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9061B1 - 체인형 아이젠 및 이를 구성하는 신축 밴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체인형 아이젠 및 이를 구성하는 신축 밴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9061B1
KR101179061B1 KR1020100032946A KR20100032946A KR101179061B1 KR 101179061 B1 KR101179061 B1 KR 101179061B1 KR 1020100032946 A KR1020100032946 A KR 1020100032946A KR 20100032946 A KR20100032946 A KR 20100032946A KR 101179061 B1 KR101179061 B1 KR 1011790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elastic
elastic band
chain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2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3510A (ko
Inventor
최옥동
Original Assignee
(주)한국파워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파워테크 filed Critical (주)한국파워테크
Priority to KR1020100032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9061B1/ko
Publication of KR20110113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3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9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9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10Non-skid attachments made of wire, chain, or other meshed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06Ice-gripping devices or attachments, e.g. ice-spurs, ice-cleats, ice-creepers, crampons; Climbing devices or attachments, e.g. mountain climbing irons
    • A43C15/068Climbing devices or attachments, e.g. glacier crampons, mountain climbing irons

Landscapes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체인형 아이젠 및 이를 구성하는 신축 밴드 제조방법은, 신축 밴드에서 체인이 연결되는 고리 연결부를 형성할 때, 제1신축 부재의 내부에 제1신축 부재보다 강성이 높은 제2신축 부재를 인서트 사출 성형 방식으로 삽입하여 구성함으로써, 두 소재 사이의 이질화를 최소화함과 아울러 외력에 의해 두 소재가 분리되는 현상을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신축 밴드의 내구성 향상을 도모하여 장시간 안정적이면서 신뢰성 있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체인형 아이젠 및 이를 구성하는 신축 밴드 제조방법{Crampon of chain typ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ts elastic band}
본 발명은 등산용 장비로서, 등산화에 장착하여 미끄럼을 방지하는 체인형 아이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이젠은 주로 동계 산행 시 산행자가 빙판이나 눈 위를 보행할 경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등산화에 착용하는 것으로 최근 안정성이 우수한 체인형 아이젠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체인형 아이젠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종래 체인형 아이젠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종래 체인형 아이젠은, 등산화(1)의 바닥면에 밀착되어 미끄럼을 방지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파이크 플레이트(11)와, 스파이크 플레이트(11)에 연결되는 체인(13)들과, 등산화(1) 윗부분에 밀착되어 상기 체인(13)들을 당겨줌으로써 스파이크 플레이트(11)를 등산화(1)에 장착되도록 하는 신축 밴드(15)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신축 밴드(15)는, 신축성을 갖도록 인성과 탄성이 우수한 합성고무 등의 소재로 제작된 것으로, 전체적으로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등산화(1) 상부 둘레에 위치된 상태에서 스파이크 플레이트(11)와 연결된 체인(13)들을 당겨 줌으로서 별도의 조임 수단 없이도 스파이크 플레이트(11)가 등산화(1)의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특히 신축 밴드(15)에는 체인(13)을 연결할 수 있도록 고리 연결부(16)가 구성되는데, 고리 연결부(16)는 고리(18)가 장착되어 체인(13)과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고리 연결부(16)에는 고리(18)가 끼워져 장착될 수 있도록 구멍(17)이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 체인형 아이젠은, 신축 밴드(15)의 고리 연결부가 쉽게 손상되어 사용 수명이 매우 짧고, 특히 아이젠을 착용한 상태에서 등산을 하다가 신축 밴드(15)의 고리 연결부가 끊어질 경우에, 아이젠이 벗겨지면서 착용자가 미끄러질 수 있는 등 안전상에도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통상 신축 밴드(15)는 체인(13)을 통해 스파이크 플레이트를 등산화(1)의 밑면에 밀착시키도록 엘라스토머(elastomer) 등 신축성 있는 단일 소재로 제작되고, 고리 연결부(16)에는 고리(18)가 장착될 수 있게 구멍(17)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신축 밴드(15)가 포함된 체인형 아이젠을 등산화(1)에 장착한 경우에 신축 밴드(15)의 고리 연결부(16)가 체인(13)에 의해 당겨지게 되므로, 고리 연결부(16)가 늘어나게 된다. 이때 고리 연결부(16)에 과도한 힘이 가해지거나, 과도한 힘이 아니더라도 반복적으로 힘이 가해지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17)을 중심으로 고리(18)가 연결된 부분이 찢어지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특히, 신축 밴드(15)는 신축성이 좋은 엘라스토머 소재를 이용하여 많이 제작하고 있는데, 엘라스토머 소재의 특성상 등산화에 착용한 상태에서 바위 등 날카로운 부분에 접촉하여 스크래치(scratch)가 발생하게 되면, 작은 외력에도 쉽게 찢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물론, 신축 밴드(15)에서 고리 연결부(16)에 철판 등의 보강판을 추가하여 고리 연결부(16)가 쉽게 찢어지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으나, 이때에는 등산화(1)에 장착된 상태에서 산행 중 고리 연결부(16)에 반복적인 힘이 가해질 경우에 오히려 철판 등의 보강판에 의해 고리 연결부(16)가 손상되어 체인(13)이 쉽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신축 밴드(15)에서 고리 연결부(16)를 다른 부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 경우에도 고리 연결부(16)를 보다 견고하고 신뢰성 있게 구성하는 데는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상 설명한 배경기술의 내용은 이 건 출원의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신축 밴드에서 체인이 연결되는 부분을 강성이 다른 신축 부재를 이용하여 구성함으로써 외력에 의해 쉽게 끊어지지 않도록 하여, 장시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아이젠이 벗겨지면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 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체인형 아이젠 및 이를 구성하는 신축 밴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축 밴드에서 체인이 연결되는 고리 연결부를 형성할 때, 제1신축 부재의 내부에 제1신축 부재보다 강성이 높은 제2신축 부재를 인서트 사출 성형 방식으로 삽입하여 구성함으로써, 두 소재 사이의 이질화를 최소화함과 아울러 외력에 의해 두 소재가 분리되는 현상을 줄여, 신축 밴드의 내구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체인형 아이젠 및 이를 구성하는 신축 밴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축 밴드에 절단부 및 이 절단부를 연결하는 체결부재를 구성함으로써, 아이젠의 착용 및 탈거가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도록 하는 체인형 아이젠 및 이를 구성하는 신축 밴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체인형 아이젠은, 등산화의 바닥면에 밀착되어 미끄럼을 방지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파이크 플레이트와, 상기 스파이크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복수의 체인과, 등산화 윗부분에서 상기 복수의 체인들과 연결되어 복수의 체인 및 스파이크 플레이트를 당겨주는 신축 밴드를 포함하되, 상기 신축 밴드에서 체인이 연결되는 고리 연결부는, 제1신축 부재와, 이 제1신축 부재의 내부에 제1신축 부재보다 강성이 높은 제2신축 부재가 인서트 사출 성형 방식으로 삽입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리 연결부는 상기 체인과 연결된 고리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되고, 이 구멍의 둘레에 상기 제2신축 부재가 삽입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리 연결부는 상기 신축 밴드의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신축 부재와 제2신축 부재는, 동일한 성분을 포함하는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신축 부재와 제2신축 부재는, 모두 엘라스토머 소재로 이루어지되, 일부 구성 성분의 함량비가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축 밴드는 전체적으로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부분이 절단되어 체결 부재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신축 밴드에서 상기 체결 부재가 연결되는 부분에도, 상기 제1신축 부재와, 이 제1신축 부재의 내부에 제1신축 부재보다 강성이 높은 제2신축 부재가 인서트 사출 성형 방식으로 삽입되어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체인형 아이젠은, 등산화의 바닥면에 밀착되어 미끄럼을 방지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파이크 플레이트와, 상기 스파이크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복수의 체인과, 등산화 윗부분에서 상기 복수의 체인들과 연결되어 복수의 체인 및 스파이크 플레이트를 당겨주는 신축 밴드를 포함하되, 상기 신축 밴드에서 체인이 연결되는 고리 연결부는, 제1신축 부재와, 이 제1신축 부재의 내부에 제1신축 부재보다 강성이 높은 보강 부재가 삽입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제1신축 부재에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삽입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체인형 아이젠의 신축밴드 제조방법은, 일정 크기로 상기 제2신축 부재를 성형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신축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신축 밴드를 사출 성형하여 제작하되, 신축 밴드에서 상기 고리 연결부를 형성할 부분에 상기 제1단계에서 성형된 제2신축 부재를 배치한 상태에서 인서트 사출 성형하여 신축 밴드를 성형하는 제2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단계에서 제2신축 부재에 고리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제2단계는, 신축 밴드를 성형하는 금형에서, 상기 구멍이 형성된 제2신축 부재를 상기 고리 연결부의 구멍을 형성할 구멍 성형핀에 끼운 상태에서 제1신축 부재용 소재를 투입하여 제2신축 부재를 인서트 사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주요한 과제 해결 수단들은, 아래에서 설명될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또는 첨부된 '도면' 등의 예시를 통해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설명될 것이며,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은 주요한 과제 해결 수단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과제 해결 수단들이 추가로 제시되어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체인형 아이젠 및 이를 구성하는 신축 밴드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신축 밴드에서 체인이 연결되는 고리 연결부를 강성이 다른 두 개의 신축 부재를 이용하여 구성하기 때문에 외력에 의해 쉽게 끊어지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신축 밴드를 포함한 아이젠을 장시간 안정적이면서 신뢰성 있게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산행 중 고리 연결부가 끊어지면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하여 안전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축 밴드에서 체인이 연결되는 고리 연결부를 형성할 때, 제1신축 부재의 내부에 제1신축 부재보다 강성이 높은 제2신축 부재를 인서트 사출 성형 방식으로 삽입하여 구성하기 때문에 두 소재 사이의 이질화를 최소화함과 아울러 외력에 의해 두 소재가 분리되는 현상을 줄여, 신축 밴드의 내구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축 밴드에 절단부 및 이 절단부를 연결하는 체결 부재를 구성할 경우에, 등산화에 신축 밴드를 올린 상태에서 간편하게 체결 부재만을 연결하여 착용할 수 있으므로, 아이젠의 착용 및 탈거가 보다 편리하게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사용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다양한 효과를 갖게 되는바, 아래에서 설명되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 추가로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체인형 아이젠의 착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체인형 아이젠 구조에서 체인 연결부가 끊어지는 상태를 보여주는 참고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인형 아이젠의 착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인형 아이젠의 신축 밴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인형 아이젠의 신축 밴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선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B-B선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인형 아이젠의 착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인형 아이젠의 신축 밴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C-C선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체인형 아이젠의 신축 밴드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 도면들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은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인형 아이젠은, 등산화(1)의 바닥면에 밀착되어 미끄럼을 방지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파이크 플레이트(50)와, 이 스파이크 플레이트(50)에 연결되는 복수의 체인(60)과, 등산화(1) 윗부분에서 상기 복수의 체인(60)들과 연결되어 복수의 체인(60) 및 스파이크 플레이트(50)를 당겨주는 신축 밴드(7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스파이크 플레이트(50)와 체인(60)들은 공지의 체인형 아이젠에 구비되는 구성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요소인 신축 밴드(7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다만 상기 체인(60)은 체인 구조물에 한정되지 않고, 스파이크 플레이트(50)와 신축 밴드(70)를 연결하는 선형 부재 또는 이와 동등 유사한 연결 구조물이면 다른 구조물을 이용하고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신축 밴드(70)는, 도 3 내지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등산화(1)의 상부 둘레에 위치된 상태에서 체인(60)들을 통해 스파이크 플레이트(50)를 당겨서 등산화(1)의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신축 밴드(70)는 신축성을 갖도록 인성과 탄성이 우수한 탄성고무 등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데, 신축 밴드의 보다 구체적인 소재의 구성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
신축 밴드(70)는 내측 둘레면과 외측 둘레면에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더 두꺼운 리브(71)들이 형성될 수 있고, 내측 둘레면 중 등산화(1)의 뒤축에 밀착되는 부분(73)은 신축 밴드(70)가 등산화(1)에 안정되게 밀착될 수 있도록 일정 정도 더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5 참조).
특히 신축 밴드(70)는 바깥쪽 둘레에 체인(60)을 연결할 수 있도록 다수의 고리 연결부(75)가 형성되는데, 이 고리 연결부(75)의 구멍(76)에 끼워진 고리(77)에 체인(60)이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고리 연결부(75)는 상기 신축 밴드(70)의 바깥쪽 둘레에서 외측으로 더 돌출된 구조로 형성되고, 가운데 부분에 고리(77)를 끼울 수 있는 두 개의 구멍(76)이 형성된다.
고리(77)는, 강성 와이어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고리 연결부(75)의 두 구멍(76)에 끼워진 상태로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고리(77)의 끝단부는 갈고리 구조로 형성되어 체인(60)을 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고리 연결부(75)는,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고리(77)가 끼워진 상태에서 과도한 힘이 작용하거나 스크래치가 발생하더라도 쉽게 끊어지지 않도록 제1신축 부재(81) 내부에 제2신축 부재(82)가 삽입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신축 밴드(70)는 전체적으로는 제1신축 부재(81)를 이용하여 일체로 구성되되, 고리 연결부(75)에서는 제1신축 부재(81) 안에 제2신축 부재(82)가 삽입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제2신축 부재(82)는 제1신축 부재(81)보다 강성이 높고 인장력이 강한 소재로 이루어져, 체인(60) 및 고리(77)를 통해 고리 연결부(75)에 과도한 힘이 작용하거나, 제1신축 부재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더라도 제2신축 부재(82)에 의해 전체적으로 강성 및 인장력이 강화되어 쉽게 끊어지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신축 부재(82)를 제1신축 부재(81) 내에 삽입하는 방식은 실시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제1신축 부재(81) 내에 제2신축 부재(82)가 인서트 사출 성형 방식으로 삽입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신축 부재(81) 및 제2신축 부재(82)가 모두 연성을 가지면서, 제2신축 부재(82)가 제1신축 부재(81) 내부에 일체로 삽입됨으로써, 외부에서 보았을 때는 제2신축 부재(82)가 겉으로 나타나지 않고 제1신축 부재(81)만이 나타나므로, 전체적으로 일체화되고 심플한 신축 밴드(70)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신축 부재(82)의 설치 위치는 고리 연결부(75)에서 고리(77)가 끼워지는 구멍(76)을 모두 포함하도록 구멍(76)의 둘레에 상기 제2신축 부재(82)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리 연결부(75)는 강성 또는 인장력 더 높일 수 있도록 신축 밴드(70)의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더 두껍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 상기 제1신축 부재(81)와 제2신축 부재(82)를 구성하는 소재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신축 부재(81)와 제2신축 부재(82) 모두, 연성의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제2신축 부재(82)를 경질의 소재로 구성할 경우에, 고리(77)를 통해 고리 연결부(75)에 인장력이 작용하게 되면 제2신축 부재(82)가 제1신축 부재(81) 내에서 제1신축 부재(81)와 분리되면서 제1신축 부재(81)를 뚫고 빠져나오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와 같이 두 부재(81)(82)를 모두 연성 재질로 구성할 경우에, 제2신축 부재(82)에 작용하는 힘이 연성 재질로 일체화된 제1신축 부재(81)를 통해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2신축 부재(82)와 제1신축 부재(81)가 분리되는 현상이 최소화되어 보다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는 고리 연결부(75)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경질의 소재가 아닌 제1신축 부재(81)와 제2신축 부재(82)가 모두 연성 소재로 구성됨으로써 신축 밴드(70)의 고리 연결부(75)에 굽힘력이 가해질 경우에, 두 부재(81)(82)가 함께 굽혀지면서 외력을 흡수하게 되므로, 제1신축 부재(81) 내에서 제2신축부재가 분리되는 현상이 최소화되어 장시간 일체화된 구조를 유지하여, 보다 우수한 내구 성능을 갖게 된다.
여기서, 제1신축 부재(81)와 제2신축 부재(82)의 이질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동일한 성분이 포함된 소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제2신축 부재(82)가 제1 신축부재보다 강성이 높아질 수 있도록 전체 구성 성분 중 일부 구성 성분은 성분비는 달리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제1신축 부재(81)와 제2신축 부재(82) 모두 탄성중합체인(60) 엘라스토머(elastomer) 소재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는데, 이때 엘라스토머의 구성 성분 중 특정 구성 성분의 비율을 달리함으로써 두 부재 사이의 강성을 달리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두 신축 부재(81)(82)를 구성하는 성분이 A, B, C, D, E 등으로 구성된 경우에, A와 B의 비율을 제1신축 부재(81)는 2:1로 한다면, 제2신축 부재(82)는 1:1로 하는 방식 등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두 신축 부재(81)(82)를 동일한 성분을 갖는 소재를 이용하고, 일부 성분의 비율을 달리하는 방법으로 신축 밴드(70)를 구성하게 되면, 제1신축 부재(81)와 제2신축 부재(82) 사이의 이질화를 최소화하면서도 고리 연결부(75)의 강성은 크게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기본으로 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전술한 일 실시예의 구성 부분과 동일 유사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신축 밴드(70A)는,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과 같이 고리 연결부(75)에 제2신축 부재(82)가 삽입되는 구성은 동일하게 이루어지나, 신축 밴드(70A)의 일부분이 절단되어 체결 부재(91)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전체적으로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신축 밴드(70A)의 가운데 부분 양측이 절단되고, 각 절단부(90)에 체결 부재(91)가 설치되는 구성을 예시하고 있으나,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하나의 절단부(90) 만 갖거나, 3개 이상의 절단부(90)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신축 밴드(70A)에 절단부(90) 및 체결 부재(91)를 구성하는 이유는, 산행 중 등산화(1)에 아이젠을 장착하기 위해서는 신축 밴드(70)를 늘여서 장착하여야 하나, 신축 밴드(70)가 신축성을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여성이나 노약자는 등산화(1)를 신은채로 신축 밴드(70)를 끼워서 장착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등산화(1)를 벗은 다음 신축 밴드(70)를 등산화(1) 위에 올리고 등산화(1)를 다시 신어야 하거나 주위의 다른 사람이 도와주어야 하는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겨울에는 아이젠을 착용하고 장갑을 끼고 등산을 하게 되는데, 장갑을 낀 상태에서 신축 밴드를 늘려서 등산화에 착용하는 경우에 신축 밴드와 등산화 사이에 장갑이 끼어서 벗겨지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고, 이 때문에 장갑을 벗고 아이젠을 착용할 경우에 겨울에 상당히 춥고 불편한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또한 산행 중에 나무 계단이나 눈이 녹은 구간 등 아이젠을 벗어야 하는 구간이 있고, 또 다시 신어야 하는 구간이 반복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때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신축 밴드를 늘여서 등산화에 장착하는 작업이 상당히 불편하여 종래 아이젠은 편의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와 같이 신축 밴드(70A)에 절단부(90) 및 이를 연결하는 체결 부재(91)를 구성할 경우에, 신축 밴드(70A)를 등산화(1)에 끼우지 않고도 등산화(1)를 신은채로 간편하게 등산화(1) 위에서 장착할 수 있게 되므로 착용 및 탈거가 아주 쉽게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신축 밴드(70A)에도 체결 부재(91)가 연결되는 절단 연결부(95)에, 위에서 설명한 제1신축 부재(81)와 제2신축 부재(82)로 구성되는 고리 연결부(75)와 같이, 제1신축 부재(81)의 내부에 제1신축 부재(81)보다 상대적으로 강성이 강한 제2신축 부재(82)를 인서트 사출 성형 방식 등으로 삽입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0 참조).
상기 체결 부재(91)는 도면에서 암수 방식으로 상호 결합되는 구조를 예시하였으나, 신축 밴드(70A)의 절단부(91)를 상호 연결될 수 있는 구조이면 도면에 예시된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체결 부재 또는 연결 부재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면에서 부호 93은 절단 연결부(95)와 체결 부재(91)를 연결하는 연결 핀을 나타낸 것으로, 연결 핀 대신에 위에서 설명한 와이어형 고리(77) 등을 이용하고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면에 예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체인(60)이 연결되는 고리 연결부(75)와 체결 부재(91)가 연결되는 절단 연결부(95) 모두 제1신축 부재(81) 안에 제2신축 부재(82)가 삽입된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체인(60)이 연결되는 고리 연결부(75)는 제1신축 부재(81)로만 구성하고, 체결 부재(91)가 연결되는 체결 연결부(95)에만 제1신축 부재(81) 안에 제2신축 부재(82)를 삽입시켜 구성할 수 있다.
이제,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체인형 아이젠의 신축 밴드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설명되는 본 실시예의 신축 밴드 제조 방법은, 인서트 사출 성형 방식으로 제작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1의 (a)에서와 같이, 제1금형(100)에 상기 제2신축 부재(82)의 소재를 투입하여 제2신축 부재(82)를 일정 크기로 성형한다.
이때 제2신축 부재(82)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원형 또는 타원형 구조로 형성할 수 있으며, 가운데 부분에 고리(77; 도 3등 참조)를 장착하기 위한 두 개의 구멍(82a)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 도 11의 (b)와 (c)에서와 같이, 제2금형(200)에 제1신축 부재(81)의 소재를 투입하여 신축 밴드(70)를 사출 성형하여 제작한다.
이때, 제2금형(200)에는 신축 밴드(70)의 고리 연결부(75)의 구멍(76)을 형성하기 위해 구멍 성형핀(210)이 구비되는바, 이 구멍 성형핀(210)에 상기 제1금형(100)에서 성형된 제2신축 부재(82)를 끼운 상태에서 제2금형(200) 내부에 제1신축 부재(81)의 소재를 투입하여 인서트 사출 성형 방식으로 신축 밴드(70)를 성형하여 제작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체인형 아이젠 및 이를 구성하는 신축 밴드 제조방법의 여러 실시예들에서는 제1신축 부재(81) 안에 신축성을 갖는 제2신축 부재(82)가 삽입되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경질의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 등 제1신축 부재(81)보다 강성이 강한 보강 부재를 삽입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보강 부재도 제1신축 부재(81)에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삽입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등산화의 바닥면에 밀착되어 미끄럼을 방지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파이크 플레이트와, 상기 스파이크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복수의 체인과, 등산화 윗부분에서 상기 복수의 체인들과 연결되어 복수의 체인 및 스파이크 플레이트를 당겨주는 신축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신축 밴드에서 체인이 연결되는 고리 연결부는, 제1신축 부재와, 이 제1신축 부재의 내부에 제1신축 부재보다 강성이 높은 제2신축 부재가 인서트 사출 성형 방식으로 삽입되어 구성되되,
    상기 고리 연결부는 상기 신축 밴드의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며, 상기 체인과 연결된 고리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되고 이 구멍의 둘레에 상기 제2신축 부재가 삽입되어 구성되며,
    상기 신축 밴드는 전체적으로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부분이 절단되어 체결 부재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신축 밴드에서 상기 체결 부재가 연결되는 부분에도 상기 제1신축 부재와, 이 제1신축 부재의 내부에 제1신축 부재보다 강성이 높은 제2신축 부재가 인서트 사출 성형 방식으로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형 아이젠.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1에 기재된 신축 밴드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일정 크기로 제2신축 부재를 성형하는 제1단계와;
    제1신축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신축 밴드를 사출 성형하여 제작하되, 신축 밴드에서 고리 연결부를 형성할 부분에 상기 제1단계에서 성형된 제2신축 부재를 배치한 후 인서트 사출 성형하여 신축 밴드를 성형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형 아이젠의 신축 밴드 제조방법.
  10. 청구항9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제2신축 부재에 고리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제2단계는 신축 밴드를 성형하는 금형에서, 상기 구멍이 형성된 제2신축 부재를 고리 연결부의 구멍을 형성할 구멍 성형핀에 끼운 상태에서 제1신축 부재용 소재를 투입하여 제2신축 부재를 인서트 사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형 아이젠의 신축 밴드 제조방법.

KR1020100032946A 2010-04-09 2010-04-09 체인형 아이젠 및 이를 구성하는 신축 밴드 제조방법 KR1011790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2946A KR101179061B1 (ko) 2010-04-09 2010-04-09 체인형 아이젠 및 이를 구성하는 신축 밴드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2946A KR101179061B1 (ko) 2010-04-09 2010-04-09 체인형 아이젠 및 이를 구성하는 신축 밴드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3510A KR20110113510A (ko) 2011-10-17
KR101179061B1 true KR101179061B1 (ko) 2012-09-03

Family

ID=45028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2946A KR101179061B1 (ko) 2010-04-09 2010-04-09 체인형 아이젠 및 이를 구성하는 신축 밴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90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388B1 (ko) 2015-03-26 2016-07-06 (주)한국파워테크 체인타입 아이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1280Y1 (ko) 2007-04-04 2008-08-04 최진홍 보조판이 구비된 아이젠
US20090217550A1 (en) 2007-04-07 2009-09-03 Koo John C S Shoe with Multi-Component Embedded Strap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1280Y1 (ko) 2007-04-04 2008-08-04 최진홍 보조판이 구비된 아이젠
US20090217550A1 (en) 2007-04-07 2009-09-03 Koo John C S Shoe with Multi-Component Embedded Stra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3510A (ko) 2011-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93827B1 (en) Footwear traction devices and systems and mechanisms for making durable connections to soft body materials
CA2812406C (en) Traction device for footwear
US11617421B2 (en) Crampon with embedded cleats
KR101179061B1 (ko) 체인형 아이젠 및 이를 구성하는 신축 밴드 제조방법
KR200467300Y1 (ko) 체인타입 아이젠
KR100916492B1 (ko) 체인형 아이젠 눈차단판
KR200441280Y1 (ko) 보조판이 구비된 아이젠
JPH10146205A (ja) 靴用滑り止め具、および滑り止め具セット
KR101056729B1 (ko) 체인형 아이젠용 눈차단판
KR20090006522U (ko) 아이젠
KR200361931Y1 (ko) 아이젠
KR200301577Y1 (ko) 하나의 노끈에 의해 신발에 결착되는 아이젠
KR101195643B1 (ko) 안전고리가 형성된 체인 아이젠
KR101541514B1 (ko) 체인형 아이젠
KR200248622Y1 (ko) 등산용 아이젠
KR200333252Y1 (ko) 등산용 아이젠
CN218457485U (zh) 一种轻便休闲鞋
KR20020094343A (ko) 등산용 아이젠
CN209846258U (zh) 一种高跟鞋套
KR100792132B1 (ko) 체인형 아이젠
KR20120042423A (ko) 체인형 아이젠
KR200238209Y1 (ko) 아이젠
KR200229784Y1 (ko) 신발 착탈식 미끄럼 방지 장치
KR20090002354U (ko) 체인형 아이젠용 눈차단판
KR101466253B1 (ko) 아이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