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0991Y1 - 벨크로 조임 스트랩의 후크 부품 구조 - Google Patents

벨크로 조임 스트랩의 후크 부품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0991Y1
KR200380991Y1 KR20-2005-0002125U KR20050002125U KR200380991Y1 KR 200380991 Y1 KR200380991 Y1 KR 200380991Y1 KR 20050002125 U KR20050002125 U KR 20050002125U KR 200380991 Y1 KR200380991 Y1 KR 2003809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arcuate
parts
arc recess
loo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21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쳉쿠오옌
Original Assignee
스프링 리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프링 리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스프링 리치 리미티드
Priority to KR20-2005-00021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09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09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0991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03Fastener constructions
    • A44B18/0015Male or hook elements
    • A44B18/0019Male or hook elements of a mushroom typ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69Details
    • A44B18/0073Attach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69Details
    • A44B18/008Hooks or loops provided with means to reinforce the attachment, e.g. by adhesiv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벨크로 조임 스트랩의 후크 부품 구조는 베이스부, 베이스부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테이퍼진 목부, 및 목부의 양측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대칭적으로 두 갈래로 나누어지고 그 사이의 중간에 이스케이프 노치(escape notch)가 움푹 들어간 한 쌍의 아치형 후크 엘리먼트로 구성되고 버섯모양으로 주조되는 후크 부품을 포함하고, 후크 엘리먼트는 아치형 후크 단부 및 후크 엘리먼트의 하단부를 형성하는 평탄화된 아크 리세스를 구비한다. 상술한 구조를 통해서, 후크 부품들은 노력을 절감하는 방식으로 쉽게 다량으로 아치형 후크 엘리먼트의 평탄화된 아크 리세스에 부착되고 벗겨질 수 있다. 게다가, 목부의 양측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두 갈래로 나누어지는 아치형 후크 엘리먼트를 구비한 후크 부품은 자신에게 부착된 루프 부품에 더 강한 조임 지지력을 제공하여 루프 부품이 수평방향으로 당기는 힘에 영향을 받을 때 쉽게 떼어지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후크 부품은 생산비를 절감하기 위해서 벨크로 스트랩에 경제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Description

벨크로 조임 스트랩의 후크 부품 구조{HOOK COMPONENT STRUCTURE OF VELCRO FASTENING STRAP}
본 고안은 베이스부, 베이스부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테이퍼진 목부, 및 목부의 양측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대칭적으로 두 갈래로 나누어지고 그 사이에 이스케이프 노치(escape notch)가 움푹 들어간 한 쌍의 아치형 후크 엘리먼트로 구성되고, 버섯모양으로 주조되는 후크 부품을 포함하는 벨크로 조임 스트랩의 후크 부품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후크 엘리먼트는 아치형 후크 단부 및 상기 후크 엘리먼트의 하단부를 형성하는 평탄화된 아크 리세스를 구비한다. 상술한 구조를 통해서, 후크 부품들은 적은 노력을 요구하면서 쉽게 다량으로 아치형 후크 엘리먼트의 평탄화된 아크 리세스에 부착되고 벗겨질 수 있으며, 후크 부품의 양측에서 연장되는 아치형 후크 엘리먼트는 자신에게 가해지는 수평방향으로 당기는 힘에 대항하여 루프 부품에 더 강한 조임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게다가, 후크 부품은 또한 재료비 및 생산비를 절감하도록 경제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 6 및 도 6a를 참조한다. 벨크로 조임 스트랩의 종래의 후크 부품 구조는 버섯모양으로 주조되고, 목부(12)를 형성하도록 상부로 좁아지는 베이스부(11), 및 목부(12)의 양측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두 갈래로 나뉘어지고 그 사이의 중간영역에 이스케이프 노치(14)가 형성되는 한 쌍의 원기둥형 고리모양 후크 엘리먼트(13)로 이루어진다. 고리모양 후크 엘리먼트(13)에는 단부에서 하방으로 구부러지는 고리모양 후크 단부(15) 및 그 하단을 형성하는 고리모양 함몰 리세스(16)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상술한 종래 후크 부품 구조에는 몇몇 단점이 있다. 고리모양 함몰 리세스(16)의 상단으로부터 고리모양 후크 단부(15)의 하단까지의 거리(D)는 오히려 길고, 결과적으로 루프 부품(40)을 벗겨내기 위해서 후크 부품(10)에 부착된 루프 부품(40)에는 더 많은 당기는 힘이 가해져야 한다. 둘째, 고리모양 후크 엘리먼트(13), 고리모양 후크 단부(15) 및 고리모양 함몰 리세스(16)는 모두 원형으로 설계되고, 수평방향으로 당기는 힘에 저항하기 위해 더 강한 지지력을 제공하더라도 이는 루프 부품(40)을 고리모양 함몰 리세스(16)의 내부에 다량으로 부착시키기 어렵고, 따라서 자신에게 가해지는 수평방향으로 당기는 힘에 대해서 완벽하게 강화시키기 어렵다. 셋째, 베이스부(11)로부터 고리모양 후크 엘리먼트(13)의 상단부까지의 거리(A), 베이스부(11)로부터 고리모양 함몰 리세스(16)의 상단부까지의 거리(B), 베이스부(11)로부터 고리모양 후크 단부(15)의 하단부까지의 거리(C), 고리모양 함몰 리세스(16)의 상단부로부터 고리모양 후크 단부(15)의 하단부까지의 거리(D), 베이스부(11)의 폭(E), 후크 부품(10)의 두께(F), 목부(12)의 폭(G) 및 고리모양 후크 엘리먼트(13)의 상단부로부터 고리모양 함몰 리세스(16)의 상단부까지의 거리(H)에 있어서, A에서 H까지 모두는 오히려 큰 수치를 가져서 더 많은 재료비가 필요하고 생산비가 비경제적으로 인상된다. 넷째, 베이스부(11)로부터 고리모양 후크 엘리먼트(13)의 상단부까지의 거리(A)는 오히려 크다. 루프 부품(40)이 후크 부품(10)에 부착될 때, 그로 인해 형성된 벨크로 조임 스트랩의 두께는 루프 부품(40) 자체의 두께와 A만큼 증가되고, 그로 인해 외부 물체와 쉽게 간섭될 수 있다.
도 7 및 도 7a를 참조한다. 벨크로 조임 스트랩의 제2 종래 후크 부품 구조는 베이스부(21)로부터 상부로 테이퍼진 목부(22) 및 목부(22)의 일측에서 외부로 경사진 뾰족한 아치형 후크 엘리먼트(23)를 구비하고 경사진 L 형상으로 주조된 후크 부품으로 이루어진다. 뾰족한 아치형 후크 엘리먼트(23)는 일단부에 배치된 뾰족한 아치형 후크 단부(24) 및 그 하단을 형성하는 타원형 함몰 리세스(25)를 구비한다.
도 7b 및 도 7c를 참조한다. 제2 종래 후크 부품 구조에는 몇몇 단점이 있다. 첫째, 타원형 함몰 리세스(25)의 상단부로부터 뾰족한 아치형 후크 단부(24)의 하단부까지의 거리(D')가 길이방향으로 깊고, 뾰족한 아치형 후크 엘리먼트(23)의 상단부로부터 타원형 함몰 리세스(25)의 상단부까지의 거리(H')가 크다. 그러므로, 루프 부품(40)을 벗겨내기 위해서는 더 큰 당기는 힘이 후크 부품(20)에 부착된 루프 부품(40)에 적용되어야 한다. 둘째, 타원형 함몰 리세스(25)의 상단부로부터 뾰족한 아치형 후크 단부(24)의 하단부까지의 거리(D')가 오히려 깊고, 결과적으로 루프 부품(40)은 타원형 함몰 리세스(25)의 내부에 다량으로 부착되기 어렵고 자신에게 가해지는 수평방향으로 당기는 힘에 효율적으로 저항하기 어렵다. 셋째, G'로 표시된 목부(22)의 폭은 어떤 이스케이프 노치도 형성되지 않은 상태로 좁고, 이는 수평방향으로 당기는 힘에 더 취약하게 만든다. 결과적으로, 부착된 루프 부품(40)은 자신에게 가해지는 큰 수평방향으로 당기는 힘에 의해서 후크 부품(20)으로부터 더 쉽게 벗겨지는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주요 목적은 베이스부, 베이스부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테이퍼진 목부, 및 목부의 양측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대칭적으로 두 갈래로 나누어지고 그 사이에 이스케이프 노치가 움푹 들어간 한 쌍의 후크 엘리먼트로 구성되고, 버섯모양으로 주조되는 후크 부품을 포함하고, 후크 엘리먼트가 부분적으로 원형이고 부분적으로 평탄화된 아치형 후크 단부 및 후크 엘리먼트의 하단부를 형성하는 평탄화된 아크 리세스를 구비하여, 후크 부품들이 적은 노력으로 쉽게 다량으로 아치형 후크 엘리먼트의 평탄화된 아크 리세스에 부착되고 벗겨질 수 있으며, 자신에게 가해지는 수평방향으로 당기는 힘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부터 루프 부품을 효율적으로 강화하고, 후크 부품을 적은 노력으로 푸는 것을 도와주는, 벨크로 조임 스트랩의 후크 부품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두 번째 목적은 루프 부품이 자신에게 가해지는 큰 당기는 힘에 의해 쉽게 떼어지지 않도록, 후크 부품의 양측에서 대칭적으로 연장하는 아치형 후크 엘리먼트가 수평방향으로 당기는 힘에 영향을 받을 때 서로를 상호 지지할 수 있고 부착된 루프 부품을 강화할 수 있는, 벨크로 조임 스트랩의 후크 부품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세 번째 목적은 재료비 및 생산비를 경제적으로 절감하고 따라서 가격경쟁력을 제고하도록 후크 부품이 벨크로 스트랩에 차라리 성긴 방식으로 고르게 배열될 수 있는, 벨크로 조임 스트랩의 후크 부품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네 번째 목적은 외부 물체와의 간섭을 피하도록 후크 부품의 높이가 더 짧고 따라서 후크 부품에 부착된 루프 부품에 의해 형성된 벨크로 스트랩이 더 얇은, 벨크로 조임 tm트랩의 후크 부품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및 도 1a를 함께 참조한다. 본 고안은 베이스부(31), 베이스부(31)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테이퍼진 목부(32), 및 테이퍼진 목부(32)의 양측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대칭적으로 두 갈래로 나누어지고 그 사이의 중간에 이스케이프 노치(34)가 움푹 들어간 부분적으로 원형이고 부분적으로 평탄한 한 쌍의 아치형 후크 엘리먼트(33)로 구성되고, 버섯모양으로 주조되는 후크 부품(30)을 포함하는 벨크로 조임 스트랩의 후크 부품 구조에 관한 것이다. 아치형 후크 엘리먼트(33)는 부분적으로 원형이고 부분적으로 평탄화된 아치형 후크 단부(35), 및 후크 엘리먼트의 하단부를 형성하는 거의 평탄화된 아크 리세스(36)를 구비한다. 평탄화된 아크 리세스(36)의 상단부로부터 아치형 후크 단부(35)의 하단부까지의 거리와 아치형 후크 엘리먼트(33)의 상단부로부터 평탄화된 아크 리세스(36)의 상단부까지의 거리는 더 짧고, 루프 부품(40)의 부착 및 벗겨짐을 도울 수 있는 길게 평탄화된 아치형으로 형성된다.
본 고안의 서로 다른 부분의 거리 및 크기를 제1 및 제2 종래 후크 부품 구조와 대조하여 도시하는 도 2,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한다.
베이스부(31)로부터 아치형 후크 엘리먼트(33)의 상단부까지의 거리는 A"로 표시된다(제1 종래기술에서는 A로 표시되고, 제2 종래기술에서는 A'로 표시된다).
베이스부(31)로부터 평탄화된 아크 리세스(36)의 상단부까지의 거리는 B"로 표시된다(제1 종래기술에서는 B로 표시되고, 제2 종래기술에서는 B'로 표시된다).
베이스부(31)로부터 아치형 후크 단부(35)의 하단부까지의 거리는 C"로 표시된다(제1 종래기술에서는 C로 표시되고, 제2 종래기술에서는 C'로 표시된다).
평탄화된 아크 리세스(36)의 상단부로부터 아치형 후크 단부(35)의 하단부까지의 거리는 D"로 표시된다(제1 종래기술에서는 D로 표시되고, 제2 종래기술에서는 D'로 표시된다).
베이스부(31)의 폭은 E"로 표시된다(제1 종래기술에서는 E로 표시되고, 제2 종래기술에서는 E'로 표시된다).
후크 부품(30)의 두께는 F"로 표시된다(제1 종래기술에서는 F로 표시되고, 제2 종래기술에서는 F'로 표시된다).
목부(32)의 폭은 G"로 표시된다(제1 종래기술에서는 G로 표시되고, 제2 종래기술에서는 G'로 표시된다).
아치형 후크 엘리먼트(33)의 상단부로부터 평탄화된 아크 리세스(36)의 상단부까지의 거리는 H"로 표시된다(제1 종래기술에서는 H로 표시되고, 제2 종래기술에서는 H'로 표시된다).
본 고안의 서로 다른 부분의 거리를 제1 종래 후크 부품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D > D"이다. 종래 후크 부품의 후크 단부는 아래로 연장되는 고리모양으로 주조되지만, 아치형 후크 단부(35)는 길게 평탄화된 아크로 형성되어 루프 부품(40)이 후크 부품(30)으로부터 적은 노력으로 쉽게 벗겨질 수 있다.
둘째, A,B,C,D,E,F,G,H > A",B",C",D",E",F",G",H"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제조에 상대적으로 더 적은 재료를 필요로 하며, 후크 부품(30)의 생산비용을 경제적으로 절약하게 된다.
셋째, A > A"이다. 상술한 종래 후크 부품의 후크 엘리먼트는 본 고안의 아치형 후크 엘리먼트(33)에 의해 형성된 길게 평탄화된 아크와 대비할 때, 고리모양으로 하방으로 휘어진다. 그러므로, 후크 부품(30)에 부착된 루프 부품(40)에 의해 형성된 벨크로 스트랩은 상대적으로 얇아서 다른 외부 물체와의 접촉을 줄이고 따라서 그로 인해 발생하는 간섭을 줄이게 된다.
본 고안을 제2 종래 후크 부품 구조와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B" > B', C" > C', D" < D', H" < H'이다. 제2 종래 후크 부품의 후크 엘리먼트는 뾰족한 아치형상으로 하방으로 경사진 반면, 아치형 후크 엘리먼트(33)는 길게 평탄화된 아크로 형성되어있다. 그러므로, 루프 부품(40)은 후크 부품(30)의 아치형 후크 엘리먼트(33)에 휠씬 쉽게 부착되고, 평탄화된 아크 리세스(36)에 조여진 루프 부품(40)의 개수는 상대적으로 증가되어 루프 부품(40)은 수평방향으로 당기는 힘에 의해 후크 부품(30)으로부터 쉽게 떨어지지 않을 것이다.
둘째, G" > G'이다. 제2 종래 후크 부품의 목부는 상방으로 좁아지고 일측에서 경사진 각도로 기울어진 반면, 본 고안의 목부(32)는 수평으로 당기는 힘에 대항하여 보다 강한 지지력을 제공하기 위해서 상방으로 테이퍼지면서 두 개의 아치형 후크 엘리먼트(33)로 대칭적으로 두 갈래로 나누어지기 전에 양측에서 넓게 연장된다. 그러므로, 루프 부품(40)은 자신에게 가해지는 수평방향으로 당기는 힘에 영향을 받을 때 후크 부품(30)으로부터 쉽게 벗겨지지 않을 것이다.
셋째, H" < H'이다. 제2 종래 후크 부품의 후크 엘리먼트는 본 고안의 아치형 후크 엘리먼트(33)의 길게 평탄화된 아크에 대비하여 Qy족한 아치형상에 의해 단점이 있다. 따라서, 루프 부품(40)은 본 고안의 후크 부품(30)으로부터 적은 노력으로 쉽게 신속하게 벗겨질 수 있다.
상술한 제1 및 제2 종래기술과 대비하여 본 고안의 후크 부품의 정면도를 도시하는 도 3,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한다. 본 고안 및 두 개의 상술한 종래기술에 의해 형성된 벨크로 스트랩으로부터 각각 동일한 제한된 영역을 취하고, 이들 사이의 차이점이 선형 스트립으로 도시되었다. 제1 종래기술의 경우, 두 개와 약간 더 많은 후크 부품(10)이 도 3a에 도시된 영역 내에 고르게 분포되고, 제2 종래기술은 도 3b에 도시된 영역을 채우기 위해 세 개 및 약간 더 많은 후크 부품(20)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정면도에서 도시된 동일한 영역 내에서 후크 부품(30)은 단지 두 개만 배열된다. 따라서, 더 적은 재료를 필요로 하는 본 고안은 생산비를 경제적으로 절감하고 더 좋은 사용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후크 부품이 각각 동일한 제한된 영역 내에 다른 간격으로 배열되고 선형 스트립으로 도시된, 두 개의 종래 후크 부품 구조와 대비하여 본 고안의 측면도를 도시하는 도 4,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한다. 제1 및 제2 종래 후크 부품(10)(20)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동일한 영역 내에 여섯 개가 각각 병렬 배치된 반면, 후크 부품(30)은 측면도에서 도시된 동일한 영역을 차지하는데 단지 다섯 개만 필요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재료비를 경제적으로 절감하고 보다 좋은 사용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후크 부품이 동일한 제한된 영역 내에 다른 간격 및 방식으로 각각 배열되고 상면도에 보이는 것처럼 선형 스트립으로 도시된, 두 개의 종래 후크 부품 구조에 대비하여 본 고안을 도시하는 도 5,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한다. 제1 종래 후크 부품(10)은 도 5a에 도시된 것처럼 베이스를 거의 노출하지 않으면서 서로 조밀하고 고르게 병렬 배치된 반면, 제2 종래 후크 부품(20)은 도 5b에 도시된 것처럼 베이스 영역을 더 이상 노출하지 않으면서 인접하게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대조적으로, 본 고안의 후크 부품(30)은 상대적으로 성긴 방식으로 더 많은 베이스 영역이 보이도록 동일한 영역 내에 깔끔하게 분포되어 있다. 따라서, 응용시에 필요한 후크 부품(30)의 개수가 경제적으로 줄어들어 재료비를 더 절감시키고 사용효과를 희생하지 않으면서도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후크 부품 구조는 여러 장점을 갖게 된다. 첫째, D"의 깊이가 더 작아서 루프 부품(40)은 적은 노력을 필요로 하면서 평탄화된 아크 리세스(36)에 더 쉽게 다량으로 부착되고 벗겨지게 된다. 둘째, 양측에서 목부(32)로부터 바깥쪽으로 대칭적으로 두 갈래로 나누어지는 길게 평탄화된 아크 형태로 주조된 아치형 후크 엘리먼트(33)는 서로 상호 지지할 수 있고 자신에게 부착된 루프 부품(40)을 튼튼하게 할 수 있어서 루프 부품(40)은 자신에게 가해지는 수평방향으로 당기는 힘에 의해 영향을 받을 때 쉽게 떨어지지 않을 것이다. 셋째, 후크 부품(30)은 재료를 효율적으로 절감하고 생산비를 줄이도록 벨크로 스트랩에 경제적으로 배열된다. 넷째, A"의 높이가 더 짧아서 후크 부품(30)에 부착된 루프 부품(40)에 의해 형성된 벨크로 스트랩은 더 얇고 다른 외부 물체에 쉽게 간섭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루프 부품이 부착된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a는 본 고안의 측면도이다.
도 2, 2a 및 2b는 다른 부분의 거리 및 형상의 관점에서 두 개의 종래기술에 대비하여 본 고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3a 및 3b는 동일한 영역 내에 각각 배열된 두 개의 종래기술에 대비한 본 고안의 정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 4a 및 4b는 동일한 영역 내에 각각 배열된 두 개의 종래기술에 대비한 본 고안의 측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 5a 및 5b는 동일한 영역 내에 각각 배열된 두 개의 종래기술에 대비한 본 고안의 상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루프 부품이 부착된 제1 종래 후크 부품 구조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6a는 제1 종래 후크 부품 구조의 측면도이다.
도 7은 제2 종래 후크 부품 구조의 정면도이다.
도 7a는 제2 종래 후크 부품 구조의 측면도이다.
도 7b는 루프 부품이 부착되어 수평방향의 당기는 힘에 의해 영향을 받는 제2 종래 후크 부품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c는 루프 부품이 부착되어 그로부터 벗겨지는 제2 종래 후크 부품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0,30..후크 부품 31..베이스부 32..목부
33..후크 엘리먼트 34..이스케이프 노치 35..아치형 후크 단부
40..루프 부품

Claims (2)

  1.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테이퍼진 목부, 및 상기 목부의 양측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대칭적으로 두 갈래로 나누어지고 그 사이의 중간에 이스케이프 노치(escape notch)가 움푹 들어간 한 쌍의 후크 엘리먼트로 구성되고 버섯모양으로 주조되는 후크 부품을 포함하는 벨크로 조임 스트랩의 후크 부품 구조로서,
    아치형으로 주조되는 상기 후크 엘리먼트는 아치형 후크 단부, 및 상기 후크 엘리먼트의 하단부를 형성하는 평탄화된 아크 리세스를 구비하고, 상기 평탄화된 아크 리세스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아치형 후크 단부의 하단부까지의 거리와 상기 아치형 후크 단부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평탄화된 아크 리세스의 상단부까지의 거리는 상대적으로 더 짧고,
    상술한 구조를 통해서, 벨크로 스트랩에 배열된 상기 후크 부품들은 생산비를 절감하도록 개수를 경제적으로 줄일 수 있고, 루프 부품들은 상기 평탄화된 아크 리세스의 내부에 쉽게 다량으로 부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적은 노력을 요구하면서 그로부터 벗겨질 수 있고; 더욱이, 상기 목부의 양측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두 갈래로 나누어지는 상기 아치형 후크 엘리먼트를 구비하는 상기 후크 부품은 상기 루프 부품이 수평방향으로 당기는 힘에 영향을 받을 때 그로부터 쉽게 떨어지지 않도록 자신에게 부착된 상기 루프 부품에 보다 강한 조임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크로 조임 스트랩의 후크 부품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부품의 상기 아치형 후크 엘리먼트는 부분적으로 원형이고 부분적으로 평탄한 곡선형으로 주조되고, 상기 후크 엘리먼트의 상기 후크 단부는 또한 부분적으로 원형이고 부분적으로 평탄한 아치형 단부로 형성되고; 게다가, 상기 후크 엘리먼트의 상기 하단부를 형성하는 상기 아크 리세스는 상기 루프 부품이 쉽게 부착될 수 있을뿐 아니라 적은 노력으로 쉽게 벗겨질 수 있도록 평탄화된 아치형 표면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크로 조임 스트랩의 후크 부품 구조.
KR20-2005-0002125U 2005-01-24 2005-01-24 벨크로 조임 스트랩의 후크 부품 구조 Expired - Lifetime KR2003809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2125U KR200380991Y1 (ko) 2005-01-24 2005-01-24 벨크로 조임 스트랩의 후크 부품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2125U KR200380991Y1 (ko) 2005-01-24 2005-01-24 벨크로 조임 스트랩의 후크 부품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0991Y1 true KR200380991Y1 (ko) 2005-04-08

Family

ID=43682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2125U Expired - Lifetime KR200380991Y1 (ko) 2005-01-24 2005-01-24 벨크로 조임 스트랩의 후크 부품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099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81161B2 (ja) 面ファスナーにおける射出フック構造及び該射出フック構造を有する面ファスナー
FI90303C (fi) Ripalukkolaite
JP2010507397A5 (ko)
WO2008152789A1 (ja) 斜面の緑化と安定化構造及び斜面安定用受圧板
KR200380991Y1 (ko) 벨크로 조임 스트랩의 후크 부품 구조
USD480317S1 (en) Watch casing and portion of a strap
US20190231034A1 (en) Injection molded mushroom type hook structure and hook strap including the same
USD522390S1 (en) Stud tape
USD503347S1 (en) Watch casing and portion of a strap
US20060154019A1 (en) Hook component structure of Velcro fastening strap
US20100206521A1 (en) Heat dissipating fin and heat sink
US6505426B2 (en) Covered button with advertising decorative object
US10253516B2 (en) Pool cover spring and method of use
USD631858S1 (en) Shadow frame
EP2047744A1 (en) Buckle for pet collar
USD522220S1 (en) Footwear cleat with blade-like traction elements
KR100680852B1 (ko) 신발끈 악세서리
KR101062609B1 (ko) 버클
KR200440497Y1 (ko) 신발 끈 풀림방지구
KR101179061B1 (ko) 체인형 아이젠 및 이를 구성하는 신축 밴드 제조방법
KR100545096B1 (ko) 조립분해가 용이한 이동통신 단말기 케이스 결합구조
US6478286B1 (en) Riveted structure for a pulley seat
KR200205697Y1 (ko) 아이젠
CA105230S (en) Digital video disk
USD505538S1 (en) Cleat for a sho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50124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32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50125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327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50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