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1357Y1 - 약봉지의 원터치 밀봉장치 - Google Patents

약봉지의 원터치 밀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1357Y1
KR200381357Y1 KR20-2005-0001812U KR20050001812U KR200381357Y1 KR 200381357 Y1 KR200381357 Y1 KR 200381357Y1 KR 20050001812 U KR20050001812 U KR 20050001812U KR 200381357 Y1 KR200381357 Y1 KR 2003813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plate
plate
medicine bag
pedestal
lower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18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환주
Original Assignee
안환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환주 filed Critical 안환주
Priority to KR20-2005-00018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13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13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13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14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by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members
    • B65B51/146Closing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Clos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정판의 상면에 마이컴과 연결된 타이머를 구비함으로써 누름판의 작동시 설정된 시간에 의하여 봉합부가 가동되어 누름판의 원터치로 약봉지를 밀봉할 수 있으며, 고정판의 하측에 탄성재질의 충격흡수부를 구비함으로써 누름판 작동후 복귀시 충격이 완화 및 흡수되어 소음이나 진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력이 생성되는 원통형의 자석을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과 분리함으로써 누름판 작동시 발생되는 충격으로 코일이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약봉지의 원터치 밀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하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안착되는 받침대와,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연결된 고정판과, 상하로 이동되는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 작동 후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으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받침대의 상측에 안착되는 석면판과, 상기 누름판의 전면 하측에 연결된 절연체와,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선으로 이루어진 봉합부와; 상기 누름판 작동시 접착시키는 전자석과; 전원을 온/오프하는 스위치와, 가동 및 가열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램프와, 상기 봉합부가 작동되도록 받침대에 돌출된 작동스위치와, 마이컴으로 이루어진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약봉지의 원터치 밀봉장치 {A One-touch sealing apparatus of medicine paper bag}
본 고안은 약 봉지의 원터치 밀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판의 상면에 마이컴과 연결된 타이머를 구비함으로써 누름판의 작동시 설정된 시간에 의하여 봉합부가 가동되어 누름판의 원터치로 약봉지를 밀봉할 수 있으며, 누름판의 양측단에 복귀되는 복귀스프링과, 고정판의 하측에 탄성재질의 충격흡수부를 구비함으로써 누름판 작동후 복귀시 충격이 완화 및 흡수되어 소음이나 진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약봉지의 원터치 밀봉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자력이 생성되는 원통형의 자석을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과 분리시켜 연결함으로써 누름판 작동시 발생되는 충격으로 코일이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약봉지의 원터치 밀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약제 포장기는 약제를 분배하는 분배장치와 약을 봉지에 삽입하여 상단을 밀봉시키는 약봉지 밀봉장치로 구분되며, 상기 밀봉장치는 수동포장방식과 자동포장방식으로 구분된다.
대부분의 약국들은 상기한 약제 포장기 분배장치와 자동포장기구의 비용이 고가이므로 이를 구입하지 못하고 대부분 수동으로 포장하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수동으로 포장되는 약봉지는 얇은 비닐이 코팅된 종이의 상측이 개방되어 내측에 약이 투입되고, 투입된 약이 누출되지 않도록 약봉지 밀봉장치가 입구를 밀봉시키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약봉지 밀봉장치를 나타낸 일부단면도로서, 종래의 약봉지 밀봉장치는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면에 약봉지가 안착되도록 단턱이 형성된 받침대(111)로 이루어진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상단 양측에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누름판(120)과, 상기 누름판(120)의 내측에 안착되어 상기 누름판(120)을 작동 후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121)과 상기 받침대(111)의 상측에 안착되는 석면판(131)과, 상기 석면판(131)과 대향되어 상기 누름판(120)의 전면 하면에 연결된 절연체(132)와, 상기 절연체(132)의 하단에 전원과 연결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선(133)으로 이루어진 봉합부(130)와; 상기 누름판(12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이송부(151)가 구비되며, 상기 누름판(120) 작동시 접착시키는 전자석(150)과; 상기 누름판(120) 작동시 상기 봉합부(130)를 작동시키는 작동스위치(141)와, 상기 작동스위치(141)와 접점되는 가동접점(142)과, 상기 작동스위치(141)와 연결되어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부(143)로 이루어진 제어부(140);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약봉지 밀봉장치는 누름판(120)을 작동 후 누름판(120)을 누르고 있어야 약봉지가 가열되어 밀봉되므로 약봉지가 밀봉되는 소정 시간이 경과될 경우 약봉지가 과열되어 타게 되고, 소정 시간에 미달될 경우 밀봉이 불완전하여 약이 누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누름판(120)의 내측에 구비된 다수개의 복귀스프링으로 인하여 과도한 복원력이 발생되어 이에 대한 별도의 완충장치가 없으므로 다수회 반복 사용시 밀봉장치가 진동에 의하여 복원되는 부분에 피로현상이 발생되고 조임부 및 결합부의 풀림 등이 발생되어 밀봉장치의 수명이 감소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약봉지 밀봉장치는 자력이 생성되는 자석과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이 일치되어 있으므로 누름판(120) 작동시 발생되는 충격으로 코일이 손상되어 밀봉장치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고정판의 상면에 마이컴과 연결된 타이머를 구비하여 누름판의 원터치로 약봉지를 밀봉할 수 있으며, 고정판의 하측에 탄성재질의 충격흡수부를 구비하여 소음이나 진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약봉지의 원터치 밀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다른 목적으로는 자력이 생성되는 원통형의 자석을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과 분리함으로써 누름판 작동시 발생되는 충격으로 코일이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약봉지의 원터치 밀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약봉지의 원터치 밀봉장치는 약이 담겨져 상단부가 개방된 약봉지를 가압하여 봉합시키는 약봉지 밀봉장치에 있어서, 하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전면부가 개방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수용공간 상면에 약봉지가 안착되도록 단턱이 형성된 받침대와,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연결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전면에서 상기 프레임의 상단 양측에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의 양측단에 안착되어 상기 누름판을 작동 후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으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받침대의 상측에 안착되는 석면판과, 상기 석면판과 대향되어 상기 누름판의 전면 하측에 연결된 절연체와, 상기 절연체의 하단에 전원과 연결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선으로 이루어진 봉합부와; 상기 받침대의 하측에 안착되어 상기 누름판 작동시 누름판을 받침대에 접착시키는 전자석과; 상기 고정판의 상면에서 전원을 온/오프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온(ON)에 의하여 가동 및 가열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램프와, 상기 누름판 작동시 상기 봉합부가 작동되도록 받침대에 돌출된 작동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와 표시램프 및 작동스위치를 가동시키는 마이컴으로 이루어진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판의 하측에는 상기 누름판 복귀시 충격을 흡수하도록 돌출된 충격흡수부가 구비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전자석은 프레임의 내측에 안착되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과, 상기 코일과 연결되어 자력이 생성되는 원통형의 자석과, 상기 자석에 접착되도록 상기 누름판의 하측에 연결된 접착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판의 상면에는 상기 마이컴과 연결되어 상기 누름판의 작동시 상기 봉합부가 가동되는 시간이 설정되는 타이머가 구비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이며, 도 4는 누름판이 하강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약봉지의 원터치 밀봉장치는 하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누름판(14)이 형성된 본체(10)와, 약봉지를 봉합하는 봉합부(20)와, 상기 누름판(14)을 접착시키는 전자석(30)과, 상기 봉합부(20) 및 전자석(30)을 가동시키는 제어부(40)로 구성된다.
즉, 상기 본체(10)는 하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프레임(11)이 전면부가 개방되며, 상기 프레임(11)의 수용공간 상면에 약봉지(1)가 안착되는 받침대(12)는 하측에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11)의 상단에는 장방형의 고정판(13)이 연결되며, 상기 고정판(13)의 전면에 상기 프레임(11)의 상단 양측에 연결된 누름판(14)이 상하로 이동되며, 상기 누름판(14)의 양측단에 안착되어 상기 누름판(14)을 작동 후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15)은 2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판(13)의 하측에는 상기 누름판(14) 작동후 복귀시 충격을 흡수하도록 돌출된 충격흡수부(16)가 구비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봉합부(20)는 상기 받침대(12)의 상측에 안착되어 약봉지(1)의 상측이 놓여지는 소정 두께의 석면판(21)과, 상기 석면판(21)과 대향되어 상기 누름판(14)의 하측에 안착된 절연체(22)와, 상기 절연체(22)의 하단에 전원과 연결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선(23)으로 형성된다.
상기 전자석(30)은 상기 프레임(11)의 내측에 안착되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31)과, 상기 코일(31)과 연결되어 자력이 생성되는 자석(32)이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자석(32)과 대응되어 접착되도록 상기 누름판(14)의 하측에 접착구(33)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13)의 상면에는 상기 마이컴(45)과 연결되어 상기 누름판(14)의 작동시 상기 봉합부(20)가 가동되는 시간이 설정되는 타이머(44)가 구비되는 것도 무방하다.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고정판(13)의 상면에 전원을 온/오프하는 스위치(41)가 고정되고, 상기 스위치(41)의 온(ON)에 의하여 가동 및 가열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램프(42)가 2개 형성되며, 상기 누름판(14) 작동시 상기 봉합부(20)가 작동되도록 받침대(12)에 돌출된 작동스위치(43)가 형성되며, 스위치(41)와 표시램프(42) 및 작동스위치(43)를 가동시키는 마이컴(45)이 상기 프레임(11)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약봉지의 원터치 밀봉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약봉지의 원터치 밀봉장치는 하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10)에 상하로 이동되는 누름판(14)이 연결되며,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안착된 봉합부(20)가 약봉지의 상측을 봉합하고,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안착된 전자석(30)은 상기 누름판(14) 작동시 누름판(14)을 상기 받침대(12)에 접착시키며, 상기 봉합부(20) 및 전자석(30)은 상기 제어부(40)를 통하여 가동 및 제어하게 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약봉지의 원터치 밀봉장치를 가동시킬 경우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판(13)의 상면에 전원을 온/오프하는 스위치(41)를 온(ON)으로 하면, 가동 및 가열상태를 표시하는 2개의 표시램프(42)가 발광하게 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1)의 상면에 안착된 받침대(12)의 단턱에 약봉지(1)를 올려 놓으면, 약봉지(1)의 상측이 소정 두께의 석면판(21)에 밀착된다. 이 때, 상기 석면판(21)과 대향된 누름판(14)을 작동하면 상기 누름판(14)의 하측에 안착된 발열선(23)이 전원과 연결되어 열을 발생시킴으로써 약봉지(1)의 상면을 밀봉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누름판(14)의 양측단에 안착된 복귀스프링(15)이 2개 형성되어 상기 누름판(14)을 복귀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고정판(13)의 하측에는 탄성재질의 충격흡수부(16)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누름판(14) 복귀시 충격을 흡수하여 소음이나 진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자석(30)은 자력을 생성시키는 원통형의 자석(32)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31)과 분리되어 연결됨으로써 상기 누름판(14) 작동시 발생되는 충격으로 코일(31)이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13)의 상면에는 상기 마이컴(45)과 연결되어 상기 누름판(14) 작동시 상기 봉합부(20)가 가동되는 시간이 설정되는 타이머(44)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누름판(14) 작동시 설정된 시간에 의하여 상기 봉합부(20)가 가동되어 누름판(14)의 원터치로 약봉지(1)를 밀봉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약봉지의 원터치 밀봉장치는 고정판의 상면에 마이컴과 연결된 타이머를 구비함으로써 누름판의 작동시 설정된 시간에 의하여 봉합부가 가동되어 누름판의 원터치로 약봉지를 밀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고정판의 하측에 탄성재질의 충격흡수부를 구비함으로써 누름판 작동후 복귀시 충격이 완화 및 흡수하여 소음이나 진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잇점도 있다.
또한, 자력이 생성되는 원통형의 자석을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과 분리시켜 연결함으로써 누름판 작동시 발생되는 충격으로 코일이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약봉지의 밀봉장치를 나타낸 일부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
도 4는 누름판이 하강된 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약봉지 10 : 본체
11 : 프레임 12 : 받침대
13 : 고정판 14 : 누름판
15 : 복귀스프링 16 : 충력흡수부
20 : 봉합부 21 : 석면판
22 : 절연체 23 : 발열선
30 : 전자석 31 : 코일
32 : 자석 33 : 접착구
40 : 제어부 41 : 스위치
42 : 표시램프 43 : 작동스위치
44 : 타이머 45 : 마이컴

Claims (4)

  1. 약이 담겨져 상단부가 개방된 약봉지를 가압하여 봉합시키는 약봉지 밀봉장치에 있어서,
    하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전면부가 개방된 프레임(11)과, 상기 프레임(11)의 수용공간 상면에 약봉지(1)가 안착되도록 단턱이 형성된 받침대(12)와, 상기 프레임(11)의 상단에 연결된 고정판(13)과, 상기 고정판(13)의 전면에서 상기 프레임(11)의 상단 양측에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누름판(14)과, 상기 누름판(14)의 양측단에 안착되어 상기 누름판(14)을 작동 후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15)으로 이루어진 본체(10)와;
    상기 받침대(12)의 상측에 안착되는 석면판(21)과, 상기 석면판(21)과 대향되어 상기 누름판(14)의 전면 하측에 연결된 절연체(22)와, 상기 절연체(22)의 하단에 전원과 연결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선(23)으로 이루어진 봉합부(20)와;
    상기 받침대(12)의 하측에 안착되어 상기 누름판(14) 작동시 이를 받침대(12)에 접착시키는 전자석(30)과;
    상기 고정판(13)의 상면에서 전원을 온/오프하는 스위치(41)와, 상기 스위치(41)의 온(ON)에 의하여 가동 및 가열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램프(42)와, 상기 누름판(14) 작동시 상기 봉합부(20)가 작동되도록 받침대(12)에 돌출된 작동스위치(43)와, 상기 스위치(41)와 표시램프(42) 및 작동스위치(43)를 가동시키는 마이컴(45)으로 이루어진 제어부(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봉지의 원터치 밀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13)의 하측에는 상기 누름판(14) 복귀시 충격을 흡수하도록 탄성재질의 충격흡수부(16)가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봉지의 원터치 밀봉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30)은 프레임(11)의 내측에 안착되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31)과, 상기 코일(31)과 연결되어 자력이 생성되는 원통형의 자석(32)과, 상기 자석(32)과 대응되어 접착되도록 상기 누름판(14)의 하측에 연결된 접착구(3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봉지의 원터치 밀봉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13)의 상면에는 상기 마이컴(45)과 연결되어 상기 누름판(14)의 작동시 상기 봉합부(20)가 가동되는 시간이 설정되는 타이머(4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봉지의 원터치 밀봉장치.
KR20-2005-0001812U 2005-01-20 2005-01-20 약봉지의 원터치 밀봉장치 KR2003813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812U KR200381357Y1 (ko) 2005-01-20 2005-01-20 약봉지의 원터치 밀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812U KR200381357Y1 (ko) 2005-01-20 2005-01-20 약봉지의 원터치 밀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1357Y1 true KR200381357Y1 (ko) 2005-04-12

Family

ID=43682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1812U KR200381357Y1 (ko) 2005-01-20 2005-01-20 약봉지의 원터치 밀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135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1380B1 (ko) * 2014-02-03 2015-10-16 이영섭 조제용 약포장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1380B1 (ko) * 2014-02-03 2015-10-16 이영섭 조제용 약포장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89785A (zh) 感应加热烹调装置
KR100675757B1 (ko) 용기 밀봉방법 및 이에 따른 밀봉장치
HK1150586A1 (en) Device for sealing a display pack
KR200381357Y1 (ko) 약봉지의 원터치 밀봉장치
KR101673796B1 (ko) 살균 병뚜껑
CN102245223B (zh) 用于吸乳泵的电机驱动头
PL325920A1 (en) Package containing a message transmitting medium and carrier circuit board therefor
JP4015069B2 (ja) ヒートシール装置用線状ヒータとヒートシール装置
CN110307568A (zh) 灶具及用于固定灶具的底壳的吸附件
KR100991581B1 (ko) 용기 밀봉 장치
KR200403904Y1 (ko) 비닐봉투 접착기
US11944713B2 (en) Button
DE60113803D1 (de) Verpackungsmaschine zur Herstellung von versiegelten Verpackungen für fliessfähige Nahrungsmittel
KR20090000758U (ko) 실리콘 탄성패드를 이용한 진공패드
KR200380447Y1 (ko) 진공포장 성형장치
KR102579821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385156B1 (ko) 범용 부착구조를 포함하는 미니어처 휴대용 향수 캡슐
CN208149817U (zh) 一种塑料袋包装机
JP2018118740A (ja) 加熱封止装置、および、真空包装装置
US20070279919A1 (en) Button-type tester for a lamp string
CN214829167U (zh) 一种可分离式杀菌装置
JP2004276199A (ja) 容器用ヒートシール装置のフィルムシート切断機構
KR20050017577A (ko) 용기 포장장치
CN216754616U (zh) 一种利器盒
HK1048518B (zh) 液晶顯示單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