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9486Y1 - 렌티큘러판을 이용한 서적 - Google Patents

렌티큘러판을 이용한 서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9486Y1
KR200379486Y1 KR20-2004-0031187U KR20040031187U KR200379486Y1 KR 200379486 Y1 KR200379486 Y1 KR 200379486Y1 KR 20040031187 U KR20040031187 U KR 20040031187U KR 200379486 Y1 KR200379486 Y1 KR 2003794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ticular
bundle
book
lenticular plat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11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동철
Original Assignee
(주)니시애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니시애드 filed Critical (주)니시애드
Priority to KR20-2004-00311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94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94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94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렌티큘러판(lenticular screen)을 이용한 서적,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 낱장으로만 제작 판매되어오던 렌티큘러판의 여러 가지 동식물이나 항공기들의 그림들을 보다 편리하게 사용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한 렌티쿨러판을 이용한 서적에 관한 것이다.
이 같은 본 고안은, 다양한 입체그림을 제공하는 다수개의 렌트큘러판을 한권의 서적으로 묶어 재구성함으로써, 낱장으로 된 렌티큘러판의 분실을 방지하면서 그 소장이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다양한 입체그림을 제공하는 다수개의 렌티큘러판을 보다 쉽게 볼 수 있도록 하는 렌티큘러판을 이용한 서적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렌티큘러판을 이용한 서적{Lenticular Books}
본 고안은 렌티큘러판(lenticular screen : 보는 각도에 따라 그림이나 사진의 모양이 다르게 보이도록 한 입체 사진 또는 입체그림)을 이용한 서적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입체화면을 제공하는 다수개의 렌티큘러판을 하나의 묶어 재구성함으로써 낱장으로 된 렌티큘러판의 분실을 방지하면서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하도록 한 렌티큘러판을 이용한 서적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같이, 렌티큘러판은 홀로그램의 원리와는 다른 것이지만 양쪽 눈으로 보이는 상을 다르게 하여 입체상을 느끼게 하는 것으로, 이는 빛의 굴절에 의해 각각의 눈에 다른 그림이 보이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렌티큘러판은 두 가지 다른 그림으로서 오른쪽과 왼쪽의 눈이 관측하는 물체의 그림으로 했을 때 그 그림을 입체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렌티큘러판은 분리된 형태로서 낱개로 제공될 뿐, 서적의 형태로는 제공되지 않았다.
이에따라, 종래에는 다양한 입체 그림을 가진 렌티큘러판을 보관하고자 할 경우 개별적으로 구입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음은 물론, 그 렌티큘러판을 보고자 할 경우에 있어서도 사용자가 일일이 분리된 렌티큘러판을 불규칙적으로 넘겨야 하는 불편함이 따랐다.
또한, 낱개로 이루어진 렌티큘러판의 보관에 있어서도 상당한 불편함이 따랐으며, 보관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할 경우에는 렌티큘러판의 분실이 초래되는 등 그 관리가 부실할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양한 입체그림을 제공하는 다수개의 렌트큘러판을 하나로 묶어 서적으로 재구성함으로써, 렌티큘러판의 분실을 방지하면서 그 보관이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다양한 입체그림을 제공하는 다수개의 렌티큘러판을 보다 쉽게 볼 수 있도록 하는 렌티큘러판을 이용한 서적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렌티큘러판을 이용한 서적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렌티큘러판의 구조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도 2의 A-A선 단면도 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다수개의 렌티큘러판(10)을 적층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렌티큘러판(10)은 절곡선(11)을 통해 입체그림 형성면(12)과 묶음용의 제 1 구멍(13)이 형성된 묶음면(14)으로 분할 구성하고,
상기 묶음면(14)에는 묶음용의 제 1 구멍(13)과 대응하는 묶음용의 제 2 구멍(21)이 형성된 연질(예; 직물)의 묶음부재(20)를 접착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다수개의 렌티큘러판(10)을 묶음은 와이어(30)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며, 반드시 이러한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고안의 일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렌티큘러판(10)을 절곡선(11)을 통해 입체그림 형성면(12)과 묶음용의 제 1 구멍(13)이 형성된 묶음면(14)으로 분할 구성한다.
이후, 상기 묶음면(14)에는 묶음용의 제 1 구멍(13)과 대응하는 묶음용의 제 2 구멍(21)이 형성된 연질(예; 직물)의 묶음부재(20)를 접착제 등으로 접착한 후, 상기와 같이 묶음부재(20)가 각각 접착된 다수개의 렌티큘러판(10)을 적층시킨다.
이때, 상기 적층되는 렌티큘러판(10)은 서로 묶음용의 제 1,2 구멍(13)(21)을 일직선상에 일치시킨 후, 상기 제 1,2 구멍(13)(21)으로 와이어(30)를 관통시켜, 상기 다수개가 적층된 렌티큘러판(10)을 서적의 형태로 묶는다.
그러면, 상기 와이어(30)에 의해 묶어진 렌트큘러판(10)은 절곡선(11)을 통해 그 절곡이 이루어짐으로써, 이용자는 상기의 렌티큘러판(10)을 하나씩 넘기면서 입체그림 형성면(12)에 형성된 입체그림을 차례대로 감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다양한 입체그림을 제공하는 다수개의 렌트큘러판을 하나로 묶어 서적으로 재구성함으로써, 렌티큘러판의 분실을 방지하면서 그 보관이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다양한 입체그림을 제공하는 다수개의 렌티큘러판을 보다 쉽게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렌티큘러판을 이용한 서적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렌티큘러판의 구조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도 2의 A-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렌티큘러판 11; 절곡선
12; 입체그림 형성면 13; 묶음용의 제 1 구멍
14; 묶음면 20; 묶음부재
21; 묶음용의 제 2 구멍 30; 와이어

Claims (1)

  1. 다수개의 렌티큘러판을 적층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렌티큘러판은 절곡선을 통해 입체그림 형성면과 묶음용의 제 1 구멍이 형성된 묶음면으로 분할 구성하고,
    상기 묶음면에는 묶음용의 제 1 구멍과 대응하는 묶음용의 제 2 구멍이 형성된 연질의 묶음부재를 접착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렌티큘러판을 이용한 서적.
KR20-2004-0031187U 2004-11-04 2004-11-04 렌티큘러판을 이용한 서적 KR2003794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1187U KR200379486Y1 (ko) 2004-11-04 2004-11-04 렌티큘러판을 이용한 서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1187U KR200379486Y1 (ko) 2004-11-04 2004-11-04 렌티큘러판을 이용한 서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9486Y1 true KR200379486Y1 (ko) 2005-03-18

Family

ID=43681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1187U KR200379486Y1 (ko) 2004-11-04 2004-11-04 렌티큘러판을 이용한 서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948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8063A (ko) 2018-10-02 2020-04-10 김창덕 렌티큘러 스크린을 이용한 서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8063A (ko) 2018-10-02 2020-04-10 김창덕 렌티큘러 스크린을 이용한 서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74566B2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of net pattern
JP4607208B2 (ja) 立体映像ディスプレイ方法
EP2597504A2 (en)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panel structure
US8542270B2 (en) 3D stereoscopic display system for large format LED displays
TW200923474A (en) Display device having multifle viewing zones and method of displaying multiple image
CN103155569A (zh) 使用对角方向视差栅栏的自动立体显示设备
US8472117B2 (en) Lens array and 3-dimensional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9329396B2 (en) Image displaying sheet
TW201229982A (en) Thee dimensional display
KR20140096661A (ko) 무안경식 반사형 3차원 칼라 디스플레이
US20150261000A1 (en) 3d image displaying object, production method, and production system thereof
KR200379486Y1 (ko) 렌티큘러판을 이용한 서적
JP2006301061A (ja) レンチキュラシートの組付構造及びその利用方法
WO2015035713A1 (zh) 立体显示装置
US20090147357A1 (en) Apparatus capable of displaying dynamic images
TWI464456B (zh) 立體顯示裝置
CN111781735A (zh) 基于偏振阵列的双视3d显示装置及方法
JPH0636021U (ja) 立体視装置
JP3642807B2 (ja) 立体視可能な冊子あるいはアルバム
KR200472474Y1 (ko) 입체사진용 입체투시기
TW201011344A (en) Multi-view auto-stereoscopic display
JP6330084B1 (ja) 見本提示具
JP3106927U (ja) 立体画像観賞用スコープ
JP3199118U (ja) 書類フォルダ
KR200257098Y1 (ko) 양면투시용 입체 투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