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8209Y1 - 합성수지재 양면창틀 - Google Patents

합성수지재 양면창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8209Y1
KR200378209Y1 KR20-2004-0035022U KR20040035022U KR200378209Y1 KR 200378209 Y1 KR200378209 Y1 KR 200378209Y1 KR 20040035022 U KR20040035022 U KR 20040035022U KR 200378209 Y1 KR200378209 Y1 KR 2003782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window frame
frame
doubl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50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성만
김성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20-2004-00350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82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82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82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06Single frames
    • E06B3/08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 E06B3/20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of plastics
    • E06B3/22Hollow frames
    • E06B3/221Hollow frames with the frame member having local reinforcements in some parts of its cross-section or with a filled cavity
    • E06B3/222Hollow frames with the frame member having local reinforcements in some parts of its cross-section or with a filled cavity with internal prefabricated reinforcing section members inserted after manufacturing of the hollow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436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involving holes or indentations in the p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레일(14)과 물막이턱(13)이 중공부(H)와 일체로 압출 성형된 합성수지재(PVC) 창틀에 있어서, 상기 레일(14)과 물막이턱(13)이 상기 중공부(H)를 사이에 두고 대칭으로 일체 압출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재 양면창틀(3)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양면창틀을 사용하게 되면, 연창을 슬림하게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부가적으로 별도의 고정창용 창틀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시공성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합성수지재 양면창틀{PVC double side window frames}
본 고안은 합성수지재(PVC) 창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공부를 중심으로 물막이턱과 레일이 대칭으로 형성되어 고정창과 고정창, 고정창과 미서기창, 미서기창과 미서기창을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한 합성수지재 창틀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연창을 나타낸 입면도로서, 고정창(100)과 미서기창(200)을 함께 시공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연창은 도 2, 도 3,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창(100)에는 고정창용 창틀(101)을 사용하고, 미서기창(200)에는 미서기창용 창틀(201)을 사용하며, 고정창(100)과 미서기창(200) 사이는 창틀연결부재(300)로 연결하고, 미서기창(200)과 미서기창(200) 사이는 강도보강용 공틀(400)로서 연결한다.
종래 고정창용 창틀(101)은 금속보강재(S)가 삽입된 중공부(H)의 일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유리고정용 도출부(104)와 상기 돌출부(104)로부터 떨어져 형성된 유리고정테 삽입홈(103)에 끼워지는 유리고정테(102) 사이에 유리를 고정시키는 구조이며, 종래 미서기창용 창틀(201)은 금속보강재(S)가 삽입된 중공부(H)의 일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레일(203)과 물막이턱(202)이 형성되어 상기 레일(203)에 창짝(204)이 끼워지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각 창(100)(200)의 연결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별도의 창틀연결부재(300) 및 강도보강용 공틀(400)을 이용하여 연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각 창(100)(200)의 연결부에는 고정창용 창틀(101)과 미서기창용 창틀(201)이나, 두개의 미서기창용 창틀(201)과 같이 2개의 창틀이 창틀연결부재(300)나 강도보강용 공틀(400)을 개재하여 설치되므로 연결부가 두꺼워 입면이 투박해 보이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입면이 슬림한 연창을 형성할 수 있는 합성수지재 양면창틀을 제공하는데 .
상기의 목적은 레일과 물막이턱이 중공부와 일체로 압출 성형된 합성수지재 창틀에 있어서, 상기 레일과 물막이턱이 상기 중공부를 사이에 두고 대칭으로 일체로 압출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재 양면창틀을 제공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합성수지재 양면창틀은 레일과 물막이턱이 중공부와 일체로 압출 성형된 합성수지재 창틀에 있어서, 상기 레일과 물막이턱이 상기 중공부를 사이에 두고 대칭으로 일체로 압출성형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물막이턱에는 유리고정테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중공부에는 금속재의 보강재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도면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으나, 이들 특정 상세들은 본 고안의 설명을 위해 예시한 것으로 본 고안이 그들에 한정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재 창틀을 적용한 연창의 입면도로서, 상측으로 2개의 고정창(1)이 설치되고 하측으로 2개의 미서기창(2)이 설치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재 양면창틀(3)은 상기 고정창(1)과 미서기창(2)의 사이, 상기 고정창(1)과 고정창(1) 사이, 상기 미서기창(2)과 미서기창(2) 사이에 적용되는 중간틀을 말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양면창틀(3)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보강재(S)가 삽입되는 중공부(H)를 중심으로 하여 상하 또는 좌우 대칭으로 물막이턱(13)과 레일(14)을 대칭으로 일체성형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8에서 보아 상하면에 좌측으로부터 2개의 레일(14)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우측단에는 물막이턱(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물막이턱(13)에는 고정창(1)을 설치할 때 사용하는 유리고정테 삽입홈(1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두 레일(14)의 대향면에는 레일(14)을 사용하지 않거나, 고정창(1)을 설치할 경우 상기 레일(14)을 보호하거나 가리는 레일커버(12)을 결합시키기 위한 걸림턱(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24)은 상기 레일커버(12)의 걸림쇠(19)와 결합하여 레일커버(12)를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레일커버(12)에는 가스켓삽입홈(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스켓삽입홈(15)은 유리고정테(16)에 형성된 가스켓삽입홈(15')과 함께 고정창(1)의 유리와 밀착되는 가스켓이 삽입된다.
도 6은 도 5의 선 A-A'를 따라 자른 단면도로서, 상측에는 고정창(1)이 설치되고 하측으로는 미서기창(2)이 설치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고정창(1)은 외면창틀(11)과 양면창틀(3)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외면창틀(11)은 양면창틀(3)과 그 좌우폭이 동일하며, 물막이턱(13) 및 레일(14)의 배열도 동일하게 구성한 것을 사용하였다.
먼저, 고정창(1)의 설치구조를 살펴보면 외면창틀(11) 및 상기 외면창틀(11)과 마주하는 양면창틀(3)의 레일(14)에는 레일커버(12)가 덮혀있으며, 유리가 상기 외면창틀(11)과 양면창틀(3)의 레일(14) 및 물막이턱(14) 사이에 유리고정테(16)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즉, 상측의 고정창(1)을 설치함에 있어 별도의 중간틀에 별도의 고정창용 외면창틀을 설치할 필요없이 양면창틀(3)의 일측을 고정창용 창틀로서 사용하는 것이다.
다음, 하측의 미서기창(2)의 설치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양면창틀(3)의 하측을 미서기창용 창틀로서 사용하고, 상기 양면창틀(3)과 마주하는 하측으로 미서기창용 외면창틀이 설치된 것이다. 상기 양면창틀(3)의 물막이턱(13)과 외면창틀(11)의 물막이턱(13)에 형성된 유리고정테 삽입홈(17)에는 각각 유리고정테 삽입홈커버(18)가 삽입되어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도 7은 도 5의 선 B-B'를 따라 자른 단면도로서, 도면에서 보아 좌측단과 우측단에는 외면창틀(11)이 설치되며, 중간에는 양면창틀(3)이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외면창틀(11)의 설치구조는 공히 상기 물막이턱(13)의 유리고정테 삽입홈(17)에 유리고정테 삽입홈커버(18)가 설치된 구조를 하고 있으며, 중간의 양면창틀(3)에서도 물막이턱(13)의 유리고정테 삽입홈(17)에 유리고정테 삽입홈커버(18)가 설치된 구조를 하고 있다.
상기 양면창틀(3)의 실외측으로는 강도보강용 공틀(5)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51)를 이용하여 체결되어 상기 양면창틀(3)의 강도를 높이도록 하고 있다. 상기 강도보강용 공틀(5)에도 창틀(3)(1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금속보강재(S)가 중공부(H)에 삽입되어 강도를 높이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양면창틀을 사용하게 되면, 연창을 슬림하게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부가적으로 별도의 고정창용 창틀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시공성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연창(連窓)나타낸 입면도
도 2는 도 1의 선 A-A'를 따라 자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선 B-B'를 따라 자른 단면도
도 4는 종래 중간틀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재 양면창틀을 적용한 연창의 입면도
도 6은 도 5의 선 A-A'를 따라 자른 단면도
도 7은 도 5의 선 B-B'를 따라 자른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재 양면창틀을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재 양면창틀에 강도보강용 공틀을 결합한 것을 타나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고정창 2: 미서기창 3: 양면창틀
5: 강도보강용 공틀 11: 외면창틀 12: 레일커버
13: 물막이턱 14: 레일 15,16: 가스켓삽입홈
18: 유리고정테 삽입홈 커버 17: 유리고정테 삽입홈
19: 걸림쇠 21: 창짝 24: 걸림턱
51: 나사 H: 중공부 S:금속보강재

Claims (3)

  1. 레일(14)과 물막이턱(13)이 중공부(H)와 일체로 압출 성형된 합성수지재(PVC) 창틀에 있어서, 상기 레일(14)과 물막이턱(13)이 상기 중공부(H)를 사이에 두고 대칭으로 일체로 압출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재 양면창틀(3).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막이턱(13)에는 유리고정테 삽입홈(1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재 양면창틀(3).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H)에는 금속재의 보강재(S)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재 양면창틀(3).
KR20-2004-0035022U 2004-12-09 2004-12-09 합성수지재 양면창틀 KR2003782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022U KR200378209Y1 (ko) 2004-12-09 2004-12-09 합성수지재 양면창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022U KR200378209Y1 (ko) 2004-12-09 2004-12-09 합성수지재 양면창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8209Y1 true KR200378209Y1 (ko) 2005-03-10

Family

ID=43679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5022U KR200378209Y1 (ko) 2004-12-09 2004-12-09 합성수지재 양면창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820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378B1 (ko) 2006-02-16 2007-09-14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층용 창호
KR101563227B1 (ko) 2014-11-11 2015-11-06 (주)한별산업개발 알루미늄 연창의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378B1 (ko) 2006-02-16 2007-09-14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층용 창호
KR101563227B1 (ko) 2014-11-11 2015-11-06 (주)한별산업개발 알루미늄 연창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2815B1 (ko) 유리창 고정막대 고정구조의 스테인리스 단열창호 프레임
KR101060553B1 (ko) 유리창호의 커튼 월 구조
KR101092718B1 (ko) 자동 유리 닦는 미서기창
KR101531963B1 (ko) 창호의 미들프레임 결합구조
KR200378209Y1 (ko) 합성수지재 양면창틀
ES2345468T3 (es) Bastidor de puerta o ventana corredera que incluye un travesaño elevado de batiente oculto de tipo monobloque.
KR200386973Y1 (ko) 창짝용 유리고정테의 고정구조
KR20210033879A (ko) 합성 수지 재질의 프레임을 금속 재질의 프레임으로 커버하여 단열성과 내구성을 모두 확보한 창문
KR20110072227A (ko) 유리창의 창호 구조
KR101436609B1 (ko) 창호 시스템
KR101955076B1 (ko) 창호용 방풍부재
KR101872968B1 (ko) 창호 프레임 구조
EP2218863A1 (en) Arrangement for sealing and draining the overlapping area of lifting and sliding wings
KR102112223B1 (ko) 슬림형 여닫이창
KR101086370B1 (ko) 소음 차단구조를 구비한 이중창호
KR102105357B1 (ko) 단열 창호
KR200345035Y1 (ko) 슬라이딩 창호의 기밀 유지용 피스
KR20170055191A (ko) 미서기창 창틀프레임에 형성된 배수구멍의 차폐구조
FI127943B (en) Fastening system and method for mounting a blind on a transparent sheet
US20200173224A1 (en) Cover assembly for windows
KR102604707B1 (ko) 지붕시트 고정프레임
KR101903795B1 (ko) 슬림형 창짝을 갖는 창호
KR200279148Y1 (ko) 완충고무테와 겸용되는 강화유리문용 방풍부러시
KR200313637Y1 (ko) 렉산시트 지지용 프레임
KR200258012Y1 (ko) 빗물 비산 방지용 중간 창짝용 중간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