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9228Y1 - 건축용 자재 손잡이 - Google Patents

건축용 자재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9228Y1
KR200379228Y1 KR20-2004-0035805U KR20040035805U KR200379228Y1 KR 200379228 Y1 KR200379228 Y1 KR 200379228Y1 KR 20040035805 U KR20040035805 U KR 20040035805U KR 200379228 Y1 KR200379228 Y1 KR 2003792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door
coupling member
handle
screw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58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우
Original Assignee
이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우 filed Critical 이정우
Priority to KR20-2004-00358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92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92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92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61Knobs or handles with protective cover, buffer or shock absorber

Landscapes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용 자재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내부가 관통되어 중공을 형성하며 인체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의 형상을 가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측면 일측과 상기 몸체부가 고정되는 문의 일측과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몸체부와 문 사이에 소정의 틈이 유지되도록 하며 인체의 손이 소정의 틈으로 들어가서 몸체부를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결합부재A와, 상기 몸체부의 측면 일측과 상기 몸체부가 고정되는 문의 타측과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몸체부와 문 사이에 소정의 틈이 유지되도록 하며 인체의 손이 소정의 틈으로 들어가서 몸체부를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결합부재B 및, 상기 몸체부의 관통구에 삽입되는 고무마개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의 측면 상단과 하단에는 상기 결합부재와 결속되기 위하여 나사산이 형성된 결속구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중공 내부에는 상기 각각의 결속구를 몸체부에 견고히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자재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상기와 같은 건축용 자재 손잡이는, 문과 체결이 용이하며, 그 체결의 견고성이 우수하며, 특히 상기 몸체부에 복합소재 원단으로 된 보호층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몸체부의 표면을 보호하고 또한 상기 보호층에 다양한 문양과 색상을 표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축용 자재 손잡이{Knob for construction materials}
본 고안은 건축용 자재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문(DOOR)과의 체결이 용이하며, 또한 그 체결의 견고성이 우수하며, 아울러 손잡이의 몸체부에는 내부가 관통되어 그 무게가 가벼우며, 또한 몸체부의 표면에는 상기 몸체부를 보호하며, 다양한 문양과 색상을 표현할 수 있는 보호층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자재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의 건축물에는 인테리어를 위한 소파나 탁자 등의 소품과 공간을 구획하는 문 등의 다양한 자재가 사용되어져 있다. 이 중에서도 특히 공간을 구획하는 문의 경우는 인체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가 부착되어져 있다. 이러한 손잡이는 현재 굉장히 다양한 형태의 손잡이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손잡이는 그 체결구조가 복잡하여, 상기 손잡이를 문에 체결할 때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시공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체결구조가 간단하면 그 모양이나 형상이 단순하여 미적 심미감을 유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그 체결의 견고성도 미약하여 문을 닫거나 열때 발생되는 흔들림이나 충격의 힘에 의하여 문에서 손잡이가 분리되어 손잡이의 역할을 원활히 수행하지 못하고 또한 미세하게 분리되면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종래의 손잡이는 통상의 알루미늄이나 강철이나 스텐 등으로 이루어진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목재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손잡이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경우가 많아서 다양한 색상이나 문양의 표현을 할 수가 없어서 건물 전체나 문의 미감을 해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목재로 만들어진 손잡이의 경우도 나뭇결 무늬 외에는 다른 형상의 모양과 문양을 표현할 수 없다는 것은 마찬가지였다.
또한 종래의 손잡이는 다른 첨예한 물체가 경도가 강한 물체와 충돌하여 찍히거나 그 표면이 벗겨지거나 하는 등의 손상을 쉽게 입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경미한 손상 때문에 손잡이 자체를 교환하고자 한다면 그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손잡이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다른 금속재질의 보호판을 입힌다면 그 비용가 무게가 무거우며, 다양한 손잡이의 형태에 부합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문(DOOR)과의 체결이 용이하며, 또한 그 체결의 견고성이 우수하며, 아울러 손잡이의 몸체부에는 내부가 관통되어 그 무게가 가벼우며, 또한 몸체부의 표면에는 상기 몸체부를 보호하며, 다양한 문양과 색상을 표현할 수 있는 보호층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자재 손잡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건축용 자재 손잡이는, 내부가 관통되어 중공을 형성하며 인체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의 형상을 가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측면 일측과 상기 몸체부가 고정되는 문의 일측과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몸체부와 문 사이에 소정의 틈이 유지되도록 하며 인체의 손이 소정의 틈으로 들어가서 몸체부를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결합부재A와, 상기 몸체부의 측면 일측과 상기 몸체부가 고정되는 문의 타측과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몸체부와 문 사이에 소정의 틈이 유지되도록 하며 인체의 손이 소정의 틈으로 들어가서 몸체부를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결합부재B 및, 상기 몸체부의 관통구에 삽입되는 고무마개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의 측면 상단과 하단에는 상기 결합부재와 결속되기 위하여 나사산이 형성된 결속구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중공 내부에는 상기 각각의 결속구를 몸체부에 견고히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표면을 보호하고 다양한 문양과 색상을 표현하기 위하여 마련되며, 상기 몸체부를 감싸며, 수지성분이 함유된 복합소재 원단으로 이루어진 보호층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부의 재질은, 강철,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피브이씨(PVC) 중 어느 하나 이며, 상기 복합소재 원단은, 에폭시원단, 페놀원단, 카본원단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A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양측면으로 렌지를 삽입할 수 있는 형상이 형성되며, 외측면으로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산의 일측이 상기 몸체부의 결속구와 체결되는 볼트와; 일정한 형상을 가지며, 양측면으로 나사공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공의 일측이 볼트의 타측과 체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타측이 결합부재B에 의하여 문에 결합될 때, 결합되는 힘을 흡수하며, 결합의 견고성을 유지하며, 문을 닫거나 열 때 발생되는 흔들림 또는 충격에 의하여 발생되는 충격힘을 흡수하기 위한 고무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B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양측면으로 렌지를 삽입할 수 있는 형상이 형성되며, 외측면으로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산의 일측이 상기 몸체부의 결속구와 체결되는 볼트와; 일정한 형상을 가지며, 일측면에는 나사공이 형성되며, 타측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의 상부측면과 하부측면에는 나사공이 형성되며, 상기 일측면에 형성된 나사공에는 상기 볼트의 일측이 체결되며, 상기 공간부에는 상기 결합부재A의 타측 나사공과 결합되는 결합부가 삽입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공간부에 삽입된 결합부를 상호 체결함에 있어, 상기 연결부의 공간부의 상부측면과 하부측면에 형성된 나사공을 통하여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하는 볼트와; 일측은 렌지를 삽입할 수 있는 형상이 형성되며, 타측은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렌지 형상과 나사산 사이에 형성된 몸체의 외부에는 상기 공간부의 상부측면과 하부측면에 형성된 나사공을 통하여 삽입되는 볼트를 안착하는 안착홈이 형성된 결속구; 및 상기 연결부의 타측이 결합부재B에 의하여 문에 결합될 때, 결합되는 힘을 흡수하며, 결합의 견고성을 유지하며, 문을 닫거나 열 때 발생되는 흔들림 또는 충격에 의하여 발생되는 충격힘을 흡수하기 위한 고무링;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그릴장치 및 그 체결구조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건축용 자재 손잡이가 문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건축용 자재 손잡이가 문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 내지 도 2의 Ⅲ-Ⅲ'선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건축용 자재 손잡이의 단면도 분리도이며, 도 5는 도 1의 Ⅴ-Ⅴ'선의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자재 손잡이(100)(100')는, 몸체부(10)와, 결합부재A(30)와, 결합부재B(50) 및, 고무마개(8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문(90)은 건축용 자재 손잡이(100)의 구성에서 제외된다.
상기 몸체부(10)는, 보호층(12)과, 고정부재(14) 및, 결속구(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10)는 인체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의 형상을 가지며, 원기둥, 삼각기둥, 사각기둥 및 오각기둥 등 다양한 형태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10)는 강철,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피브이씨(PVC) 등의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보호층(1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의 표면을 보호하고 다양한 문양과 색상을 표현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으로, 상기 몸체부(10)를 감싸며, 수지성분이 함유된 복합소재 원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복합소재 원단은 에폭시원단, 페놀원단, 가본원단 중 어느 하나인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상기 보호층(12)으로 인하여, 상기 손잡이 찍힘이나 파손 등으로 보호할 수 있으며, 상기 보호층(12)은 다양한 문양을 표현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문양의 손잡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관통구(18)가 형성되어 속이 빈 상태의 중공이 형성되어 있어, 그 무게가 가볍다.
상기 고정부재(1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의 견고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부(10)의 중공에 다수개 고정되나, 특히 상기 몸체부(10)의 결합구(16)가 구비된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14)는, 상기 몸체부(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정부재(14)는 몸체부(10)와 일체형으로 성형되거나 또는 고정부재(14)를 용접으로 몸체부(10)에 일체형으로 부착할 수 있다.
상기 결속구(16)는, 상기 몸체부(10)의 측면 상단과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부재(14)가 부착되어 있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결속구(16)에는 홈(2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20)의 내측면에는 나사산(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재A(30)는, 볼트(32)와, 연결부(34) 및, 고무링(3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결합부재A(30)는, 상기 몸체부(10)의 측면 일측과 상기 몸체부(10)가 고정되는 문(90)의 일측과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몸체부(10)와 문(90) 사이에 소정의 틈이 유지되도록 하며, 인체의 손이 소정의 틈으로 들어가서 몸체부(10)를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결합부재A(30)는, 상기 몸체부(10)의 측면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 결속구(16)와 상호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재A(30)는 상기 결합부재A(30)의 볼트(32)에 의하여, 상기 몸체부(10)의 결속구(16)와 상호 체결되며, 상기 볼트(32)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양측면으로 렌지를 삽입할 수 있는 형상이 형성되며, 외측면으로 나사산(38)(38')이 형성되며, 상기 일측의 나사산(38)은 상기 몸체부(10)의 결속구(16)와 체결되며, 상기 타측의 나사산(38')은 연결부(34)의 일측 나사공(40)과 체결된다.
상기 연결부(34)는, 일정한 형상을 가지며, 양측면으로 나사공(40)(40')이 형성되며, 상기 일측의 나사공(40)에는 볼트(32)의 타측이 체결 결합되며, 상기 타측의 나사공(40')에는 결합부재B(50)의 결합부(58)가 체결된다.
상기 고무링(36)은, 중앙부가 관통된 관통구(42)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34)와 문(90)의 일측면 사이에 안착된다.
또한, 상기 고무링(36)은, 상기 연결부(34)와 문(90)의 일측면 사이에 안착되어 결합될 때, 결합되는 힘을 흡수하며, 결합의 견고성을 유지하며, 문을 닫거나 열 때 발생되는 흔들림 또는 충격에 의하여 발생되는 충격힘을 흡수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문(90)에는 결합부재B(50)의 결합부(58)가 관통 삽입되며, 상기 결합부재A(30)의 연결부(34)의 타측 나사공(40')과 결합될 수 있도록 관통구(92)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재A(50)는, 볼트(52)(54)와, 연결부(56)와, 결합부(58)및, 고무링(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결합부재B(50)는, 상기 몸체부(10)의 측면 일측과 상기 몸체부(10)가 고정되는 문(90)의 타측과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몸체부(10)와 문(90) 사이에 소정의 틈이 유지되도록 하며, 인체의 손이 소정의 틈으로 들어가서 몸체부(10)를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결합부재B(50)는, 상기 몸체부(10)의 측면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 결속구(16)와 상호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재B(50)는 상기 결합부재B(50)의 볼트(52)에 의하여, 상기 몸체부(10)의 결속구(16)와 상호 체결되며, 상기 볼트(52)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양측면으로 렌지를 삽입할 수 있는 형상이 형성되며, 외측면으로 나사산(62)(62')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52)의 일측 나사산(62)은 상기 몸체부(10)의 결속구(16)와 체결되며, 상기 볼트(52)의 타측 나사산(62')은 연결부(56)의 일측 나사공(64)과 체결된다.
상기 연결부(56)는, 일정한 형상을 가지며, 일측면에는 나사공(64)이 형성되며, 타측면에는 공간부(66)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66)의 상부측면과 하부측면에는 나사공(68)이 형성되며, 상기 일측면에 형성된 나사공(64)에는 상기 볼트(52)의 타측에 형성된 나사산(62')과 체결되며, 상기 공간부(66)에는 상기 결합부재A(30)의 타측 나사공(40')과 결합되는 결합부(58)가 삽입된다.
상기 결합부(58)는, 일측면에 렌지를 삽입할 수 있는 렌지 형상(70)이 형성되며, 타측면에 나사산(72)이 형성되며, 상기 렌지 형상(70)과 나사산(72) 사이에 형성된 몸체(74)의 외부에는 상기 공간부(66)의 상부측면과 하부측면에 형성된 나사공(68)을 통하여 삽입되는 볼트(54)를 안착하는 안착홈(76)이 형성된다.
상기 볼트(54)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양측면으로 렌지를 삽입할 수 있는 형상이 형성되며, 외측면으로 나사산(78)이 형성된다.
상기 고무링(60)은, 중앙부가 관통된 관통구(80)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56)와 문(90)의 타측면 사이에 안착된다.
또한, 상기 고무링(60)은, 상기 연결부(52)와 문(90)의 타측면 사이에 안착되어 결합될 때, 결합되는 힘을 흡수하며, 결합의 견고성을 유지하며, 문을 닫거나 열 때 발생되는 흔들림 또는 충격에 의하여 발생되는 충격힘을 흡수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고무마개(85)는, 상기 몸체부(10)의 관통구(18)를 막아 손잡이의 외관을 미려하게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각각의 구성요소간의 상호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문(90)의 일측에 구비되는 손잡이(100)는, 상기 몸체부(10)의 측면 상부와 측면 하부에 형성된 결속구(16)에 결합부재A(30)의 볼트(32)를 체결하며, 상기 볼트(32)의 타측에 결합부재A(30)의 연결부(34)의 일측 나사공(40)을 체결한다.
이때, 상기 몸체부(10)의 관통구(18)를 막는 고무마개(85)를 먼저 삽입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다음, 문(90)의 타측에 구비되는 손잡이(100')는, 상기 몸체부(10)의 측면 상부와 측면 하부에 형성된 결속구(16)에 결합부재B(50)의 볼트(52)를 체결하며, 상기 볼트(52)의 타측에 결합부재B(30)의 연결부(56)의 나사공(64)를 체결한다.
이때도, 마찬가지로 몸체부(10)의 관통구(18)를 막는 고무마개(85)를 먼저 삽입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조건이 완료되면, 문(90)의 일측에 상기 연결부(34)의 타측 나사공(40')과, 상기 고무링(36)의 관통구(42)를 문(90)의 관통구(92)와 일치시키고, 또한, 상기 결합부재B(50)의 고무링(60)의 관통구(80)를 문(90)의 관통구(92)와 일치시킨 후, 상기 결합부(58)의 나사산(72)을 상기 결합부재B(50)의 고무링(60)의 관통구(80)와 문(90)의 관통구(92) 및 상기 결합부재A(30)의 고무링(36)의 관통구(42)를 통과시켜, 상기 결합부재A(30)의 연결부(34)의 나사공(40')과 체결 결합한다.
이어서, 상기 결합부재B(50)의 연결부(56)의 공간부(66)에 상기 결합부(58)의 일측을 삽입하며, 상기 결합부재B(50)의 연결부(56)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형성된 나사공(64)에 볼트(54)를 삽입하여 체결함으로써, 상기 결합부재B(50)의 결합부(58)와 연결부(56)가 연결되어, 상기 건축용 자재 손잡이(100)(100')는 문(90)의 양측면에 고정 설치된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어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자재 손잡이에 의하면, 문과 체결이 용이하며, 그 체결의 견고성이 우수하며, 특히 상기 몸체부에 복합소재 원단으로 된 보호층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몸체부의 표면을 보호하고 또한 상기 보호층에 다양한 문양과 색상을 표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건축용 자재 손잡이가 문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건축용 자재 손잡이가 문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1 내지 도 2의 Ⅲ-Ⅲ'선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건축용 자재 손잡이의 단면도 분리도.
도 5는 도 1의 Ⅴ-Ⅴ'선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몸체부 12. 보호층
14. 고정부재 16. 결속구
18,42, 80, 92. 관통구 20. 홈
22, 38, 38', 62, 62', 72, 78. 나사산
30. 결합부재A 32, 52, 54. 볼트
34, 56. 연결부 36, 60. 고무링
40, 40', 64, 68. 나사공
50. 결합부재B 58. 결합부
66. 공간부 70. 렌지 형상
74. 몸체 85. 고무마개
90. 문(DOOR)
100,100'. 건축용 자재 손잡이

Claims (5)

  1. 내부가 관통되어 중공을 형성하며, 인체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의 형상을 가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측면 일측과 상기 몸체부가 고정되는 문의 일측과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몸체부와 문 사이에 소정의 틈이 유지되도록 하며, 인체의 손이 소정의 틈으로 들어가서 몸체부를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결합부재A와;
    상기 몸체부의 측면 일측과 상기 몸체부가 고정되는 문의 타측과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몸체부와 문 사이에 소정의 틈이 유지되도록 하며, 인체의 손이 소정의 틈으로 들어가서 몸체부를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결합부재B; 및
    상기 몸체부의 관통구에 삽입되는 고무마개; 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의 측면 상단과 하단에는, 상기 결합부재와 결속되기 위하여 나사산이 형성된 결속구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중공 내부에는, 상기 각각의 결속구를 몸체부에 견고히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 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자재 손잡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표면을 보호하고 다양한 문양과 색상을 표현하기 위하여 마련되며, 상기 몸체부를 감싸며, 수지성분이 함유된 복합소재 원단으로 이루어진 보호층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자재 손잡이.
  3. 제 1 항 내지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재질은, 강철,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피브이씨(PVC) 중 어느 하나 이며;
    상기 복합소재 원단은, 에폭시원단, 페놀원단, 카본원단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자재 손잡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A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양측면으로 렌지를 삽입할 수 있는 형상이 형성되며, 외측면으로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산의 일측이 상기 몸체부의 결속구와 체결되는 볼트와;
    일정한 형상을 가지며, 양측면으로 나사공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공의 일측이 볼트의 타측과 체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타측이 결합부재B에 의하여 문에 결합될 때, 결합되는 힘을 흡수하며, 결합의 견고성을 유지하며, 문을 닫거나 열 때 발생되는 흔들림 또는 충격에 의하여 발생되는 충격힘을 흡수하기 위한 고무링;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자재 손잡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B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양측면으로 렌지를 삽입할 수 있는 형상이 형성되며, 외측면으로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산의 일측이 상기 몸체부의 결속구와 체결되는 볼트와;
    일정한 형상을 가지며, 일측면에는 나사공이 형성되며, 타측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의 상부측면과 하부측면에는 나사공이 형성되며, 상기 일측면에 형성된 나사공에는 상기 볼트의 일측이 체결되며, 상기 공간부에는 상기 결합부재A의 타측 나사공과 결합되는 결합부가 삽입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공간부에 삽입된 결합부를 상호 체결함에 있어, 상기 연결부의 공간부의 상부측면과 하부측면에 형성된 나사공을 통하여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하는 볼트와;
    일측은 렌지를 삽입할 수 있는 형상이 형성되며, 타측은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렌지 형상과 나사산 사이에 형성된 몸체의 외부에는 상기 공간부의 상부측면과 하부측면에 형성된 나사공을 통하여 삽입되는 볼트를 안착하는 안착홈이 형성된 결속구; 및
    상기 연결부의 타측이 결합부재B에 의하여 문에 결합될 때, 결합되는 힘을 흡수하며, 결합의 견고성을 유지하며, 문을 닫거나 열 때 발생되는 흔들림 또는 충격에 의하여 발생되는 충격힘을 흡수하기 위한 고무링;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자재 손잡이.
KR20-2004-0035805U 2004-12-16 2004-12-16 건축용 자재 손잡이 KR2003792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805U KR200379228Y1 (ko) 2004-12-16 2004-12-16 건축용 자재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805U KR200379228Y1 (ko) 2004-12-16 2004-12-16 건축용 자재 손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9228Y1 true KR200379228Y1 (ko) 2005-03-17

Family

ID=43680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5805U KR200379228Y1 (ko) 2004-12-16 2004-12-16 건축용 자재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922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86796A (en) Reinforcing devices for doors and door frames
KR101164007B1 (ko) 천정판 고정구조
US20090038901A1 (en) Locking case
CA2296661A1 (en) Fastener assembly for attachment of composite insert to mower deck
KR200379228Y1 (ko) 건축용 자재 손잡이
US20150240540A1 (en) Door Guard Assembly
US5832754A (en) Locking device for surfboards
DE60301247T2 (de) Vorrichtung, insbesondere ein Boot oder ein Schwimmbad, mit einem aufblasbaren Gehäuse, das ein integriertes Gerät behinhaltet
KR101125717B1 (ko) 조립형 자물쇠
US5722119A (en) Pulling knob for furniture
WO2004035405A3 (en) Security box
US2935304A (en) Chain fence
US5595426A (en) Locker door retrofit assembly
CN107762315A (zh) 一种新型防盗锁扣
CN207513409U (zh) 一种新型防盗锁扣
US10822849B1 (en) Door locking system
GB2142358A (en) Security hatch system
KR940006800A (ko) 자물쇠고정기구를 가진 바인더철구
TW201631249A (zh) 管形插銷門擋元件
KR100533882B1 (ko) 기능성 단부를 가진 방파제 구조물
KR200436768Y1 (ko) 구조물의 내장재 부착구조
KR200436215Y1 (ko) 사물함도어용 매립형 손잡이
JP4292543B2 (ja) 竪枠材の保護装置
KR870003580Y1 (ko) 맨홀의 체결 고정장치
US20200263715A1 (en) Fastener for swimming pool step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