太阳能高效二氧化碳补充系统
CN107347517A (zh) 一种土壤蓄热与热管对流换热的系统及其换热方法
CN204907360U (zh) 一种温室大棚换热系统
KR101095341B1 (ko) 온실하우스 난방시스템
CN104737854A (zh) 主动蓄热式温室大棚
KR200383425Y1 (ko) 비닐하우스의 난방 공급장치
KR20070008194A (ko) 비닐하우스용 냉난방장치
KR102199993B1 (ko) 인덕션 원리를 이용한 히트파이프 냉난방 겸용 온풍기
KR200382645Y1 (ko) 난방용 열풍장치
JP2009136203A (ja) ハウス栽培の土壌加温方法
CN202444985U (zh) 一种用于鱼池的热水系统
KR20120111067A (ko) 퇴비를 이용한 시설하우스용 난방시스템
KR102199996B1 (ko) 유기 태양전지를 이용한 히트파이프 냉난방 겸용 온풍기 시스템
KR200256827Y1 (ko) 이동형 전기히터방열기
KR20100110659A (ko) 비닐 하우스용 송풍장치
KR19990085810A (ko) 원예용 난방장치
KR101165920B1 (ko) 폐 가스용기를 이용한 하우스용 전기보일러
KR102157098B1 (ko) 할로겐히터를 이용한 냉풍 겸용 온풍기
KR200277347Y1 (ko) 농축산용 난방기
KR200207892Y1 (ko) 비닐하우스의 냉,온방장치
KR200334038Y1 (ko) 온실용 난방시스템
KR200480314Y1 (ko) 열매체를 이용한 순환식 전기 열풍기
CN217826149U (zh) 一种大棚用基于太阳能的可循环加热的电磁供暖装置
KR20060009970A (ko) 온실 및 비닐하우스의 온수난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