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7927Y1 - 인형 입 - Google Patents

인형 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7927Y1
KR200377927Y1 KR20-2004-0028024U KR20040028024U KR200377927Y1 KR 200377927 Y1 KR200377927 Y1 KR 200377927Y1 KR 20040028024 U KR20040028024 U KR 20040028024U KR 200377927 Y1 KR200377927 Y1 KR 2003779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doll
limit switch
mouth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80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기철
Original Assignee
홍기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기철 filed Critical 홍기철
Priority to KR20-2004-00280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79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79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79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365Details; Accessories allowing a choice of facial features, e.g. to change the facial express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2Electric dri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움직이는 인형 입에 관한 것이며; 그 목적은 인형극의 공연이나 촬영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인형에 있어서, 상기 인형의 입을 원하는 방법대로 뻐끔거릴 수 있도록 제어함으로서 보다 생동감이 넘치는 인형을 제공할 수 있는 인형 입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수평으로 신장되다가 소정각도 하향으로 절곡되었다가 동일한 소정각도로 상향으로 절곡되어 신장되는 측면형상을 갖는 2개의 부재가, 일측은 중앙 상측에 와이어홈(15)이 형성되는 상순지지부재(11)로 연결되고, 타측은 지지부재(12)로 연결되며, 중앙 일측에서 관통하는 축공(13)이 형성되는 상악부재(10)와; 상기 상악부재(10)와 상하대칭되는 형상을 갖는 2개의 부재가 일측은 하순지지부재(21)로 연결되고 타측은 지지부재(22)로 연결되며, 상기 상악부재(10)의 양측면에 외접하여 중앙에 형성된 관통하는 축공(23)에 와셔(30)를 끼운 고정부재(31)를 삽입하여 상기 상악부재(1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악부재(20)와; 상기 하악부재(20)의 일측면에 상향하여 고정결합되는 모터(41)와, 상기 모터(41)의 축에 일측이 결합되는 회전부재(42)와, 상기 회전부재(42)의 타측에 형성되는 홈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상순지지부재(11)의 와이어홈(15)에 고정되는 와이어(43)로 구성되는 상순구동부(40)와; 상기 상순지지부재(11)의 지지부재(12)에 스프링고정부재(51)로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하순지지부재(21)의 지지부재(22)에 스프링고정부재(51)로 고정되는 스프링(52)으로 구성되는 상순복원부(50)와; 상기 하순지지부재(21)의 일측 소정위치에 고정되는 제1리미트스위치(61)와, 상기 제1리미트스위치(61)의 하부에 소정각도가 벌어지도록 결합되는 제1단자(63)와, 상기 제1단자(63)에 대응하도록 상기 상순지지부재(11)의 소정위치에 상기 제1단자(63)를 누를 수 있는 형상으로 고정되는 누름자(65)와, 상기 하순지지부재(21)와 내접하면서 상악부재(10)가 소정각도 회전하였을 때 누름부(66)의 일측이 닿을 수 있는 위치에 소정각도로 기울어져 고정되는 제2리미트스위치(62)와, 상기 제2리미트스위치(62)의 일측에 소정각도로 벌어지도록 결합되어 누름부(66)가 회전하면서 눌러 제2리미트스위치(62) 쪽으로 닫히도록 설치되는 제2단자(64)와, 상기 제1리미트스위치(61)와 제2리미트스위치(62)는 전선으로 전자회로(67)에 연결되고 상기 전자회로(67)에 소정길이의 전선으로 연결되는 스위치(68)로 구성되는 제어부(60);로 구성되어, 인형의 입을 원하는 방법대로 뻐끔거릴 수 있도록 제어함으로서 보다 생동감이 넘치는 인형을 제공할 수 있는 인형 입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인형 입{STRUCTURE OF PUPPET MOUTH}
본 고안은 움직이는 인형 입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형극의 공연이나 촬영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인형에 있어서, 상기 인형의 입을 원하는 방법대로 뻐끔거릴 수 있도록 제어함으로서 보다 생동감이 넘치는 인형을 제공할 수 있는 인형 입에 관한 것이다.
통상 인형극에 사용되는 인형은 공연자가 인형의 안쪽에 들어가거나 머리부에 쓰고서 하는 탈인형과, 인형조작자가 인형을 손에 끼운 상태에서 공연하는 손인형(gulgnol)과, 막대를 밑에 끼워 공연하는 막대인형과, 인형의 팔, 다리, 머리와 각 관절에 와이어를 연결하여 와이어를 조작하여 공연하는 꼭두각시인형 또는 줄인형(marionnette)과, 그림자를 이용하여 공연하는 그림자인형(silhouette) 등이 있다.
상기 인형극의 인형 중 손인형의 경우에는 입의 움직임을 손을 직접 사용하여 표현하고 있으며, 그림자인형의 경우, 눈이나 입 뿐만아니라 표정의 표현도 가능하고, 줄인형의 경우에도 여러 가지 감정의 표현을 하고 있다.
그러나, 그 외의 다른 인형들의 경우에는 감정의 표현을 몸 전체의 움직임과 음성이나 기타 효과에 의존하고 있으며, 눈이나 입 등의 자유롭게 움직이지 않음으로 인해 이로 인한 표정 등이 다양하게 변화될 수 없어 공연관람자와 공연자간의 교감이 반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되는 것으로, 인형극의 공연이나 촬영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인형에 있어서, 상악부재(10)와 하악부재(20)를 자유롭게 벌렸다가 오므렸다가 할 수 있도록 상순구동부(40)와 상순복원부(50)와 제어부(60)로 구성되어, 상기 인형의 입을 원하는 방법대로 뻐끔거릴 수 있도록 제어함으로서 보다 생동감이 넘치는 인형을 제공함으로써 그 목적이 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인형극의 공연이나 촬영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인형에 있어서, 수평으로 신장되다가 소정각도 하향으로 절곡되었다가 동일한 소정각도로 상향으로 절곡되어 신장되는 측면형상을 갖는 2개의 부재가, 일측은 중앙 상측에 와이어홈(15)이 형성되는 상순지지부재(11)로 연결되고, 타측은 지지부재(12)로 연결되며, 중앙 일측에서 관통하는 축공(13)이 형성되는 상악부재(10)와; 상기 상악부재(10)와 상하대칭되는 형상을 갖는 2개의 부재가 일측은 하순지지부재(21)로 연결되고 타측은 지지부재(22)로 연결되며, 상기 상악부재(10)의 양측면에 외접하여 중앙에 형성된 관통하는 축공(23)에 와셔(30)를 끼운 고정부재(31)를 삽입하여 상기 상악부재(1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악부재(20)와; 상기 하악부재(20)의 일측면에 상향하여 고정결합되는 모터(41)와, 상기 모터(41)의 축에 일측이 결합되는 회전부재(42)와, 상기 회전부재(42)의 타측에 형성되는 홈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상순지지부재(11)의 와이어홈(15)에 고정되는 와이어(43)로 구성되는 상순구동부(40)와; 상기 상순지지부재(11)의 지지부재(12)에 스프링고정부재(51)로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하순지지부재(21)의 지지부재(22)에 스프링고정부재(51)로 고정되는 스프링(52)으로 구성되는 상순복원부(50)와; 상기 하순지지부재(21)의 일측 소정위치에 고정되는 제1리미트스위치(61)와, 상기 제1리미트스위치(61)의 하부에 소정각도가 벌어지도록 결합되는 제1단자(63)와, 상기 제1단자(63)에 대응하도록 상기 상순지지부재(11)의 소정위치에 상기 제1단자(63)를 누를 수 있는 형상으로 고정되는 누름자(65)와, 상기 하순지지부재(21)의 내접하는 소정위치에 소정각도로 기울어져 고정되는 제2리미트스위치(62)와, 상기 제2리미트스위치(62)의 일측에 소정각도가 벌어지도록 결합되는 제2단자(64)와, 상기 제1리미트스위치(61)와 제2리미트스위치(62)는 전선으로 전자회로(67)에 연결되고 상기 전자회로(67)에 소정길이의 전선으로 연결되는 스위치(68)로 구성되는 제어부(60);로 이루어지는 인형 입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상순지지부재(11)와 하순지지부재(21)의 전면에는 적당한 쿠션을 갖고 접착이 용이한 소재의 접착부재(14,24)가 구비되는 인형 입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68)는 버튼(69)을 누르면, 누르는 시간만큼 모터(41)가 정회전을 하였다가 버튼(69)을 떼면 역회전을 하는 인형 입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인형(A)의 내측에 결합시 상기 상순지지부재(11)의 접착부재(14)의 소정위치에는 입의 크기에 해당하는 강철제 상순부(2)가 결합되고, 상기 하순지지부재(21)의 접착부재(24)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상순부(2)에 대응하는 하순부(3)가 결합되는 인형 입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1 은 본 고안을 적용한 인형 입을 보이는 전체사시도이고, 도 2a 는 본 고안을 적용한 인형 입이 벌어질 때의 상태를 보이는 정면 및 좌측면도이고, 도 2b 는 본 고안을 적용한 인형 입이 다물어질 때의 상태를 보이는 정면 및 좌측면도이고, 도 3a 는 본 고안을 적용한 인형 입이 벌어질 때의 정면도이고, 도 3b 는 본 고안을 적용한 인형 입이 다물어질 때의 정면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의 작동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본 고안은 인형극의 공연이나 촬영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인형의 입을 원하는 방법대로 뻐끔거릴 수 있도록 제어함으로서 보다 생동감이 넘치는 인형을 제공하여 공연관람객이나 시청자와 더욱 많은 교감을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인형의 입은 전체적으로 상악부재(10)와 하악부재(20)와 상순구동부(40)와 상순복원부(50)와 제어부(60)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악부재(10)는 수평으로 신장되다가 소정각도 하향으로 절곡되었다가 동일한 소정각도로 상향으로 절곡되어 신장되는 측면형상을 갖는 2개의 부재가, 일측은 중앙 상측에 와이어홈(15)이 형성되는 상순지지부재(11)로 연결되고, 타측은 지지부재(12)로 연결되며, 중앙 일측에서 관통하는 축공(13)이 형성된다.
상기 하악부재(20)는 상기 상악부재(10)와 상하대칭되는 형상을 갖는 2개의 부재가 일측은 하순지지부재(21)로 연결되고 타측은 지지부재(22)로 연결되며, 상기 상악부재(10)의 양측면에 외접하여 중앙에 형성된 관통하는 축공(23)에 와셔(30)를 끼운 고정부재(31)를 삽입하여 상기 상악부재(1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상순구동부(40)는 상기 하악부재(20)의 일측면에 상향하여 고정결합되는 모터(41)와, 상기 모터(41)의 축에 일측이 결합되는 회전부재(42)와, 상기 회전부재(42)의 타측에 형성되는 홈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상순지지부재(11)의 와이어홈(15)에 고정되는 와이어(43)로 구성된다.
상기 상순복원부(50)는 상기 상순지지부재(11)의 지지부재(12)에 스프링고정부재(51)로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하순지지부재(21)의 지지부재(22)에 스프링고정부재(51)로 고정되는 스프링(5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하순지지부재(21)의 일측 소정위치에 고정되는 제1리미트스위치(61)와, 상기 제1리미트스위치(61)의 하부에 소정각도가 벌어지도록 결합되는 제1단자(63)와, 상기 제1단자(63)에 대응하도록 상기 상순지지부재(11)의 소정위치에 상기 제1단자(63)를 누를 수 있는 형상으로 고정되는 누름자(65)와, 상기 하순지지부재(21)의 내접하는 소정위치에 소정각도로 기울어져 고정되는 제2리미트스위치(62)와, 상기 제2리미트스위치(62)의 일측에 소정각도가 벌어지도록 결합되는 제2단자(64)와, 상기 제1리미트스위치(61)와 제2리미트스위치(62)는 전선으로 전자회로(67)에 연결되고 상기 전자회로(67)에 소정길이의 전선으로 연결되는 스위치(68)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순지지부재(11)와 하순지지부재(21)의 전면에는 적당한 쿠션을 갖고 접착이 용이한 소재의 접착부재(14,24)를 구비하여 인형(A)의 입부위에 접착시 고정 및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위치(68)는 버튼(69)을 누르면, 누르는 시간만큼 모터(41)가 정회전을 하였다가 버튼(69)을 떼면 역회전을 하도록 전자회로(67)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형(A)의 내측에 결합시 상기 상순지지부재(11)의 접착부재(14)의 소정위치에는 입의 크기에 해당하는 강철제 상순부(2)가 결합되고, 상기 하순지지부재(21)의 접착부재(24)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상순부(2)에 대응하는 하순부(3)가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본 고안의 인형 입(1)이 구동되어 상순지지부재(11)와 하순지지부재(21)가 벌어지거나 다물어질 때 힘이 입술의 중앙에만 머물지 않고 고르게 입술 전체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설치 및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인형 입(1)이 결합될 입술부(B)를 인형(A)의 머리부 전면 하부 소정부위에 양측으로 신장되고 내측으로 주머니형상의 입속부위를 혀와 함께 형성한다.
상기 입술부(B)의 내측에 미리 형성된 강철재질의 상순부(2)와 하순부(3)의 중앙 소정위치에 본 고안의 입형 입(1)을 내측으로부터 삽입하여 접착부재(14,24)를 접착 및 체결시켜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제1 및 제2 리미트스위치(61,62)에 전선의 일단을 연결하고 타단을 전자회로(67)에 연결하며, 전자회로(67)에 타단에 스위치(68)가 연결된 전선의 일단을 연결하여 스위치(68)를 공연자의 손에 위치할 정도로 전선의 길이를 조절하여 설치한다.
이와 같이 설치가 완료되며, 공연자는 인형(A)의 머리부를 뒤집어쓰고 공연을 하게된다.
상기 회전부재(42)의 위치는 평상시에는 전방으로 회전되어 있는 상태가 기본이며, 이러한 상태에서 와이어(43)는 인장력이 없어 상악부재(10)는 배면측에 스프링고정부재(51)로 고정된 스프링(52)의 장력에 의해 고정부재(31)를 중심축으로 하여 배면측이 상부로 회전하여 인형(A)의 전면에서는 입술부(B)가 다물어져 보이게 되어 인형(A)이 입을 다물고 있는 상태가 된다.
공연자는 스위치(68)의 버튼(69)을 조작하여 인형의 입술부(B)를 움직일 수 있으며, 버튼(69)을 누를 때마다 입이 한번씩 뻐끔거리게 된다.
인형(A)의 입이 뻐끔거리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공연자가 필요시 손에 쥐고 있던 스위치(68)의 버튼(69)을 눌러 눈을 깜박이도록 제어한다.
우선, 정상모드에서의 동작은 공연자가 스위치(68)의 버튼(69)을 한 번 잠깐 눌렀다가 떼면, 전자회로(67)에서 신호를 보내어 모터(41)가 정회전을 시작하고, 회전부재(42)가 전면에서 우측을 지나 배면측으로 회전한다. 회전부재(42)가 배면측으로 회전함에 따라 이에 연결된 와이어(43)를 당기게 되고 와이어(43) 타측에 연결된 상순지지부재(11)를 당겨 상악부재(10)의 전방이 고정부재(31)를 회전축으로 상향회전하여, 상순지지부재(11)와 연결된 상순부(2)가 상부로 벌어져 입이 벌려진 상태가 된다.
배면측으로 회전하는 회전부재(42)가 약 180도정도 회전하면 상악부재(10)가 하악부재(20)에 대하여 소정각도로 벌어지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악부재(10)의 누름부(66)가 하악부재(20)의 내측에 설치된 제2단자(64)를 눌러 제2리미트스위치(62)가 전자회로(67)에 신호를 보내게 되고 전자회로(67)에서 모터(41)가 역회전을 시작하도록 전류의 방향을 바꾸게 된다.
역회전을 시작한 모터(41)는 회전부재(42)를 우측을 지나 전방으로 회전시키고 와이어(43)를 느슨하게 풀어주면, 상악부재(10)와 하악부재(20)의 배면측에 고정설치된 스프링(52)과 스프링고정부재(51)로 이루어지는 상순복원부(50)의 스프링력에 의해 상악부재(10)의 배면측이 상향회전을 하게 되고, 이와 연결된 상순지지부재(11)는 하향회전하게 된다.
전방으로 회전하던 회전부재(42)가 약 180도정도 회전하면, 상악부재(10)의 후방 일측에 형성된 누름자(65)가 하악부재(20)의 제1단자(63)를 누르게 된다. 상기 제1단자(63)를 누름자(65)가 누르면, 제1단자(63)와 연결된 제1리미트스위치(61)가 작동하여 전자회로(67)에 신호를 보내게 되고 전자회로(67)에서 모터(41)가 회전을 정지하도록 전류를 끊는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초기상태로 돌아오게 되고, 다음 과정을 준비하게 된다.
공연자는 때로 입을 잠깐 벌렸다가 오므리는 동작이 아니라 놀람이나 기쁨을 표현할 때 입을 원하는 시간만큼 벌리고 있다가 오므리는 동작이 필요할 때가 있다.
이때, 공연자가 스위치(68)의 버튼(69)을 입을 벌리고 있기 원하는 시간만큼 버튼을 누르게 된다.
그러면, 전자회로(67)에서는 버튼(69)의 신호가 다름을 감지하고, 정상모드와 다르게 동작을 하게 된다.
전자회로(67)에서 신호를 보내어 모터(41)가 정회전을 시작하고, 회전부재(42)가 전면에서 우측을 지나 배면측으로 회전한다. 회전부재(42)가 배면측으로 회전함에 따라 이에 연결된 와이어(43)를 당기게 되고 와이어(43) 타측에 연결된 상순지지부재(11)를 당겨 상악부재(10)의 전방이 고정부재(31)를 회전축으로 상향회전하여, 상순지지부재(11)와 연결된 상순부(2)가 상부로 벌어져 입이 벌려진 상태가 된다.
배면측으로 회전하는 회전부재(42)가 약 180도정도 회전하면 상악부재(10)가 하악부재(20)에 대하여 소정각도로 벌어지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악부재(10)의 누름부(66)가 하악부재(20)의 내측에 설치된 제2단자(64)를 눌러 제2리미트스위치(62)가 전자회로(67)에 신호를 보내도 전자회로(67)에서는 아무런 신호를 보내지 않는다.
공연자가 입을 벌리고 있기 원하는 시간이 지나 버튼(69)을 놓으면, 전자회로(67)에서는 단락신호를 감지하여 전자회로(67)에서 모터(41)가 역회전을 시작하도록 전류의 방향을 바꾸게 된다.
역회전을 시작한 모터(41)는 회전부재(42)를 우측을 지나 전방으로 회전시키고 와이어(43)를 느슨하게 풀어주면, 상악부재(10)와 하악부재(20)의 배면측에 고정설치된 스프링(52)과 스프링고정부재(51)로 이루어지는 상순복원부(50)의 스프링력에 의해 상악부재(10)의 배면측이 상향회전을 하게 되고, 이와 연결된 상순지지부재(11)는 하향회전하게 된다.
전방으로 회전하던 회전부재(42)가 약 180도정도 회전하면, 상악부재(10)의 후방 일측에 형성된 누름자(65)가 하악부재(20)의 제1단자(63)를 누르게 된다. 상기 제1단자(63)를 누름자(65)가 누르면, 제1단자(63)와 연결된 제1리미트스위치(61)가 작동하여 전자회로(67)에 신호를 보내게 되고 전자회로(67)에서 모터(41)가 회전을 정지하도록 전류를 끊는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초기상태로 돌아오게 되고, 다음 과정을 준비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으로 사용되는 고정부재(31)의 양측단에는 볼베어링(도시없음) 등을 사용하여 더욱 원활한 회전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에 의해 기대할 수 있는 본 고안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인형극의 공연이나 촬영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인형의 입을 원하는 방법대로 뻐끔거릴 수 있도록 제어함으로서 보다 생동감이 넘치는 인형을 제공하여 관람자 또는 시청자와 더욱 교감할 수 있는 인형을 제공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을 적용한 인형 입을 보이는 전체사시도
도 2a 는 본 고안을 적용한 인형 입이 벌어질 때의 상태를 보이는 정면 및 좌측면도
도 2b 는 본 고안을 적용한 인형 입이 다물어질 때의 상태를 보이는 정면 및 좌측면도
도 3a 는 본 고안을 적용한 인형 입이 벌어질 때의 정면도
도 3b 는 본 고안을 적용한 인형 입이 다물어질 때의 정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작동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제어부의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인형 입 2 : 상순부
3 : 하순부 10 : 상악부재
11 : 상순지지부재 12 : 지지부재
13 : 축공 14 : 접착부재
15 : 와이어홈 20 : 하악부재
21 : 하순지지부재 22 : 지지부재
23 : 축공 24 : 접착부재
30 : 와셔 31 : 고정부재
40 : 상순구동부 41 : 모터
42 : 회전부재 43 : 와이어
50 : 상순복원부 51 : 스프링고정부재
52 : 스프링 60 : 제어부
61 : 제1리미트스위치 62 : 제2리미트스위치
63 : 제1단자 64 : 제2단자
65 : 누름자 66 : 누름부
67 : 전자회로 68 : 스위치
69 : 버튼 A : 인형
B : 입술부

Claims (4)

  1. 수평으로 신장되다가 소정각도 하향으로 절곡되었다가 동일한 소정각도로 상향으로 절곡되어 신장되는 측면형상을 갖는 2개의 부재가, 일측은 중앙 상측에 와이어홈(15)이 형성되는 상순지지부재(11)로 연결되고, 타측은 지지부재(12)로 연결되며, 중앙 일측에서 관통하는 축공(13)이 형성되는 상악부재(10)와;
    상기 상악부재(10)와 상하대칭되는 형상을 갖는 2개의 부재가 일측은 하순지지부재(21)로 연결되고 타측은 지지부재(22)로 연결되며, 상기 상악부재(10)의 양측면에 외접하여 중앙에 형성된 관통하는 축공(23)에 와셔(30)를 끼운 고정부재(31)를 삽입하여 상기 상악부재(1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악부재(20)와;
    상기 하악부재(20)의 일측면에 상향하여 고정결합되는 모터(41)와, 상기 모터(41)의 축에 일측이 결합되는 회전부재(42)와, 상기 회전부재(42)의 타측에 형성되는 홈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상순지지부재(11)의 와이어홈(15)에 고정되는 와이어(43)로 구성되는 상순구동부(40)와;
    상기 상순지지부재(11)의 지지부재(12)에 스프링고정부재(51)로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하순지지부재(21)의 지지부재(22)에 스프링고정부재(51)로 고정되는 스프링(52)으로 구성되는 상순복원부(50)와;
    상기 하순지지부재(21)의 일측 소정위치에 고정되는 제1리미트스위치(61)와, 상기 제1리미트스위치(61)의 하부에 소정각도가 벌어지도록 결합되는 제1단자(63)와, 상기 제1단자(63)에 대응하도록 상기 상순지지부재(11)의 소정위치에 상기 제1단자(63)를 누를 수 있는 형상으로 고정되는 누름자(65)와, 상기 하순지지부재(21)와 내접하면서 상악부재(10)가 소정각도 회전하였을 때 누름부(66)의 일측이 닿을 수 있는 위치에 소정각도로 기울어져 고정되는 제2리미트스위치(62)와, 상기 제2리미트스위치(62)의 일측에 소정각도로 벌어지도록 결합되어 누름부(66)가 회전하면서 눌러 제2리미트스위치(62) 쪽으로 닫히도록 설치되는 제2단자(64)와, 상기 제1리미트스위치(61)와 제2리미트스위치(62)는 전선으로 전자회로(67)에 연결되고 상기 전자회로(67)에 소정길이의 전선으로 연결되는 스위치(68)로 구성되는 제어부(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형 입.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순지지부재(11)와 하순지지부재(21)의 전면에는 적당한 쿠션을 갖고 접착이 용이한 소재의 접착부재(14,2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형 입.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68)는 버튼(69)을 누르면, 누르는 시간만큼 모터(41)가 정회전을 하였다가 버튼(69)을 떼면 역회전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형 입.
  4. 제 1 항에 있어서, 인형(A)의 내측에 결합시 상기 상순지지부재(11)의 접착부재(14)의 소정위치에는 입의 크기에 해당하는 강철제 상순부(2)가 결합되고, 상기 하순지지부재(21)의 접착부재(24)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상순부(2)에 대응하는 하순부(3)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형 입.
KR20-2004-0028024U 2004-10-04 2004-10-04 인형 입 KR2003779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024U KR200377927Y1 (ko) 2004-10-04 2004-10-04 인형 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024U KR200377927Y1 (ko) 2004-10-04 2004-10-04 인형 입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7927Y1 true KR200377927Y1 (ko) 2005-03-11

Family

ID=43679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8024U KR200377927Y1 (ko) 2004-10-04 2004-10-04 인형 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792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131A (ko) * 2018-06-27 2020-01-06 박오연 표정변화가 가능한 웨어러블 케릭터 탈 로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131A (ko) * 2018-06-27 2020-01-06 박오연 표정변화가 가능한 웨어러블 케릭터 탈 로봇
KR102182212B1 (ko) * 2018-06-27 2020-11-24 박오연 표정변화가 가능한 웨어러블 케릭터 탈 로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53785C (en) Toy with sound-activated motion
US7322874B2 (en) Expression mechanism for a toy, such as a doll, having fixed or moveable eyes
US6322420B1 (en) Plush toy having ear and foot movement
US7837531B2 (en) Toy doll
US6110001A (en) Animated toy doll
US20050233675A1 (en) Animated multi-persona toy
US3125826A (en) Animated doll with sounding means
US6220921B1 (en) Movable frog toy
CN201015714Y (zh) 玩具恐龙
US6053798A (en) Structural improvement of toy Christmas tree
US5823847A (en) Moving mouth mechanism for animated characters
KR200377927Y1 (ko) 인형 입
US20070184750A1 (en) Doll and face-licking puppy combination
CN204319754U (zh) 一种仿真玩具恐龙
US10913161B2 (en) Robotics skin system with integral elastomeric links to complete mechanical linkages
US3261124A (en) Animated speaking figure toy
EP3967381B1 (en) Mechanical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uppet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200377926Y1 (ko) 인형 눈
US4276715A (en) Puppet
CN209809505U (zh) 一种玩具玩偶
KR20110043866A (ko) 인형 눈꺼풀 구동장치
KR200377925Y1 (ko) 인형 눈
US3293794A (en) Animated talking doll
CN201161110Y (zh) 一种逗乐玩具娃娃
WO2019077765A1 (ja) 乳幼児用回転観賞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2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