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3384Y1 - 밀폐 기능을 갖는 천장등 - Google Patents

밀폐 기능을 갖는 천장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3384Y1
KR200383384Y1 KR20-2005-0004187U KR20050004187U KR200383384Y1 KR 200383384 Y1 KR200383384 Y1 KR 200383384Y1 KR 20050004187 U KR20050004187 U KR 20050004187U KR 200383384 Y1 KR200383384 Y1 KR 2003833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ain body
ceiling
lamp
ceiling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41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동완
Original Assignee
동도조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도조명(주) filed Critical 동도조명(주)
Priority to KR20-2005-00041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33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33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33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21V31/005Sealing arrangeme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장에 매입 또는 현수되도록 설치되는 천장등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천장등으로 실내 공기에 함유되어 있는 먼지 등과 같은 부유 미립자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천장등 내의 부유 미립자가 실내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청정성이 요구되는 실내의 천장에 설치되는 천장등에 있어서, 상기 천장등은 밑면이 개방된 본체의 내부에 그 본체의 내측면과 일정 간격을 두고 반사판을 구비하며, 상기 반사판의 상부와 본체의 내측면 사이에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부품공간부를, 상기 반사판의 밑면에는 램프를 고정하기 위한 램프장착부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의 밑단에는 실내 공기에 함유된 부유 미립자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그 본체 내의 부유 미립자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커버부재가 밀폐되게 고정부에 의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기능을 갖는 천장등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밀폐 기능을 갖는 천장등{a hermetically sealed ceiling light}
본 고안은 천장에 매입 또는 현수되도록 설치되는 천장등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천장등으로 실내 공기에 함유되어 있는 먼지 등과 같은 부유 미립자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천장등 내의 부유 미립자가 실내로 배출되지 않도록 한 밀폐 기능을 갖는 천장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등과 같은 정밀산업 분야의 제작실이나 제약업체와 식품업체 등과 같은 제조실 및 병원의 수술실 등지에서는 실내 공기에 함유된 먼지 등과 같은 부유 미립자로 인하여 제품의 불량이 발생하는 원인이 됨과 아울러 그 부유 미립자에 포함된 세균 등으로 인해 많은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 등을 가지고 있었다.
그에 따라 상기와 같이 부유 미립자가 존재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장소 등지의 실내에는 여러 정화시설 등을 구비함과 아울러 조명수단의 일환으로 천장등이 매입되거나 현수되도록 설치되어 진다.
이렇게, 부유 미립자가 없도록 청정성이 요구되는 실내에 설치되는 종래의 천장등은 통상적으로 램프와 기타 다른 부품이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밑면으로 커버가 장착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진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청정성이 요구되는 실내에 설치되는 종래의 천장등의 경우에는 본체의 밑면으로 장착되는 커버가 밀폐성을 갖지 않도록 장착됨에 따라 실내 공기 중에 함유되어 있는 먼지 등과 같은 부유 미립자가 상기 본체와 커버 사이의 이격된 틈 등으로 유입된 후 쌓여 있다가 실내 공기의 대류현상에 의하여 실내로 다시 배출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기 천장등에 쌓여 있다 순환되는 부유 미립자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이 청정성이 요구되는 실내에서 작업시 제품의 불량율이 높아 짐은 물론 세균 오염등과 같은 심각한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실내의 공기 중에 함유되어 있는 부유 미립자가 천장등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천장등 내의 부유 미립자가 실내로 배출되지 않는 밀폐 기능을 갖는 천장등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청정성이 요구되는 실내의 천장에 설치되는 천장등에 있어서, 상기 천장등은 밑면이 개방된 본체의 내부에 그 본체의 내측면과 일정 간격을 두고 반사판을 구비하며, 상기 반사판의 상부와 본체의 내측면 사이에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부품공간부를, 상기 반사판의 밑면에는 램프를 고정하기 위한 램프장착부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의 밑단에는 실내 공기에 함유된 부유 미립자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그 본체 내의 부유 미립자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커버부재가 밀폐되게 고정부에 의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부재는 투광판과, 상기 투광판이 중앙으로 관통공간부가 형성되고 테두리에 플랜지부가 형성된 상면으로 다수의 고정편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테와, 상기 고정부와 상기 플랜지부 사이에 구비되는 기밀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는 그 본체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지지플랜지에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볼트와, 상기 고정볼트와 대응되는 위치의 고정테에 형성되는 통공과 고정너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개략적인 요부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따른 개략적인 요부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부분에 대한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청정성이, 즉 실내 공기에 함유된 먼지 등과 같은 부유 미립자에 의해 제품의 불량 발생을 방지하고 세균 등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요구되는 실내의 천장에 매입 또는 현수될 수 있게 설치되는 천장등에 있어서,
본 고안은, 실내 공기에 함유된 부유 미립자가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고, 그 천장등 내의 부유 미립자 또한 실내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천장등(1)은 밑면이 개방된 본체(10)의 내부에 그 본체(10)의 내측면과 일반적인 브라켓 등에 의해 램프에서 발생되는 열이 대류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반사판(12)을 구비하며, 그 반사판(12)의 상부와 본체(10)의 내측면 사이에 안정기외 관련된 여러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부품공간부(14)를, 상기 반사판(12)의 밑면에는 소켓 등과 같은 램프(L)를 고정하기 위한 램프장착부(16)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밑단에는 실내 공기에 함유된 부유 미립자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그 본체 내의 부유 미립자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커버부재(20)가 밀폐되게 고정부(30)에 의해 장착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에서, 본체의 상면에는 램프에서 발생되는 열이 실내로 방출되도록 통상적인 다수의 방출공(도시되지 않음)과, 전기가 통전되는 리이드선 등이 삽입되는 다수의 삽입공(도시되지 않음) 및 그 본체를 고정하기 위한 여러 고정공(도시되지 않음) 등이 형성되어 진다.
상기 커버부재(20)는 그 반사판의 밑면에 구비되는 램프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과되는 투광판(22)과, 상기 투광판(22)이 중앙으로 관통공간부(24a)가 형성되고 테두리에 플랜지부(24b)가 형성된 상면으로 다수의 고정편(25)에 의해 스크류 고정되는 고정테(24)와, 상기 고정부(30)와 상기 플랜지부(24b) 사이에 구비되는 밀폐성을 갖는 통상의 고무나 합성수지 또는 실리콘 등과 같은 기밀부재(28)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30)는 그 본체(1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기밀부재와 밀착되는 지지플랜지(32)에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볼트(34)와, 상기 고정볼트(34)와 대응되는 위치의 고정테(26)에 형성되는 통공(36)과 상기 고정볼트로 체결되는 통상적인 고정너트(38)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본 고안은, 먼저 본체 내부에 반사판을 기준하여 부품공간부와 램프장착부로 구획하므로서, 램프에서 발생되는 열이 여러 부품으로 직접 전달되지 않아 부품의 손상됨을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램프에서 발생된 열은 본체의 내측면과 반사판 사이의 일정 이격된 거리만큼 형성된 유로를 통하여 본체의 상면에 형성된 방출공을 거쳐 외부로 배기되어 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와 커버부재는 공기에 함유된 부유 미립자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그 본체의 내부에 잔류하는 부유 미립자가 실내로 배출되지 않는 밀폐성을 갖도록 고정된다.
다시말해서,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형성된 지지플랜지와 상기 커버부재의 고정테 테두리에 형성된 플랜지부 사이에 고정부에 의해 고정시 기밀부재가 개재되는 관계로, 상기 본체와 커버부재가 결합되는 부분을 통하여 실내의 부유 미립자 등이 유입될 수 있는 조건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의 내부에 부유 미립자가 잔류하고 있다 하더라도 상기 본체와 커버부재 사이를 통해서는 배출될 수 있는 조건 또한 봉쇄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천장등은 청정성이 요구되는 실내에서 부유 미립자 등이 유입 및 배출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서, 제품의 불량 발생을 최소화 함과 아울러 세균 등에 의한 오염 등도 방지할 수 있는 조건을 구비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천장등은 부유 미립자가 유입 및 배출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므로서, 청정성이 요구되는 실내에서 그 부유 미립자로 인한 제품의 불량 발생율을 극소화 함은 물론 세균 등으로 인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개략적인 요부 측단면도.
도 3은 도 2에 따른 개략적인 요부 정단면도.
도 4는 도 3의 A부분에 대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천장등
10 : 본체
12 : 반사판 14 : 부품공간부
16 : 램프장착부
20 : 커버부재
22 : 투광판 24 : 고정테
24a : 관통공간부 24b : 플랜지부
25 : 고정편 28 : 기밀부재
30 : 고정부
32 : 지지플랜지 34 : 고정볼트
36 : 통공 38 : 고정너트

Claims (3)

  1. 청정성이 요구되는 실내의 천장에 설치되는 천장등에 있어서,
    상기 천장등(1)은 밑면이 개방된 본체(10)의 내부에 그 본체의 내측면과 일정 간격을 두고 반사판(12)을 구비하며, 상기 반사판의 상부와 본체의 내측면 사이에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부품공간부(14)를, 상기 반사판의 밑면에는 램프를 고정하기 위한 램프장착부(16)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의 밑단에는 실내 공기에 함유된 부유 미립자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그 본체 내의 부유 미립자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커버부재(20)가 밀폐되게 고정부(30)에 의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기능을 갖는 천장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20)는 투광판(22)과, 상기 투광판이 중앙으로 관통공간부(24a)가 형성되고 테두리에 플랜지부(24b)가 형성된 상면으로 다수의 고정편(25)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테(26)와, 상기 고정부(20)와 상기 플랜지부(24b) 사이에 구비되는 기밀부재(2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기능을 갖는 천장등.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30)는 그 본체(1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지지플랜지(32)에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볼트(34)와, 상기 고정볼트와 대응되는 위치의 고정테(26)에 형성되는 통공(36)과 고정너트(3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기능을 갖는 천장등.
KR20-2005-0004187U 2005-02-16 2005-02-16 밀폐 기능을 갖는 천장등 KR2003833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187U KR200383384Y1 (ko) 2005-02-16 2005-02-16 밀폐 기능을 갖는 천장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187U KR200383384Y1 (ko) 2005-02-16 2005-02-16 밀폐 기능을 갖는 천장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3384Y1 true KR200383384Y1 (ko) 2005-05-03

Family

ID=43684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4187U KR200383384Y1 (ko) 2005-02-16 2005-02-16 밀폐 기능을 갖는 천장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338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085B1 (ko) * 2006-07-26 2008-04-10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등기구 장치를 내장한 배선덕트의 보호커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085B1 (ko) * 2006-07-26 2008-04-10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등기구 장치를 내장한 배선덕트의 보호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5703B1 (ko) 크린룸 전용 형광등기구
KR100777038B1 (ko) 크린룸 전용 형광등기구
KR101855361B1 (ko) Gmp용 조명등기구
KR101691333B1 (ko) 클린룸 전용 조명등기구
JP2005506672A (ja) 固体の連続的に密閉されたクリーンルーム照明器具
KR200383384Y1 (ko) 밀폐 기능을 갖는 천장등
KR20060132133A (ko) 크린룸용 조명기구
KR102119997B1 (ko) 클린룸 전용 조명등
KR102516259B1 (ko) 방수기능을 갖는 천장등
KR100872436B1 (ko) 크린룸용 등기구
JP2011028970A (ja) クリーンルーム用照明器具
JP3231577U (ja) 殺菌灯収容装置
CN209294940U (zh) 一种彩钢板嵌入式洁净灯具
KR200395532Y1 (ko) 크린룸용 조명기구
KR101905657B1 (ko) 클린룸용 조명장치
KR101721669B1 (ko) Led 매립등
KR101554035B1 (ko) 클린룸용 블라인드 패널
KR101715255B1 (ko) 크린룸용 천장 매립등
KR20100129485A (ko) 크린룸용 형광등기구
JP4448757B2 (ja) クリーンルームの照明システム
WO2022183515A1 (zh) 无边框面板灯
KR20210129518A (ko) 클린룸용 공조필터박스
KR101189030B1 (ko) 클린룸용 노출 조명기구
KR200420767Y1 (ko) 지엠피용 형광등기구
KR101977533B1 (ko) Gmp용 조명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