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8387Y1 - 조명기구 - Google Patents

조명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8387Y1
KR200378387Y1 KR20-2004-0036910U KR20040036910U KR200378387Y1 KR 200378387 Y1 KR200378387 Y1 KR 200378387Y1 KR 20040036910 U KR20040036910 U KR 20040036910U KR 200378387 Y1 KR200378387 Y1 KR 2003783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t
reflecting
horizontal plane
line
referenc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69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수곤
야스오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만상물산(주)
전수곤
야스오 이노우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만상물산(주), 전수곤, 야스오 이노우에 filed Critical 만상물산(주)
Priority to KR20-2004-00369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83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83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83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14Covers for frames; Frameless sh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22Reflectors for light sourc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e.g. dichroic reflectors
    • F21V7/24Reflectors for light sourc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e.g. dichroic reflecto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명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상세하게는 컨넥터가 내장되는 프레임과, 그 프레임의 전방에 연결되면서 아노다이징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제1,2반사부가 일체로 연결되는 구성의 반사판이 내측에 고정되는 전등갓과, 상기 컨넥터에 소켓으로 연결되며, 소켓이 연결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내측에 연결되는 발광체로서 이루어지는 램프를 포함되어 조명기구를 제작함으로서,
조도를 더욱 향상시키고, 반사판의 조립이 간편하며, 이중구조의 램프에 의해 재반사되는 빛으로 인한 램프의 수명저하를 방지하고, 반사율의 향상과 발열량의 감소를 효과적으로 상승시킬수 있는 조명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조명기구{An apparatus for illumination}
본 고안은 조명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컨넥터가 내장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 연결되며 아노다이징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제1,2반사부가 일체로 연결되는 반사판이 내측에 고정되는 전등갓 및, 상기 컨넥터에 소켓으로 연결되며 소켓이 연결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내측에 연결되는 발광체로서 이루어지는 램프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조도를 향상시키도록 하고, 반사판을 용이하게 조립할수 있으며, 반사판을 다단으로 분리하여 불 필요한 낭비를 방지하도록 하는 조명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장치는, 일정 내구성을 갖는 코일에 전원을 공급하여 직접 발열시키는 직접조명방식과, 진공상태의 관내부에 형광물질을 충진한후 상기 관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형광물질간의 상호 충돌력에 의해 빛을 발생시키는 간접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발생되는 빛은 그 일측에 설치되는 반사갓을 통하여 일정지역을 밝혀 필요로 하는 조도를 얻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조명장치는, 단순히 빛을 밝힌 다는 면에 의의를 두고 있는 것으로서, 어느 한 방향으로만 빛을 반사시키도록 형성되는 반사판에 의해 빛의 손실이 발생하여 조도를 충분히 발휘 할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종래의 조명장치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는 전원공급용 케이블이 인가되는 상단부의 박스형 캡통(10)이 일체형의 주물로서 형성되고, 그 캡통 하단부에 결합되어 램프로부터 발생한 빛이 반사될때 빛이 확산되도록 램프와 대향하는 표면에 오목또는 볼록의 반구, 앰보싱, 사각뿔로 이루어진 광확산수단(25)이 처리되는 반사커버(20)가 형성된 조명장치가 제시되었다.
하지만, 이와같은 조명장치는, 램프로 부터의 직접조명방식으로 이루어져 운반 및 설치시 충격이 전극에 직접전달되어 단락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캡통 및 반사커버가 일체로 구성되어 한곳의 파손시에도 전체를 교환하여야 하여 불 필요한 낭비가 발생되며, 앰보싱, 사각뿔 등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반사커버의 가공이 힘들어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반사커버의 형상이 앰보싱 및 사각뿔로 형성되어 있어 램프로부터 빛이 발생될 경우, 그 빛이 반사커버의 앰보싱 및 사각뿔형상의 표면에 닿은 뒤 반사되는 반사각도가 그대로 램프의 유리구로 유입되므로 빛의 발생으로 인해 뜨거워진 램프에 또다시 빛이 반사되므로 램프의 수명이 짧아지고 빛의 반사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조도를 더욱 향상시키고, 반사판의 조립이 간편하며, 재반사되는 빛으로 인한 램프의 수명저하를 방지하고, 반사율의 향상과 발열량의 감소를 효과적으로 상승시킬수 있는 조명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위해, 본 고안의 조명기구는,
상단부의 뒷통과 뒷통캡이 착탈식으로 분리되도록 박스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뒷통 내측으로 전원공급용 케이블(110)이 인가된 컨넥터(120)가 형성된 프레임(100)과;
그 프레임(100)의 전방에 결합되며, 커버(220) 내측에 아노다이징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제1,2반사부(210a, 211a, 212a)(210b, 211b, 212b)가 결합되어 반사판(210)이 형성되고, 그 반사판(210)이 램프의 직하조도 20m 이하에서 최대 조사범위를 확보하도록 설치되는 전등갓(200);및,
상기 컨넥터(120)에 회전결합되는 소켓(370)이 발광체(330)가 내장되는 커버(310)의 일측에 연결되며, 그 발광체를 지지하면서 전원을 공급토록 커버(310)의 내측에 제1,2전극(320a)(320b)이 돌출설치되는 램프(300)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서달성된다.
이하에서는 양호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고안에 따른 조명기구의 구성요소인 제1, 2반사부의 재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는 제1, 2반사부의 재질로서, 아노다이징 알루미늄(Anodized aluminium)이 사용되며, 이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PVD 코팅된 것으로, 맨 하단층에 산화티탄(TiO2), 실리콘(Si)등의 물질이 도포되고, 그 위에 본드층(Bonding Layer)이 형성되고, 그 위에 순수 알루미늄(Purest aluminium)99.99%가 도포되며, 그 위에 초반사 옥사이드층(Super reflective oxid-Layer)이 형성되어, 총반사율(Total-Reflection) 94~95%, 확산반사율(Diffuse-Reflection) 80~90%, 밝기(Brightness) 80~92%의 우수한 특성을 지닌다.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특성을 지닌 아노다이징 알루미늄(Anodized aluminium)을 사용하여, 기존의 빛출력율(Light output) 69.5%보다 16.55%증가한 81%의 빛출력율을 얻을 수 있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2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조명기구는, 크게 프레임(100)과 전등갓(200)및 램프(300)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 프레임(100)은, 상단부의 뒷통과 뒷통캡이 착탈식으로 분리되도록 박스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뒷통 내측으로 전원공급용 케이블(110)이 인가된 컨넥터(120)가 나사 결합된다.
상기 프레임(100)의 전방에 결합되는 전등갓(200)은, 커버(220)의 내측에 제1,2반사부(210a,211a,212a)(210b,211b,212b)및 베이스(210c)가 일체로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반사판(210)이 결합된다.
상기 제1반사부(210a)는 도3a의 (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아노다이징 알루미늄판을 펼친 전개도상에서 수직 기준선(0°)(3)과 일치되도록 다수개의 절곡선(2)을 형성하고, 그 수직 기준선(0°)(3)에 형성된 절곡선(2)을 도3a의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면상(1)에서 하향방향으로 1~ 89°로 절곡하여 개체 반사편(210a-1)을 형성하고, 그 개체 반사편(210a-1)을 다수개로 상호 연결하여 도3a의 (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면상의 상단에서 하단방향으로 1~89°로 절곡하여 직경이 점차로 확대되는 형상으로 형성한다.
제2반사부(210b)는 도3b의 (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아노다이징 알루미늄판을 펼친 전개도상에서 수직 기준선(0°)(3)과 일치되도록 다수개의 절곡선(2)을 형성하고, 그 수직 기준선(0°)(3)에 형성된 절곡선(2)을 도3b의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면상(1)에서 하향방향으로 1~ 89°로 절곡하여 개체 반사편(210b-1)을 형성하고, 그 개체 반사편(210b-1)을 다수개로 상호 연결하여 도3b의 (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면상의 상단에서 하단방향으로 1~89°로 절곡하여 직경이 점차로 확대되는 형상으로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반사판(210)은, 도3c 및 도3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반사부(210a)와 제2반사부(210b)로 이루어진 반사판(210)의 내외부에 형성된 절곡선이 일자형으로 형성되어 발광체로 부터 빛이 발산시, 제1반사부(210a)를 통해 제2반사부(210b)로 원형을 이루며 반사되어 점차 확산되는 원형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4a의 (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반사부(211a)는 아노다이징 알루미늄판을 펼친 전개도상에서 수직 기준선(0°)(3)으로 부터 1~89°(±)로 기울어져 일측방향으로 편향된 사선형으로 절곡선(2)을 형성하고, 그 수직 기준선(0°)(3)에 편향된 사선형으로 형성된 절곡선(2)을 도4a의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면상(1)에서 하향방향으로 1~ 89°로 절곡하여 개체 반사편(211a-1)을 형성하고, 그 개체 반사편(211a-1)을 다수개로 상호 연결하여 도4a의 (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면상의 상단에서 하단방향으로 1~89°로 절곡하여 직경이 점차로 확대되는 형상으로 형성한다.
제2반사부(211b)는 도4b의 (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아노다이징 알루미늄판을 펼친 전개도상에서 수직 기준선(0°)(3)과 일치되도록 다수개의 절곡선(2)을 형성하고, 그 수직 기준선(0°)(3)에 형성된 절곡선(2)을 도4b의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면상에서 하향방향으로 1~ 89°로 절곡하여 개체 반사편(211b-1)을 형성하고, 그 개체 반사편(211b-1)을 다수개로 상호 연결하여 도4b의 (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면상의 상단에서 하단방향으로 1~89°로 절곡하여 직경이 점차로 확대되는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반사판(211)은, 도4c 및 도4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반사부(211a)는 절곡선이 일측방향으로 편향된 사선형으로 형성되고, 제2반사부(211b)는 절곡선이 일자형으로 형성되어 발광체로 부터 빛이 발생시 제1반사부(211a)에는 편향된 사선방향을 따라 와류식으로 반사되어 확산되고, 제2반사부(211b)에는 제1반사부에서 와류된 빛이 원형을 이루며 확산되는 반와류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5a의 (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반사부(212a)는 아노다이징 알루미늄판을 펼친 전개도상에서 수직 기준선(0°)(3)으로 부터 1~89°(±)로 기울어져 일측방향으로 편향된 사선형으로 절곡선(2)을 형성하고, 그 수직 기준선(0°)(3)에 편향된 사선형으로 형성된 절곡선(2)을 도5a의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면상에서 하향방향으로 1~ 89°로 절곡하여 개체 반사편(212a-1)을 형성하고, 그 개체 반사편(212a-1)을 다수개로 상호 연결하여 도5a의 (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면상의 상단에서 하단방향으로 1~89°로 절곡하여 직경이 점차로 확대되는 형상으로 형성한다.
제2반사부(212b)는 도 5b의 (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반사부(212a)는 아노다이징 알루미늄판을 펼친 전개도상에서 수직 기준선(0°)(3)으로 부터 1~89°(±)로 기울어져 일측방향으로 편향된 사선형으로 절곡선(2)을 형성하고, 그 수직 기준선(0°)(3)에 편향된 사선형으로 형성된 절곡선(2)을 도5b의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면상에서 하향방향으로 1~ 89°로 절곡하여 개체 반사편(212b-1)을 형성하고, 그 개체 반사편(212b-1)을 다수개로 상호 연결하여 도5b의 (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면상의 상단에서 하단방향으로 1~89°로 절곡하여 직경이 점차로 확대되는 형상으로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반사판(212)은, 도5c 및 도5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반사부(212a)는 절곡선이 일측방향으로 편향된 사선형으로 형성되고, 제2반사부(212b)도 절곡선이 일측방향으로 편향된 사선형으로 형성되어 발광체로부터 빛이 발생시 제1반사부(212a)에는 와류식으로 반사되어 확산되고, 제2반사부(212b)에는 제1반사부(212a)에서 와류된 빛이 다시 와류되어 확산되는 와류식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2반사부(210a, 211a, 212a)(210b, 211b, 212b)에 의해 형성되는 반사판(210, 211,212)은, 램프와 조사면의 거리에 따라 그 각도가 조절되며, 바람직하게로는 20m 이하에서 최대 조사범위를 확보하도록 그 각도가 조정된다.
이러한 각도조절은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부의 뒷통 일측에 형성된 90°로 회전할 수있는 각도판(450)과 벽면에 부착된 투광기 다리(400)를 통해 조절된다.
상기 컨넥터(120)에 연결되는 램프(300)는, 그 컨넥터(120)에 회전결합되도록 커버(310)의 일측에 소켓(370)이 접합되며, 상기 커버(310)의 내측에 제1,2전극(320a)(320b)이 돌출되어 이에 발광관(330a-1)에 형광체가 충진되는 발광체(330)가 분리 접속된다.
상기 발광체(330)는, 상기 제1,2전극(320a)(320b)에 형성된 지지편(340)을 통하여 상하단이 지지되며, 상기 제1,2전극(320a)(320b)에 연결되는 와이어(320a-1)(320b-1)로서 연결되고, 그 발광관(330a-1)의 하단부 일측에 열방지용 특수 커버(320)가 연결되며, 상기 제2전극(320b) 일측에 방열판(350)이 연결되고, 상기 지지편(340)의 일측에 통전을 방지하는 부도체(340a)가 개재되며, 상기 커버(310)의 내측에 전극(320a)의 일단을 지지하는 돌기(310a)가 돌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열방지용 특수커버(320)는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져 유리 및 철로 형성된 발광관(330a-1) 상하단부에 형성되어 발광관(330a-1)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이 지지편(340)을 통해 제1, 2전극(320a)(320b)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방열판(350)은 니켈, 동, 몰리브덴으로 이루어진 도입선과 철, 니켈로 이루어진 베이스에 발광관(330a-1)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열방지용 특수커버(320)와 방열판(350)을 통해서 발광관에서 발생된 열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램프를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좋은 효과가 있다.
또한, 발광체(330)는, 진공상태의 발광관(330a-1)의 내부에 수은이나, 헬륨가스등이 충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다음은 실시예를 통해 본 고안의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2에서와 같이, 프레임(100)은, 상단부의 뒷통(102)과 뒷통캡(101)이 착탈식으로 분리되도록 박스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뒷통 내측으로 전원공급용 케이블(110)이 인가된 컨넥터(120)가 나사 결합된다.
특히, 상단부의 뒷통(102)과 뒷통캡(101)은 종래의 일체형으로 형성된 주물구조를 개선하여 힌지결합구조 및 나사 결합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합선 및 과전류로 인해 전원 부속품이 고장난 경우, 그 고장부품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으므로 장시간 사용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100)의 전방으로 콘 형상의 전등갓(200)이 결합되어 그 내측에 설치되는 반사판(210)의 손상을 방지토록 한다.
여기서 반사판(210)은, 베이스(210c)와 그 단부에 각도가 점차로 확대되는 형상인 제1,2반사부(210a, 211a, 212a)(210b, 211b, 212b)가 순차로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즉, 도 3c 및 3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면상에서 하향방향으로 1~ 89°로 절곡되어 일정길이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절곡선(2)은 펼친 전개도에서 수직으로 기준선(0°)(3)과 일치되도록 형성된 제1반사부(210a)가, 상단에서 하단으로 1~89°로 확대되는 폭을 갖는 테이퍼상인 하나 이상의 개체 반사편(210a-1)으로 상호 연결되어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직경이 점차로 확대되는 반사갓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제1반사부(210a)의 반사갓 하단부에는 수평면상에서 하향방향으로 1~89°로 절곡되어 일정길이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절곡선(2)은 펼친 전개도에서 수직으로 기준선(0°)(3)과 일치되도록 형성된 제2반사부(210b)가, 상단에서 하단으로 1~89°로 확대되는 폭을 갖는 테이퍼상인 하나 이상의 개체 반사편(210a-1)이 상호 연결되어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직경이 점차로 확대되는 반사갓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로 형성된 반사판은 아노다이징 알루미늄(Anodized aluminium)표면에 의하여, 발광체로 부터 빛이 발생될 경우,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원형식으로 반사되어 종래의 일반 램프(400W/R 기존등기구) 및 고효율 램프(400W/BE 기존등기구)에 비해 다음과 같은 결과값을 얻을 수가 있었다.
<실험결과값1> 본 고안에 따른 원형식 반사각을 갖는 고효율 램프
종별항목 일반 램프(400W/R )기존등기구 고효율 램프(400W/BE )기존등기구 원형식 반사각을 갖는 고효율 램프(400W/BE)
전광속(lm) 34000 37470 37470
소비전력(W) 425 425 425
측정반사효율(%) 73.6 72.4 88
비율 직하조도(lx)측정결과 2m 10107 13013(0.267m) 20474(0.918m)
4m 2527 3253(0.535m) 5119(1.835m)
6m 1123 1446(0.802m) 2275(2.753m)
8m 632 813(1.070m) 1280(3.670m)
10m 404 521(1.337m) 819(4.588m)
12m 280 361(1.605m) 569(5.505m)
효율(12m기준)(lx/W) 0.7 0.9 1.42
비율(對 기존등기구) 1 1.29 2.03
이처럼 실험결과값1의 반사판의 높이에 따른 직하조도(lx) 및 광속폭(Beam Width)는 도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형도(a) 및 광도분포도(b)로 도시할 수가 있다.
도형도(a)에서 살펴보듯이, 지면에 도달되는 최대 조사범위(12m)에 따른 직하조도 및 광속폭을 살펴보면, 일반 램프(기존등기구)는 직하조도가 280lx이고, 고효율 램프(기존등기구)는 직하조도가 361lx이고, 광속폭이 1.605m인데 비해, 본 고안에 따른 원형식 반사각을 갖는 고효율 램프는 직하조도가 569lx이고, 광속폭이 5.505m로 효율이 1.42인 것을 알수가 있다.
그리고, 광도분포도(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도가 반사판의 상단부에서는 넓게 확산되면서 분포되고, 하단부로 내려올수록 완만하게 직하조도(lx)가 낮아지고, 광속폭(Beam Width)이 넓어지므로 중앙부가 볼록한 형상의 광도가 분포되는 것을 알 수가 있다.
또한, 도 4c 및 도4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면상에서 하향방향으로 1~ 89°로 절곡되어 일정길이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절곡선(2)은 펼친 전개도에서 기준선(0°)(3)으로 부터 10~50°(±)로 기울어져 일측방향으로 편향된 사선형으로 형성된 제1반사부(211a)가 상단에서 하단으로 1~89°로 확대되는 폭을 갖는 테이퍼상인 하나 이상의 개체 반사편(211a-1)으로 상호 연결되어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직경이 점차로 확대되는 반사갓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제1반사부(211a)의 반사갓 하단부에는 수평면상에서 하향방향으로 1~89°로 절곡되어 연일정길이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절곡선(2)은 펼친 전개도에서 수직으로 기준선(0°)(3)과 일치되도록 형성된 제2반사부(211b)가, 상단에서 하단으로 1~89°로 확대되는 폭을 갖는 테이퍼상인 하나 이상의 개체 반사편(211b-1)이 상호 연결되어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직경이 점차로 확대되는 반사갓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로 형성된 반사판은 아노다이징 알루미늄(Anodized aluminium)표면과 맞물려서, 도4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빛 확산이 반와류식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 5c 및 5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면상에서 하향방향으로 1~ 89°로 절곡되어 일정길이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절곡선(2)은 펼친 전개도에서 기준선(0°)(3)으로 부터 10~50°(±)로 기울어져 일측방향으로 편향된 사선형으로 형성된 제1반사부(212a)가, 상단에서 하단으로 1~89°로 확대되는 폭을 갖는 테이퍼상인 하나 이상의 개체 반사편(212a-1)으로 상호 연결되어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직경이 점차로 확대되는 반사갓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제1반사부(212a)의 반사갓 하단부에는 수평면상에서 하향방향으로 1~89°로 절곡되어 일정길이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절곡선(2)은 펼친 전개도에서 기준선(0°)(3)으로 부터 10~50°(±)로 기울어져 일측방향으로 편향된 사선형으로 형성된 제2반사부(212b)가, 상단에서 하단으로 1~89°로 확대되는 폭을 갖는 테이퍼상인 하나 이상의 개체 반사편(212a-1)이 상호 연결되어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직경이 점차로 확대되는 반사갓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로 형성된 반사판은 아노다이징 알루미늄(Anodized aluminium)표면과 맞물려서, 빛 확산이 와류식으로 다반사되어 다음과 같은 실험결과값을 얻을 수가 있다.
※ 참고로, 이러한 와류식의 실험결과값은 반와류식에서도 유사하게 나오므로, 본 고안에서는 와류식의 실험결과값만 기술한다.
<실험결과값2> 본 고안에 따른 와류형 반사판을 갖는 고효율 램프
전광속(lm) 소비전력(w) 측정반사효율(%) 직하조도(lx) 측정결과 효율(12m 기준)(lx/w) 비율(對기존등기구=1)
2m 4m 6m 8m 10m 12m
37470 425 91.3 24284(0.833m) 6071(1.665m) 2689(2.498m) 1518(3.330m) 971(4.163m) 675(4.996m) 1.7 2.43
그리고, 이와 같은 실험결과값2의 반사판의 높이에 따른 직하조도(lx) 및 광속폭(Beam Width)를 도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형도(a) 및 광도분포도(b)로 도시하였다.
도형도(a)에서 살펴보듯이, 지면에 도달되는 최대 조사범위(12m)에 따른 직하조도 및 광속폭을 살펴보면, 일반 램프(기존등기구)는 직하조도가 280lx이고, 고효율 램프(기존등기구)는 직하조도가 361lx이고, 광속폭이 1.605m인데 비해, 본 고안에 따른 와류형 반사각을 갖는 고효율 램프는 직하조도가 675lx이고, 광속폭이 4.996m로 효율이 1.7인 것을 알수가 있다.
그리고, 광도분포도(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도가 반사판의 상단부에서는 넓게 확산되면서 분포되고, 하단부로 내려올수록 완만하게 직하조도(lx)가 낮아지고, 광속폭(Beam Width)이 넓어지므로 전체적으로 볼록한 형상의 광도가 분포되는 것을 알 수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와류형 및 반와류형 반사판을 갖는 고효율 램프는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반사부(211a,212a) 및 제2반사부(211b,212b)의 형상이 일측으로 편향된 사선형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발광체로부터 빛이 발생될 경우, 그 빛이 사선형의 절곡선 표면에 닿은 뒤 와류식으로 반사되어 램프의 유리구로 그대로 재반사되지 않고,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직경이 점차로 확대되는 와류형상으로 형성되므로, 빛의 발생으로 인해 뜨거워진 램프에 또다시 빛이 재반사되지 않으므로 램프의 수명이 길어지는 좋은 효과가 있다.
상기 컨넥터(120)에 연결되는 램프(300)는, 그 컨넥터(120)에 회전결합되도록 커버(310)의 일측에 소켓(370)이 접합되며, 상기 커버(310)의 내측에 제1,2전극(320a)(320b)이 돌출되어 이에 발광관(330a-1)에 형광체가 충진되는 발광체(330)가 분리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발광체(330)는, 상기 제1,2전극(320a)(320b)에 형성된 지지편(340)을 통하여 상하단이 지지되며, 상기 제1,2전극(320a)(320b)에 연결되는 와이어(320a-1)(320b-1)로서 연결되고, 그 발광관(330a-1)의 하단부 일측에 열방지용 특수 커버(320)가 연결되며, 상기 제2전극(320b) 일측에 방열판(350)이 연결되고, 상기 지지편(340)의 일측에 통전을 방지하는 부도체(340a)가 개재되며, 상기 커버(310)의 내측에 전극(320a)의 일단을 지지하는 돌기(310a)가 돌출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조명기구는 도3e, 도4e, 도5e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부의 프레임(100)에 전원연결 케이블과 소켓(102-1)으로 이루어진 주물링이 나사결합되고, 그 주물링 하단에 전등갓의 커버가 결합되고, 그 전등갓의 커버 하단에 제1반사부(210a, 211a, 212a), 제2반사부(210b, 211b, 212b), 베이스(210c)가 결합되며, 그 하단에 램프(300)가 결합된다.
또다른 실시예로, 본 고안에 따른 조명기구는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부의 프레임(100)에 전원연결 케이블과 소켓(102-1)으로 이루어진 주물링이 나사결합되고, 그 주물링 하단에 전등갓의 커버가 결합되고, 그 전등갓의 커버 하단에 제1반사부(210a, 211a, 212a)로만 이루어지고, 그 제1반사부(211a, 212a)에 베이스(210c)가 결합되며, 그 하단에 램프(300)가 결합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램프 및 등기구를 장시간 사용할 수 있고, 발열량을 감소시키며, 램프에 의해 반사되는 빛의 반사율을 최적화 하여 조도를 더욱 향상시키고, 개체의 반사편을 상호 연결하는 구성으로 반사판의 조립이 간편하게 이루어 지며, 커버와 발광체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램프에 의해 단락을 방지하여 램프의 수명을 향상시키고, 분할되는 개체 반사판을 교환하는 구성으로 일체형의 반사판 전체를 교환하여야 하는 불 필요한 낭비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조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명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3a는 본 고안에 따른 조명기구의 구성요소인 반사판의 제1반사부(210a)의 제작과정을 도시한 설명도,
도3b는 본 고안에 따른 조명기구의 구성요소인 반사판의 제2반사부(210b)의 제작과정을 도시한 설명도,
도3c는 본 고안에 따른 조명기구의 구성요소인 제1반사부(210a)와 제2반사부(210b)로 구성된 반사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3d는 본 고안에 따른 조명기구의 구성요소인 제1반사부(210a)와 제2반사부(210b)로 구성된 반사판을 도시한 내부도,
도3e는 본 고안에 따른 제1반사부(210a)와 제2반사부(210b)로 구성된 반사판과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4a는 본 고안에 따른 조명기구의 구성요소인 반사판의 제1반사부(211a)의 제작과정을 도시한 설명도,
도4b는 본 고안에 따른 조명기구의 구성요소인 반사판의 제2반사부(211b)의 제작과정을 도시한 설명도,
도4c는 본 고안에 따른 조명기구의 구성요소인 제1반사부(211a)와 제2반사부(211b)로 구성된 반사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4d는 본 고안에 따른 조명기구의 구성요소인 제1반사부(211a)와 제2반사부(211b)로 구성된 반사판을 도시한 내부도,
도4e는 본 고안에 따른 제1반사부(211a)와 제2반사부(211b)로 구성된 반사판과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5a는 본 고안에 따른 조명기구의 구성요소인 반사판의 제1반사부(212a)의 제작과정을 도시한 설명도,
도5b는 본 고안에 따른 조명기구의 구성요소인 반사판의 제2반사부(212b)의 제작과정을 도시한 설명도,
도5c는 본 고안에 따른 조명기구의 구성요소인 제1반사부(212a)와 제2반사부(212b)로 구성된 반사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5d는 본 고안에 따른 조명기구의 구성요소인 제1반사부(212a)와 제2반사부(212b)로 구성된 반사판을 도시한 내부도,
도5e는 본 고안에 따른 제1반사부(212a)와 제2반사부(212b)로 구성된 반사판과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조명기구의 구성요소인 반사판의 재질인 PVD 코팅된 아노다이징 알루미늄의 구조를 도시한 설명도,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조명기구의 램프를 도시한 사시도,
도8은 본 고안에 따른 제1반사판만을 이용하여 설계한 조명기구를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9는 본 고안에 따른 와류형 반사판을 이용한 빛 반사각도를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10은 본 고안에 따른 원형식 반사각을 갖는 일자형 반사판의 높이에 따른 직하조도(lx) 및 광속폭(Beam Width)를 나타낸 도형도 및 광도분포도를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11은 본 고안에 따른 와류형 반사판의 높이에 따른 직하조도(lx) 및 광속폭(Beam Width)를 나타낸 도형도 및 광도분포도를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프레임 120...컨넥터
200...전등갓 210...반사판
300...램프 310...커버
330...발광체

Claims (5)

  1. 상단부의 뒷통(102)과 뒷통캡(101)이 착탈식으로 분리되도록 박스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뒷통 내측으로 전원공급용 케이블(110)이 인가된 컨넥터(120)가 형성된 프레임(100)과;
    그 프레임(100)의 전방에 결합되며, 커버(220) 내측에 아노다이징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제1,2반사부(210a, 211a, 212a)(210b, 211b, 212b)가 결합되어 반사판(210,211,212)이 형성되고, 그 반사판(210,211,212)이 램프의 직하조도 20m 이하에서 최대 조사범위를 확보하도록 설치되는 전등갓(200);및,
    상기 컨넥터(120)에 회전결합되는 소켓(370)이 발광체(330)가 내장되는 커버(310)의 일측에 연결되며, 그 발광체를 지지하면서 전원을 공급토록 커버(310)의 내측에 제1,2전극(320a)(320b)이 돌출설치되는 램프(30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반사판(210)은, 아노다이징 알루미늄판을 펼친 전개도상에서 수직 기준선(0°)(3)과 일치되도록 다수개의 절곡선(2)이 형성되고, 그 수직 기준선(0°)(3)에 형성된 절곡선(2)을 수평면상에서 하향방향으로 1~ 89°로 절곡하여 개체 반사편(210a-1)이 형성되며, 그 개체 반사편(210a-1)을 다수개로 상호 연결하여 수평면상의 상단에서 하단방향으로 1~89°로 절곡하여 직경이 점차로 확대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1반사부(210a)가 연결되고,
    그 제1반사부(210a)의 하단부에는 아노다이징 알루미늄판을 펼친 전개도상에서 수직 기준선(0°)(3)과 일치되도록 다수개의 절곡선(2)이 형성되고, 그 수직 기준선(0°)(3)에 형성된 절곡선(2)을 수평면상에서 하향방향으로 1~ 89°로 절곡하여 개체 반사편(210b-1)이 형성되고, 그 개체 반사편(210b-1)을 다수개로 상호 연결하여 수평면상의 상단에서 하단방향으로 1~89°로 절곡하여 직경이 점차로 확대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2반사부(210b)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반사판(211)은, 아노다이징 알루미늄판을 펼친 전개도상에서 수직 기준선(0°)(3)으로 부터 1~89°(±)로 기울어져 일측방향으로 편향된 사선형으로 절곡선(2)을 형성하고, 그 수직 기준선(0°)(3)에 편향된 사선형으로 형성된 절곡선(2)을 수평면상(1)에서 하향방향으로 1~ 89°로 절곡하여 개체 반사편(211a-1)을 형성하고, 그 개체 반사편(211a-1)을 다수개로 상호 연결하여 수평면상의 상단에서 하단방향으로 1~89°로 절곡하여 직경이 점차로 확대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1반사부(211a)가 연결되고,
    그 제1반사부(211a)의 하단부에는 아노다이징 알루미늄판을 펼친 전개도상에서 수직 기준선(0°)(3)과 일치되도록 다수개의 절곡선(2)을 형성하고, 그 수직 기준선(0°)(3)에 형성된 절곡선(2)을 수평면상에서 하향방향으로 1~ 89°로 절곡하여 개체 반사편(211b-1)을 형성하고, 그 개체 반사편(211b-1)을 다수개로 상호 연결하여 수평면상의 상단에서 하단방향으로 1~89°로 절곡하여 직경이 점차로 확대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2반사부(211b)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반사판(212)은, 아노다이징 알루미늄판을 펼친 전개도상에서 수직 기준선(0°)(3)으로 부터 1~89°(±)로 기울어져 일측방향으로 편향된 사선형(2)으로 절곡선(2)이 형성되고, 그 수직 기준선(0°)(3)에 편향된 사선형으로 형성된 절곡선(2)을 수평면상(1)에서 하향방향으로 1~ 89°로 절곡된 개체 반사편(212a-1)이 형성되고, 그 개체 반사편(212a-1)이 다수개로 상호 연결되어 수평면상의 상단에서 하단방향으로 1~89°로 절곡하여 직경이 점차로 확대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1반사부(212a)가 연결되고,
    그 제1반사부(212a)의 하단부에는 아노다이징 알루미늄판을 펼친 전개도상에서 수직 기준선(0°)(3)으로 부터 1~89°(±)로 기울어져 일측방향으로 편향된 사선형으로 절곡선(2)이 형성되고, 그 수직 기준선(0°)(3)에 편향된 사선형으로 형성된 절곡선(2)을 수평면상에서 하향방향으로 1~ 89°로 절곡된 개체 반사편(212b-1)이 형성되고, 그 개체 반사편(212b-1)을 다수개로 상호 연결하여 수평면상의 상단에서 하단방향으로 1~89°로 절곡하여 직경이 점차로 확대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2반사부(212b)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체(330)는 제1,2전극(320a)(320b)에 형성된 지지편(340)을 통하여 상하단이 지지되며, 그 제1,2전극(320a)(320b)에 연결되는 와이어(320a-1)(320b-1)로서 연결되고, 발광관(330a-1)의 하단부 일측에 열방지용 특수 커버(320)가 연결되며, 제2전극(320b) 일측에 방열판(350)이 연결되고, 지지편(340)의 일측에 통전을 방지하는 부도체(340a)가 개재되며, 커버(310)의 내측에 전극(320a)의 일단을 지지하는 돌기(310a)가 돌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KR20-2004-0036910U 2004-12-27 2004-12-27 조명기구 KR2003783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910U KR200378387Y1 (ko) 2004-12-27 2004-12-27 조명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910U KR200378387Y1 (ko) 2004-12-27 2004-12-27 조명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9824A Division KR100552622B1 (ko) 2004-12-21 2004-12-21 조명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8387Y1 true KR200378387Y1 (ko) 2005-03-16

Family

ID=43680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6910U KR200378387Y1 (ko) 2004-12-27 2004-12-27 조명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838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703B1 (ko) 2008-01-31 2008-07-11 구광석 고반사율 전등갓
KR102457865B1 (ko) * 2022-06-29 2022-10-21 김시정 반사판을 구비한 집어등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703B1 (ko) 2008-01-31 2008-07-11 구광석 고반사율 전등갓
KR102457865B1 (ko) * 2022-06-29 2022-10-21 김시정 반사판을 구비한 집어등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2622B1 (ko) 조명기구
US8931929B2 (en) Light emitting diode primary optic for beam shaping
CN101405539A (zh) 用于聚光照明的高强度放电灯
KR100715487B1 (ko) 엘이디를 이용한 조명등
EP0643258B1 (en) Luminaire
KR101240908B1 (ko) 엘이디 조명장치
KR200378387Y1 (ko) 조명기구
JP6094618B2 (ja) ランプ
KR20080065951A (ko) 반사면 확대로 반사효율이 개선된 형광등 기구
CN201827837U (zh) 新型光带支架
US7748871B2 (en) Lighting apparatus
KR101340679B1 (ko) 유도 매트릭스 반사면 구조의 고광도 방전 램프용 등기구 반사 갓
CN204005408U (zh) 新型照明装置
CN102080792A (zh) 反射式led天幕灯
KR20110093590A (ko) 엘이디조명장치
KR101167043B1 (ko) 다중 리플렉터를 구비한 엘이디 전구
KR200408790Y1 (ko) 반사판
KR101569016B1 (ko) 등기구
KR101049831B1 (ko) 엘이디조명장치
KR200319674Y1 (ko) 조명기구
CN111810874B (zh) 一种户外投射灯
JP3175727U (ja) Ledランプホルダー
JP3156929U (ja) Led照明器具
KR200421975Y1 (ko) 조명등의 반사판
CN202327735U (zh) 一种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EXTG Extinguishment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