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9273Y1 - 낚싯대 행거 - Google Patents

낚싯대 행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9273Y1
KR200379273Y1 KR20-2004-0036810U KR20040036810U KR200379273Y1 KR 200379273 Y1 KR200379273 Y1 KR 200379273Y1 KR 20040036810 U KR20040036810 U KR 20040036810U KR 200379273 Y1 KR200379273 Y1 KR 2003792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rod
hanger
band
fish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68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일근
Original Assignee
조일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일근 filed Critical 조일근
Priority to KR20-2004-00368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92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92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92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8Handgri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낚싯대 행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낚시를 하는 경우에 낚시하는 사람이 낚싯대를 손목을 곧바로 편 상태에서 낚싯대를 파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낚싯대를 항상 손에 잡지 않고서도 편리하게 낚싯대를 거취하여 낚시를 즐길 수 있는 낚싯대 행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낚시자의 어깨 또는 목에 걸쳐질 수 있도록 합성수재나 가죽등으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고리(12)와, 일측 단부에 행거고리(14)가 장착되는 행거밴드(10)와, 일측에 상기 행거밴드(10)의 행거고리(14)와 결합되고 회전되는 회전루프(22)가 장착된 행거고리볼트(26)가 나사결합되고, 타측에 낚싯대를 견고하게 안착시킬 수 있는 안착부재(30)가 고정볼트(44)로 나사결합되는 장착부 고정볼트(40)가 장착된 원통체의 손잡이(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낚싯대 행거{FISHING ROD HANGER}
본 고안은 낚싯대 행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낚시를 하는 경우에 낚시하는 사람이 낚싯대를 손목을 곧바로 편 상태에서 낚싯대를 파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낚싯대를 항상 손에 잡지 않고서도 편리하게 낚싯대를 거취하여 낚시를 즐길 수 있는 낚싯대 행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갯바위낚시와 같이 장시간 동안 서서 낚시를 하는 경우에는 낚싯대를 한 손 또는 두 손을 이용하여 거취한 상태에서 장시간 동안 한자세를 취하면서 낚시를 하게 된다. 따라서 낚시하는 자세가 불편하여 지고, 쉽게 피로를 느끼게 되었다.
이에 지면에 별도의 낚싯대 받침대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낚싯대를 거취할 수 있는 장치가 국내 공개특허공보 특1999-0078996호(1999년 11월 05일, 발명의 명칭: 낚시대 어깨걸이)와,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62398호(2002년 01월 16일, 고안의 명칭: 착용식 다용도 낚시 받침대)와,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91309호(2002년 09월 25일, 고안의 명칭: 낚시용 행거를 겸한 벨트 색) 등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개특허공보 및 등록실용신안공보에 게재된 장치들은 모두 공통적으로 낚싯대를 거취하고 고정시키기 위한 벨트 또는 벨트 색과, 상기 벨트 또는 벨트 색을 어깨 또는 목에 걸쳐 지지하기 위한 어깨벨트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벨트 또는 벨트 색에 낚시대를 거취시켜 낚시를 할 수 있도록 하여 낚시하는 사람의 양손을 자유롭게 쓸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에 개시된 장치들은 벨트 또는 벨트 색등을 허리와 허벅지등에 고정시켜야 되기 때문에, 고정시키기 위한 많은 고리와 벨트가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고, 미끼통과 같은 기타 여러가지 장비를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구조가 복잡하고 난잡하여 오히려 낚시를 하는 사람에게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조가 복잡함에 따라 제품의 가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낚싯대를 파지하기 위해서는 손목을 비틀어 장시간 동안 낚싯대를 잡고 있기 때문에 손목에 무리를 주게 되어 오랜 기간 동안 낚시를 즐긴 사람들에게는 손목의 통증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와 장비로 낚싯대를 손목을 곧바로 한 상태에서 낚싯대를 용이하게 거취하거나, 양 팔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더욱 편리하게 흥미롭게 낚시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낚싯대 행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낚싯대 행거는 낚시자의 어깨 또는 목에 걸쳐질 수 있도록 합성수재나 가죽등으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고리(12)와, 일측 단부에 행거고리(14)가 장착되는 행거밴드(10)와, 일측에 상기 행거밴드(10)의 행거고리(14)와 결합되고 회전되는 회전루프(22)가 장착된 행거고리볼트(26)가 나사결합되고, 타측에 낚싯대를 견고하게 안착시킬 수 있는 안착부재(30)가 고정볼트(44)로 나사결합되는 장착부 고정볼트(40)가 장착된 원통체의 손잡이(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안착부재(30)는, 낚싯대의 외부 일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만곡되게 형성된 안착판(34)과, 일측이 상기 안착판(34)의 상부에 부착되어 낚싯대가 안착되는 경우에 낚싯대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밴드(36)로 구성되며, 상기 안착판(34)의 내측에는 낚싯대가 안착되는 경우에 낚싯대에 손상을 주지않고 낚싯대가 회전되지 않도록 합성수지재나 고무재로 형성된 쿠션재(38)가 도포되고, 상기 밴드(36)에는 낚싯대를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양측단에 일정 넓이로 벨크로 파스너(Valcro Fastener, 32)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고안의 상기 안착부재(30)는, 낚싯대의 외부 일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길고 만곡되게 형성된 안착판(34)과, 일측이 상기 안착판(34)의 상부에 부착되어 낚싯대가 착되는 경우에 낚싯대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밴드로 구성되며, 상기 안착판(34)의 내측에는 낚싯대가 안착되는 경우에 낚싯대에 손상을 주지않고 낚싯대가 회전되지 않도록 합성수지재나 고무재로 형성된 쿠션재(38)가 도포되고, 상기 밴드는 결합된 손잡이(20)를 중심으로 제1고정밴드(50)와 제2고정밴드(55)가 장착되어 낚싯대를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양측단에 일정 넓이로 벨크로 파스너(Valcro Fastener, 32)가 부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낚싯대 행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낚싯대 행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1의 A-A선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낚싯대 행거는, 상기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시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어깨 또는 목에 걸쳐지고 길이조절이 가능한 행거밴드(10)와, 낚싯대를 견고하고 용이하게 안착시키기 위한 밴드(36)가 부착된 안착부재(30)와, 상기 안착부재(30)를 착탈할 수 있고 상기 행거밴드(10)와 연결되어 상기 행거밴드(10)가 자유롭게 회전되는 손잡이(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행거밴드(10)는 낚시자의 어깨 또는 목에 걸쳐질 수 있도록 합성수재나 가죽등으로 구성되며,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고리(12)가 중간에 형성되고, 일측 단부에는 상기 손잡이(20)와 착탈이 용이한 행거고리(14)가 장착되어 구성된다. 상기 길이조절고리(12)는 공지된 기술로써 다양한 구조를 채택할 수 있으며, 본 고안을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행거고리(14)는 상기 손잡이(20)를 행거밴드(10)에서 쉽게 착탈할 수 있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20)는 낚시하는 사람이 낚싯대 대신에 파지하기 위한 원통형상으로 상부의 개구부로는 상기 행거밴드(10)와 연결되는 행거고리볼트(26)가 볼트체결되고, 하부의 개구부로는 낚싯대를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부재(30)를 결합시키기 위한 안착부 고정볼트(40)가 볼트체결된다.
상기 행거고리볼트(26)는 상측에 상기 행거고리(14)와 체결되는 회전루프(22)와, 상기 회전루프(22)가 회전가능하도록 루프지지대(24)로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 고정볼트(40)는 상기 안착부재(30)가 볼트 결합되도록 내측에 암나사가 형성된 결합구멍(42)이 중앙부에 상하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재(30)는 낚싯대의 외부 일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만곡되게 형성된 안착판(34)과, 일측이 상기 안착판(34)의 상부에 부착되어 낚싯대가 안착되는 경우에 낚싯대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밴드(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안착판(34)의 내측에는 낚싯대가 안착되는 경우에 낚싯대에 손상을 주지않고 낚싯대가 회전되지 않도록 합성수지재나 고무재로 형성된 쿠션재(38)가 도포되고, 상기 밴드(36)에는 낚싯대를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양측단에 일정 넓이로 벨크로 파스너(Valcro Fastener, 32)가 부착된다. 이 때 상기 밴드(36)의 형상은 상기 손잡이(20)를 제외한 상기 안착판(34)의 상부면에 부착되도록 중앙부가 절개되고, 낚싯대를 안착시킨 경우에 상기 상부면에 부착된 벨크로 파스너(32)와 결합되도록 중앙부가 절개되어 전체적으로는 알파벳의 에이치(H) 형상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착판(34)은 상기 손잡이(20)와 고정볼트(44)에 의해 고정되도록 중앙부에 고정구멍(46)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안착부(30)는 손잡이(20)의 안착부 고정볼트(40)에 고정볼트(44)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낚싯대 행거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낚싯대 행거의 저면도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낚싯대 행거는 상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20)를 중심으로 안착판(34)에 제1고정밴드(50)와 제2고정밴드(55)가 장착되어 안착판(34)이 길게 형성된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일실시예와 동일하게 상기 손잡이(20)와는 고정볼트(44)에 의해 결합되고,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일실시예의 안착부재(30) 또는 다른 실시예의 안착부재(30)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먼저 낚시자의 신장에 맞도록 상기 행거밴드(10)의 길이를 길이조절고리(12)를 이용하여 조절하여 어깨 또는 목에 걸쳐지도록 착용한다.
그리고 미끼 등의 채비를 완성하여 미끼를 적절하게 투척한 후 낚시대를 손잡이(20)와 연결되어 있는 안착부재(30)에 밀착되게 안착시키고, 낚싯대가 이탈되지 않도록 안착판(34)의 있는 밴드(36)를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이 때 밴드(36)를 최대한 당겨서 낚싯대가 회전되거나 유동되지 않게 하고, 벨크로 파스너(32)를 서로 결합시켜 낚싯대를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낚싯대를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행거밴드(10)의 행거고리(14)를 손잡이(20)의 회전루프(22)에 연결시키고, 다시 손잡이(20)와 결합되어 있는 낚싯대의 무게중심이 맞도록 낚시대가 안착판(36)에 안착되는 위치를 조절한다.
무게중심이 맞춰진 낚싯대는 낚시하는 사람의 어깨 또는 목에 걸쳐진 행거밴드(10)에 가볍게 걸쳐진 상태로 되기 때문에 낚시하는 사람의 두 팔을 자유롭게 하여 주며, 또한 낚시하는 사람의 이동도 편리하게 된다. 그리고 낚싯대를 파지하기 위해서는 낚싯대를 직접 파지하지 않고 손목을 곧바로 편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20) 부분을 파지하기 때문에 손목에 무리한 힘을 가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손목 관절의 부상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어신을 기다리는 도중에 두 팔을 자유롭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한 자세로 어신을 기다리며 낚시를 즐길 수 있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낚시하는 사람의 몸에 낚싯대를 거취한 상태에서 이동을 편리하게 하고 두 팔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간단한 구조와 장비로 낚싯대를 거취시킬 수 있다. 또한 낚싯대를 파지하는 경우에도 손목을 직접 편 상태에서 손잡이(20) 부분을 파지하기 때문에 손목에 무리한 힘을 줄 필요가 없어 손목의 부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낚싯대를 거취하는 장치가 매우 간단하기 때문에 보관과 이동이 매우 용이하여 실용성을 향상시키게 되고, 더욱 편리하게 흥미롭게 낚시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낚싯대 행거의 사시도,
도 2는 도1의 A-A선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낚싯대 행거,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낚싯대 행거의 저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행거밴드 12: 길이조절고리
14: 행거고리 20: 손잡이
22: 회전루프 24: 루프지지대
26: 행거고리볼트 30: 안착부재
32: 벨크로파스너(Valcro Fastener) 34: 안착판
36: 밴드 38: 쿠션재
40: 장착부 고정볼트 42: 너트
44: 고정볼트 46: 고정구멍
50: 제1고정밴드 55: 제2고정밴드

Claims (3)

  1. 낚시자의 어깨 또는 목에 걸쳐질 수 있도록 합성수재나 가죽등으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고리(12)와, 일측 단부에 행거고리(14)가 장착되는 행거밴드(10)와,
    일측에 상기 행거밴드(10)의 행거고리(14)와 결합되고 회전되는 회전루프(22)가 장착된 행거고리볼트(26)가 나사결합되고, 타측에 낚싯대를 견고하게 안착시킬 수 있는 안착부재(30)가 고정볼트(44)로 나사결합되는 장착부 고정볼트(40)가 장착된 원통체의 손잡이(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행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재(30)는, 낚싯대의 외부 일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만곡되게 형성된 안착판(34)과, 일측이 상기 안착판(34)의 상부에 부착되어 낚싯대가 안착되는 경우에 낚싯대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밴드(36)로 구성되며,
    상기 안착판(34)의 내측에는 낚싯대가 안착되는 경우에 낚싯대에 손상을 주지않고 낚싯대가 회전되지 않도록 합성수지재나 고무재로 형성된 쿠션재(38)가 도포되고, 상기 밴드(36)에는 낚싯대를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양측단에 일정 넓이로 벨크로 파스너(Valcro Fastener, 32)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행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재(30)는, 낚싯대의 외부 일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길고 만곡되게 형성된 안착판(34)과, 일측이 상기 안착판(34)의 상부에 부착되어 낚싯대가 착되는 경우에 낚싯대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밴드로 구성되며,
    상기 안착판(34)의 내측에는 낚싯대가 안착되는 경우에 낚싯대에 손상을 주지않고 낚싯대가 회전되지 않도록 합성수지재나 고무재로 형성된 쿠션재(38)가 도포되고,
    상기 밴드는 결합된 손잡이(20)를 중심으로 제1고정밴드(50)와 제2고정밴드(55)가 장착되어 낚싯대를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양측단에 일정 넓이로 벨크로 파스너(Valcro Fastener, 32)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행거.
KR20-2004-0036810U 2004-12-27 2004-12-27 낚싯대 행거 KR2003792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810U KR200379273Y1 (ko) 2004-12-27 2004-12-27 낚싯대 행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810U KR200379273Y1 (ko) 2004-12-27 2004-12-27 낚싯대 행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9273Y1 true KR200379273Y1 (ko) 2005-03-18

Family

ID=43680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6810U KR200379273Y1 (ko) 2004-12-27 2004-12-27 낚싯대 행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927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8393A (ko) * 2020-08-28 2022-03-08 이석종 낚시용 손목 보호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8393A (ko) * 2020-08-28 2022-03-08 이석종 낚시용 손목 보호대
KR102483194B1 (ko) * 2020-08-28 2022-12-29 이석종 낚시용 손목 보호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1066B1 (en) Fishing rod holder
US5956883A (en) Fishing rod holder
US7204468B2 (en) Elastic article suspension device for an infant
US1198202A (en) Fishing device.
US6357639B1 (en) Lower leg mounted fishing pole holder
US4587757A (en) Fishing device
US3850393A (en) Baby bottle holder
US6591542B1 (en) Body support harness for a fishing rod
US2781958A (en) Fishing rod holder
US11123593B2 (en) Exercise accessories and system
US5044109A (en) Fishing rod holder
US5775770A (en) Portable baby carrier
US5105574A (en) Fishing rod holder
US20030167673A1 (en) Wrist brace for anglers
WO2011044544A1 (en) Device for restraining animals to fixtures
WO2019182708A1 (en) Arm rest for a fishing pole
US6557292B1 (en) Fishing rod support device
US4967943A (en) Carrier device for umbrella
KR200379273Y1 (ko) 낚싯대 행거
US4746118A (en) Batting aid
KR101451231B1 (ko) 낚시대 손잡이 장치
US5941012A (en) Power rod extension
KR100868938B1 (ko) 착용식 낚시대 거치구
GB2123675A (en) Angling aid
JPH0719261Y2 (ja) スタンド付リ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1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