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0199Y1 -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 - Google Patents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0199Y1
KR200380199Y1 KR20-2004-0037179U KR20040037179U KR200380199Y1 KR 200380199 Y1 KR200380199 Y1 KR 200380199Y1 KR 20040037179 U KR20040037179 U KR 20040037179U KR 200380199 Y1 KR200380199 Y1 KR 2003801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elastic
elastic spring
bed mattress
shock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71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현
Original Assignee
최용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현 filed Critical 최용현
Priority to KR20-2004-00371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01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01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01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3/00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 A47C23/04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using springs in compression, e.g. coiled
    • A47C23/043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using springs in compression, e.g. coiled using wound springs
    • A47C23/0433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using springs in compression, e.g. coiled using wound springs of different resilience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구현의 목적은 완충스프링의 규격(형상, 모양)과 치수(스프링 철심의 두께)를 변화되도록 하여 가변적인 완충작용을 행하게 하므로서, 매트리스 사용에 따른 하중 작용시, 그 하중의 주체인 사용자 신체굴곡에 탄력적으로 대응되도록 하고, 아울러 이와같은 가변적인 완충작용에 의해 불필요한 신체 배김현상 내지 허리통증 현상등을 예방되도록 하여, 편안하고 안락한 사용관계를 부여되도록 한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며;
또 다른 목적으로는, 완충스프링의 상,하 단부면 구성을 또아리 형태로 마감처리하여, 보다 확대된 설치 단면적을 갖게 하므로서, 지속적 사용 하중에 따른 스프링의 뒤틀림 내지 휨변형을 예방되도록 하고, 아울러 상기와 같은 스프링의 뒤틀림 및 휨변형의 예방으로서, 제품의 내구성 증대 및 사용수명 을 연장시킬수 있도록 한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이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테두리 구성을 이루는 한쌍의 설치프레임을 기초구성으로, 그 내측면에 다수개의 완충스프링을 격자구조로 배열,연결시켜 구성한 스프링 조합체에 있어서;
상기, 완충스프링을 철심두께를 상호 달리 하는 제1탄성체 스프링과, 제2탄성체 스프링으로 분리 형성시키되;
상기, 제1탄성체 스프링은 제2탄성체 스프링과 대비하여 그 철심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형태를 이루며, 상기 스프링조합체의 상,중,하측 부위에 각 1열이상 4열 미만의 배열구조로 설치되고;
재차, 상기, 제2탄성체 스프링은 제1탄성체 스프링과 대비하여 그 철심두께가 상대적으로 굵은형태를 이루며, 상기 제1탄성체가 설치된 부위를 제외한 스프링 조합체 전면에 걸쳐, 배열 설치되게 하므로서, 달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Mattress for spring}
본 고안은 침대 매트리스에 적용되는 스프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설치 단면적 확대에 따른 균일한 받침기능과, 배열 위치에 따른 차별화된 탄력적 완충기능에 의해 편안하고, 안락한 잠자리를 제공할수 있도록 한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용 매트리스는 직물재로 이루어진 외피내에 스프링 조합체를 내설시킨 서양식 침구류의 일종으로서, 이와같은 침대용 매트리스는 그 내부로 내설된 다수개의 스프링 조합에 의해 일정한 완충작용을 행하며 사용자에게 편안한 잠자리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도 1은 침대용 매트리스에 적용되는 종래 스프링 조합체를 개략 도시한 것으로, 이를 참조하여 종래 스프링 조합체의 구성을 살펴보면;
이는, 환봉구조의 철심을 직사각체로 절곡성형시켜 매트리스의 상,하 테두리 구성인 설치프레임(10)을 형성시킨 상태하에;
상기, 설치프레임(10) 내측면에 도 1의 부분확대도로 도시된 바와같은 완충스프링(20)을 규칙적이고 반복적인 다수개 구성으로 배열시키고;
이어, 상기와 같이 배열된 완충스프링(20)을 체결수단(와이어 및 철심등)(30)에 의해 상호 엮음되게하여 설치프레임(10)상에 견고히 고정되게 하므로서, 구성되는 것이었다.
하지만, 전술한 스프링 조합체로 적용되는 종래의 완충스프링은 동일한 규격(형상, 모양)과 치수(스프링 철심의 두께)그리고, 동일한 탄성력을 갖는 완충스프링을 다수개 구비하여, 이들을 단순 연결,설치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이에 매트리스 상부로 사용자의 신체하중이 작용될 경우, 사용자의 신체 굴곡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한체, 스프링 조합체 전체구성이 균일한 탄성작용을 행할수 밖에 없는 것이었던바;
따라서, 지속적인 매트리스 사용시, 굴곡된 신체에 대응하지 못하는 완충스프링의 균일한 탄성작용에 의해 허리통증 내지 배김현상등을 유발되게 하는 등, 상당한 사용상의 불편한 문제점을 주는 것이었다.
한편, 또 다르게 전술한 바와같은 종래의 매트리스용 스프링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철심을 코일형태로 감김되게 하여, 그 상,하부면을 도 1의 부분확대도로 도시된 바와같이, 단순한 링 구조로 마무리 처리한 구성에 불과한 것으로, 이에, 상대적으로 완충스프링의 상,하 설치접촉면(매트리스 외피와 접하는면)을 협소하게 하여, 신체하중의 지속적 작용시, 완충스프링 쉽게 뒤틀림 되게 하거나 휨 변형되게 하는 심각한 구조상의 문제점을 상존되게 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침대 매트리스에 적용되는 종래 완충스프링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완충스프링의 규격(형상, 모양)과 치수(스프링 철심의 두께)를 변화되도록 하여 가변적인 완충작용을 행하게 하므로서, 매트리스 사용에 따른 하중 작용시, 그 하중의 주체인 사용자 신체굴곡에 탄력적으로 대응되도록 하고, 아울러 이와같은 가변적인 완충작용에 의해 불필요한 신체 배김현상 내지 허리통증 현상등을 예방되도록 하여, 편안하고 안락한 사용관계를 부여되도록 한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완충스프링의 상,하 단부면 구성을 또아리 형태로 마감처리하여, 보다 확대된 설치 단면적을 갖게 하므로서, 지속적 사용 하중에 따른 스프링의 뒤틀림 내지 휨변형을 예방되도록 하고, 아울러 상기와 같은 스프링의 뒤틀림 및 휨변형의 예방으로서, 제품의 내구성 증대 및 사용수명 을 연장시킬수 있도록 한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이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 수단으로는;
테두리 구성을 이루는 한쌍의 설치프레임을 기초구성으로, 그 내측면에 다수개의 완충스프링을 격자구조로 배열,연결시켜 구성한 스프링 조합체에 있어서;
상기, 완충스프링을 철심두께를 상호 달리 하는 제1탄성체 스프링과, 제2탄성체 스프링으로 분리 형성시키되;
상기, 제1탄성체 스프링은 제2탄성체 스프링과 대비하여 그 철심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형태를 이루며, 상기 스프링조합체의 상,중,하측 부위에 각 1열이상 4열 미만의 배열구조로 설치되고;
재차, 상기, 제2탄성체 스프링은 제1탄성체 스프링과 대비하여 그 철심두께가 상대적으로 굵은형태를 이루며, 상기 제1탄성체가 설치된 부위를 제외한 스프링 조합체 전면에 걸쳐, 배열 설치되어 지므로서, 달성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의 설치구성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의 작용상태 단면도로서, 그 일련의 구성을 살펴보면;
설치프레임(1)(1')을 기초 골격구조로 하여, 그 내측면에 완충스프링(2)을 격자구조로 배열시킨 통상의 스프링 조합체(100)에 있어, 상기 완충스프링을 제1탄성체 스프링(21)과, 제2탄성체 스프링(22)으로 분할된 이중 부품구조로 구비되게 하므로서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스프링 조합체(100)의 기초골격을 이루는 설치프레임(1)(1')은 환봉구조의 철심을 직사각체로 절곡, 성형시킨 통상의 구성으로서, 이에 이와같은 설치프레임(1)(1')은 도 2 또는 도 3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상,하 한쌍의 대칭구조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완충스프링(2)은 침대 매트리스에 적용되는 통상의 탄성받침수단으로서, 이와같은 완충스프링(2)을 본 고안에 적용함에 있어서는 이를 전술한 바와같이 이중 부품구조를 이루는 제1탄성체 스프링(21)과, 제2탄성체 스프링(22)으로 분리 형성하게 되는 것인바;
이에, 이러한 구성에 있어, 먼저 제1탄성체 스프링(21)은 도 2의 A부분확대도로 도시된 바와같이 철심(211)을 코일형태로 감김시킨 형태로하여, 그 상,하 단부면에 또아리 형태로 마감처리된 설치접촉면(212)을 형성되게 함이 바람직하고;
아울러, 제2탄성체 스프링(22) 또한 도 2의 B부분확대도로 도시된 바와같이 철심(221))을 코일형태로 감김시킨 형태로하여, 그 상,하 단부면에 또아리 형태로 마감처리된 설치접촉면(222)을 형성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때 전술한 바와같은 완충스프링(2)의 구성에 있어, 제1탄성체 스프링(21)은 제2탄성체 스프링(22)과 대비하여 그 철심(211)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형태를 이루게 되고, 이와 반대로 제2탄성체 스프링(22)은 제1탄성체 스프링(21)과 대비하여 그 철심(221)두께가 상대적으로 굵은 형태를 이루게 되는 것으로, 이에 이러한 철심(211)(221)두께의 변화에 의해 제1탄성체 스프링(21)과, 제2탄성체 스프링(22)은 상호 다른 탄성력을 갖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을 상호 결합함에 있어서는;
도 2로 도시된 바와같이 상,하 한쌍의 테두리 구성을 이루는 설치프레임(1)(1') 내측면에 다수개의 완충스프링(2)을 일정한 간격을 갖는 격자구조로 배열시키고, 이와같이 배열된 다수개의 완충스프링(2)을 별도 구비된 체결수단(와이어, 철심등)에 의해 상호 연결되게 하여 스프링 조합체(100)를 형성토록 한다.
이때, 상기 완충스프링(2)은 상호 탄성력을 달리하는 제1탄성체 스프링(21)과 제2탄성체 스프링(22)으로 이루어지고, 그 배열관계 또한 특징적인 설치형태를 이루게 되는 것으로, 이에 그 배열형태를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제1탄성체 스프링(21)은 침대 매트리스에 있어 사용자 신체의 어깨, 엉덩이, 다리부위가 접촉되는 부분, 다시말해 도 3으로 도시된 바와같은 스프링 조합체(100)의 상, 중, 하측 부위에 각각 1열이상 4열 미만의 배열구조로 설치하고;
상기, 제2탄성체 스프링(22)은 전술한 제1탄성체 스프링(21)이 배열 설치된 부위를 제외한 스프링 조합체(100) 전면에 걸쳐 배열, 설치되게 하므로서, 본 고안에 따른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을 구현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도 3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그 외관이 직물재 외피(3)에 의해 마감처리된 상태로 필요한 사용관계를 갖게 되는 것인바;
이에, 그 사용관계에 있어, 도 3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침대 매트리스 상부로 사용자의 신체하중이 작용하게 되면, 그 하중에 의해 제1탄성체 스프링(21)과 제2탄성체 스프링(22)으로 이루어진 완충스프링(2)이 탄성작용을 행하며, 사용자 신체에 완충기능을 부여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사용관계에 있어, 제1탄성체 스프링(21)은 제2탄성체 스프링(22)과 대비하여 철심(211)의 두께가 얇은 구성으로서, 상대적으로 탄성력이 우수하고, 그 설치위치 또한 스프링 조합체(100)의 상,중,하측 부위에 위치되므로 인해, 사용자의 신체굴곡, 다시말해 도 3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어깨와 엉덩이 그리고 다리부분의 굴곡형태에 따라 탄성 함몰되며 안정적인 받침기능을 행하게 되는 것이다.
또 다르게 본 고안에 있어, 제1,2 탄성체 스프링(21)(22)의 상,하 단부면을 형성하는 설치접촉면(212)(222)은 철심(211)(221)을 또아리 형태로 마감처리되게 하여, 그 단면적을 상대적으로 넓게 구성한 것으로서, 이를 도 3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외피(3)내에 내설시킬 경우, 그 외피(3)의 내측 상,하부면과의 접촉면적 확대로 안정적인 받침기능을 수행하며 뒤틀림 내지 휨변형등을 예방되게 하는 기능을 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부연적인 설명으로서, 본 고안에 의한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은 일반적인 스프링 조합체(100)에 한정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제1,2탄성체 스프링(21)(22)을 포켓(도시생략)에 수용되게 하여, 이들을 조합, 배열시킨 포켓스프링 조합체(도시생략)에 또한 선택적으로 적용할수 있는 것으로, 이는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는 것은 아니며;
또 다르게, 상기 제1,2 탄성체 스프링(21)(22) 성형시, 그 제품의 크기(원통형을 취하는 스프링의 내경)를 사용자 요구에 따라 선택적으로 가변 설계하여, 스프링 조합체(100)로 설치되는 완충스프링(2)의 수량을 가변 구성되게 할수 있는 것이며, 아울러 이와같은 완충스프링(2) 규격 및 설치수량의 가변구성으로서, 스프링조합체(100)의 탄성기능을 선택적으로 조절되게 할수 있는 것으로,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이상, 본 고안에 따른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은 완충스프링의 규격(형상, 모양)과 치수(스프링 철심의 두께)를 변화되게 하여 가변적인 완충작용을 행하게 한 것으로서, 매트리스 사용에 따른 하중 작용시, 그 하중의 주체인 사용자 신체굴곡에 탄력적으로 대응되게 한 것일뿐만 아니라, 아울러 이러한 가변적 완충작용에 의해 불필요한 신체 배김현상 내지 허리통증 현상등을 예방되도록 하여, 편안하고 안락한 사용관계를 갖도록 한 것이며;
또 다르게, 완충스프링의 상,하 단부면 구성을 또아리 형태로 마감처리하여, 보다 확대된 설치 단면적을 갖게 하므로서, 지속적 사용 하중에 따른 스프링의 뒤틀림 내지 휨변형을 예방되도록 하여 제품의 내구성 증대는 물론, 사용수명 또한 연장시킬수 있도록 한 것으로, 매우 유용한 기대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 조합체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의 설치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의 작용상태 단면도
< 도면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설치프레임 2 : 완충스프링
21 : 제1탄성체 스프링 22 :제2탄성체 스프링
100 : 스프링 조합체 211,221 : 철심
212,222 : 설치접촉면

Claims (2)

  1. 테두리 구성을 이루는 한쌍의 설치프레임(1)(1')을 기초구성으로, 그 내측면에 다수개의 완충스프링(2)을 격자구조로 배열,연결시켜 구성한 스프링 조합체(100)에 있어서;
    상기, 완충스프링(2)은 철심(211)(221)두께를 상호 달리 하는 제1탄성체 스프링(21)과, 제2탄성체 스프링(22)으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제1탄성체 스프링(21)은 제2탄성체 스프링(22)과 대비하여 그 철심(211)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형태를 이루며, 상기 스프링 조합체(100)의 상,중,하측 부위에 각 1열이상 4열 미만의 배열구조로 설치되고;
    상기, 제2탄성체 스프링(22)은 제1탄성체 스프링(21)과 대비하여 그 철심(221)두께가 상대적으로 굵은형태를 이루며, 상기 제1탄성체 스프링(21)이 설치된 부위를 제외한 스프링 조합체(100) 전면에 걸쳐, 배열 설치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체 스프링(21)과, 제2탄성체 스프링(22)은 그 상,하 단부면이 또아리 형태를 이루는 설치접촉면(212)(222)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
KR20-2004-0037179U 2004-12-29 2004-12-29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 KR2003801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7179U KR200380199Y1 (ko) 2004-12-29 2004-12-29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7179U KR200380199Y1 (ko) 2004-12-29 2004-12-29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0199Y1 true KR200380199Y1 (ko) 2005-03-29

Family

ID=43681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7179U KR200380199Y1 (ko) 2004-12-29 2004-12-29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019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90095A (zh) * 2016-03-03 2016-11-09 广东舒美娜家具有限公司 一种子母高低簧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90095A (zh) * 2016-03-03 2016-11-09 广东舒美娜家具有限公司 一种子母高低簧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10939C (en) Cushions including flat springs
KR101707713B1 (ko) 서로 다른 탄성 변형도를 갖는 복수 종류의 포켓 스프링을 포함하는 매트리스
JP2008511391A (ja) 片面マットレス用の非対称スプリング部品およびインナースプリング
US20090066452A1 (en) Magnetic levitation cushion and magnetic levitation for the same
WO2000045672A3 (en) Seating product with sinuous spring assemblies
KR101054454B1 (ko) 매트리스용 이중 완충 코일
US3200417A (en) Torsional edge spring for mattresses and the like
KR100265207B1 (ko) 스프링 조립체 및 그에 사용되는 주변 지지 스프링
KR200380272Y1 (ko) 이중 보강구조 스프링을 갖는 침대 매트리스
KR200380199Y1 (ko)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
KR101000507B1 (ko) 침대 매트리스의 포머 보강용 스프링
KR100970910B1 (ko)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조립체의 가요성 보강 구조
KR200446584Y1 (ko) 조립구조를 개선 시킨 침대 매트리스용 보조스프링
KR20110125455A (ko)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 구조
KR101054456B1 (ko) 침대용 매트리스의 회전 스프링 보강재
KR20160107928A (ko) 매트리스
KR101782124B1 (ko) 무조닝 스프링매트리스
KR101304645B1 (ko) 매트리스
CN109043952B (zh) 防共振结构弹簧床垫的生产工艺
KR20170139718A (ko) 내구성이 증대된 인체공학적인 침대 매트리스
JP2000083767A (ja) マットレス
CN219962387U (zh) 软硬一体弹簧床垫
CN215456791U (zh) 内胆、床垫及床具
KR200372223Y1 (ko) 매트리스용 보강 그리드
CN210696854U (zh) 一种一体式分区床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