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2525Y1 - 차량에 탑재되어 이동되는 분뇨 교반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에 탑재되어 이동되는 분뇨 교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2525Y1
KR200382525Y1 KR20-2005-0003175U KR20050003175U KR200382525Y1 KR 200382525 Y1 KR200382525 Y1 KR 200382525Y1 KR 20050003175 U KR20050003175 U KR 20050003175U KR 200382525 Y1 KR200382525 Y1 KR 2003825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ure
screw
vehicle
storage tank
fixe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31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갈원홍
Original Assignee
갈원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갈원홍 filed Critical 갈원홍
Priority to KR20-2005-00031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25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25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25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propellers
    • B01F27/71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propellers co-operating with stationary guiding means, e.g. baff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animal husbandr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8Mobile apparatus and plants, e.g. mounted on a vehic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에 탑재되어 이동되는 분뇨 교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이 교반장치는, 차량에 탑재되어 차량과 함께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고정프레임과; 고정프레임의 상부에 상, 하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회전체와; 일측에는 분뇨의 교반을 위한 스크루가 설치되어 있고, 타측은 회전체에 연결되어 회전체와 함께 상, 하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는 스크루설치축과; 차량에 탑재되어 있고, 스크루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과; 차량에 탑재된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스크루에 전달하여 스크루가 회전되도록 하는 동력전달수단과; 회전체의 상, 하 회전을 제어하여 스크루가 분뇨 저장탱크 내의 분뇨에 잠기도록 하거나 분뇨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회전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의 분뇨 교반장치는, 교반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사용되지 않을 때 각종 구성요소가 분뇨에 접촉되지 않아 부식이 방지되고, 고장발생률이 매우 낮을 뿐 아니라 수리가 용이하며, 전기시설이 불필요하고, 차량을 통해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각각의 분뇨 저장탱크마다 교반장치를 설치하여야 했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에 탑재되어 이동되는 분뇨 교반장치{THE CHURNING APPARATUS FOR EXCRETIONS EMBARKED ON THE VEHICLE}
본 고안은 분뇨 저장탱크 내의 분뇨를 교반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환경오염에 대한 심각성으로 인하여 축산농가에서도 가축의 배설물인 분뇨를 별도의 처리과정을 거쳐 처리하도록 되어 있고, 이와 같은 규정으로 축산농가에서는 분뇨를 처리하기 전 대형 저장탱크에 분뇨를 모아 저장해 둔다.
이와 같이 대형 저장탱크에 저장된 가축의 분뇨는 저장과정 중에 정체되어 있는 것이어서 슬러지는 가라앉고 비교적 가벼운 물만이 위쪽에 뜬 상태로 오랫동안 보관된다.
따라서, 저장과정에서의 분뇨는 발효가 원활하지 못하다.
또, 저장된 분뇨를 이송하기 위하여 펌프 등으로 빨아들일 때 저장탱크 위쪽에 위치된 물은 잘 빨아들여지지만 아래쪽에 가라앉은 슬러지는 잘 빨아들여지지 않아 펌프 등의 고장 원인이 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으로, 한국 특허출원 제10-2001-0079580호(분뇨 저장 및 발효 탱크)와 같이 저장탱크 내의 분뇨를 교반하도록 된 기술이 안출되었다.
그러나, 상기의 교반장치 및 방법은, 산소를 분사하여 저장탱크 내의 분뇨를 교반하는 것으로서, 그 교반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였다.
또, 고장의 수리가 어려웠으며, 분뇨의 교반을 위한 각종 구성요소의 작동을 위해 전기시설을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도 있었다.
또한, 각각의 분뇨 저장탱크마다 설치하여야 하므로 농가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하는 실정이었다.
본 고안은 스크루를 사용하여 교반함으로써 교반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사용되지 않을 때는 분뇨에 접촉되지 않아 부식이 방지되는 분뇨 교반장치를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또, 고장발생률이 매우 낮을 뿐 아니라 수리가 용이하고, 전기시설이 불필요하며, 필요시에만 분뇨저장탱크로 이동시켜 분뇨를 교반할 수 있는 분뇨 교반장치를 제공하려는 목적도 있다.
본 고안은 차량에 탑재되어 이동되는 분뇨 교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스크루를 사용하여 분뇨를 교반함으로써 분뇨의 교반 효율이 우수하도록 한다.
또, 스크루 등의 부품이 분뇨를 교반할 때에만 분뇨에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부식을 최소화하고, 각종 구성요소를 분뇨 저장탱크에 영향을 받지 않고 수리할 수 있도록 하여 수리가 용이하도록 한다.
또, 차량에 탑재시켜 필요시에만 분뇨 저장탱크가 위치된 장소로 이동하여 분뇨를 교반할 수 있도록 하고, 차량에 탑재된 엔진을 사용하여 스크루를 회전시킴으로써 전기시설이 없어도 분뇨의 교반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분뇨 교반장치는,
차량에 탑재되어 차량과 함께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고정프레임과;
고정프레임의 상부에 상, 하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회전체;를 갖는다.
또, 일측에는 분뇨의 교반을 위한 스크루가 설치되어 있고, 타측은 회전체에 연결되어 회전체와 함께 상, 하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되 스크루가 분뇨 저장탱크의 내측에 위치 가능한 길이로 연장되어 있는 스크루설치축;을 갖는다.
또, 차량에 탑재되어 있고, 스크루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과;
차량에 탑재된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스크루에 전달하여 스크루가 회전되도록 하는 동력전달수단;을 갖는다.
또, 회전체의 상, 하 회전을 제어하여 스크루가 분뇨 저장탱크 내의 분뇨에 잠기도록 하거나 분뇨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회전제어수단;을 갖는다.
이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에서는 스크루를 사용하여 분뇨의 원활한 교반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분뇨의 교반을 실시하지 않을 때에는 분뇨에 스크루 등이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부식을 최소화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또, 분뇨 저장탱크(1)마다 교반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도록 분뇨 교반장치가 차량(2)에 탑재된 형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분뇨 저장탱크로 이동하여 분뇨를 교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차량(2)에 탑재되어 차량(2)과 함께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고정프레임(10)의 상부에 상, 하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회전체(20)를 구비하고, 이 회전체(20)에 일측이 연결되어 회전체(20)와 함께 상, 하로 회전되며 타측은 분뇨 저장탱크(1)의 내측에 위치 가능한 길이로 연장되어 있는 스크루설치축(30)에 스크루(40)를 설치한다.
즉, 스크루(40)가 설치된 스크루설치축(30)이 분뇨 저장탱크(1)의 외측에 위치된 고정프레임(10)을 기준으로 하부로 회전되면 스크루(40)가 분뇨에 잠기고 상부로 회전되면 스크루(40)가 분뇨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분뇨 저장탱크(1)의 주변에 별도의 전기시설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도 스크루(40)의 회전을 통한 분뇨의 교반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이는 분뇨 저장탱크의 설치 장소가 대부분 전기시설을 설치하기에 어려움이 있는 장소임을 고려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고정프레임(10)과 함께 별도의 엔진(50)도 차량에 탑재하고 이 엔진(50)을 통해 동력을 얻어 스크루(40)를 회전시킨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엔진(50)은, 디젤엔진이나 가솔린엔진 등 이미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엔진과 같다.
예를 들면, 경운기의 엔진은 디젤엔진이며, 회전력을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경운기의 엔진을 차량에 탑재하고 이 경운기의 엔진으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인 회전력을 통해 스크루(40)가 회전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동력전달수단(60)은 상기와 같은 엔진(50)으로부터의 동력을 스크루(40)에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동력전달수단(60)은 이미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동력전달장치를 적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설명하면, 도 1과 같은 형태의 것이 있다.
도 1의 동력전달수단(60)은 고정프레임(10)의 상부와 하부에 회전방향을 변환시켜 주는 상부기어박스(61)와 하부기어박스(62)가 설치되어 있다.
또, 하부기어박스(62)의 회전력이 상부기어박스(61)에 전달되도록 연결되어 있되 유니버셜조인트(63)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 상부기어박스(61)와 하부기어박스(62)가 일직선상에 있지 않더라도 회전력의 전달이 원활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부기어박스(61)의 일측에는 회전 가능한 스크루연결회전축(64)이 연결되어 있고, 이 스크루연결회전축(64)에 스크루(40)가 설치되어 있어 스크루연결회전축(64)의 회전시 스크루(40)가 함께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 하부기어박스(62)의 일측은 엔진(50)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도 1과 같은 경우는 엔진(50)의 회전축이 회전됨에 따라 하부기어박스(62), 유니버셜조인트(63), 상부기어박스(61), 스크루연결회전축(64)의 순으로 동력이 전달되어 스크루(40)가 회전된다.
동력전달수단(60)의 또 다른 예로서, 도 3과 같이 스크루(40)는 회전 가능한 스크루연결회전축(64)에 연결하고 이 스크루연결회전축(64)의 타측에는 벨트풀리나 기어를 연결하며, 이 벨트풀리나 기어는 다시 엔진(50)과 연결된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교반장치가 분뇨를 이송하는 분뇨이송용 차량에 설치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또 다른 예로서, 도 3과 같이 스크루연결회전축(64)을 갖는 구조에서 벨트풀리나 기어가 생략된 형태 즉, 엔진(50)의 회전축과 스크루연결회전축(64)이 직접 연결된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도시하지 않음)
전술한 바와 같이 동력전달수단(60)은 이미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동력전달장치를 적용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분뇨에 접촉되면 부식이 빠르게 진행되므로 동력전달수단(60)은 분뇨에 접촉되지 않는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1에서와 같이 스크루연결회전축(64)을 스크루설치축(30)의 내측에 위치시켜 스크루(40)와 스크루설치축(30)이 분뇨에 잠기더라도 스크루연결회전축(64)은 분뇨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것과 같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회전제어수단(70)은, 회전체(20)의 상, 하 회전을 제어하여 스크루(40)가 분뇨 저장탱크(1)내의 분뇨에 잠기도록 하거나 분뇨로부터 이탈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회전제어수단(70)은 회전체(20)의 상, 하 회전을 제어하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과 같이 실린더(71)의 일측을 회전체(20)에 연결하고 타측은 움직이지 않는 물체(고정프레임(10) 등)에 연결하여 실린더 축의 전, 후진 여부에 따라 회전체(20)의 회전이 결정되도록 하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회전제어수단(70)의 또 다른 형태로서, 래치트버클(RATCHET BUCKLE)과 같이 로프나 와이어(72)를 감거나 풀어줄 수 있는 감김장치(73)를 소정의 위치에 고정하고, 로프나 와이어(72)를 회전체(20)와 감김장치(73)에 연결하는 도 3과 같은 형태가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은, 감김장치(73)에 로프나 와이어(72)를 감거나 풀어줌에 따라 회전체(20)의 회전여부를 결정하는 방식으로서, 스크루(40)가 연결된 방향에 무게 중심이 있어야 한다.
한편, 본 고안에 있어서, 스크루(40)가 분뇨에 잠기기 위하여 하강될 때 과도하게 하강되어 스크루(40)가 분뇨 저장탱크(1)의 바닥 면에 닿게 되면 스크루(40)가 파손될 뿐만 아니라 분뇨 저장탱크(1)도 파손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의 방지를 위하여, 스크루(40)가 분뇨 저장탱크(1) 내의 바닥에 닿는 것이 방지되도록 스크루(40)보다 먼저 바닥에 닿아 스크루(40)가 바닥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스크루보호커버(80)를 구비할 수 있다.
또, 회전체(20)가 회전됨에 있어, 스크루(40)가 분뇨 저장탱크(1)의 바닥에 닿는 순간까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회전체(20)의 회전을 소정의 위치에서 제한하는 회전제한장치(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할 수도 있다.
그러나, 분뇨 저장탱크의 크기가 동일하지 않을 수 있는 등의 이유로 회전제한장치의 경우에는 분뇨 저장탱크의 크기에 따라 설정이 필요하므로 스크루보호커버(8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고정프레임(10)을 차량의 종방향으로 눕히거나 위를 향하도록 세우는 것이 선택적으로 가능하도록 구현하면 차량을 빠른 속도로 운행하면서도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를 위한 구성은, 고정프레임(10)을 차량 및 차량에 설치된 물체에 연결, 설치함에 있어 고정프레임(10)이 차량의 종방향 및 세워지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한 형태로 구현된다.
고정프레임(10)이 세워지거나 눕혀지도록 함에 있어서는 인력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구현할 수도 있지만 도 1 및 도 5와 같이 실린더의 전, 후진에 의해 결정되는 것과 같이 반자동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
그런데, 도 1 및 도 5와 같이 동력전달수단(60)이 상부기어박스(61)와 하부기어박스(62)를 갖는 구조에서 고정프레임(10)이 눕혀지거나 세워지기 위해서는 동력전달수단(60)도 부분적으로 꺾이는 것이 가능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엔진(50)과 하부기어박스(62)의 연결부 및 상부기어박스(61)와 스크루연결회전축(64)의 연결부 등 동력전달수단(60)의 꺾임이 발생되는 부분은 유니버셜조인트를 사용하여 연결한다.
이때, 유니버셜조인트는 통상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꺾임이 많은 부분에는 도 4에 도시(엔진(50)과 하부기어박스(62)의 연결부)한 것과 같이 절곡될 수 있는 부분을 여러 개 형성한 유니버셜조인트를 제작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고정프레임(10)의 눕힘과 세움이 조절 가능하도록 구현할 경우, 고정프레임(10)의 세워진 상태가 안정적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1과 같이 지면에 안정적인 형태로 놓일 수 있고 고정프레임(11)을 따라 상, 하로 위치 조절이 가능한 지주(11)를 구비하여 지주(11)에 의해 고정프레임(10)의 세워진 상태가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 도 5와 같이 고정프레임(10)이 차량의 전, 후 방향으로 움직여 위치조정이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분뇨 저장탱크(1) 주변의 환경에 따라 고정프레임(10)의 위치를 적절하게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고정프레임(10)의 전, 후진을 위한 구성은, 도 5와 같이 차량에 베이스몸체(92)를 설치하고, 이 베이스몸체(92)에 고정프레임(10)을 연결하되 베이스몸체(92)를 따라 차랑(2)의 전, 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연결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베이스몸체(92)를 따라 고정프레임(92)이 움직일 수 있도록 연결되는 형태는 각종 공작기계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방법과 같으므로 이 부분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도 6과 같이 차량(2)에 베이스몸체(92)를 설치하고 이 베이스몸체(92)에 고정프레임(10)을 연결하되 고정프레임(10)이 베이스몸체(92)를 중심으로 좌, 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분뇨 저장탱크(2)가 차량(2)의 측면에 위치될 수 밖에 없는 조건에서도 고정프레임(10)을 좌, 우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스크루(40)를 분뇨 저장탱크의 내측으로 위치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좌, 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형태는 각종 공작기계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방법과 같으므로 이 부분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스크루설치축(30)은 도 1과 같이 분할된 것이 결합된 형태로 구현하여 분뇨 저장탱크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크기를 갖도록 연장하거나 줄여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작용을 도 1과 같이 구현된 경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분뇨 교반장치가 탑재되어 있는 차량(2)을 분뇨 저장탱크(2) 방향으로 움직여 분뇨 저장탱크(2)에 접근시킨 후 실린더(90, 91)를 작동시켜 눕혀져 있는 고정프레임(10)이 세워지도록 한다.
고정프레임(10)이 세워진 상태에서 회전제어수단(70)의 실린더(71)를 작동시켜 스크루설치축(30)이 고정프레임(10)과 직각에 가까운 상태로 펴지도록 한 상태에서 차량을 조금 움직여 분뇨 저장탱크(1)의 내측에 스크루(40)가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 과정 후 고정프레임(10)에 연결된 지주(11)를 하부로 이동시켜 지면에 세우면 고정프레임(10)은 더욱 더 안정적인 형태로 세워져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회전제어수단(70)인 실린더(71)의 실린더 축을 전진시켜 스크루설치축(30)이 하부로 회전되도록 하면 스크루(40)가 분뇨에 잠기게 된다.
스크루(40)가 분뇨에 잠긴 후 엔진(50)을 작동시키면 엔진(50)의 회전축과 연결된 유니버셜조인트(65), 하부기어박스(62), 유니버셜조인트(63), 상부기어박스(61), 스크루설치축(30)의 순으로 동력이 전달되어 회전됨에 따라 스크루(40)가 강하게 회전된다.
스크루(40)가 회전되면 분뇨는 상부에 위치되는 물과 하부의 슬러지가 교반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때, 분뇨 저장탱크(1) 내부에서 분뇨가 전체적으로 순환되면서 교반되므로 스크루(40)가 소정의 지점에만 위치되어 있어도 분뇨의 교반은 전체적으로 이루어진다.
분뇨의 교반을 마친 후 상기 과정의 역순으로 각각의 구성요소를 작동시키면 차량을 원거리로 이동시킬 수 있는 도 5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전기시설이 없어도 스크루(40)를 사용한 분뇨의 교반을 실시할 수 있고, 차량을 통해 원거리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어 하나의 분뇨 교반장치를 사용하여 여러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분뇨 저장탱크의 분뇨를 교반할 수 있다.
또, 본 고안은 최소한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지고, 사용되지 않을 때 분뇨에 접촉되지 않아 부식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고장발생률이 낮으며, 구성요소의 수리시 분뇨 저장탱크의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수리가 용이하다.
미설명 부호 66은 스크루(40)를 설치하기 위한 키(KEY) 설치홈이다.
본 고안의 분뇨 교반장치는, 스크루를 사용하여 분뇨를 교반함으로써 교반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사용되지 않을 때 각종 구성요소가 분뇨에 접촉되지 않아 부식이 방지된다.
또, 고장발생률이 매우 낮을 뿐 아니라 분뇨 저장탱크의 영향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 수리가 가능하여 수리가 용이하다.
또, 차량에 탑재된 엔진을 통해 스크루를 회전시키므로 전기시설이 불필요하며, 차량을 통해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각각의 분뇨 저장탱크마다 교반장치를 설치하여야 했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차량에 탑재되어 이동되는 분뇨 교반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스크루가 분뇨 저장탱크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하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분뇨 교반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회전제한장치가 와이어와 감김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는 고정프레임이 차량의 전, 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된 본 고안의 차량에 탑재되어 이동되는 분뇨 교반장치의 개략도
A : 고정프레임이 차량의 뒤쪽으로 이동되어 있는 상태
B : 고정프레임이 차량의 앞쪽으로 이동되어 있는 상태
도 6은 고정프레임이 차량에 설치된 베이스몸체의 좌, 우로 회전 가능하도록 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A : 스크루가 차량의 측방향에 있도록 회전된 상태
B : 고정프레임이 회전되지 않아 스크루가 차량의 뒤쪽으로 뻗어있는 상태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분뇨 저장탱크 2. 차량
10. 고정프레임 11. 지주
20. 회전체 30. 스크루설치축
31. 베어링 40. 스크루
50. 엔진 60. 동력전달수단
61. 상부기어박스 61a. 베어링
62. 하부기어박스 63. 유니버셜조인트
64. 스크루연결회전축 65. 유니버셜조인트
66. 키설치홈 70. 회전제어수단
71. 실린더 72. 와이어
73. 감김장치 80. 스크루보호커버
90, 91. 실린더 92. 베이스몸체

Claims (5)

  1. 분뇨 저장탱크 내의 분뇨를 교반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차량에 탑재되어 차량과 함께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부에 상, 하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회전체와;
    일측에는 분뇨의 교반을 위한 스크루가 설치되어 있고, 타측은 회전체에 연결되어 회전체와 함께 상, 하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되 스크루가 분뇨 저장탱크의 내측에 위치 가능한 길이로 연장되어 있는 스크루설치축과;
    상기 차량에 탑재되어 있고, 스크루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과;
    상기 차량에 탑재된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스크루에 전달하여 스크루가 회전되도록 하는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회전체의 상, 하 회전을 제어하여 스크루가 분뇨 저장탱크 내의 분뇨에 잠기도록 하거나 분뇨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회전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차량에 탑재되어 이동되는 분뇨 교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루설치축에는 스크루의 하강시 스크루보다 먼저 분뇨 저장탱크의 바닥에 닿아 스크루가 분뇨 저장탱크 내의 바닥에 닿는 것을 방지하는 스크루보호커버;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탑재되어 이동되는 분뇨 교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은 차량의 종방향으로 눕히거나 위를 향하도록 세우는 것이 선택적으로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탑재되어 이동되는 분뇨 교반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은 차량에 설치된 베이스몸체에 연결되어 있고, 베이스몸체를 따라 차량의 전, 후 방향으로 움직여 위치조정이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탑재되어 이동되는 분뇨 교반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은 차량에 설치된 베이스몸체에 연결되어 있되 베이스몸체를 중심으로 좌, 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탑재되어 이동되는 분뇨 교반장치.
KR20-2005-0003175U 2005-02-02 2005-02-02 차량에 탑재되어 이동되는 분뇨 교반장치 KR2003825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175U KR200382525Y1 (ko) 2005-02-02 2005-02-02 차량에 탑재되어 이동되는 분뇨 교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175U KR200382525Y1 (ko) 2005-02-02 2005-02-02 차량에 탑재되어 이동되는 분뇨 교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2525Y1 true KR200382525Y1 (ko) 2005-04-20

Family

ID=43684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3175U KR200382525Y1 (ko) 2005-02-02 2005-02-02 차량에 탑재되어 이동되는 분뇨 교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252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22767B2 (en) Floating-body type wind turbine power 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transporting components of the same
CN107224889B (zh) 一种污水处理装置
US5692454A (en) Birdbath
KR200382525Y1 (ko) 차량에 탑재되어 이동되는 분뇨 교반장치
KR101378990B1 (ko) 부유식 구조물
KR20140006260A (ko) 부유식 구조물
JPH027628Y2 (ko)
JP6207667B1 (ja) 船舶のケーブル送り出し装置
KR101422238B1 (ko) 부유식 구조물
KR200378775Y1 (ko) 차량을 사용한 분뇨 교반장치
KR101346225B1 (ko) 부유식 구조물
CN1247926C (zh) 非挖掘管道维修装置及其方法
KR200377580Y1 (ko) 분뇨 저장탱크 내의 분뇨를 교반하는 장치
CN204981200U (zh) 搅拌装置
JP3649499B2 (ja) 電動式混合機据付用装置
JP2000167375A (ja) 水中ミキサーの据付装置
KR102106606B1 (ko) 바지선
CN209816629U (zh) 一种建筑工程用划线装置
CN112339923A (zh) 一种浮动式海上充电平台
CN110180844A (zh) 一种石油化工管道清洗装置
CN204873899U (zh) 搅拌装置
CN211636095U (zh) 一种移动式粪污搅拌装置
CN215992499U (zh) 一种园林小区用除虫喷洒装置
CN219694926U (zh) 一种暗涵检测用定位装置
CN213773546U (zh) —种水利水电工程用一体化河道清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