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3152Y1 - 양봉용 소상상자에 설치되는 개포기 - Google Patents
양봉용 소상상자에 설치되는 개포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83152Y1 KR200383152Y1 KR20-2005-0000235U KR20050000235U KR200383152Y1 KR 200383152 Y1 KR200383152 Y1 KR 200383152Y1 KR 20050000235 U KR20050000235 U KR 20050000235U KR 200383152 Y1 KR200383152 Y1 KR 20038315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mall
- box
- beekeeping
- small box
- plat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341 apiculture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41000257303 Hymenoptera Species 0.000 description 17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2907 honey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256837 Ap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09140 Trit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307 Trit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95 bree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88 br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1 dehumi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266 hiber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260 vegetative to reproductive phase transition of meristem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2—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frames for honeycomb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4—Artificial honeycomb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봉용 소상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소상상자의 상면에 안치되는 판재와, 상기 판재의 중앙에 관통 형성되는 제 1, 2통로부와, 상기 판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레일을 타고 이동하며 상기 제 1, 2통로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판으로 구성된 개포기가 설치됨을 기술적 요지로 하는 양봉용 소상상자에 설치되는 개포기를 제안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상, 하로 적층된 복수개의 소상상자들로 이루어진 양봉용 소상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상상자와 소상두껑 사이에 습기를 배출하는 제 1통로부와 일벌들을 이동시키는 제 2통로부가 구비된 개포기를 설치 구성한 양봉용 소상상자에 설치되는 개포기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양봉용 소상은 꿀벌을 사육하여 벌꿀을 채취하는 양봉에 있어서 꿀벌의 주거장소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양봉용 소상는 적층방식에 있어 단상(단층인 경우)과 계상(복수층인 경우)로 구분되어 진다.
한편, 상기 계상방식의 양봉용 소상은 대략 사각박스형태를 가지며 내부에는 소비(꿀벌들의 생육 및 번식과 꿀 저장 및 채밀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고안된 양봉용 기구)를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부를 가지는 소상상자를 복수개 상, 하로 적층하고, 하부에 위치한 소상상자의 바닥에는 소상밑판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에 위치한 소상상자 위에는 소상두껑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구조를 가진다.
한편, 상기 소상상자위에 덮여지는 소상두껑의 내부에는 통상 일정간격만큼의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공간부를 그대로 방치할 경우에는 일벌들의 습성상 상기 공간부에 불필요한 벌집(일명 헛집이라 함)을 짖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종래에는 임시방편으로 상기 소상상자와 소상두껑의 사이에 천이나 포대자루등의 덮개천을 덮어 일벌들이 상기 공간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덮개천을 사용하게 되면 소비상대위의 공간부가 완전히 차단된 상태가 됨으로서 월동중인 꿀벌이 기후(추위)를 피하기 위하여 다른 저밀소비장으로 이동하기가 불편하고, 월동성적도 부진하였으며, 소상상자내의 습기나 오염된 공기 배출에도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기 소상상자와 소상두껑 사이에 개폐 가능한 통로부를 가지는 개포기를 설치하여 습기나 오염된 공기를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양봉용 소상상자에 설치되는 개포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통로부를 습기를 제거하는 제 1통로부와 일벌들을 통과시키는 제 2통로부로 각각 구성하여 습기제거 기능외 양봉용 소상의 이동시에는 일벌들이 소상두껑내의 공간부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양봉용 소상상자에 설치되는 개포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양봉용 소상상자에 있어서, 상기 소상상자의 상면에 안치되는 판재와, 상기 판재의 중앙에 관통 형성되는 제 1, 2통로부와, 상기 판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레일을 타고 이동하며 상기 제 1, 2통로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판으로 구성된 개포기가 설치됨을 기술적 요지로 하는 양봉용 소상상자에 설치되는 개포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한편, 본 고안에서 지칭되는 개포기라 함은 소상상자와 소상두껑 혹은 소상상자와 소상상자를 서로 분리 구획시키는 기능과 함께 개폐 가능한 통로부를 통해 서로 연통시켜 습기나 외부 공기의 배출 및 일벌들을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판재를 말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양봉용 소상(100)은 사각박스형태를 가지며 내부에는 소비(5)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부(11)를 가지는 복수개의 소상상자(10)들이 상, 하로 적층되고, 하부에 위치한 소상상자(10)의 바닥에는 소상밑판(12)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에 위치한 소상상자(10)위에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부(16)를 가지는 소상두껑(14)이 설치된 구조를 가진다.
한편, 상기 소상상자(10)와 소상두껑(14)의 사이에는 본 고안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개포기(2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개포기(20)는 언급한 바와 같이 소상상자(10)와 소상두껑(14)사이에 설치될 수 있느나,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소상상자(10)와 소상상자(10)의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첨부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포기(20)는 소상상자(10)위에 안치되며 둘레면을 따라 테두리부(24)가 연장 형성된 판재(22)와, 상기 판재(22)의 중앙부에 관통 형성되는 제 1, 2통로부(26, 28)와, 상기 판재(22)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레일(32)을 타고 이동하며 상기 제 1, 2통로부(26, 28)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판(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통로부(26)는 소상상자(10)내의 습기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이 제 1통로부(26)에는 일벌들이 통과하지 못하도록 다수의 분할핀(26a)들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설치되어 있으며, 따라서 제 1통로부(26)로는 일벌들이 통과하지 못하게 됨으로서 소상두껑(14)내의 공간부(16)에 일벌들이 헛집을 짓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 2통로부(28)는 일벌들이 통과하게 되는 이동통로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이 제 2통로부(28)를 형성시킨 것은 후술하겠지만 양봉용 소상(100) 전체를 이동시킬 때 일벌들이 공간이 협소한 소상상자(10) 내에서만 머물지 않고 상기 제 2통로부(28)를 통해 소상두껑(14)내의 공간부(16)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첨부된 도 4a와 도 4b는 소상상자(10)와 소상두껑(14) 사이에 설치되는 개포기(20)의 사용상태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먼저, 겨울철 월동기시에 소상상자(10)내의 습기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환기시키고자 할 때에는 첨부된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판(30)을 일측방향(도면에서는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제 1통로부(26)는 개방된 상태가 되고 제 2통로부(28)는 폐쇄된 상태가 된다. 즉, 상기 제 1통로부(26)를 개방함으로서 소상상자(10)내의 습기나 오염된 공기는 외부로 배출되어 지며, 따라서 소상상자(10)내를 항시 쾌적한 상태로 유지시켜 일벌들이 보다 편안한 상태로 동면을 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1통로부(26)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개의 분할핀(26a)들을 통해 일벌들은 상기 제 1통로부(26)를 통과하지 못하게 되며, 따라서 소상두껑(14)내의 공간부(16)에 헛집이 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꽃의 개화기를 따라 집단 밀원이 있는 곳으로 양봉용 소상(100) 전체를 이동시킬 때에는 첨부된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판(30)을 타측방향(도면에서는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제 2통로부(28)는 개방된 상태가 되며, 제 1통로부(26)는 폐쇄된 상태가 된다. 즉, 상기 제 2통로부(28)를 개방시키게 되면 일벌들은 공간이 협소한 소상상자(10)내에서만 머물지 않고 상기 제 2통로부(28)를 통해 소상두껑(14)내의 공간부(16)를 활용하며 움직일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일벌들은 상기 공간부(16)를 통해 움직임에 제약을 덜 받게 됨으로서 스트레스등으로 인한 일벌의 능률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 소상상자와 소상두껑 사이에 개폐판의 작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 되어지는 제 1, 2통로부가 구비된 개포기를 설치함으로서 겨울철 월동기시에는 상기 제 1통로부를 통해 소상상자내의 습기나 오염된 공기를 효과적으로 배출시켜 동면중인 일벌들이 보다 쾌적한 상태에서 동면을 취할 수 있으며, 개화기등 양봉용 소상 전체를 이동시켜야 할 때에는 상기 제 2통로부를 통해 일벌들이 소상두껑내의 공간부를 활용하며 움직일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일벌들이 스트레스로 인한 꿀 채취 능률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양봉용 소상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소상상자와 소상두껑의 사이에 설치되는 개포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개포기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
도 4a와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양봉용 소상상자에 설치되는 개포기의 사용상태를 각각 도시한 도면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소상상자 14: 소상두껑
16: 공간부 20: 개포기
22: 판재 26: 제 1통로부
26a: 분할핀 28: 제 2통로부
30: 개폐판 32: 가이드레일
100: 양봉용 소상
Claims (2)
- 양봉용 소상상자(10)의 상면에 안치되는 판재(22)와;상기 판재(22)의 중앙에 관통 형성되는 제 1, 2통로부(26, 28)와;상기 판재(22)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레일(32)을 타고 이동하며 상기 제 1, 2통로부(26, 28)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판(30)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소상상자에 설치되는 개포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통로부(26)에는 다수의 분할핀(26a)들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포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00235U KR200383152Y1 (ko) | 2005-01-05 | 2005-01-05 | 양봉용 소상상자에 설치되는 개포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00235U KR200383152Y1 (ko) | 2005-01-05 | 2005-01-05 | 양봉용 소상상자에 설치되는 개포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83152Y1 true KR200383152Y1 (ko) | 2005-05-03 |
Family
ID=43684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00235U KR200383152Y1 (ko) | 2005-01-05 | 2005-01-05 | 양봉용 소상상자에 설치되는 개포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83152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99055A (ko) | 2017-02-28 | 2018-09-05 | 정춘식 | 벌꿀채집을 위한 벌통용 개포판 |
-
2005
- 2005-01-05 KR KR20-2005-0000235U patent/KR20038315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99055A (ko) | 2017-02-28 | 2018-09-05 | 정춘식 | 벌꿀채집을 위한 벌통용 개포판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95246B1 (ko) | 말벌의 진입이 방지되는 화분 채집 장치 | |
US11425893B2 (en) | Beehive system, kit and method | |
CN204232094U (zh) | 蜂箱及辅助设备 | |
KR20190038703A (ko) | 벌통용 단열 패널 | |
US20160227745A1 (en) | Beehive system | |
KR20110007869A (ko) | 벌통 출입구 구조 | |
KR200383152Y1 (ko) | 양봉용 소상상자에 설치되는 개포기 | |
WO2016087883A1 (en) | Multihive | |
CN112956428A (zh) | 一种适合中蜂养殖且便于卫生清扫的蜂箱 | |
KR200489356Y1 (ko) | 채분이 용이한 조립식 채분기 | |
KR20110015488A (ko) | 이중바닥 벌통 | |
KR102134228B1 (ko) | 양봉용 벌통의 출입구 개폐장치 | |
KR20190123471A (ko) | 발포수지재 벌통 | |
KR200301907Y1 (ko) | 바닥서랍식 사양기가 구비된 벌통바닥받침틀 | |
EP1300076A1 (en) | Honeycomb-shallow box partition for beehives | |
KR20170094738A (ko) | 소형 4군 교미상 | |
KR200383155Y1 (ko) | 양봉용 소상상자의 교미대 | |
CN109197677A (zh) | 卧放式树段、树干蜜蜂箱的初次使用法 | |
RU2453110C2 (ru) | Микропасека петрова | |
WO2008087398A1 (en) | Apparatus for a hive | |
KR200379573Y1 (ko) | 벌통 지지장치 | |
KR200304677Y1 (ko) | 계상형 벌통의 상, 하부통체 연결장치 | |
KR102290518B1 (ko) | 벌통 소문 | |
KR200492021Y1 (ko) | 채밀과 내검 작업이 용이한 벌통 구조체 | |
KR200372162Y1 (ko) | 벌통용 격왕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129 Year of fee payment: 4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416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