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9427Y1 - 초음파 가습기를 이용한 식물재배장치 - Google Patents

초음파 가습기를 이용한 식물재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9427Y1
KR200379427Y1 KR20-2004-0036915U KR20040036915U KR200379427Y1 KR 200379427 Y1 KR200379427 Y1 KR 200379427Y1 KR 20040036915 U KR20040036915 U KR 20040036915U KR 200379427 Y1 KR200379427 Y1 KR 2003794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ze
supply
mist
pipe
plant culti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69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로
Original Assignee
(주)한국하비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하비비 filed Critical (주)한국하비비
Priority to KR20-2004-00369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94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94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94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10Asparagu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Greenhouses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위적으로 발생시킨 운무를 사무실이나 가정의 실내 가습을 위한 용도와 식물을 발아시키기거나 어느정도 성장시킬 수 있는 영양분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초음파 가습기를 이용한 식물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초음파 가습기를 이용한 식물재배장치(50)를 구성함에 있어서;
박스타입으로 구비되는 케이스(51)와;
상기 케이스(51)의 일측에 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구비하는 재배실(55)과;
상기 케이스(51)의 다른 측에 재배실(55)과 식물재배장치의 외부(실내)로 운무를 공급하는 운무공급기(70)로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초음파 가습기를 이용한 식물재배장치{A plant cultivation device using humidifier}
본 고안은 초음파 가습기를 이용한 식물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초음파로 발생되는 무화를 이용하여 실내 가습은 물론 씨앗 발아와 식물으로의 성장을 가능하도록 하는 식물재배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무화는 자연적상태에서 발생하는 안개나 고산지대에 발생하는 구름과 같은 형태를 말하는 것이며, 물(액체)이 미립자화 되는 현상을 말하는 것으로서, 소량의 경우에는 기화되고 다량이 접촉할 경우에는 물로 변화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무화는 실내 습도 조절을 위하여 초음파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통상적인 기술구성의 가습기를 통하여 배출되는 형태의 것이 자연적인 현상에 의하여 발생하는 운무와 동일한 것이다.
종래에도 이러한 가습기 원리를 이용하여 관상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종래의 기술적인 내용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경우에는 초음파에 의하여 발생한 운무를 단순히 관체를 통하여 이동시키고, 상기 관체에는 재배하고자 하는 관상식물이 심어진 화분을 여러곳에 배열하여 걸어둔다.
상기 화분이 위치한 관체에는 운무가 배출될 수 있도록 토출공을 형성하여 초음파에 의하여 발생된 운무가 관상식물이 심어진 화분이나 그 주위에 확산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경우에는 이미 성장 완료된 관상식물에 수분만을 공급하는 형태에 지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관상식물에 수분 공급을 위하여 제공되는 운무가 실내에도 비산됨으로서 가습이 되는 형태가 된다.
그러므로, 완전하게 식물을 재배하거나 실내 가습을 위한 목적을 충분하게 달성할 수 없게되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인위적으로 발생시킨 무화를 사무실이나 가정의 실내 가습을 위한 용도와 식물을 발아시키기거나 어느정도(새싹과 같은 형태)성장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실내가습과 식물의 성장목적을 충분히 달성하면서, 씨앗의 발아에서 어느정도의 싹으로 까지 자라는 과정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학습효과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가정에서 콩나물과 같은 나물 종류를 재배하여 식용으로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초음파 가습기를 이용한 식물재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초음파 가습기를 이용한 식물재배장치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초음파 가습기를 이용한 식물재배장치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초음파 가습기를 이용한 식물재배장치의 C - C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초음파 가습기를 이용한 식물재배장치의 D - D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초음파 가습기를 이용한 식물재배장치의 가습출구부위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로서, a는 재배실 공급상태, b는 외부 배출상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되는 초음파 가습기를 이용한 식물재배장치(50)는,
박스타입으로 구비되는 케이스(51)의 일측에는 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재배실(55)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51)의 다른 측에는 재배실(55)과 식물재배장치의 외부(실내)로 운무를 공급하기 위한 운무공급기(70)를 구비한다.
상기 재배실(55)은 케이스(51)에 다단으로 선반(56,57)을 설치하고, 상기 선반(56,57)에는 재배할 식물의 씨앗을 발아시켜 어느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싹으로 성장시킬 수 있는 채반(58,59)을 안치한다.
상기 선반(56,57)에는 공급된 운무가 다단의 선반(56,57)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운무유통공(60)이 형성됨은 당연할 것이며, 상기 재배실(55)과 운무공급기(70)상간에 형성되는 격벽(61)에는 운무공급홀(62)과 운무배출홀(63)을 형성한다.
상기 선반(56,57)의 저면에는 씨앗이 발아하는 데 최적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히터(65)를 설치하여 필요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운무공급기(70)는 중앙에 운무형성에 필요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물통(71)이 안치될 수 있도록 물통안치구(72)를 구비하고, 상기 물통안치구(72)의 중앙에는 통상적인 초음파를 발생하여 운무를 발생시키기는 진동자(73)와 연통되도록 수위조절밸브(74)를 구비한다.
상기 수위조절밸브(74)의 상방으로는 원적외선을 방사시키기 위한 게르마늄원석(75)을 안치구(76)를 이용하여 안치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진동자(73)의 상부에는 진동자(73)에 의하여 발생한 운무를 재배실(55)과 실내로 선택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운무공급홀(62)과 일치하는 운무공급관(77)을 구비하고, 상기 운무배출홀(63)의 위치에는 재배실(55)을 경유한 운무를 배출하기 위한 운무배출관(78)을 설치한다.
상기 운무공급관(77)은 진동자(73)의 상부로 돌출되어 운무공급홀(62)과 일치하는 공급홀(79)과 상방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홀(80)을 가지는 하부관(81)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관(81)의 상부에서 케이스(51)의 외부까지 연결되는 상부관(82)으로 구성한다.
상기 상부관(82)의 중도에는 하부관(81)과 동일한 위치에 공급홀(83)과 배출홀(84)을 형성하여 상단부에 형성되는 조절손잡이(85)에 의하여 운무의 공급과 배출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상부관(82)과 운무배출관(78)의 상부에는 식물재배장치(50)의 외부로 가습을 위하여 배출되는 운무와 재배실(55)을 순환한 운무의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회전 자유롭게 구비되는 가습배출구(86)를 결합한다.
상기 진동자(73)의 후방에는 발생된 운무를 운무공급관(77)으로 용이하게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 모터(87)에 의하여 작동하는 공급홴(88)을 설치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물통안치구(72)에 물을 수용한 물통(71)을 안치시킨 후 콘트롤러(미도시)에 구비되는 스위치를 작동시킴으로서 진동자(73)가 작동하여 운무를 발생시키고, 모터(87)가 작동하여 공급홴(88)으로 하여금 발생된 운무를 운무공급관(77)으로 공급한다.
상기와 같이 운무공급관(77)으로 공급된 운무는 상단부에 구비되는 조절손잡이(85)의 선택에 의하여 재배실(55)로 운무를 공급하여 식물의 재배에 사용되거나 식물재배장치(50)의 외부로 배출하여 가습을 위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된다.
즉, 조절손잡이(85)를 이용하여 하부관(81)과 상부관(82)에 형성되는 공급홀(79,83)과 배출홀(80,84)을 일치시키거나 어긋나게 함으로서 재배실(55) 또는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선택할 수 있게된다.
먼저, 재배실(55)로 운무를 공급하는 것을 선택하였을 경우에는, 하부관(81)과 상부관(82)에 형성되는 공급홀(79,83)을 일치시키고 배출홀(80,84)은 어긋난 상태로 함으로서 운무공급관(77)을 경유한 운무는 재배실(55)과 운무공급기(70)를 가르는 격벽(61)에 형성되는 운무공급홀(62)을 통하여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공급된 운무는 다단으로 설치되는 선반(56,57)에 안치된 채반(58,59)에 운무를 공급하고, 일부 운무는 운무유통공(60)을 통하여 하향되고 각각의 선반(56,57)을 경유한 운무는 운무배출홀(63)을 통하여 배출된다.
상기 운무배출홀(63)을 통하여 배출된 운무는 운무배출관(78)을 통하여 식물재배장치(50)의 외부로 배출되어져 실내를 가습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실내 가습의 경우, 재배실(55)을 경유한 운무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재배실(55)로 운무를 공급하지 않고 바로 실내 가습용으로 배출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는 운무공급관(77)을 구성하는 하부관(81)과 상부관(82)의 공급홀(79,83)은 어긋나게 하고 배출홀(80,84)는 일치되도록 함으로서 운무는 바로 가습배출구(86)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가습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본 고안의 식물재배장치(50)의 재배실(55)에는 다양한 종류의 관상식물은 물론 가정에서 식용으로 섭취할 수 있는 콩나물이나 기타 나물류를 재배하여 섭취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운무를 형성하는 물통(71)의 내부에 게르마늄원석(75)이 구비됨으로서 원적외선의 방사로 재배되는 식물에 좋은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물론, 실내 가습을 위하여 사용되는 경우에도 인체에 유익함을 줄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인위적으로 발생시킨 운무를 사무실이나 가정의 실내 가습을 위한 용도와 식물을 발아시키기거나 어느정도 성장시킬 수 있는 영양분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관상식물의 재배는 물론 식용나물을 재배하여 섭취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초음파 가습기를 이용한 식물재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초음파 가습기를 이용한 식물재배장치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초음파 가습기를 이용한 식물재배장치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초음파 가습기를 이용한 식물재배장치의 C - C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초음파 가습기를 이용한 식물재배장치의 D - D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초음파 가습기를 이용한 식물재배장치의 가습출구부위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로서, a는 재배실 공급상태, b는 외부 배출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50; 식물재배장치
51; 케이스
55; 재배실
56,57; 선반
62; 운무공급홀
63; 운무배출홀
65; 히터
70; 운무공급기
73; 진동자
77; 운무공급관
78; 운무배출관
86; 가습배출구

Claims (4)

  1. 초음파 가습기를 이용한 식물재배장치(50)룰 구성함에 있어서;
    박스타입으로 구비되는 케이스(51)와;
    상기 케이스(51)의 일측에 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구비하는 재배실(55)과;
    상기 케이스(51)의 다른 측에 재배실(55)과 식물재배장치의 외부(실내)로 운무를 공급하는 운무공급기(70)로 구성하고;
    상기 재배실(55)은 케이스(51)에 다단으로 설치하는 선반(56,57)과;
    상기 선반(56,57)에 안치되어 재배할 식물의 씨앗을 발아시켜 어느정도의 크기로 성장시키는 채반(58,59)과;
    상기 선반(56,57)에 형성하여 운무가 다단의 선반(56,57)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운무유통공(60)과;
    상기 재배실(55)과 운무공급기(70)상간을 구획하는 격벽(61)에 형성하는 운무공급홀(62)과 운무배출홀(63)을 포함하고;
    상기 운무공급기(70)는 운무형성에 필요한 물을 공급할 수 있게 물통(71)이 안치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물통안치구(72)와;
    상기 물통안치구(72)의 중앙에 운무를 발생시키기는 진동자(73)와 연통되도록 구비하는 수위조절밸브(74)와;
    상기 수위조절밸브(74)의 상방으로 구비되어 원적외선을 방사시키기 위한 게르마늄원석(75)을 안치하는 안치구(76)와;
    상기 진동자(73)의 상부에 운무를 재배실(55)과 실내로 선택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하는 운무공급관(77)과;
    상기 운무배출홀(63)의 위치에 재배실(55)을 경유한 운무를 배출하도록 설치하는 운무배출관(78)과;
    상기 상부관(82)과 운무배출관(78)의 상부에 회전 자유롭게 구비되는 가습배출구(8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가습기를 이용한 식물재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무공급관(77)은 진동자(73)의 상부로 돌출되어 운무공급홀(62)과 일치하는 공급홀(79)과 상방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홀(80)을 가지고 구비되는 하부관(81)과;
    상기 하부관(81)의 상부에서 케이스(51)의 외부까지 연결되는 상부관(82)으로 구성하고;
    상기 상부관(82)의 중도에 하부관(81)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하는 공급홀(83)과 배출홀(84);
    상기 상부관(82)의 상단부에 형성하여 운무의 공급과 배출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절손잡이(8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가습기를 이용한 식물재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56,57)의 저면에는 씨앗이 발아에 최적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히터(65)를 더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가습기를 이용한 식물재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자(73)의 후방에는 발생된 운무를 운무공급관(77)으로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모터(87)에 의하여 작동하는 공급홴(88)을 더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가습기를 이용한 식물재배장치.
KR20-2004-0036915U 2004-12-27 2004-12-27 초음파 가습기를 이용한 식물재배장치 KR2003794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915U KR200379427Y1 (ko) 2004-12-27 2004-12-27 초음파 가습기를 이용한 식물재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915U KR200379427Y1 (ko) 2004-12-27 2004-12-27 초음파 가습기를 이용한 식물재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9427Y1 true KR200379427Y1 (ko) 2005-03-18

Family

ID=43681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6915U KR200379427Y1 (ko) 2004-12-27 2004-12-27 초음파 가습기를 이용한 식물재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942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9269A (ko) 2014-06-03 2015-12-11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새싹재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9269A (ko) 2014-06-03 2015-12-11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새싹재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9076B2 (en) Smart cabinet for home gardening
US9357715B2 (en) Vertical planter
WO2021026007A1 (en) Vertical hydroponic solid nutrient growing system and method
US20070271841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growing plants
US11903351B2 (en) Grow cups for hydroponic growing systems
US20050246954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growing plants
KR101004333B1 (ko) 멀티 재배장치
KR20150086867A (ko) 인삼 수경 재배 시스템
EP3533319A1 (en) Verticle grow box module and module and system of vertical grow boxes that incorporates it
KR101371128B1 (ko) 교체식 식재모듈을 가지는 식물 재배기
KR20180040917A (ko) 분무 수경 재배 시스템
KR20200111382A (ko) 가정용 식물 재배장치
WO2021260536A1 (en) Blended hydroponics
KR200379427Y1 (ko) 초음파 가습기를 이용한 식물재배장치
WO2023086186A1 (en) Grow cups for hydroponic growing systems
JP2010154822A (ja) 水気耕栽培装置
KR200395999Y1 (ko) 수경 재배기
US20220330500A1 (en) Modular Hydroponics Gardening Apparatus
KR102189913B1 (ko) 양액 재배 시스템
CN115119663A (zh) 一种多级水稻育种栽培设备
CN211931643U (zh) 植物幼苗培养装置
CN209949983U (zh) 一种穴盘育苗系统
KR101379738B1 (ko) 물분사부를 가지는 식물 재배기
KR200357431Y1 (ko) 가정용 식물 재배장치
WO2021077197A1 (en) Plant-growing apparatus with gas cav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