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1500Y1 - 호흡장치 - Google Patents

호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1500Y1
KR200381500Y1 KR20-2005-0000212U KR20050000212U KR200381500Y1 KR 200381500 Y1 KR200381500 Y1 KR 200381500Y1 KR 20050000212 U KR20050000212 U KR 20050000212U KR 200381500 Y1 KR200381500 Y1 KR 2003815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flow path
flow
switching valv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02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우
Original Assignee
이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우 filed Critical 이영우
Priority to KR20-2005-00002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15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15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15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7/00Protective clothin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heat or harmful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 A62B17/003Fire-resistant or fire-fighters'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10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Toxic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호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커버(40')는 제 1원통형부(18)와 제 2원통형부(31) 사이에 위치되는 일부분에 상기 배출구(41)가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유로(43)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확장부(42)로서 아이피스(8)의 아래부분까지 확장되어 있고; 상기 커버(40')와 상기 제 1틀부(10')가 서로 결합되면, 제 2공간(B')과 유통하는 상기 유로(43)가 형성되며, 그 유로(43)의 선단부분에서 상기 커버(40')에는 또 다른 슬릿형 배출구(44)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 1틀부(10')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 2공간(B') 내에는 공지의 전환밸브(30)에 의해 상기 제 3공간(C)과 선택적으로 유통할 수 있는 제 6공간(F)이 상기 제 2원통형부(21)에 형성된 복수의 유통구멍(32)을 입구가 에워싸고 있는 형상으로 구획형성되어 있고, 이 제 6공간(F)의 출구(61)에는 공지의 유로전환밸브(50)를 개재되어 있음과 동시에 2개의 유로(62, 63)가 접속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2개의 유로(62, 63)중 하나의 유로(62)는 배출구(41)를 경유하여 외부와 유통하고 있고, 다른 하나의 유로(63)는 제 2공간(B')와 유동하고 있어, 제 6공간(F)이 공지의 유로전환밸브(50)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 2공간(B')과 외부와 유통할 수 있게 되어 있다.

Description

호흡장치{breathing apparatus}
본 고안은 호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화재진압시 착용하게 되는 급기식 호흡장치의 투시창에 흐릿해지는 현상 및 이물질 부착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에 관한 것이다.
유독 가스가 충만한 환경이나, 산소 결핍의 환경에서의 구급 활동 등에 종사 하는 작업자에게 청정 공기나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급기식 호흡장지는, 공지되어 있다. 급기식 호흡장치에는, 안면을 피복하는 면체와 면체에 장착되어 면입출구부 내에 청정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밸브를 갖추고 있다. 공급밸브로부터는 압축공기도관이 배설되어 있고, 작업자가 짊어진 고압 봄베 등의 급기원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호흡장치(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체(2)와, 면체(2)의 전면에 장착된 공기 공급밸브(4)와, 이 공급밸브(4)로부터 밖으로 뻗어 청정 공기를 저축한 봄베(도시하지 않음)에 접속하는 압축공기도관(3)과를 갖추고 있다.
이 면체(2)는 연질 고무제의 본체(7)와 투명 플라스틱제의 아이피스(8)와 전면부분이 경질 플라스틱으로 완성된 면입출구부재(9)와로 이루어지고, 본체(7)의 테두리에는 이 본체(7)를 작업자의 안면에 접촉시켜 유지하기 위한 끈부재(11)가 있다.
도 2는, 공급밸브(4)를 제외하고, 주요부를 파단해 나타내는 면체(2)의 측면도이다. 면입출구부재(9)는, 상기 본체(7)에 길밀적으로 결합되고, 여러개의 격벽에 의해 제 1 내재 제 3의 구획된 공간(A, B, C)을 제공하게 되는 제 1틀부(10)와, 그리고 상기 제 1틀부(10)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도 1에서 아이피스(8)로 부터 투시되는 노즈캡(13)에 기밀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 2공간(B)에 유통하게 되어 있고, 상기 제 1 공간(A) 및 제 3공간(C)과는 유통하지 않는 제 4공간(D)을 구획형성하는 제 2틀부(2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노즈캡(13)은 그 자유 가장자리가 착용자의 안면에 맞닿음하여 입과 코를 가릴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노즈캡(13)에는 흡기 동작으로 열리는 공지의 역지 밸브(13a)가 있어, 아이피스(8)와 노즈캡(13) 사이의 청정 공기를 노즈캡(13)내에 도입할 수가 있다.
상기 제 1틀부(10)의 제 1공간(A)은 공급밸브(4)가 장착되게 되는 제 1원통형부(18)가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제 1틀부(10)의 제 3공간(C)은 선택적으로 외기의 흡기 및 압축공기의 배기와 착용자의 호기를 가능하게 하는 공지의 전환밸브(30)가 장착되게 되는 제 2원통형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제 2틀부(20)에는 제 2공간(B)과 유통하는 제 4공간(D)을 구획형성하고 있고, 노즈캡(13) 내부에서 외부로 소리를 전달하기 위한 공지의 다이아프램(소리전달부재)(21)이 제 4공간(D) 내에 장착되어 있어 노즈캡(13)의 내부공간과 유체적으로 유통불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제 2원통형부(31)는 공간(B)와 공간(C)을 유통시키기 위해 둘레부에 복수개의 유통구멍(3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공간(B)를 이루는 제 1틀부(10)의 부분에는 격자형상의 커버(40)가 장착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 1공간(A)은 노즈캡(13)과 아이피스(8)에 의해 형성된 제 5공간(E)과 유통하게 되고, 상기 제 2공간(B)은 격자 커버(40)를 경유하여 외부와 유통하게 되고, 노즈캡(13)의 내부공간에 대해서는 다이아프램(21)에 의해 차단되어 있지만, 다이아프램(21)의 떨림으로 인하여 착용자의 목소리가 외부로 전달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상기 제 3공간(C)은 공지의 전환밸브(30)에 의해 상기 유통구멍(32)을 경유하여 제 2공간(B)과 선택적으로 유통하게 되어 있다.
이 공지의 전환밸브(30)는 한국공고실용신안 제20-0154899호에 개시된 전환밸브로서, 전환밸브의 핸들을 돌려서 선택적으로 상기 유통구멍(32)을 차단 또는 개방하여서 상기 제 3공간(C)과 상기 제 2공간(B)을 선택적으로 유통 및 차단하며, 상기 유통구멍(32)을 차단할 시, 착용자가 방출하는 호기가 상기 제 3공간(C), 상기 유통구멍(32), 및 상기 제 2공간(B)를 경유하여 밖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착용자가 방출하는 호기의 압력에 의해 유통구멍(32)을 개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종래의 호흡장치(1)는 유해환경에서는 상기 전환밸브를 폐쇄상태에 위치결정시켜 놓고, 착용자에게 청정 공기나 산소를 상기 제 1공간(A), 제 5공간(E) 및 역지밸브(13a)를 경유하여 노즈캡(13) 내로 공급하고, 착용자가 내뱉는 호기를 제 3공간(C), 유통구멍(32), 및 제 2공간(B)를 경유하여 배출시키고, 착용자의 음성소리가 다이아프램(21)에 전달되어 다이아프램(21)이 진동하게 되고, 그 진동을 상기 제 4공간, 제 2공간(B)을 경유하여 밖으로 전송하여 외부에 착용자 자신의 음성소리를 전달할 수 있게 하고, 유해환경이 아닌 경유에는 상기 전환밸브를 개방위치로 위치결정하여 착용자가 제 2공간(B), 유통구멍(32) 및 제 3공간(C)을 경유하여 호흡할 수 있게 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호흡장치(1)는 화재진압시 소방관이 착용하게 될 경우에, 고온, 고습 상태에 있는 아이피스의 외부와 신선한 공기가 공급되어 저온, 저습 상태에 있는 아이피스 내부 사이의 온도차로 인하여, 아이피스의 외면에 뿌연 것이 생기게 되어 소방관의 시야를 방해할 뿐만아니라, 아이피스의 외면에 형성된 뿌연 것으로 인하여, 화재진압시 발생되는 이물질들이 아이피스의 외면에 붙게 되어 더욱 소방관의 시야를 방해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의 호흡장치의 면입출구부재에 유로변경수단을 추가하여, 아이피스의 외면에 신선한 공기를 선택적으로 유출시킬 수 있는 구조를 호흡장치에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면체와, 면체의 전면에 장착된 압력 디맨드형 공기 공급밸브와, 이 공급밸브로부터 밖으로 뻗어 청정 공기를 저축한 봄베에 접속하는 압축공기도관과를 갖추고 있고; 면체가 본체와 아이피스와 전면부분이 면입출구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면입출구부재가, 상기 본체에 기밀적으로 결합되고, 여러개의 격벽에 의해 제 1 내재 제 3의 구획된 공간을 제공하게 되는 제 1틀부와, 그리고 상기 제 1틀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노즈캡에 기밀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 2공간에 유통하게 되어 있고, 상기 제 1 공간 및 제 3공간과는 유통하지 않는 제 4공간을 구획형성하는 제 2틀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노즈캡에는 흡기 동작으로 열리는 역지밸브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 1틀부의 제 1공간에는 공급밸브가 장착되게 되는 제 1원통형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제 1틀부의 제 3공간에는 선택적으로 외기의 흡기 및 압축공기의 배기와 착용자의 호기를 가능하게 하는 공지의 전환밸브가 장착되게 되는 제 2원통형부가 형성되어 있고; 제 2틀부에는 노즈캡 내부에서 외부로 소리를 전달하기 위한 공지의 다이아프램(소리전달부재)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 2원통형부는 제 2공간과 제 3공간을 유통시키기 위해 둘레부에 복수개의 유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제 2공간를 이루는 제 1틀부의 부분에는 커버가 장착되고, 여기에서, 상기 제 1공간은 노즈캡과 아이피스에 의해 형성된 제 5공간과 유통하게 되고, 상기 제 2공간는 배출구가 형성된 커버를 경유하여 외부와 유통하게 되고, 노즈캡의 내부공간과 다이아프램에 의해 차단되어 있지만, 다이아프램의 떨림으로 인하여 착용자의 목소리가 외부로 전달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상기 제 3공간은 공지의 전환밸브에 의해 상기 유통구멍을 경유하여 제 2공간과 선택적으로 유통하게 되어 있는 호흡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제 1원통형부와 제 2원통형부 사이에 위치되는 일부분에 상기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확장부로서 아이피스의 아래부분까지 확장되어 있고; 상기 커버와 상기 제 1틀부가 서로 결합되면, 제 2공간과 유통하는 상기 유로가 형성되며, 그 유로의 선단부분에서 상기 커버에는 또 다른 슬릿형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 1틀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 2공간 내에는 공지의 전환밸브에 의해 상기 제 3공간과 선택적으로 유통할 수 있는 제 6공간이 상기 제 2원통형부에 형성된 복수의 유통구멍을 입구가 에워싸고 있는 형상으로 구획형성되어 있고, 이 제 6공간의 출구에는 공지의 유로전환밸브를 개재되어 있음과 동시에 2개의 유로가 접속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2개의 유로중 하나의 유로는 배출구를 경유하여 외부와 유통하고 있고, 다른 하나의 유로는 제 2공간과 유동하고 있어, 제 6공간이 공지의 유로전환밸브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 2공간과 외부와 유통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호흡장치의 구성은 하기되는 구성요소만 상이하고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모두 동일하기 때문에, 종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만 자세히 설명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종래의 기술 설명란에 설명된 것으로 대체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호흡장치(100)의 커버(40')는 배출구로서 역활을 하는 격자 형상부가 전체적으로 전면에 형성되어 면입출구부재(9)의 제 1틀부(20)에 장착되어 있는 종래의 커버(40)와 달리, 제 1원통형부(18)와 제 2원통형부(31) 사이에 위치되는 일부분에만, 복수의 배출구(4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커버(40')는 유로(43)를 형성한 상태에서 확장부(42)로서 아이피스(8)의 아래부분까지 확장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제 2공간(B')은 커버(40')가 아이피스(8) 아래부분까지 확장되어 있는 관계로, 종래의 제 2공간(B)보다 더 위로 확장되어 있고, 상기 커버(40')와 상기 제 1틀부(10')가 서로 결합되면, 제 2공간(B')와 유통하는 유로(43)가 형성되며, 그 유로(43)의 선단부분에서 상기 커버(40')는 또 다른 슬릿형 배출구(4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틀부(10')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 2공간(B') 내에는 공지의 전환밸브(30)에 의해 상기 제 3공간(C)과 선택적으로 유통할 수 있는 제 6공간(F)이 상기 제 2원통형부(21)에 형성된 복수의 유통구멍(32)을 입구가 에워싸고 있는 형상으로 구획형성되어 있고, 이 제 6공간(F)의 출구(61)에는 공지의 유로전환밸브(50)를 개재되어 있음과 동시에 2개의 유로(62, 63)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2개의 유로(62, 63)중 하나의 유로(62)는 배출구(41)를 경유하여 외부와 유통하고 있고, 다른 하나의 유로(63)는 제 2공간(B')와 유동하고 있어, 제 6공간(F)이 공지의 유로전환밸브(50)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 2공간(B')과 외부와 유통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실시예의 호흡장치는, 제 6공간(F)을 제 1유로(62)에 유통시키는 상태로 유로전환밸브(50)를 위치결정시키면, 종래와 같이, 선택적으로 신선한 공기를 공급받아 호흡할 수도 있고, 대기의 공기를 공급받아 호흡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아이피스에 뿌연 것이 형성되거나 이물질이 붙어 있으면, 전환밸브(30)를 폐쇄위치에 놓고, 제 6공간(F)을 제 2유로(62)에 유통시키는 상태로 유로전환밸브(50)를 위치결정시켜 놓고, 봄베 등에 의해 신선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모드로 전환한 다음, 제 1공간(A), 제 5공간(E), 역지밸브(13A), 노즈캡(13) 내부 공간, 제 3공간(C), 유통구멍(32), 제 6공간(F), 제 2유로(62), 제 2공간(B')을 경유하여 아이피스(8)에 신선한 공기를 분출시킬 수 있어, 아이피스(8)의 내면과 외면과의 온도차를 작게 하여 아이피스에 형성된 뿌연 것을 제거할 수 있음과 동시에, 아이피스의 외면에 붙어 있는 이물질도 용이하게 날려버릴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호흡장치에 대한 일부분해사시도,
도 2는 공급밸브를 제거한 상태에서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따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사시도.

Claims (1)

  1. 면체(2)와, 면체(2)의 전면에 장착된 공기 공급밸브(4)와, 이 공급밸브(4)로부터 밖으로 뻗어 청정 공기를 저축한 봄베에 접속하는 압축공기도관(3)과를 갖추고 있고; 면체(2)가 본체(7)와 아이피스(8)와 전면부분이 면입출구부재(9)로 이루어지고, 상기 면입출구부재(9)가, 상기 본체(7)에 기밀적으로 결합되고, 여러개의 격벽에 의해 제 1 내재 제 3의 구획된 공간을 제공하게 되는 제 1틀부와, 그리고 상기 제 1틀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노즈캡(13)에 기밀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 2공간에 유통하게 되어 있고, 상기 제 1 공간 및 제 3공간과는 유통하지 않는 제 4공간을 구획형성하는 제 2틀부(20)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노즈캡(13)에는 흡기 동작으로 열리는 역지밸브(13a)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 1틀부의 제 1공간에는 공급밸브(4)가 장착되게 되는 제 1원통형부(18)가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제 1틀부의 제 3공간에는 선택적으로 외기의 흡기 및 압축공기의 배기와 착용자의 호기를 가능하게 하는 공지의 전환밸브(30)가 장착되게 되는 제 2원통형부(31)가 형성되어 있고; 제 2틀부(20)에는 노즈캡(13) 내부에서 외부로 소리를 전달하기 위한 공지의 다이아프램(소리전달부재)(21)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 2원통형부(31)는 제 2공간과 제 3공간을 유통시키기 위해 둘레부에 복수개의 유통구멍(32)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제 2공간(B)를 이루는 제 1틀부의 부분에는 커버가 장착되고,
    여기에서, 상기 제 1공간은 노즈캡(13)과 아이피스(8)에 의해 형성된 제 5공간과 유통하게 되고, 상기 제 2공간는 배출구가 형성된 커버(40)를 경유하여 외부와 유통하게 되고, 노즈캡(13)의 내부공간과 다이아프램(21)에 의해 차단되어 있지만, 다이아프램(21)의 떨림으로 인하여 착용자의 목소리가 외부로 전달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상기 제 3공간은 공지의 전환밸브(30)에 의해 상기 유통구멍(32)을 경유하여 제 2공간과 선택적으로 유통하게 되어 있는 호흡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40')는 제 1원통형부(18)와 제 2원통형부(31) 사이에 위치되는 일부분에 상기 배출구(41)가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유로(43)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확장부(42)로서 아이피스(8)의 아래부분까지 확장되어 있고,
    상기 커버(40')와 상기 제 1틀부(10')가 서로 결합되면, 제 2공간(B')과 유통하는 상기 유로(43)가 형성되며, 그 유로(43)의 선단부분에서 상기 커버(40')에는 또 다른 슬릿형 배출구(44)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 1틀부(10')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 2공간(B') 내에는 공지의 전환밸브(30)에 의해 상기 제 3공간(C)과 선택적으로 유통할 수 있는 제 6공간(F)이 상기 제 2원통형부(21)에 형성된 복수의 유통구멍(32)을 입구가 에워싸고 있는 형상으로 구획형성되어 있고, 이 제 6공간(F)의 출구(61)에는 공지의 유로전환밸브(50)를 개재되어 있음과 동시에 2개의 유로(62, 63)가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2개의 유로(62, 63)중 하나의 유로(62)는 배출구(41)를 경유하여 외부와 유통하고 있고, 다른 하나의 유로(63)는 제 2공간(B')와 유동하고 있어, 제 6공간(F)이 공지의 유로전환밸브(50)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 2공간(B')과 외부와 유통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장치.
KR20-2005-0000212U 2005-01-05 2005-01-05 호흡장치 KR2003815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212U KR200381500Y1 (ko) 2005-01-05 2005-01-05 호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212U KR200381500Y1 (ko) 2005-01-05 2005-01-05 호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1500Y1 true KR200381500Y1 (ko) 2005-04-14

Family

ID=43683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0212U KR200381500Y1 (ko) 2005-01-05 2005-01-05 호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150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29939A1 (en) * 2019-05-10 2020-11-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acepiece chin retention featur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29939A1 (en) * 2019-05-10 2020-11-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acepiece chin retention feature
CN113811367A (zh) * 2019-05-10 2021-12-17 3M创新有限公司 面罩颏部维持特征部
CN113811367B (zh) * 2019-05-10 2023-06-30 3M创新有限公司 面罩颏部维持特征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314146A1 (en) Respirators
RU2301094C2 (ru) Противогаз
ATE298607T1 (de) Atemschutzmaske, die ein ausatmungsventil benutzt,das eine flexible, mehrschichtige klappe hat
TWM491477U (zh) 面罩
TW201410294A (zh) 呼吸用保護具
JP2012511987A (ja) ろ過媒体を有する呼吸インターフェース機器
ITMI931122A1 (it) Maschera protettiva respiratoria con interfono
JP2007529255A5 (ko)
US2435653A (en) Goggle
JP2007529254A5 (ko)
KR20060095136A (ko) 안면 마스크
US20210284300A1 (en) Underwater mask with water and breathing air discharge system
CN108263578B (zh) 一体式浮潜面罩及其呼吸管和通气件
KR20120000306A (ko) 방독면용 음성전달 모듈
KR200381500Y1 (ko) 호흡장치
EP1474206B1 (en) Respirators
ATE501764T1 (de) Atemgerät
US6966318B1 (en) Filtering mask
KR102401356B1 (ko) 마스크
CN215505206U (zh) 防护面罩
CN112933451A (zh) 防护面罩
US20050066966A1 (en) Respiratory protection mask for a compressed air breathing apparatus
TWI632935B (zh) 面罩
JP3423697B2 (ja) 防塵/防毒用呼吸支援設備
JP2004044947A (ja) スキューバダイビング用空気加湿清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