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0728Y1 - 골프연습장치 - Google Patents

골프연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0728Y1
KR200380728Y1 KR20-2004-0035829U KR20040035829U KR200380728Y1 KR 200380728 Y1 KR200380728 Y1 KR 200380728Y1 KR 20040035829 U KR20040035829 U KR 20040035829U KR 200380728 Y1 KR200380728 Y1 KR 2003807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practice
golf ball
frame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58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인찬
Original Assignee
최인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인찬 filed Critical 최인찬
Priority to KR20-2004-00358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07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07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07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3/00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 A63B63/003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non-electronic means for locating the point of impact on a target or the point of entry in the goa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1Mats for golf practice, e.g. mats having a simulated turf, a practice tee or a green are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7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p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2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large-room or outdoor sporting games
    • A63B71/022Backstops, cages, enclosures or the like, e.g. for spectator protection, for arresting b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2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large-room or outdoor sporting games
    • A63B71/023Supports, e.g. po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골프를 즐기는 매니어들이 좁은 공간에서도 어프로치 샷 연습을 반복적으로, 재미있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어프로치 골프 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협소한 공간에서 어프로치와 퍼팅 연습을 할 수 있는 본 고안의 골프연습장치는, 티샷받침대가 형성되어 있는 퍼팅연습매트와, 상기 티샷받침대에 놓여진 골프공을 골프채의 스윙에 의해 근거리, 중거리, 원거리로 보낼 수 있도록 투입하기 위한 다수의 영역으로 분리된 개방공간을 갖는 골프공 투입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골프연습장치{GOLF PRACTICE DEVICE}
본 고안은 골프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골프를 즐기는 매니어들이 좁은 공간에서도 그린 위로 공을 올려놓기 위한 어프로치 연습을 반복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어프로치(approach) 골프 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골프가 국민들의 대중적인 스포츠로 인식되면서 골프연습장을 찾는 번거로움과 비용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실내(indoor) 및 실외공간을 활용한 골프연습장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날씨와 외부의 영향을 받지 않고 독립적인 공간(특히 집안)에서 골프연습을 하기 위한 실내용 골프연습장치에 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골프연습장치에는 골프연습 시 골프공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네트장치들이 구비되어야 하며, 실내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면서도 설치 및 수거,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각종 조립식 네트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로서 특허 공개번호 1997-0069061의 어프로치용 네트장치에 관해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어프로치용 네트장치의 요부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어프로치용 네트장치는 원호 경사면(3)을 형성한 퍼팅본체(10)와, 이 퍼팅본체(10)의 원호 경사면(3)에 부설하고, 바닥면에 설치되는 퍼팅용 인공잔디 매트(7)와, 이 매트(7)의 상승 원호 경사면(3)의 표면에 표면부에 표시하는 퍼팅에 의한 볼의 구르는 거리를 미리 연산하고, 그 거리를 숫자로 표시한 거리표시적시트(18)와, 퍼팅본체(10)의 양측판에 대략 수직으로 1쌍의 다리부 프레임(11)을 장치하고, 그 상단에 네트 걸러매달기용 프레임(12)을 옆걸기함과 동시에, 상기 퍼팅본체(1)의 측판의 양측에 약간 전방에 경사시킨 1쌍의 전방다리부 프레임(13)을 장치하고, 그 전단에 네트 걸어매달기 받음용 프레임(14)을 옆걸기함과 동시에, 양 프레임 간에 어프로치용 네트(17)를 팽팽하게 걸고, 다시, 그 네트(17)의 대략 중앙 적당한 위치에 숏으로부터 쳐내어진 볼의 표적으로 되는 타구의 고저를 미리 연산하고, 숫자로 표시할 수 있는 표적시트(18)를 설치하고, 동시에 상기 어프로치용 네트(17)의 헐거운 밑부(15)에 볼집합 통과구멍(16)을 설치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어프로치용 네트장치는 다리부 프레임, 전방다리부 프레임, 네트 걸어매달기용 프레임, 네트 걸어매달기 받음용프레임 등의 다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설치와 수거가 번거롭고, 프레임의 부피와 무게로 인해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단점과 단조로운 연습으로 재미가 반감되어 실증을 내기 쉽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위한 다른 종래 기술로서 실용신안등록번호 277036호의 휴대용 네트 조립체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다른 종래의 휴대용 네트 조립체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고정부재(10)의 상부측에는 일측으로 경사를 이루고, 지지부재 고정홈(11a)(11b)을 가진 다수개의 홀더(11)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10)의 하부측에는 지지부재 고정홈이 형성되어 일정한 간격( r °)을 두고 서로 분리된 다수개의 홀더(12)(13)가 하부측으로 경사를 이루며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홀더(11) 또는 홀더(12)(13)는 고정부재(10)의 중심선(C-C)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형성된다. 상기 홀더(11)와 홀더(12)가 교차하는 위치에서 하부측으로는 내벽면 일측에 걸림 돌출부가 형성되며, 일측벽에 조임부재(14)가 나사결합되는 나사공(15)을 관통형성한 받침부재 고정홈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20)를 고정부재(10)의 홀더(11)(12)(13)에 삽입 결합할 때는 홀더(11)에 형성된 지지부재 고정홈(11a)과 홀더(12)에 형성된 지지부재 고정홈에 각각 삽입결합할 수도 있고, 홀더(11)에 형성된 지지부재 고정홈(11b)과 홀더(13)에 형성된 지지부재 고정홈에 각각 삽입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20)는 홀더(11)에 형성된 지지부재 고정홈(11a)에 일단부를 각각 삽입결합한 후, 홀더(12)(13)에 형성된 지지부재 고정홈 중에 어느 곳에 선택적으로 삽입 결합할 수도 있으며, 지지부재 고정홈 중에서 지지부재(20)의 일단부가 삽입 결합되지 않는 곳에는 네트 조립체의 사용 시 고정부재(10)를 받칠 수 있는 다른 지지대가 삽입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재(20)의 타단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직경이 축소되어 형성된 걸림부(27)를 형성한 네트걸이부재(26)가 고정 결합된다.
계속해서, 고무패킹이나 분할핀 등의 결속부재(28)를 상기 네트걸이부재(26)의 걸림부(27)에 끼워줌으로써 고리(42)가 걸림부(27)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됨과 동시에 걸림부(27)를 고리(42)에 연결한 상태로 지지부재(20)와 네트(40)를 따로 분리할 필요없이 분해 및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네트(40)는 하부측 양단부의 외측 테두리에 형성된 고정공(41)을 바닥에 밀착시킨 후 고정공(41)을 관통한 팩등으로 바닥에 고정하거나 고정공(41)을 끈으로 묶은 다음 다른 물체에 연결함으로써 단단히 고정하여 골프의 스윙연습시 타격된 골프공의 진행을 막을 수 있다.
그리고 고정공(41)이 형성된 네트(40)의 양단부는 일정한 간격(α°)만큼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골프를 연습하는 사람의 희망에 따라서 네트(40)의 양단부를 일정한 간격(α°)만큼 이동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네트 조립체는 구성하는 부품의 수를 줄여 조립 및 분해가 용이토록 하고 부품의 크기를 줄이고자 하였으나, 설치 시 공간을 넓게 차지하여 실내에 설치하기에는 비효율적이고, 집안에서 연습할 때 바닥소음을 유발하여 아파트형 실내에서는 연습하기는 부적합하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골프연습장치는 단순한 어프로치 연습은 가능하나 거리조절에 따른 어프로치 연습이 불가능하여, 거리조절에 따른 어프로치 연습을 할 때에는 항상 골프연습장 또는 필드에 나가 연습을 하여야 하므로 많은 비용을 지출하여야만 한다. 특히 현대인들은 부족한 시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어야 하므로 비용과 시간을 아껴 집안에서 연습할 수 있는 골프연습장치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특히 협소한 실내) 어프로치와 퍼팅 연습을 할 수 있는 골프연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어프로치 연습시 골프공이 날아가는 거리를 조절하여 연습할 수 있도록 골프연습장치를 제공하고, 아파트와 같은 공동집합체 주택에서 남에게 피해를 주지 않고 집안에서 연습이 가능함으로써 시간이 부족한 골프 매니아에게 유익하며, 게임기능을 겸할 수 있어 연습을 좀더 재미있게 할 수 있으므로 지루함을 없앨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골프연습장치는, 티샷받침대가 형성되어 있는 퍼팅연습매트와, 상기 티샷받침대에 놓여진 골프공을 골프채의 스윙에 의해 근거리, 중거리, 원거리로 보낼 수 있도록 투입하기 위한 다수의 영역으로 분리된 개방공간을 갖는 골프공 투입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골프공 투입기는 퍼팅연습 시 골프공이 통과될 수 있도록 하단중앙에 형성된 퍼팅홀을 포함한다.
상기 골프공 투입기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부 수평프레임과, 상기 하부 수평프레임에 수직으로 설정된 길이만큼 연장되어 결합되는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 상에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에 끼워지는 직육면체 형상의 그물망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면이 다수개로 분리된 개방공간을 갖고 측면 및 후면이 그물망으로 된 차단공간을 갖는 보호망과, 상기 하부 프레임과 일정길이 연장되어 절곡되어 상기 수직프레임에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 지지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골프연습장치의 사시도이다.
골프공 투입기(100)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부 프레임(101)과, 상기 하부프레임(101)에 수직으로 설정된 길이만큼 연장되어 결합되는 수직 프레임(112)과, 상기 수직프레임(112) 상에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114)과, 상기 수직프레임(112)에 끼워지는 직육면체 형상의 그물망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면이, 예를 들어, 3개로 분리된 개방공간을 갖고 측면 및 후면이 그물망으로 차단공간을 갖는 보호망(116)과, 상기 하부 프레임(101)과 일정길이 연장된 후 절곡되어 수직프레임(112)에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 지지대(118)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바닥 수평면에 설치된 퍼팅연습 매트(130)와, 상기 퍼팅연습 매트(130)의 일측 중앙에 설치된 티샷받침대(13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101)의 전면중앙에는 골프공이 통과될 수 있는 반원형태의 퍼팅홀(124)을 갖는다.
퍼팅연습 매트(130)는 바닥면에 설치되고 일측 끝단 중앙부에 티샷받침대(132)가 형성되어 있어 있으며, 상기 퍼팅연습매트(130)는 골프공이 골프공 투입기(100) 밖으로 떨어질 때 소음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본 골프연습장치의 상기 골프공 투입기(100) 및 퍼팅연습 매트(130)의 크기는 용도에 따라 크기와 높이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골프공 투입기(100)는 3개로 분리된 개방공간(140, 142, 144)이 형성되어 티샷 받침대(132)에 놓여진 골프공을 골프채로 스윙하게 되면 이 3개의 분리된 개방공간(140, 142, 144) 내로 골프공이 투입된다. 이 개방공간(140, 142, 144)은 높이가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골프공을 근거리로 보내기 위해서는 개방공간(144)에 넣게 되고, 중거리로 보내기 위해서는 개방공간(142)에 넣게 되며, 원거리로 보내기 위해서는 개방공간(140)에 넣게 된다. 이 개방공간(140, 142, 144)은 설명의 편의상 3개로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3개 이상으로 다수개로 형성할 수 있다. 개방공간(140, 142, 144)은 퍼팅 시 골프공을 서로 다른 거리로 보낼 수 있도록 연습하기 위해 높이를 다르게 하였다.
또한 개방공간(140, 142, 144)를 분리하기 위한 제1 및 제2 분리망(146, 148)은 보호망(116)과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별도의 프레임을 수직프레임(112)에 각각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분리망(146, 148)은 전면으로부터 후면으로 경사지도록 형성하여 골프공이 투입되었을 때 퍼팅연습매트(130)로 떨어지지 않고 제1 및 제2 분리망(146, 148)의 뒷부분에 모이도록 한다. 그리고 골프공 샷 투입기(100)는 후면에는 골프공이 외부로 나가지 않도록 보호망(116)으로 차단되어 있다.
또한 사용자는 퍼팅연습을 하기 위해 퍼팅연습매트(130)에 형성되어 있는 티샷받침대(132)에 올려진 골프공을 골프채를 이용하여 퍼팅홀(124)로 투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서는 상부 프레임(114)과 수직프레임(112)이 접속링크(126)에 의해 연결되고, 하부 프레임(101)과 수직프레임(112)이 접속링크(126)에 의해 연결되어 조립식 형태로 형성하였으나, 이들 모두를 일체형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상부 프레임(114), 수직프레임(112), 하부 프레임(101)의 재질은 플라스틱이나 금속 혹은 목재 등으로 제작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서는 골프공 투입기(10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그 형상은 반원형 또는 타원형 등 다양한 형태로 실시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도 3과 동일하나 도 4와 같이 수직 프레임(112)에 연장되어 보호프레임(120)이 설치되어 있고, 그 보호프레임(120)에 차단망(122)이 설치되도록 할 수 있으며, 좌우에도 상기 차단망(122)과 동일한 차단망(도시않음)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차단망(122)은 골프공 샷 연습 시 골프공 투입기(100)의 상부로 골프공이 벗어나지 않도록 골프공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인도어(indoor) 골프연습장이나 실제 골프장에 나가지 않고서도 외부의 좁은 공간이나 실내에서 어프로치와 퍼팅연습을 할 수 있어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게임을 할 수도 있어 여러 명이 함께 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어프로치용 네트장치의 요부측면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휴대용 네트 조립체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골프연습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골프연습장치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하부 프레임 112: 수직 프레임
114: 상부 프레임 116: 보호망
118: 지지대 120: 보호 프레임
122: 차단망 124: 퍼팅홀
126: 접속링크 130: 매트
132: 티샷받침대

Claims (5)

  1. 골프연습장치에 있어서,
    티샷받침대가 형성되어 있는 퍼팅연습 매트와,
    상기 티샷받침대에 놓여진 골프공을 골프채의 스윙에 의해 근거리, 중거리, 원거리로 보낼 수 있도록 투입하기 위한 다수의 영역으로 분리된 개방공간을 갖는 골프공 투입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연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공 투입기는 퍼팅연습 시 골프공이 통과될 수 있도록 하단중앙에 형성된 퍼팅홀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연습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공 투입기는,
    하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에 수직으로 설정된 길이만큼 연장되어 결합되는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 상에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에 끼워지는 그물망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면이 다수개의 분리된 개방공간을 갖고 측면 및 후면이 그물망으로 차단공간을 갖는 보호망과,
    상기 하부 프레임과 일정길이 연장되어 절곡되어 상기 수직프레임에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 지지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연습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의 전면에 수직으로 연장 결합되는 보호프레임과,
    상기 보호프레임에 삽입되는 차단망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연습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망은 연습시 상기 골프공이 골프공 투입기의 상부로 벗어나지 않도록 차단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연습장치.
KR20-2004-0035829U 2004-12-16 2004-12-16 골프연습장치 KR2003807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829U KR200380728Y1 (ko) 2004-12-16 2004-12-16 골프연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829U KR200380728Y1 (ko) 2004-12-16 2004-12-16 골프연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0728Y1 true KR200380728Y1 (ko) 2005-04-07

Family

ID=43682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5829U KR200380728Y1 (ko) 2004-12-16 2004-12-16 골프연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072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729B1 (ko) 2008-07-11 2010-06-29 이수찬 어프로치 연습용 골프 기구
KR20170019217A (ko) 2015-08-11 2017-02-21 기장일 퍼팅 어프로치 복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729B1 (ko) 2008-07-11 2010-06-29 이수찬 어프로치 연습용 골프 기구
KR20170019217A (ko) 2015-08-11 2017-02-21 기장일 퍼팅 어프로치 복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52896A (en) Sports practice cage
US6905418B2 (en) Golf short game training, practice and contest game kit
US4538814A (en) Trifunctional golfing cage
US8216083B1 (en) Golf practice apparatus
US5123651A (en) Golf practice apparatus
US7033290B1 (en) Sports training assembly and a method for using the same
US8197364B2 (en) Training device for beach volleyball players
JP2011206504A (ja) 卓球のサーブ練習用具
KR200380728Y1 (ko) 골프연습장치
US5522598A (en) Rick-a-shay ball toss game
KR101351233B1 (ko) 1인 연습용 탁구대
US4437661A (en) Football kicking trainer toy
US5833546A (en) Knockdown golf training apparatus in the form of a billiard table
KR200357174Y1 (ko) 이동식 실내 골프 연습장
KR100486018B1 (ko) 이동식 코인 골프연습장
KR101873795B1 (ko) 퍼팅 겸용 어프로치 연습장치
KR100763343B1 (ko) 골프코스를 갖춘 실내 골프경기 시스템
CN218187777U (zh) 一种可调式羽毛球网双柱
CN213407669U (zh) 一种儿童用的可移动篮圈
KR100235111B1 (ko) 매직골프시스템
KR200280503Y1 (ko) 골프 연습기구
AU2020203906A1 (en) Sports Practice Aid
CN215876187U (zh) 一种辅助式网球训练器
CN211705826U (zh) 一种互动投篮装置
CN209934043U (zh) 足球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2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