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0458Y1 - 다단식 수문 - Google Patents

다단식 수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0458Y1
KR200380458Y1 KR20-2004-0035008U KR20040035008U KR200380458Y1 KR 200380458 Y1 KR200380458 Y1 KR 200380458Y1 KR 20040035008 U KR20040035008 U KR 20040035008U KR 200380458 Y1 KR200380458 Y1 KR 2003804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ice
door frame
bracket
opening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50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종렬
Original Assignee
홍종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렬 filed Critical 홍종렬
Priority to KR20-2004-00350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04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04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04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05Barrages controlled by the variations of the water level; automatically functioning barr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4Hinged-leaf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50Floating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4Valves, slides, or the like; Arrangements therefor; Submerged sluice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07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2Rotary motion
    • E05Y2600/322Rotary motion around a horizont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보에 설치되는 것으로 직육면체로 형성되면서 중앙에는 상,하부수문의 크기보다 조금 작은 크기의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제1브래킷이 양측으로 대칭형성되는 문틀과; 직육면체로 형성되면서 상단에는 상기 문틀의 개구부 상부측을 막도록 문틀의 상부측에 얹혀지는 것으로서, 상단부에는 제1암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수문의 제1브래킷과 대응하여 연결되는 제2브래킷이 양측으로 대칭형성되며, 하부에는 제3브래킷이 양측으로 대칭형성되는 상부수문과; 상기 상부수문의 가로폭과 동일한 직육면체로 형성되면서 상부 양측으로 상기 상부수문의 제3브래킷과 대응하여 연결되는 제2암에 의해 상기 상부수문의 하부로 연장설치되어 상기 문틀의 개구부 하부측을 막도록 문틀의 하부측에 얹혀지는 하부수문과; 상기 상부수문의 개구부를 밀폐할 수 있도록 상,하부수문의 배면 가장자리 및 상,하부수문의 하단에 부착되는 밀폐고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단식 수문 {Multistage type floodgate}
본 고안은 콘크리트보에 설치되는 수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위에 따라 하부수문 또는 상,하부수문 전체가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수문에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다단식 수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문은 농수로, 하천, 콘크리트보 등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수량에 따라 개폐되도록 하여 농경지의 침수를 방지하거나 해수와 인접한 지역에서 해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종래의 수문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보(11)에 경사지게 형성되며, 수문(1)의 상단부 좌우측에서 힌지축(15)에 의하여 힌지결합되고, 이 힌지축(15)이 콘크리트보(11)에 고정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수위가 상승하면 수압의 증가에 의해 힌지축(15)을 중심으로 수문(1)의 하단부가 하류 쪽으로 올려져서 개방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저수지의 수압의 증감에 따라 수문(1)이 힌지축(15)을 중심으로 개방되거나 폐쇄되어 물을 배출함으로써 저수량을 조절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수문은 수위에 상관없이 수문 전체가 개폐되므로 고수위 때는 물의 배출수압에 의해 수문이 많이 들어올려져 개방의 폭이 커지나, 저수위 때에는 수문의 자체 하중이 물의 배출수압 보다 크기 때문에 수문이 들어올려지는 개방폭이 적어 물의 배출압력이 현저하게 떨어지기 때문에 이물질이 방류와 함께 휩쓸려가지 않고 쌓이게 되어 수문의 작동에 방해를 주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수위에 관계없이 수문 전체가 작동되므로 작동이 비효율적이며 항상 수문 전체가 작동됨에 따라 수문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고수위 일 때는 상,하부수문 전체가 개방되고 저수위 일 때는 하중이 가벼운 하부수문만 개방되게 함으로써, 수문의 개방 폭이 항상 커져 이물질이 쌓이지 않고 물의 배출 수압에 의해 휩쓸려 갈 수 있도록 한 다단식 수문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콘크리트보에 설치되는 것으로 직육면체로 형성되면서 중앙에는 상,하부수문의 크기보다 조금 작은 크기의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제1브래킷이 양측으로 대칭형성되는 문틀과; 직육면체로 형성되면서 상단에는 상기 문틀의 개구부 상부측을 막도록 문틀의 상부측에 얹혀지는 것으로서, 상단부에는 제1암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수문의 제1브래킷과 대응하여 연결되는 제2브래킷이 양측으로 대칭형성되며, 하부에는 제3브래킷이 양측으로 대칭형성되는 상부수문과; 상기 상부수문의 가로폭과 동일한 직육면체로 형성되면서 상부 양측으로 상기 상부수문의 제3브래킷과 대응하여 연결되는 제2암에 의해 상기 상부수문의 하부로 연장설치되어 상기 문틀의 개구부 하부측을 막도록 문틀의 하부측에 얹혀지는 하부수문과; 상기 상부수문의 개구부를 밀폐할 수 있도록 상,하부수문의 배면 가장자리 및 상,하부수문의 하단에 부착되는 밀폐고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하부수문의 배면 하단에는 수개의 반구형 부력판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도이며, 도 6은 저수위 일 때 하부수문의 개방 상태도이고, 도 7은 고수위 일 때 상,하부수문의 전체 개방 상태도를 각각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수문(1)은 콘크리트보(11)에 설치되는 문틀(4)과, 상기 문틀(4)의 전방에 얹혀지도록 설치되는 상,하부수문(2,3)으로 구성된다.
상기 문틀(4)은, 콘크리트보(11)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대략 직육면체로 형성되며 중앙에는 직사각 형태의 개구부(5)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제1브래킷(6)이 양측으로 대칭형성된다.
상기 개구부(5)는 문틀(4)의 중앙에 대략 직사각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하부수문(2,3)의 크기 보다 조금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상,하부수문(2,3)에 의해 밀폐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브래킷(6)은 문틀(4) 상부 양측으로 대칭형성되는 것으로서, 상부수문(2)에 마련된 제2브래킷(7)과 제1암(9)에 의해 연결되며 이 제1암(9)과 연결시 회동가능하도록 힌지핀에 의해 체결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1브래킷(6)은 문틀(4)에 상부수문(2)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부수문(2)은, 제1암(9)에 의해 문틀(4)의 상부측과 연결되어 문틀(4)의 개구부(5)를 밀폐시키기 위해 문틀(4)의 상부측에 얹혀지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대략 직사각 형태로 형성되며, 상단부에는 문틀(4)의 제1브래킷(6)과 제1암(9)에 의해 연결되는 제2브래킷(7)이 양측으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브래킷(7)은 제1암(9)과의 연결시 힌지핀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상부수문(2)의 하부에는 하부수문(3)의 제2암(10)에 연결되는 제3브래킷(8)이 양측으로 대칭형성된다.
상기 하부수문(3)은, 상부수문(2)의 하측으로 연장하여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부수문(2)의 폭과 동일한 대략 직사각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에는 상기 상부수문(2)의 제3브래킷(8)과 힌지핀에 의해 연결되는 제2암(10)이 양측으로 대칭형성된다.
한편,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수문(2,3)의 배면 가장자리와 하부에는 밀폐를 위한 밀폐고무(12)가 부착된다.
즉, 상기 상,하부수문(2,3)의 배면에 부착되는 밀폐고무(12)는 상,하부수문(2,3)의 배면 가장자리 즉, 상하, 좌우에 부착되어 상기 상,하부수문(2,3)이 문틀(4)의 개구부(5)를 막은 상태로 닫혀 있을 경우 상,하부수문(2,3)과 문틀(4) 사이에 위치되어 완전한 밀폐를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하부수문(2,3)의 연결부위 및 하단에도 역시 밀폐고무(12)가 부착되는데 상기 상,하부수문(2,3)의 연결부위에 형성되는 밀폐고무(12)는, 상,하부수문(2,3)의 연결부위를 밀폐하는 역할을 하게되며, 하부수문(3)의 하단에 부착된 밀폐고무(12)는 하부수문(3)의 하단을 밀폐하는 보조적인 밀폐수단의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하부수문(2,3)의 배면 하부에는 반구형의 부력판(13)을 부착함으로써, 방류시 부력판(13)의 부력에 의해 상,하부수문(2,3)의 개방 작동이 더욱 쉽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수문(1)은 수위에 따라 저수위 일 때는 하부수문(3)이 개방되고 고수위 일 때는 상,하부수문(2,3) 전체가 개방되게 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수문(1)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수문(1)은, 콘크리트보(11)에 문틀(4)이 먼저 설치된 다음 상기 문틀(4)의 개구부(5)를 막을 수 있도록 상,하부수문(2,3)이 얹혀지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의 수문(1)의 작동과정을 저수위 일 때와 고수위 일 때로 나누어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저수위일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위가 하부수문(3)과 같아지므로 하부수문(3)만 작동되어 물의 방류가 이루어진다.
즉, 물의 배출압력에 의해 하부수문(3)이 상부수문(2)에 형성된 제3브래킷(8)에 체결된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개방되어 물의 방류가 이루어진다.
이때, 하부수문(3)의 자체 무게가 상,하부수문(2,3) 전체 무게에 비해 월등히 적어 물의 배출 압력에 의해 하부수문(3)이 쉽게 개방됨은 물론, 개방폭 또한 커지므로 물의 배출량이 많아져 이물질이 쌓일 겨를이 없이 배출 수압에 의해 휩쓸려 방류되기 때문에 이물질로 인한 수문(1) 작동에 지장을 주는 일은 없게 되는 것이다.
또한, 고수위일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위가 상부수문(2)과 같아지므로 상,하부수문(2,3) 전체가 작동되어 물의 방류가 이루어진다.
즉, 문틀(4)의 제1브래킷(6)과 상부수문(2)의 제2브래킷(7)이 제1암(9)에 의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물의 배출 압력에 의해 문틀(4) 상부의 제1브래킷(6)에 체결된 힌지핀를 중심으로 상,하부수문(2,3) 전체가 회전되면서 물의 방류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종래의 수문은 고수위 또는 저수위에 관계없이 수문 전체가 작동되는 등 수문 작동이 비효율적이어서 수문의 수명이 단축되고 이물질이 쌓이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이에 비해 본 고안의 수문(1)은 수위에 따라 저수위 일 때는 하부수문(3)이 개방되고 고수위 일 때는 상,하부수문(2,3) 전체가 개방되는 등 매우 효과적인 작동이 이루어지므로 수문(1)의 수명이 연장되고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단식 수문은 저수위 일 때는 하부수문이 개방되고 고수위 일 때는 상,하부수문 전체가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수문 하부에 이물이 쌓여 수문 개폐작동을 방해하는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첨부되는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을 지라도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형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의 수문을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도.
도 6은 저수위 일 때 하부수문의 개방 상태도.
도 7은 고수위 일 때 상,하부수문의 전체 개방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수문 2:상부수문 3:하부수문
4:문틀 5:개구부 6:제1브래킷
7:제2브래킷 8:제3브래킷 9:제1암
10:제2암 11:콘크리트보 12:밀폐고무
13:부력판 15:힌지축

Claims (2)

  1. 콘크리트보에 설치되는 것으로 직육면체로 형성되면서 중앙에는 상,하부수문의 크기보다 조금 작은 크기의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제1브래킷이 양측으로 대칭형성되는 문틀과;
    직육면체로 형성되면서 상단에는 상기 문틀의 개구부 상부측을 막도록 문틀의 상부측에 얹혀지는 것으로서, 상단부에는 제1암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수문의 제1브래킷과 대응하여 연결되는 제2브래킷이 양측으로 대칭형성되며, 하부에는 제3브래킷이 양측으로 대칭형성되는 상부수문과;
    상기 상부수문의 가로폭과 동일한 직육면체로 형성되면서 상부 양측으로 상기 상부수문의 제3브래킷과 대응하여 연결되는 제2암에 의해 상기 상부수문의 하부로 연장설치되어 상기 문틀의 개구부 하부측을 막도록 문틀의 하부측에 얹혀지는 하부수문과;
    상기 상부수문의 개구부를 밀폐할 수 있도록 상,하부수문의 배면 가장자리 및 상,하부수문의 하단에 부착되는 밀폐고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수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수문의 배면 하단에는 수개의 반구형 부력판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수문.
KR20-2004-0035008U 2004-12-09 2004-12-09 다단식 수문 KR2003804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008U KR200380458Y1 (ko) 2004-12-09 2004-12-09 다단식 수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008U KR200380458Y1 (ko) 2004-12-09 2004-12-09 다단식 수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0458Y1 true KR200380458Y1 (ko) 2005-03-30

Family

ID=43682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5008U KR200380458Y1 (ko) 2004-12-09 2004-12-09 다단식 수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045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5831B1 (ko) 2009-02-18 2011-10-25 이명우 수문
US20220145562A1 (en) * 2019-03-22 2022-05-12 Asahi Inovex Corp. Watertight structure for flap gate and flap gate comprising same
KR20220090801A (ko) * 2020-12-23 2022-06-30 류동환 하천 주변 악취 차단 가림 구조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5831B1 (ko) 2009-02-18 2011-10-25 이명우 수문
US20220145562A1 (en) * 2019-03-22 2022-05-12 Asahi Inovex Corp. Watertight structure for flap gate and flap gate comprising same
KR20220090801A (ko) * 2020-12-23 2022-06-30 류동환 하천 주변 악취 차단 가림 구조체
KR102418387B1 (ko) * 2020-12-23 2022-07-06 류동환 하천 주변 악취 차단 가림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5894B1 (ko) 복합 자동수문장치
KR200380458Y1 (ko) 다단식 수문
KR20060111885A (ko) 사이펀 통로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자동보 수문
CN113463567A (zh) 具有排沙结构的液压坝
CN103726478A (zh) 钢制双作用翻板闸门
KR20080037749A (ko) 후랩밸브가 부착된 배수문
KR200395621Y1 (ko) 가변유량 자동 수문
KR100432521B1 (ko) 안전 스크린이 구비된 하단 배출 겸용 전도식 자동수문
KR200392599Y1 (ko) 전도식 어도 수문
CN215802179U (zh) 一体化泵闸
KR200312863Y1 (ko) 유압식 수문 개폐구조
KR200392551Y1 (ko) 이중 열림 구조를 갖는 수문 장치
KR200392553Y1 (ko) 이중 열림 구조를 갖는 수문 장치
CN209585263U (zh) 防蚊闸
KR200262733Y1 (ko) 부력봉을 이용한 역류방지용 콘크리트 박스 자동수문
KR200353900Y1 (ko) 에어챔버를 구비한 자동비
KR200326120Y1 (ko) 무게중심이동형 플랩 밸브
CN211368585U (zh) 一种水利工程用的防汛墙
KR100233747B1 (ko) 개폐가 용이한 수문 장치
CN217580019U (zh) 卧倒闸门
CN215482703U (zh) 具有排沙结构的液压坝
KR200233345Y1 (ko) 링크기구를 이용한 수문 자동 개폐 장치
CN220579936U (zh) 一种钢坝闸门
KR100317975B1 (ko) 수문의 개폐장치
KR100520909B1 (ko) 에어챔버를 구비한 자동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