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8179Y1 - Device for connecting high strength concrete piles - Google Patents

Device for connecting high strength concrete pi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8179Y1
KR200378179Y1 KR20-2004-0034764U KR20040034764U KR200378179Y1 KR 200378179 Y1 KR200378179 Y1 KR 200378179Y1 KR 20040034764 U KR20040034764 U KR 20040034764U KR 200378179 Y1 KR200378179 Y1 KR 2003781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pile
strength concrete
work
body portion
high str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476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종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밭
Priority to KR20-2004-00347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817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81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8179Y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30Prefabricated piles made of concrete or reinforced concrete or made of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반 보강공사 시에 지반에 타공되는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측 및 하측 개구부의 테두리에 안쪽으로 경사면(111)(112)이 형성된 실린더 형상의 몸체부(110)와; 중앙에 관통된 홀(121)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110) 중앙 내측에 수평하게 일체로 고정되는 지지부(120)로 구성되어,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을 몸체부에 끼워 조립하는 작업만으로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의 이음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작업이 용이하며 작업 공수를 최소화하여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고안인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strength concrete pile connecting device for connecting the high-strength concrete piles perforated on the ground at the time of reinforcement work, cylinder shape formed inclined surfaces (111, 112) inward on the edge of the upper and lower openings Body portion 110 and; The through hole 121 is formed in the center, the body portion 110 is composed of a support portion 120 which is fixed horizontally integrally inside the center, the high-strength concrete pile only by assembling the high-strength concrete pile into the body portion Because the work is made of the joint is easy to work and is designed to increase the work efficiency by minimizing the number of work.

Description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용 연결장치{Device for connecting high strength concrete piles}Device for connecting high strength concrete piles

본 고안은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반 보강공사 시에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들의 이음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on device for high strength concrete pil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nection device that can easily perform the joint work of high strength concrete piles in the ground reinforcement work.

건축물의 시공 시에 지반 보강을 위하여 일정 깊이로 파일을 박게 되며, 재료에 따라 강관 또는 고강도 콘크리트가 이용된다.During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piles are piled to a certain depth to reinforce the ground, and steel pipe or high-strength concrete is used depending on the material.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은 내측에 스트레스가 인가된 강선을 삽입한 후에 고강도 콘크리트를 틀에 넣고 돌려 제작하여 강도를 높인 파일이다. High-strength concrete pile is a pile with high strength by inserting a steel wire with stress applied to the inside and then putting high-strength concrete into a mold and turning it.

이와 같이 제작된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은 건축물의 규모나 지반의 상태에 따라서 그 파일을 일정 깊이 이상 박게 되며 이때, 필요한 경우에는 하나 이상의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을 서로 연결하여 시공한다.The high-strength concrete piles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are piled more than a certain depth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building or the condition of the ground. If necessary, at least one high-strength concrete pile is connected to each other.

일반적으로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들을 서로 연결하여 시공하기 위해서는 이음하고자 하는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의 각 단부에 금속 재질의 조인트 캡(이하 연결장치라 함)을 씌운 후에 조인트 캡을 용접함으로써 콘트리트 파일의 이음 시공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In general, in order to connect high-strength concrete piles together, the joint pile is welded by putting a metal joint cap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onnecting device) on each end of the high-strength concrete pile to be joined, and then the joint pile is welded. ought.

도 1은 종래의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용 연결장치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종래의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용 연결장치(10)는 원통 형상의 금속 몸체부(11)의 하단 중앙에 홀(13)이 형성된 원지지판(12)이 일체로 구성된다.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high strength concrete pile connecting device, a conventional high strength concrete pile connecting device 10 is a circle formed with a hole 13 in the bottom center of the cylindrical metal body portion 11 The support plate 12 is comprised integrally.

종래의 연결장치(10)는 다른 연결장치와 용접하여 연결이 가능하도록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The conventional connecting device 1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to be connected by welding with other connecting devices.

이러한 연결장치는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의 하단에 고정되며, 먼저 지반에 타공된 다른 콘크리트 파일의 연결장치와 조립된 후에 두 연결장치를 용접함으로써 이음 작업이 종료된다.This connecting device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high-strength concrete pile, and the joint is finished by welding the two connecting apparatus after assembling the connecting device of other concrete piles perforated on the ground.

도 2 및 도 3은 종래의 연결장치의 이음 공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2 and 3 are views showing a joint process of a conventional connecting device.

도 2를 참고하면, 지반(G)에 타공된 제1콘크리트 파일(20)은 상단 일부가 노출된 상태에서 제1연결장치(21)를 제1콘크리트 파일(20)의 상단에 끼워 고정한다.Referring to FIG. 2, the first concrete pile 20 perforated on the ground G is fixed by inserting the first connection device 21 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concrete pile 20 in a state where a portion of the upper end is exposed.

다음으로, 제2콘크리트 파일(30)의 하단에는 제2연결장치(31)를 끼워 고정한 후에 제2콘크리트 파일(30)을 들어 올려서 제1연결장치(21)와 제2연결장치(31)를 끼워 조립한다.Next, after fixing the second connecting device 31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concrete pile 30, the second concrete pile 30 is lifted up to connect the first connecting device 21 and the second connecting device 31. Assemble it.

다음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장치(21)와 제2연결장치(31)의 이음부위를 용접(W)하여 제1콘크리트 파일(20)과 제2콘크리트 파일(30)을 연결한다.3, the first concrete pile 20 and the second concrete pile 30 are welded by welding the joint portions of the first connecting device 21 and the second connecting device 31 to each other. Connect.

제1콘크리트 파일과 제2콘크리트 파일의 연결 작업이 끝난 후에는 계속 타공 작업을 하여 목적하는 깊이까지 콘크리트 파일을 박게 된다.After the connection work between the first concrete file and the second concrete file is finished, the perforation work is continued to drive the concrete file to the desired depth.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용 연결장치는 이음하고자 하는 두 개의 콘크리트 파일에 각각의 금속성 연결장치를 끼운 후에 두 연결장치를 용접하여 이음 작업을 하므로 많은 작업 시간이 소요되어 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high strength concrete pile connection device welds the two coupling devices after each metal coupling device to the two concrete piles to be jointed, so that the joint work by welding a lot of work time is inconvenient to work have.

본 고안은 상기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의 연결 작업 시에 종래와 같은 용접 작업을 배제하여 콘크리트 파일의 이음 작업이 신속하며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용 연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shortcomings, the high-strength concrete pile connecting device for quickly and conveniently to perform the joint work of the concrete pile by excluding the welding work as in the conventional high strength concrete pile connection work To provide.

이러한 본 고안의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용 연결장치는 상측 및 하측 개구부의 테두리에 안쪽으로 경사면이 형성된 실린더 형상의 몸체부와; 중앙에 관통된 홀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 중앙 내측에 수평하게 일체로 고정되는 지지부로써 달성된다.Connection device for high-strength concrete pi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ylindrical body portion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inward on the edge of the upper and lower openings; A through-hole is formed in the center, and is achieved as a support part fixed horizontally and integrally inside the center of the body part.

또한, 본 고안의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용 연결장치에 있어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지지부를 중심으로 상단과 하단에 각각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볼트 체결공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high strength concrete pile conn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bolt fastening holes are additionally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support, respectively.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용 연결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용 연결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 선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장치를 이용한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의 이음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4 to 6 is a view showing a high strength concrete pile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high strength concrete pile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ne AA of FIG. 6 is a view showing a joint state of a high-strength concrete pile using a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의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용 연결장치(100)는 실린더 형상의 몸체부(110)와, 몸체부(110)의 중앙 내측에 일체로 고정되는 지지부(120)로 구성된다.Connection device 100 for high-strength concrete pi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cylindrical body portion 110, and the support portion 120 is integrally fixed to the inner center of the body portion (110).

몸체부(110)의 상측 개구부 테두리에는 안쪽으로 경사면(111)이 형성되어 콘크리트 파일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며, 마찬가지로 하측 개구부 테두리에는 안쪽으로 경사면(112)이 형성된다.An inclined surface 111 is formed inward at an upper opening edge of the body part 110 to facilitate the insertion of a concrete pile, and likewise, an inclined surface 112 is formed inward at a lower opening edge.

지지부(120)는 몸체부(110)의 중앙 내측에 수평하게 일체로 고정되며, 중앙에는 관통된 홀(121)이 형성된다.The support part 120 is horizontally integrally fixed to the inside of the center of the body part 110, and a through hole 121 is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또한, 본 고안에 있어 몸체부(110)에는 지지부(120)를 중심으로 상단과 하단에 각각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볼트 체결공(113)(114)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bolt fastening holes 113 and 114 may be further formed in the body portion 110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support portion 120, respectively.

볼트 체결공(113)(114)은 몸체부(110)의 상하측에 콘크리트 파일을 끼워 조립한 후에 볼트를 끼워 고정하여 몸체부(110)와 콘크리트 파일을 보다 견고히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The bolt fastening holes 113 and 114 are fitt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body portion 110 to assemble the concrete pile, and then bolted to fix the body portion 110 and the concrete pile to be more firmly fixed.

볼트 체결공(113)(114)의 위치는 통상의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의 선단부에 형성된 두 개의 요홈과 일치하도록 한다.The position of the bolt fastening holes 113 and 114 is coincident with the two grooves formed in the tip of a conventional high strength concrete pile.

도 6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연결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파일의 이음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 6, looking at the joint method of the concrete pile using the conn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follows.

지반(G)에 타공된 제1콘크리트 파일(20)의 상단 일부가 노출된 상태에서 몸체부(110)의 하측 개구부를 제1콘크리트 파일(20)의 상단에 끼워 조립한다.The lower opening of the body part 110 is fitt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concrete pile 20 in a state where a portion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concrete pile 20 perforated on the ground G is exposed.

몸체부(110) 내의 지지부(120)가 제1콘크리트 파일(20)에 걸려 고정되며, 다음으로 몸체부(110)의 상측 개구부에 제2콘크리트 파일(30)을 끼워 조립한다.The support part 120 in the body part 110 is fixed to the first concrete pile 20 and then assembled by fitting the second concrete pile 30 into the upper opening of the body part 110.

제1콘크리트 파일(20)과 제2콘크리트 파일(30)의 연결 작업이 끝난 후에는 계속 타공 작업을 하여 목적하는 깊이까지 콘크리트 파일을 박는다.After the connection work between the first concrete file 20 and the second concrete file 30 is finished, the perforation work is continued to drive the concrete file to the desired depth.

한편, 제1및제2콘크리트 파일(20)(30)을 몸체부(110)에 끼워 조립한 후에 볼트 체결공에 볼트(B)를 끼워 죄여줌으로써 제1콘크리트 파일(20)과 제2콘크리트 파일(30)을 보다 견고히 고정할 수가 있다.Meanwhile, the first and second concrete piles 20 and 30 are assembled to the body portion 110 and then the bolts B are fastened to the bolt fastening holes to assemble the first concrete pile 20 and the second concrete pile ( 30) can be fixed more firmly.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용 연결장치는 실린더 형상의 몸체부와, 이 몸체부 중앙 내측에 수평하게 일체로 고정되는 지지부로 구성되어,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을 몸체부에 끼워 조립하는 작업만으로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의 이음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작업이 용이하며 작업 공수를 최소화하여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고안인 것이다.The high strength concrete pile conn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composed of a cylindrical body portion and a support portion fixed horizontally and integrally inside the center of the body portion, and the high strength concrete pile only by simply assembling the body portion Since the joint work of the concrete pile is made, it is easy to work and it is designed to increase the work efficiency by minimizing the work manpower.

도 1은 종래의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용 연결장치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high strength concrete pile connecting device,

도 2 및 도 3은 종래의 연결장치를 이용한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의2 and 3 is a high strength concrete pile using a conventional connection device

이음 공정을 보여주는 도면,     Drawing showing the jointing process,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용 연결장치의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a high strength concrete pil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A-A 선의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장치를 이용한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의 6 is a high-strength concrete pile using a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음 예를 보여주는 도면.     Drawing showing an example of a joint.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연결장치 110 : 몸체부100: connecting device 110: body

113, 114 : 볼트 체결공 120 : 지지부113, 114: bolt fastening hole 120: support part

Claims (2)

상측 및 하측 개구부의 테두리에 안쪽으로 경사면이 형성된 실린더 형상의 몸체부와;A cylindrical body having an inclined surface formed inward at edges of the upper and lower openings; 중앙에 관통된 홀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 중앙 내측에 수평하게 일체로 고정되는 지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용 연결장치.The through-hole is formed in the center, the connecting device for a high-strength concrete pil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upport portion fixed horizontally integrally inside the center of the body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지지부를 중심으로 상단과 하단에 각각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볼트 체결공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용 연결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portion is connected to the high strength concrete pil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bolt fastening holes are further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the top and bottom, respectively, around the support.
KR20-2004-0034764U 2004-12-07 2004-12-07 Device for connecting high strength concrete piles KR20037817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764U KR200378179Y1 (en) 2004-12-07 2004-12-07 Device for connecting high strength concrete pi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764U KR200378179Y1 (en) 2004-12-07 2004-12-07 Device for connecting high strength concrete pil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8179Y1 true KR200378179Y1 (en) 2005-03-11

Family

ID=43679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4764U KR200378179Y1 (en) 2004-12-07 2004-12-07 Device for connecting high strength concrete pi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8179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6563B1 (en) Fixture for connecting concrete piles
KR100835778B1 (en) Attachable and detachable joint apparatus of concrete pile for foundation work
KR101299023B1 (en) The structure of matching splicing point of box type steel columns and top level of steel beam using diaphragm
KR20180007293A (en) Connecting device for PHC pi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498480B1 (en) Fixture for connecting concrete piles and method for connecting concrete piles using the same
JPH11344169A (en) Pipe joint structure
JP2006037619A (en) Cylinder body connection device
KR200378179Y1 (en) Device for connecting high strength concrete piles
KR101839306B1 (en) Joints Appartus of The Concrete Piles and Steel Pipe
KR101726278B1 (en) Coupling structure for PHC file
KR101773434B1 (en) Coupling device for concrete and steel File
JP4545470B2 (en) Joint structure of steel column and steel pipe pile
KR200277683Y1 (en) joint structure for PHC pile
JP2007138522A (en) Connection structure of pile and pc steel bar
KR101207194B1 (en) A joint apparatus of concrete pile for foundation work
KR101644449B1 (en) Phc pile using joint plate and connecting fin
JP2000328557A (en) Joint structure and its execution method for pile
KR100421198B1 (en) construction method of socket type steel pipe for connecting thereof
JPH04122733U (en) PC pile screw joint
KR102138666B1 (en) Connecting unit for concrete pile
JP4621538B2 (en) Joining device for driving pile and upper column
KR100917416B1 (en) Cross-shaped connection of steel tubular truss joint
JPH0371524B2 (en)
CN217150187U (en) High-reliability precast pile connecting structure and whole pile structure
CN212835350U (en) Civil engineering cylindricality foundation pile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